KR20000041313A -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313A
KR20000041313A KR1019980057161A KR19980057161A KR20000041313A KR 20000041313 A KR20000041313 A KR 20000041313A KR 1019980057161 A KR1019980057161 A KR 1019980057161A KR 19980057161 A KR19980057161 A KR 19980057161A KR 20000041313 A KR20000041313 A KR 2000004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ursor
column
row
por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313A/ko
Publication of KR2000004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커서 이동을 위한 방향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정보 처리 및 검색시 커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적은 면적을 점유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커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상키와 우하키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커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좌상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행 좌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첫 번째 좌측 열 상측 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우하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우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우측 마지막 열 하측 행으로 이동시키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방향키 입력장치를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나 휴대용 전자수첩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커서 이동을 위한 방향키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정보 처리 및 검색시 커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적은 면적을 점유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커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컴퓨터 혹은 정보의 검색 및 처리를 요하는 정보기기의 키입력장치에는 상,하,좌,우 방향키가 구비되어, 활성화된 커서(Cursor)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행된다.
그로나, 종래 상,하,좌,우 방향키의 경우, 그 본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키를 필요로 하는데, 소형화를 지향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에 4개의 키를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었다.
또한, 실제 적용하더라도 키의 누름 면적 크기가 너무나 작아,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방향키 입력을 하는데 있어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고, 동시에 아무리 작은 크기의 방향키로 구현하더라도 필히 4개의 키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정보 처리 및 검색시 커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되는 방향키를 구현함에 있어, 보다 적은 면적을 점유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커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키 입력장치를 구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에, 좌상키와 우하키를 구비시키고,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커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좌상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좌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첫 번째 좌측 열 상측 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우하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우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우측 마지막 열 하측 행으로 이동시키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방향키 입력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실시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요소인 표시장치, 송수화기, 안테나, 숫자키, 기능키가 구비됨을 보여준다.
참조부호 10으로 지시된 키는 본 발명에 따른 좌상키를 나타내고있으며, 도면의 실 예에서는 상기 좌상키에 좌측으로 향한 후 상측으로 꺽이는 화살표 기호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20으로 지시된 키는 본 발명에 따른 우하키를 나타내고 있으며, 은 본 발명에 다른 우하키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우하키는 우측으로 향한 후 하측으로 꺽이는 화살표 기호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에 나타난 화살표 기호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보다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음에 따른 각 방향키의 특성을 표시한 기호로서, 실시자의 응용에 따라 다른 기호 혹은 문자 등이 사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하등의 문제가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는 커서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의 상태를 일 예로서 설명하면,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중, 저장된 문자들을 검색 및 편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검색 및 편집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그 과정을 인지할 수 잇도록 커서가 활성화 상태에 있게 되면 통상 커서의 깜박거림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편집하거나 검색하는 경우, 혹은 단문메시지수신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가 커서 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커서 활성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방향키를 입력하여 원하는 방향이나 지점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필요한 동작, 편집이나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서의 움직임이나 위치는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에 표시됨으로 사용자는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210단계에서 커서 활성화 상태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제어부는 212단계에서 상기 좌상키 입력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212단계에서 좌상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214단계에서는 상기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행(Column)의 좌측 열(Row)로 이동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행 및 열 명칭은, 커서가 표시장치에 표시되고, 표시되는 커서가 행과 열로서 이동하거나 위치하기 때문에 근거한 것이다. 따라서, 행과 열로서 이동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개념으로 커서가 이동되도록 구현된 정보기기의 경우에는 그에 따라 해당되는 명칭이 사용되어 설명될 수 있을 것이고, 명칭이 변화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할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좌상키를 지속하여 입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커서는 동일 행의 다음 좌측 열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서의 이동 동작이 수행되던 중, 216단계에서는 상기 이동되던 커서가 동일 행 좌측 첫 번째 열로 이동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좌상키를 입력하는 동안 혹은 입력하는 순간,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게 되는 지, 혹은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216단계에서 상기 좌상키를 입력하는 동안 상기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18단계에서 상기 커서는 동일 열의 상측 행으로 이동한다. 즉, 좌측 첫 번째 열의 상측 행에 커서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좌상키가 지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이 더 이상 없을 때까지 상기 커서는 동일 열의 상측 행 방향으로 지속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커서의 활성화 상태는 지속된다.
