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666A -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666A
KR20000038666A KR1019980053732A KR19980053732A KR20000038666A KR 20000038666 A KR20000038666 A KR 20000038666A KR 1019980053732 A KR1019980053732 A KR 1019980053732A KR 19980053732 A KR19980053732 A KR 19980053732A KR 20000038666 A KR20000038666 A KR 2000003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message
center server
result
inqui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경희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666A/ko
Publication of KR2000003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를 관리하는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에서, 운용장치들을 중앙집중방식으로 수용하여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및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이력 검색이나 통계 기능을 제공하여, 전송 성능 및 회선 성능에 대한 품질 향상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성능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집중센터의 성능감시수단이 운용국내의 회선분배장치를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관리수단이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이력 통계를 산출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회선분배장치의 성능 관리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본 발명은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DCS : Digital Cross-connect System)를 관리하는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에서, 운용장치들을 중앙집중방식으로 수용하여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및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이력 검색이나 통계 기능을 제공하여, 전송 성능 및 회선 성능에 대한 품질 향상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성능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망의 초고속화 및 광대역화 추세에 따라 DS1급 이상의 회선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국간 공중망에는 국간전송망의 전송 품질 및 운용효율 향상을 위해 전국적으로 약 220여개의 공중용 회선분배장치인 디지털 전송접속 분배장치(DXC13 : Digital access Crossconnet 13) 및 광대역 디지털 전송접속 분배장치(WDCS3000 : Wideband DCS 3000)가 국간전송망에 도입되어 운용중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DXC13 및 WDCS3000을 비롯한 각종 회선분배장치가 향후 전송 네트워크에서 핵심요소 장치의 하나로서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장치로 대두됨에 따라, DXC 장치의 수요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따라서, 국간 전송회선의 상당량이 회선분배장치에 수용되고 있으며, 그 숫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전송회선들에 대한 성능감시 및 품질관리가 전송망 전체의 품질을 좌우하게될 상황에 처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국간전송망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망관리시스템은 DXC13 및 WDCS3000 장치가 국간 전송망에 도입되기 전에 개발완료된 시스템들로서, DXC13 및 WDCS3000에 대한 수용기능 자체가 없어 DXC 13 및 WDCS 3000으로 입력되는 회선들에 대한 성능관리나 품질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DXC13 및 WDCS3000)를 관리하는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에서, 운용장치들을 중앙집중방식으로 수용하여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및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이력 검색이나 통계 기능을 제공하여, 전송 성능 및 회선 성능에 대한 품질 향상과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성능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감시부에서의 성능정보 감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리부에서의 성능정보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센터 20 : 집중센터
30 : 운용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선분배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성능관리 방법에 있어서, 집중센터의 성능감시수단이 운용국내의 상기 회선분배장치를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상기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관리수단이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이력 통계를 산출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에, 집중센터의 성능감시수단이 운용국내의 회선분배장치를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상기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 및 성능관리수단이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이력 통계를 산출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은 국간 전송망에 설치된 운용장치들(DXC13, WDCS)(31,32)을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각 장치들의 성능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수집하고, 전송회선 전체에 대한 성능 품질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역본부별로 계층적 구조로 구축된다.
계층적 구조를 갖는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은 가장 하위단의 운용장치들을 나타내는 실제 다수의 DXC13(31) 및 WDCS(32)을 구비한 운용국(30)과, 패킷망(X.25)을 통해 연동된 다수의 DXC 장치들(31,32)로부터 성능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고 관리하는 중간 단계인 다수의 집중센터(20)와, 다수의 집중센터(20)로부터 원격 근거리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지역본부 전체에 대한 성능이력 정보를 원격질의하고 통계 기능을 제공하는 중앙센터(10)를 포함한다.
운용국(30)내의 각 DCS 장치들(31,32)은 X.25 패킷망에 접속되어 해당 집중센터(20)로 수용되고, 해당 집중센터(20)는 원격 LAN을 통해 중앙센터(10)에 접속된다.
다수의 집중센터(20)는 해당 집중 지역의 DCS 장치들(31,32)을 접속 및 수용하여 각 DCS 장치들(31,32)로부터 성능 정보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고 분석한다. 또한, 분석된 성능 데이터를 집중센터(20)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집중센터(20)별 성능이력 조회 및 통계 기능을 수행한다.
