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0898A -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0898A
KR20000040898A KR1019980056641A KR19980056641A KR20000040898A KR 20000040898 A KR20000040898 A KR 20000040898A KR 1019980056641 A KR1019980056641 A KR 1019980056641A KR 19980056641 A KR19980056641 A KR 19980056641A KR 20000040898 A KR20000040898 A KR 2000004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ushion
microprocessor
crt
scree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0898A/ko
Publication of KR2000004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며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핀쿠션 조정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CRT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핀쿠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화면조정장치에 있어서: CRT에 격자무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턴 발생부와, 상기 패턴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패턴 데이터를 처리하여 CRT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CRT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수직 라인의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라인의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수직신호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니터에 특정의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모니터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 특정의 수직 라인에 대한 모든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핀쿠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핀쿠션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함으로써 핀쿠션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Confirm apparatus for pincushion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용 핀쿠션 자동 보정회로에 핀쿠션의 발생여부를 알려주는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 화면의 디스플레이시 화면의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수직 라인의 픽셀을 체크함으로써 화면의 상,하,좌,우로 나타나는 핀쿠션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핀쿠션 보정의 제어신호로서 입력시키는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용 수상관의 형광면은 전자빔의 편향점을 중심으로 한 구면이 아니므로 주변으로 갈수록 편향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전자빔을 편향한 경우 가장 먼거리에 있는 네 구석 부분의 편향이 커져서 라스터는 실패 모양으로 찌그러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실패 모양의 찌그러짐을 이미지의 오목 일그러짐 또는 핀쿠션이라 하는데, 상기 핀쿠션은 편향관이 큰 수상관일수록 많아진다. 이 경우 전자빔의 편향에 따라서 편향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켜 핀쿠션을 보정하고 있다. 이 회로를 모니터의 핀쿠션 자동 보정회로라고 하며 상하의 찌그러짐을 보정하는 회로와 좌우의 찌그러짐을 보정하는 회로가 있다.
여기서, 상하의 핀쿠션은 라스터 상하의 진폭이 중앙부 일수록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보정하려면 수직 편향코일에 진폭부족분 만큼 보정전류를 흘려주면 된다. 또한, 좌우의 핀쿠션은 라스터 좌우의 진폭이 중앙부 일수록 부족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보정하려면 수평 편향 전류의 진폭을 수직 주사 주기로 파라볼라 형으로 진폭변조 해 주면 된다.
일반적으로, CRT 상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CRT(30)상에 주사되는 고압을 발생하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를 발진하는 수평 동기 신호 발진용 IC(22)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발진용 IC(22)의 수평 동기 신호를 드라이브시키는 수평 동기 신호 드라이브부(24)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승압시키는 드라이브용 트랜스(32)와, 상기 승압된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수평 동기 신호 출력부(26)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출력부(26)의 출력으로 고압을 발생하는 플라이 백 트랜스(28)와,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28)의 고압으로 동작하는 CRT(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핀쿠션 조절부를 설명하면, 화면의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12)와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갖으며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되는 PWM펄스를 평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4)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PWM펄스를 증폭하는 증폭부(16)와, 저항(R14, R15)으로 분배되어 인가되는 PWM펄스에 의해 CRT(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수직폭을 조절하는 수직 화면폭 조절용 IC(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PWM펄스를 평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6)와, 상기 변환된 PWM펄스에 의해 화면의 핀 쿠션을 조절하는 핀쿠션 조절용 IC(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구성에서 핀쿠션 보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28)에 의해 CRT(30)상에 출력할 수 있도록 승압된 고압이 CRT(30)의 애노우드 전극에 공급되는 중에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직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조절 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출력포트에서는 수직 화면 폭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고,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된 PWM펄스가 DC레벨을 결정지어주는 풀업 저항(R18)과 풀 다운 저항(R19)을 통하여 적분 회로를 이루는 저항(R20)과 콘덴서(C9)에 의해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핀쿠션 조절용 IC(34)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면, 핀쿠션 조절용 IC(34)는 이를 기초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의 수직 화면 폭을 조절하면 이에 연동하여 화면의 핀쿠션이 변화하여 수직 화면 폭을 조절한 후에 다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문제점으로 제시되었으며, 핀쿠션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사람에게 의존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이 어렵게 되어 정확한 핀쿠션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에 특정의 패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모니터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 특정의 수직 라인에 대한 모든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핀쿠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핀쿠션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함으로써 핀쿠션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핀쿠션 보정회로를 나타내는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핀쿠션 자동 보정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CRT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패턴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CRT 120 : 패턴 발생부