한편, 상기 212단계에서 좌상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고, 213단계에서 상기 우하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215단계에서 상기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행의 우측 열로 이동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우하키를 지속하여 입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서는 동일 행의 다음 우측 열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커서의 이동 동작이 수행되던 중, 217단계에서는 상기 이동되던 커서가 동일 행 우측 마지막 열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우하키를 입력하는 동안,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게 되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우하키를 입력하는 동안 상기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19단계에서 상기 커서는 동일 열의 하측 행으로 이동한다. 즉, 우측 마지막 열의 하측 행에 커서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우하키를 지속하여 입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이 중지할 때까지 상기 커서는 동일 열의 하측 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230단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우하키의 입력 또한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220단계에서 입력되는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커서의 움직임만을 나타내었지만. 기기의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 수행에 따라, 표시화면의 상하 스크롤(Scroll)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자의 의도 및 기능 수행의 필요에 따라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가 좌측 방향키나 우측 방향키로만 사용될 수도 있으며, 혹은, 상측방향키, 하측 방향키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상하 스크롤 동작이나 좌우 스크롤 동작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좌상키와 우하키는 적용된다.
또한, 상기 좌상키 우하키는 좌하키 및 우상키로 각각 대치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좌하키의 경우 상기한 커서가 동일행 좌측열로 이동한 후 동일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것이며, 상기 우상키의 경우 커서가 동일행 우측열로 이동한 후 동일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화를 지향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정보 처리 및 검색시 커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적은 면적을 점유함과 동시에 보다 편리하게 커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방향키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에 있어서,
    좌상키와 우하키를 구비하며,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커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좌상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좌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첫 번째 좌측 열 상측 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우하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우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우측 마지막 열 하측 행으로 이동시키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입력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커서가 동일 행의 다음 좌측 열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고, 상기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면, 동일 열 상측 행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하키 입력이 지속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커서가 동일 행의 다음 우측 열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고, 상기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면, 동일 열 하측 행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능 수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가 좌측 방향키나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능 수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가 상측 방향키나 하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능 수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가 상측 방향 스크롤키나 하측 방향 스크롤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기능 수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가 좌측 방향 스크롤키나 우측 방향 스크롤키에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상키 및 우하키에 대비되는 별도의 좌하키와 우상키를 더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정보기기의 커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좌하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좌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좌측 첫 번째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첫 번째 좌측 열 하측 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우상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활성화된 커서가 동일 행 우측 열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열로 이동하는 커서가 우측 마지막 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서를 상기 우측 마지막 열 상측 행으로 이동시키는 키데이터를 더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장치.
KR1019980057161A 1998-12-22 1998-12-22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KR20000041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61A KR20000041313A (ko) 1998-12-22 1998-12-22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61A KR20000041313A (ko) 1998-12-22 1998-12-22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313A true KR20000041313A (ko) 2000-07-15

Family

ID=1956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161A KR20000041313A (ko) 1998-12-22 1998-12-22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3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60B1 (ko) * 2001-08-17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위치 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60B1 (ko) * 2001-08-17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위치 조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1007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146461B2 (ja) 携帯用端末機のキー入力方法及び装置
KR19980076633A (ko) 이동 정보 단말기에서의 정보 검색장치 및 방법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80222567A1 (en) Apparatus with Multiple Highlights
JP2006244506A (ja) 記号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機
KR19980024709A (ko)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JP2005006120A (ja) 操作機能の検索手段を有す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操作機能の検索方法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80097563A (ko) 키보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20000041313A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방향키 입력 장치
JPH09294170A (ja) 移動通信端末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00846661B1 (ko) 간편한 기호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KR100288379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및 입력 방법
JP4939773B2 (ja) 入力端末
KR1006641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용구 입력 방법
KR100741268B1 (ko) 입력선택 윈도우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
JP2002149314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文字入力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149318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携帯端末
KR100518003B1 (ko) 핸드폰에서의 중국어 입력방법
JP2005149026A (ja)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