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647A -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647A
KR20000039647A KR1019980055048A KR19980055048A KR20000039647A KR 20000039647 A KR20000039647 A KR 20000039647A KR 1019980055048 A KR1019980055048 A KR 1019980055048A KR 19980055048 A KR19980055048 A KR 19980055048A KR 20000039647 A KR20000039647 A KR 2000003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requency
selection signal
memory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5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647A/ko
Publication of KR2000003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6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복조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구비한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튜너로 공급되는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와 선택된 밴드에 속한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 및 선택된 밴드에 속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로 공급하는 제어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무선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국 주파수의 밴드를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통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터치의 동작에 의해 소망하는 대역의 방송 주파수를 선택 수신하도록 하는 카 라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예를 들면, 카 라디오 등과 같은 오디오 장치는 다수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 및 AM, FM등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밴드 선택 스위치 및 튜닝되어 선국된 주파수를 메모리하여 원터치로 소망하는 방송국의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 등을 가지고 있다.
현재 대다수의 카오디오 장치들에 적용된 방송 채널 메모리 동작은 카 라디오의 프론트의 에리어 확보 문제로 인하여 주파수 밴드별로 실행되었다. 예를 들면, AM, FM1, FM2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시 메모리 뱅크를 선택하고, 방송 채널을 기억시키기 위한 로케이션 키(혹은 메모리 키라고도 함)의 값을 선택된 뱅크의 어드레스로 하여 선택된 밴드의 방송 채널 주파수를 메모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송 채널 주파수 메모리 방법은 로케이션 키만을 이용하여 다른 주파수 밴드에 위치한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로케이션 키 1에 메모리된 FM1대역의 89.1㎒ 방송 채널을 수신 청취하고 있다가 FM2대역의 107.7㎒의 방송 채널을 수신하면, 단순히 로케이션 키만을 선택하여 소망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 수신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밴드 선택(AM, FM1 및 FM2)을 선택하는 동작에 의해 메모리 뱅크가 선행하여 선택된 후, 로케이션 키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뱅크내에 저장된 방송 채널 선국 데이타가 억세스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밴드에 방송 채널 데이타를 하나의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에 동시에 저장하는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 라디오의 프론트 에리어에 설치된 로케이션 키만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주파수 밴드의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복조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밴드 선택기와, 해당 밴드의 주파수를 업/다운시키는 주파수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업/다운키와, 선택된 밴드의 방송 채널 주파수를 저장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로케이션 키들을 가지는 메모리 키 패드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로케이션 키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저장 영역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밴드 선택키 및 상기 업/다운키의 선택에 따른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로케이션 키의 선택기간에 따라 상기 선택된 밴드 및 채널 선택신호를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거나, 그 영역에 저장된 밴드 선택 및 채널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로 공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제어 방법은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복조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튜너로 공급되는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와 선택된 밴드에 속한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 및 선택된 밴드에 속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 테이블로서, 이는 주파수 밴드와 방송 채널 선택 데이타가 동시에 하나의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튜너(12)는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중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에 의해 소망하는 밴드의 방송 채널 주파수를 선택 복조하여 음성신호를 출력단에 접속된 증폭기(16)로 공급한다. 상기 증폭기(16)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8)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확산시킨다. 이때, 상기 튜너(12)내에는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조주파수를 발진하는 PLL(phase looked loop)를 가지고 있다. 상기 PLL(14)는 상기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한다. 이러한 튜너(12)는 현재 카 오디오 장치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는 카오디오 장치의 프론트 패널상에 위치되는 밴드선택키(20)와 주파수선택키(22)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이들의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부(28)가 상기 밴드선택키(20)와 주파수선택키(22)의 선택 상태를 검색하여 해당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기 위한 밴드선택신호(B)와 방송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신호(F)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로케이션 키패드(24)상의 키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밴드선택정보와 방송 채널 정보를 각각의 키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메모리(26)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시키거나 해당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밴드선택정보와 방송 채널 정보를 메모리(26)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튜너(12)의 PLL(14)으로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밴드 선택키(20)와 주파수 선택키(22)에 의해 소망하는 주파수 밴드내의 방송 채널 주파수를 선택하여 청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로케이션 키(24)내의 1번키가 소정 시간 이상 연속하여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28)는 튜너(12)내의 PLL(14)로 공급하는 밴드선택신호(B)(AM, FM1, FM2)와 주파수 선택신호(F)(방송 채널 주파수)를 상기 로케이션 키 1을 어드레스로 하는 메모리(26)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한다. 