130 : 영상 처리부 140 : 수직신호 검출부
150 : 신호 변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며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핀쿠션 조정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CRT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핀쿠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화면조정장치에 있어서: CRT에 격자무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턴 발생부와, 상기 패턴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패턴 데이터를 처리하여 CRT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CRT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수직 라인의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라인의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수직신호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의 핀쿠션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모니터용 핀쿠션 보정회로의 예시도로서, 화면의 수직 폭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12)와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갖으며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되는 PWM펄스를 평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4)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의 PWM펄스를 증폭하는 증폭부(16)와; 저항(R14, R15)으로 분배되어 인가되는 PWM펄스에 의해 CRT(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수직폭을 조절하는 수직 화면폭 조절용 IC(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PWM펄스를 평활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36)와, 상기 변환된 PWM펄스에 의해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핀쿠션 조절용 IC(34)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직화면 폭 가변에 따른 핀 쿠션 보정회로에 있어서, 수직 화면 폭 조절을 위한 PWM펄스의 레벨에 따라 화면의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한 핀쿠션 보정부(38)로 구성된다.
여기서, 핀쿠션 보정부(38)는 수직 화면 폭 조절을 위한 PWM펄스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TR3)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구동에 따라 전원(B+)을 분압하는 저항(R22)및 저항(R23)과; 상기 저항(R22, R23)의 분압비에 의해 핀쿠션 조절용 IC(34)에 공급되는 PWM펄스를 조절하는 저항(R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서 핀쿠션 보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직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조절 레버를 조작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수직 화면 폭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 포트(12)를 통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된 PWM펄스가 풀업 저항(R2)과 풀 다운 저항(R3)을 통하여 저항(R4)과 콘덴서(C8)에 의해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OP앰프(18)의 일측단자(+)에 인가되면, OP 앰프(18)는 이를 증폭하여 저항(R14)과 저항(R15)에 인가한다.
여기서, 콘덴서(C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출력 포트(12)로부터 출력된 PWM펄스에 포함된 고주파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된 PWM펄스가 정확하게 DC전압으로 변환되어 CRT(3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수직폭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DC전압으로 변환된 PWM펄스가 저항(R14)과 저항(R15)으로 분배되어 인가되면, 수직 화면 폭 조절용 IC(20)는 이를 기초로 화면의 수직폭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출력포트에서는 미도시된 핀쿠션 조절용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된 PWM펄스가 풀업 저항(R18)과 풀다운 저항(R19)을 통하여 저항(R20)과 콘덴서(C9)에 의해 DC 전압으로 변환되어 핀쿠션 조절용 IC(34)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면, 핀쿠션 조절용 IC(34)는 이를 기초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 화면폭을 크게 하기 위하여 조절 레버를 조작하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4)와 증폭부(16)를 통하여 A지점에 인가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출력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B지점에 인가되는 전압도 함께 낮아져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측에 인가되는 낮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3)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저항(R22)과 저항(R23)으로 분압되던 전원(B+)이 저항(R22)과 저항(R24)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PWM펄스와 합성되어 핀쿠션 조절용 IC(34)에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핀구션 조절용 IC(34)에 인가되는 전압이 상승되어 인가되므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전압이 상승되어 화면의 수직 폭을 증가시켜도 화면의 핀이 일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수직 화면폭을 축소하기 위하여 조절 레버를 조작하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4)와 증폭부(16)를 통하여 A지점에 인가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출력전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B지점에 인가되는 전압도 함께 높아져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측에 인가되는 높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3)가 동작하므로 저항(R22)과 저항(R23)으로 분압된 전원(B+)이 저항(R24)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PWM펄스와 합성되어 핀쿠션 조절용 IC(34)에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핀구션 조절용 IC(34)에 인가되는 전압이 하강되어 인가되므로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전압이 하강되어 화면의 수직 폭을 축소시켜도 화면의 핀이 일직선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핀쿠션 보정회로에 핀쿠션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110)에 격자무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턴 발생부(120)와, 상기 패턴 발생부(120)에서 출력되는 패턴 데이터를 처리하여 CRT(110)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130)와, 상기 영상 처리부(130)에서 CRT(110)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수직 라인의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라인의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마이크로 프로세서(도 2의 10)로 제공하는 수직신호 검출부(140)와, 상기 상기 영상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수직신호 검출부(14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신호 변환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에서 핀쿠션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패턴 발생부(120)에서는 CRT(110)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무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패턴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30)에서 처리되어 CRT(110)로 제공되는 동시에 신호 변환부(150)로 제공된다.