중앙센터(10)는 다수의 집중센터(20)에서 저장 관리되는 성능 데이터베이스를 원격질의하여 지역본부 전체 전송회선에 대한 성능이력 조회 및 통계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DCS 장치들(31,32)에 대한 모든 입출력 메시지는 트랜잭션 언어(TL 1 : Transaction Language 1)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중앙센터(10)는 중앙센터 서버(11), 성능관리부(12)를 구비하고, 집중센터(20)는 집중센터 서버(21), 성능감시부(22), 성능관리부(23) 및 성능 정보를 저장하는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은, 먼저 패킷망에 수용되어 있는 각 DCS 장치(31,32)가 기 설정되어 있는 성능보고 스케줄에 따라 해당 집중센터(20)로 성능을 보고한다(201).
이후, 각 집중센터(20)의 집중센터 서버(21)에서 각 DCS 장치(31,32)로부터 수신된 성능보고 메시지를 수집 분석하여 그 내용을 성능감시부(22)로 전송한다(202). 이때, 성능감시부(22)는 집중센터 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성능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203).
여기서,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는 그 양이 방대하고, 실시간적인 관리나 갱신을 요하는 것이 아니므로 각 집중센터(20)에만 두고 관리하며, 중앙센터(10)는 필요한 경우에 해당 집중센터(20)의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로 원격 질의하여(210) 데이터베이스 운영과 관리의 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성능관리부(23)는 성능감시부(22)가 주기적으로 감시수집한 성능 데이터를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분석 저장한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에 대해 집중센터(20)별로 다양한 조건으로 이력 성능정보를 검색하거나 이력 통계를 산출한다. 또한, 성능관리부(23)는 성능보고 주기를 변경하거나 특정 신호에 대한 성능보고의 가부를 변경하는 등의 운용자 요구를 받아, 해당 DCS 장치(31,32)로 성능관련 조회 메시지나 제어 메시지를 집중센터 서버(21)를 통하여 전송한다(204,207). 이때, 해당 DCS 장치(31,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201) 역시 집중센터 서버(21)를 통하여 성능관리부(23)로 전달된다(208).
한편, 중앙센터(10)의 성능관리부(12)는 각 집중센터(20)가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한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를 원격질의하여(210) 지역본부 전체망의 성능에 대한 이력 조회 및 통계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성능관리부(12)는 집중센터(20)와 마찬가지로 성능관련 조회 메시지나 제어 메시지를 특정 DCS 장치(31,32)로 내릴 수 있는데, 이러한 명령은 중앙센터 서버(11)를 통하여 집중센터 서버(21)로 전달되어(205,206), 해당 DCS 장치(31,32)로 전송된다(207). 이때, 해당 DCS 장치(31,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집중센터 서버(21)로 보고되고(201), 다시 중앙센터 서버(11)로 전달되어(203), 최초에 명령을 내린 중앙센터의 성능관리부(12)까지 전달된다(209).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성능감시부에서의 성능정보 감시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집중센터(20)내의 성능감시부(22)에서의 성능 정보 수집 및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집중센터(20)의 성능감시부(22)는 데몬 프로세서로서, DCS 장치(31,32)에 설정되어 있는 성능보고 스케줄에 따라 DCS 장치(31,32)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감시 수집하여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집중센터(20)의 성능감시부(22)에서의 성능 감시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센터(20)의 성능감시부(22)에서의 성능정보 감시 과정은, 먼저 집중센터(20)의 성능감시부(22)가 집중센터 서버(21)와 접속을 시도하여(301) 집중센터 서버(21)와의 접속에 성공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302).
분석결과, 집중센터 서버(21)와 접속되지 않으면, DCS 장치(31,32)로부터 어떠한 메시지도 받을 수 없으므로 계속 접속을 시도한다(301).
분석결과, 일단 집중센터 서버(21)와의 접속에 성공하면, 집중센터 서버(21)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303) 수신된 메시지를 검사한다(304).
검사결과, 집중센터 서버(21)와의 접속이 해제되어 수신된 메시지가 접속해제 메시지이면 집중센터 서버(21)와 접속을 재시도한다(301).
검사결과, 성능보고 메시지이면 성능 데이터를 분석하여(305) 보고된 성능 데이터의 신호 계위 및 계위별 성능항목에 따라 해당 성능 테이블에 저장한 후에(306), 집중센터 서버(21)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303)로 천이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리부에서의 성능정보 관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중앙센터(10) 및 집중센터(20)내의 성능관리부(12,23)에서 다양한 조건으로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를 질의하여 이력성능 조회 기능 및 통계 기능을 제공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센터(10)내의 성능관리부(12)는 집중센터(20)내의 성능관리부(2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집중센터(20)내의 성능관리부(23)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능관리부(12,23)에서의 성능정보 관리 과정은, 먼저 집중센터(20)내의 성능관리부(23)가 집중센터 서버(21)에 접속(만약, 중앙센터(10)의 성능관리부(12)인 경우에는 중앙센터 서버(11)에 접속)을 시도하여(401), 집중센터 서버(21) 또는 중앙센터 서버(11)와의 접속에 성공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402).