만약, 로케이션 키 1의 선택 시간이 소정 시간 이하로 선택된 경우라면, 상기 로케이션 키 1을 어드레스로 하는 메모리(26)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밴드선택신호(B)(AM, FM1, FM2)와 주파수 선택신호(F)(방송 채널 주파수)를 튜너(12)로 공급하여 해당 방송채널의 음성신호가 복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은 후술하는 도 2의 내용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28)내의 롬 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맵 테이블로서, 이는 주파수 밴드와 방송 채널 선택 데이타가 동시에 하나의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26)내의 저장 영역에 저장됨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동작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카 오디오가 동작되면, 제어부(28)는 도 2의 30과정에서 이전에 선택된 밴드선택신호(B)와 주파수선택신호(F)를 튜너(12)내의 PLL(14)로 공급하여 이전에 청취하였던 방송 채널의 신호가 수신 복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8)는 32, 36, 40과정들의 동작에 의해 밴드선택키(20), 주파수 선택키(22) 및 로케이션 키(24)들이 선택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검색과정들에 의해 밴드선택 혹은 채널선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8)는 도 2의 34과정 및 38과정에서 튜너(12)내의 PLL(14)으로 해당 밴드선택신호(B)와 채널선택신호(F)를 공급하여 밴드 및 채널을 변경한다. 그러나, 아무런 키가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8)는 48과정에서 또다른 기능 처리 루틴을 실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현재 상기 제어부(28)의 제어에 의해 특정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가 선택되어 해당 음성신호가 북조 출력되는 상태에서 로케이션 키(24)가 선택되었다고 40과정에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8)는 42과정에서 로케이션 키(24)의 선택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예를 들며, 약 2초 이상 지속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는 로케이션 키(24)내의 키들에 의해 밴드 및 방송 채널을 변경할 것인지 혹은 현재 청취하고 있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 밴드 및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해당 로케이션 키의 영역에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2의 42과정에서 로케이션 키의 선택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8)는 44과정에서 선택밴드 및 선택 방송채널의 주파수를 해당 로케이션 키(24)에 대응하는 메모리(26)의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키(24)내의 1번키가 선택된 경우라고 가정하면, 제어부(28)는 도 3과 같이 상기 로케이션 키 1번에 대응하는 메모리(26)의 어드레스 L1의 영역에 현재 선택된 주파수 밴드 AM과 방송 채널 주파수 635㎑의 정보를 동시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제어 과정에 의해 밴드 선택키(20) 및 주파수선택키(2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을 선택한 후, 로케이션 키(24)에 위치된 키들을 소정시간 이상 선택하므로써 도 3과 같이 주파수 밴드와 방송 채널의 정보가 통합된 정보를 로케이션 키(24)내의 각각의 키에 대응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한 42과정에서 로케이션 키(24)의 선택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면 제어부(28)는 46과정에서 해당 로케이션 키(24)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신호를 메모리(26)로 공급하여 그에 대응한 밴드선택정보와 방송 채널 정보를 억세스하여 튜너(12)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키(24)의 2번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8)는 도 3과 같이 메모리(26)에 저장된 어드레스 L2의 영역에 위치된 밴드선택정보 FM1 및 방송 채널 주파수 89.1㎒를 억세스하여 튜너(12)내의 PLL(14)로 공급하여 밴드 및 방송 채널을 선택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프리세트시킬 때 주파수 밴드와 무관하게 임의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메모리할 수 있어 라디오 채널선택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로케이션 키의 메모리 영역에 주파수 밴드와 무관하게 소망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메모리하므로써 방송 채널의 프리세트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로케이션 키를 이용하여 주파수 밴드 절환 및 소망하는 방송 채널을 한번에 선택할 수 있어 라디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복조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밴드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밴드 선택기와,
    해당 밴드의 주파수를 업/다운시키는 주파수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업/다운 키와, 선택된 밴드의 방송 채널 주파수를 저장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로케이션 키들을 가지는 메모리 키 패드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로케이션 키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의 저장 영역에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밴드 선택키 및 상기 업/다운 키의 선택에 따른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로케이션 키의 선택 기간에 따라 상기 선택된 밴드 및 채널 선택신호를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의 저장 영역에 저장하거나, 그 영역에 저장된 밴드 선택 및 채널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로 공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2. 밴드 선택 신호 및 채널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른 주파수 밴드의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수신 복조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응답하여 상기 튜너로 공급되는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와 선택된 밴드에 속한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로케이션 키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선택되었을 때 상기 로케이션 키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영역에 저장된 주파수 밴드 선택 신호 및 선택된 밴드에 속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 선택 신호를 상기 튜너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980055048A 1998-12-15 1998-12-15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9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048A KR20000039647A (ko) 1998-12-15 1998-12-15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048A KR20000039647A (ko) 1998-12-15 1998-12-15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647A true KR20000039647A (ko) 2000-07-05

Family

ID=1956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048A KR20000039647A (ko) 1998-12-15 1998-12-15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6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828A (en) RDS audio receiver having interrupt mode
US5475874A (en) Method for the tuning of a broadcast radio receiver using RDS information
JPS637688B2 (ko)
JPH10341175A (ja) ラジオ受信機
KR20000039647A (ko) 주파수 밴드 통합 메모리 기능을 갖는 오디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51917B2 (ja) 移動体用受信機
KR960004809B1 (ko) 에프엠/에이엠(fm/am) 수신기의 스테레오방송 자동선국 및 자동기억방법
US20020068538A1 (en) Radio receiver
KR970007477B1 (ko) 방송수신기의 자동 채널 선국 기억 방법
KR20050056569A (ko) 지역별 라디오 방송채널 주파수 자동 전환기능을 가지는차량 오디오 장치 및 방법
JPH0262060B2 (ko)
JPS637491B2 (ko)
KR100751945B1 (ko) 방송 예약 청취 방법 및 장치
JPH08274591A (ja) 地域チャネルに同調可能な車載用ラジオ受信機
JP3794852B2 (ja) 受信装置
JPH0623322U (ja) ラジオ受信機
JPH0631782Y2 (ja) 車載用ラジオ受信機
KR20000067325A (ko) 라디오 방송국명 표시방법
KR19980058118A (ko) 카오디오의 방송채널 자동 저장방법
JPH09162764A (ja) 受信機
JPS62140523A (ja) 無線受信装置
JPH06326560A (ja) ラジオ受信機
JPH0329327B2 (ko)
KR970060196A (ko) 한국형 예약녹화시스템을 이용한 채널 자동선국방법
KR19980058122A (ko) 카오디오의 방송채널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