상기 수직신호 검출부(140)에서는 특정의 수직 라인을 선택하고, 그 수직 라인의 모든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라인의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모든 픽셀에 패턴 데이터가 존재하면 핀쿠션이 발생되지 않은 것이고, 일부 픽셀에 패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핀쿠션이 발생된 것이다. 또한, 패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픽셀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편향회로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핀쿠션이 발생된 경우 상기 수직신호 검출부(140)는 그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도 2의 10)로 제공함으로써 핀쿠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는 핀쿠션의 발생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시키기 때문에 모니터에서 핀쿠션 보정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기 위한 PWM펄스를 출력하며 모니터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핀쿠션 조정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CRT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핀쿠션을 조절하는 핀쿠션 조절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화면조정장치에 있어서:
    CRT에 격자무늬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패턴 데이터를 출력하는 패턴 발생부와,
    상기 패턴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패턴 데이터를 처리하여 CRT로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CRT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수직 라인의 픽셀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수직 라인의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수직신호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핀쿠션 확인 장치.
KR1019980056641A 1998-12-21 1998-12-21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KR20000040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641A KR20000040898A (ko) 1998-12-21 1998-12-21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641A KR20000040898A (ko) 1998-12-21 1998-12-21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898A true KR20000040898A (ko) 2000-07-05

Family

ID=1956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641A KR20000040898A (ko) 1998-12-21 1998-12-21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08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0998B2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controlled image quality
KR860007817A (ko) 라스터 왜곡 정정형 비데오 표시장치와 전자빔 배치 오차 정정회로
KR20000040898A (ko) 모니터용 핀쿠션 확인 장치
JPH10200912A (ja) 自動集束信号発生回路
KR100397907B1 (ko) 표시 장치
RU2195082C2 (ru) Схема стабилиза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приемника с экраном половинной ширины
JPH11331630A (ja) 画像歪みの補正方法及び装置
KR940009478B1 (ko)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US5319287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KR20040030555A (ko) 수직 수평 진폭 제어 장치
US6555976B2 (en) East-west distortion correction
KR1998002770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EP1565005A1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display
US7187414B2 (en) Circuit for stabilizing high tension voltage of CRT, and method thereof
KR100301520B1 (ko) 피드포워드 고압보정기능을 가진 씨알티의 영상처리장치
KR100206068B1 (ko) 모드별 상하왜곡 화상보정회로
KR950009512Y1 (ko) 영상기기의 트랩 보정회로
KR100536835B1 (ko) 빔 변동에 따른 편향보정회로
KR1002630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KR200143628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100698146B1 (ko) 영상기기의 오토 포커스 보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토 포커스 보정 방법
KR100671203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JPH02231872A (ja) 上下糸巻歪補正回路
JPH0332179B2 (ko)
JPH0795440A (ja) フォーカ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