분석결과, 집중센터 서버(21) 또는 중앙센터 서버(11)와 접속되지 않으면, 집중센터 서버(21) 또는 중앙센터 서버(11)와 계속 접속을 시도한다(401). 즉, 접속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 서버(11,21)와 접속을 재시도한다.
분석결과, 일단 집중센터 서버(21) 또는 중앙센터 서버(11)와의 접속이 성공하면, 이벤트 발생을 기다리는데,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한다(403).
판단결과, 운용자의 입력 이벤트이면, 운용자가 선택한 개체를 검사하여(404) 검사결과에 따라 해당 처리과정을 수행한 후에(405 내지 407), 이벤트 발생 상태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한다(403).
검사결과에 따른 해당 처리과정(405 내지 407)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 사항의 변경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변경 메시지이면) 해당 DCS 장치(31,32)로 변경 내용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405).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된 현재 설정 상태나 현재성능값의 조회를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현재상태 조회 메시지이면) 해당 DCS 장치(31,32)로 조회 메시지를 전송한다(406).
검사결과, 이력조회나 통계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이력조회 메시지이면) 선택한 조건에 따라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24)를 조회하거나 가공하여 그 결과를 표시한다(407). 이때, 중앙센터(10)의 성능관리부(12)는 집중센터(20)의 성능 데이터베이스(24)를 원격질의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판단결과, 집중센터 서버(21) 또는 중앙센터(11)로부터의 메시지이면, 서버(21 또는 11)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유형을 분석한다(408).
분석결과, 운용자가 이전에 특정 DCS 장치(31,32)로 내린 제어 명령이나 조회 명령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해당 내역을 표시한 후에(409), 이벤트 발생 상태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한다(403).
분석결과, 서버와의 접속 해제 메시지이면, 서버(21 또는 11)와의 접속을 재시도한다(40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국의 국간 전송망에 설치되어 운용중인 DXC13 및 WDCS3000 장치를 지역본부 단위로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통계 기능을 제공하므로써, 전송 성능 및 회선 성능에 대한 품질 향상을 도모하여 망관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회선분배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성능관리 방법에 있어서,
    집중센터의 성능감시수단이 운용국내의 상기 회선분배장치를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상기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단계; 및
    성능관리수단이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이력 통계를 산출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능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집중센터의 상기 성능감시수단인 성능감시부가 집중센터 서버와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에 성공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회선분배장치로부터 어떠한 메시지도 받을 수 없으므로 상기 제 3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이 성공하면, 상기 집중센터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검사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이 해제되어 수신된 메시지가 접속해제 메시지이면, 상기 제 3 단계로 넘어가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검사결과, 성능보고 메시지이면, 성능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고된 성능 데이터의 신호 계위 및 계위별 성능항목에 따라 해당 성능 테이블에 저장한 후에, 상기 제 5 단계로 넘어가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능관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집중센터내의 상기 성능관리수단인 성능관리부가 상기 집중센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에 성공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제 8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에 성공하면 이벤트 발생 대기상태에서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결과, 운용자의 입력 이벤트이면, 운용자가 선택한 개체를 검사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 사항의 변경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변경 메시지이면)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변경 내용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된 현재 설정 상태나 현재성능값의 조회를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현재상태 조회 메시지이면)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조회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이력조회나 통계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이력조회 메시지이면) 선택한 조건에 따라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거나 가공하여 그 결과를 표시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3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집중센터 서버로부터의 메시지이면, 상기 집중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유형을 분석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제 14 단계의 분석결과, 운용자가 이전에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내린 제어 명령이나 조회 명령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해당 내역을 표시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고,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 해제 메시지이면 상기 제 8 단계로 넘어가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능관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중앙센터내의 상기 성능관리수단인 성능관리부가 중앙센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집중센터 서버와의 접속에 성공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의 분석결과, 상기 중앙센터 서버와 접속되지 않으면 상기 제 8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중앙센터 서버와의 접속에 성공하면 이벤트 발생 대기상태에서 발생된 이벤트의 유형을 판단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결과, 운용자의 입력 이벤트이면, 운용자가 선택한 개체를 검사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 사항의 변경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변경 메시지이면)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변경 내용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성능보고와 관련된 현재 설정 상태나 현재성능값의 조회를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현재상태 조회 메시지이면)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조회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2 단계;
    상기 제 10 단계의 검사결과, 이력조회나 통계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즉, 사용자 이벤트가 이력조회 메시지이면) 선택한 조건에 따라 상기 집중센터의 성능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원격 질의하여 그 결과를 표시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는 제 13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중앙센터 서버로부터의 메시지이면, 상기 중앙센터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유형을 분석하는 제 14 단계; 및
    상기 제 14 단계의 분석결과, 운용자가 이전에 상기 회선분배장치로 내린 제어 명령이나 조회 명령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면 해당 내역을 표시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로 넘어가고, 상기 중앙센터 서버와의 접속 해제 메시지이면 상기 제 8 단계로 넘어가는 제 1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성능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선분배장치는,
    실질적으로, 디지털 전송접속 분배장치(DXC) 및 광대역 디지털 전송접속 분배장치(WD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능관리 방법.
  6. 프로세서를 구비한 회선분배장치 관리시스템에,
    집중센터의 성능감시수단이 운용국내의 회선분배장치를 중앙집중 방식으로 수용하여 상기 회선분배장치가 보고하는 성능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감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기능; 및
    성능관리수단이 신호 계위별, 성능 항목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성능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이력 검색이나 이력 통계를 산출하고, 성능관련 현재 데이터 및 설정을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3732A 1998-12-08 1998-12-08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KR20000038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32A KR20000038666A (ko) 1998-12-08 1998-12-08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32A KR20000038666A (ko) 1998-12-08 1998-12-08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66A true KR20000038666A (ko) 2000-07-05

Family

ID=1956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32A KR20000038666A (ko) 1998-12-08 1998-12-08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66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039A (ko) * 2002-11-20 200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송 장치에서 폴링방식의 성능값 이력 수집방법
KR20040052109A (ko) * 2002-12-13 2004-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dcs 성능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496955B1 (ko) * 2002-11-20 2005-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전송 장치의 비동기 성능값 이력 관리방법
KR100509242B1 (ko) * 2001-10-24 2005-08-23 (주)유윈 메시지 분석을 통해 응용이나 서비스의 성능을 시험하기위한 방법
KR100602628B1 (ko) * 2000-01-19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원격 관리 장치
KR100615591B1 (ko) * 2001-11-08 2006-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선로 다중화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100647124B1 (ko) * 2004-01-13 2006-11-17 (주)콤위버정보통신 브이오아이피 네트워크의 성능분석 시뮬레이터
KR101361201B1 (ko) * 2007-06-29 2014-02-21 주식회사 케이티 Wdcs의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628B1 (ko) * 2000-01-19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원격 관리 장치
KR100509242B1 (ko) * 2001-10-24 2005-08-23 (주)유윈 메시지 분석을 통해 응용이나 서비스의 성능을 시험하기위한 방법
KR100615591B1 (ko) * 2001-11-08 2006-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선로 다중화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20040044039A (ko) * 2002-11-20 2004-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전송 장치에서 폴링방식의 성능값 이력 수집방법
KR100496955B1 (ko) * 2002-11-20 2005-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전송 장치의 비동기 성능값 이력 관리방법
KR20040052109A (ko) * 2002-12-13 2004-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dcs 성능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0647124B1 (ko) * 2004-01-13 2006-11-17 (주)콤위버정보통신 브이오아이피 네트워크의 성능분석 시뮬레이터
KR101361201B1 (ko) * 2007-06-29 2014-02-21 주식회사 케이티 Wdcs의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322B2 (en) Real-time analyst program for processing log files from network elements
US5745693A (en) System for gathering and reporting real time data from an IDNX communications network
KR100357636B1 (ko) 망 관리장치에서 경보정보 관리방법
CN101091354A (zh) 基于二进制分类的分析及监视
US5483590A (en) Processing of operational data in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00038666A (ko)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CN101917288A (zh) 告警处理方法及网管系统
JP3598394B2 (ja) サービス管理方法及び装置
CN109450103A (zh) 压板的状态检测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940010846B1 (ko) 공통선 신호망의 집중관리방법
KR91000062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JP3533911B2 (ja) 統合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20020023481A (ko) 고속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장치 및 방법
JP2002108659A (ja) データアクセス履歴収集方法及び履歴収集装置
KR100868195B1 (ko)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그장치
KR100606001B1 (ko) 이벤트 데이터 베이스를 통한 네트워크 관리방법
KR101254780B1 (ko) 전송망의 성능 정보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성능 정보 수집 방법
JPH05300254A (ja) カスタマアクセス情報収集方式
CN113852199B (zh) 一种多维度的配电自动化巡检系统
KR19990079110A (ko) 회선분배 장치 관리시스템에서의 고장관리 방법
KR101104563B1 (ko) 시스로그 정보를 활용한 에스오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9200033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KR20040022908A (ko) 광전송망 장애 발생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3268B1 (ko) 교환기 경보 분석장치 및 방법
KR100250990B1 (ko) 시티폰 운용관리시스템(coms)의 서비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