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26B1 -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26B1
KR910000626B1 KR1019870013898A KR870013898A KR910000626B1 KR 910000626 B1 KR910000626 B1 KR 910000626B1 KR 1019870013898 A KR1019870013898 A KR 1019870013898A KR 870013898 A KR870013898 A KR 870013898A KR 910000626 B1 KR910000626 B1 KR 91000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essage
exchange
command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318A (ko
Inventor
양재우
궁상환
박준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통신공사, 이우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7001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626B1/ko
Publication of KR89001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상세 블럭도.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집중보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지역내의 전자 교환기를 운영보전 센타의 전산기에 집중 수용하고 모든 수용된 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보전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주용 경보의 감시, 발생 고장에 관련된 세부 메시지 검색 및 분석기능의 제공, 각종 통계표의 작성등 원격 수용 교환기의 고장발생 조치 및 보전실적 분석에 관련된 운용보전 업무를 지원하는 전전자 교환기 집중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산망 운용보전 방식중 교환기 집중보전 방식은 전전자식 교환기의 개발과 아울러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동시에 개발된 전자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과금과 통화량, 보전 메시지중 교화기 운용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보전 메시지를 중심으로 처리하는 운용보전 기술로써 교환기는 자체내에서 감지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경보를 교환기에 연결된 사용자 터미널에 계속적으로 출력하는데 이 출력은 교환기별로 각각 수행되어 여러대의 교환기를 동시에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교환기의 효율적인 운용보전용을 실현하기 어렵고 출력되는 메시지 역시 터미널이나 프린터로만 출력되고 디스크나 테이프등의 보조기억 장치에는 저장되지 않아 과거 발생 메지시의 조회나 교환기 보전 실적의 분석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인바 교환기 각각에 대한 개별보전의 개념에서 여러 교환기를 총괄하여 감시하고 보전하기 위한 집중보전의 개념으로 전환하여 일정지역내의 교환기를 운용보전 센타의 전산기에 집중수용하고 모든 수용된 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보전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주요 경보의 감시와 발생고장에 관련된 세부 메시지 검색 및 분석기능의 제공, 각종 통계표의 작성등 원격수용 교환기의 고장발생 조치 및 보전실적에 관련된 운용보전 업무를 지원하고 전자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과금과 통화량, 보전 메시지중 교환기 유지보수에 필요한 보전 메시지를 중심으로 처리하는 교환기의 운용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전자 교환기 집중보전 장치는 본 발명인 제1도의 개략적인 구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역별 운용보전 센타(100)내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인접지역의 전화국(10), (11), (12)에 설치된 모든 교환기는 여기에 집중 수용되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교환기의 메시지를 데이타 베이스(20)에 저장하며 메시지의 수집도중에 발견되는 중요한 경보나 감시 대상의 메시지들은 그래픽 모니터(30)나 작업석에 즉시 표시되고 저장된 메시지 데이타 베이스는 세부적인 검색이나 분석통계 작성등에 활용되며, 저장후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메시지 이력부(40)에 이력으로 보존되며 운용자는 고장분석도중 필요한 경우 교환기를 직접제어하기 위해 교환기 명령을 송출할 수도 있으며 보수조치가 필요한 때에는 보전 요원에게 의뢰하여 해당국의 교환기를 수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식을 이용하여 활용될 전산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기본적인 하드웨어 제원은 전산기의 중앙연산 처리장치(200)와 로솔(210), 수용교환기의 메시지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용량의 디스크(220), 일정기간 후의 메시지 보존이나 소프트웨어 보관에 활용될 테이프(230), 여러 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중요한 경보를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해 활용될 그래픽 모니터장치(240) 이외에 운용자의 작업석으로 활용될 터미널(250)∼(252)이 교환기 2∼3대당 1대 정도가 필요하며 수용환기 각각의 연결을 위한 모뎀(260)∼(271)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제3도는 상세한 블럭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살펴보면 크게 네가지로 분류되는데 교환기의 메시지 수집 저장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환경 조성에 필수적 기능들인 명령처리, 시스템 기동, 시스템 정지, 메시지 수집, 메시지 저장, 상태감시, 경보기능, 교환기 명령, 명령전파, 실시간 표시 및 테이블관리의 기본기능 모듈(311∼321)과, 메시지의 다양한 분석과 본존등의 일반기능 모듈(330)과, 데이타 베이스를 집적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타 베이스 관리기능 모듈(335) 및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 사용자 메시지 화일(342), 상태감시화일(343), 교환기 테이블(344), 작업석 테이블(345), 프로세스 테이블(346), 실시간 메시지 표시테이블(347),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 교환기 명령전파 테이블(349), 경보테이블(350)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타 베이스(340)의 구성이다.
상기 각 구성중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데이타 베이스(340)의 종류를 살펴보면, 교환기(300∼300b)에서 입력된 메시지의 편집 저장되어 있는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 일정기간 후의 메시지가 테이프등에 보존되었다가 재활용을 위하여 데이타 베이스에 수록된 사용가 메시지 화일(342), 주요 경보의 이력을 저장하는 상태감시 화일(343), 수용된 교환기의 정보를 수록하는 교환기 테이블(344), 각 운용자가 사용하는 작업석의 정보를 갖는 작업석 테이블(345), 실시간 동작기능들의 동작 중 프로세스 번호를 보관하여 상호 기능들간 필요한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 테이블(346), 입력되는 메시지의 표기시 선택적 표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시간 메시지 표시 테이블(347), 운영자가 감시하기를 원하는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 여러 교환기에 동시에 교환기 명령을 전달하는데 활용되는 교환기 명령 전파 테이블(349), 현재 발생중인 중요 경보의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 테이블(3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기본기능 모듈(311∼321)은 일단 시스템이 기동되면 시스템 정지가 요구될 때까지 계속해서 동작하는 실시간 구동과 수시로 요구시간만 동작되는 수시구동의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 동작되며, 시스템 기동모듈(312)은 최초 메시지 수집, 저장, 감시와 같은 실시간 구동들을 동작시키고 이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은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교환기 테이블(344)에 정의된 교환기 서비스 상태를 참고로 하여 각 교환기(300~300b)별로 메시지 수집모듈(314)과 상태감시모듈(316)을 동작시키고 메시지 수집모듈(314)은 각각 메시지 저장모듈(315)을 동작시킨다.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은 상기 메시지 수집모듈(314)과 상태감시모듈(316)이 동작된 후에도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계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시스템 운용중 비정상적인 원인에 의해 감시 대상의 모뎀이 동작을 중지하면 이를 자동 검출하여 다시 복귀시키며, 이외에 외부의 다른 모듈에서의 요청에 따라 동작하는 시스템 정지모듈(313)의 요구에 의해 상기 실시간 구동의 동작을 중지시켜 종료시키거나 교환기 테이블(344)의 서비스 상태 변경에 대해 처리 의뢰를 받는 경우 지정교환기와 관련된 실시간 구동들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재개시키며 상기 동작중인 모듈간 신호의 송수신은 동작중인 모듈 각각에 대해 부여되는 프로세스 번호를 활용하여 가능하게 되므로 시스템 기동모듈(312)은 자체의 프로세스 번호와 자신이 동작시킨 프로세스 번호를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프로세스 테이블(346)에 등록하여 계속 관리하고, 시스템 정지모듈(313)는 상기 시스템 기능 모듈(312)에 의해 동작중인 실시간 구동들을 모두 종료시키기 위해 동작되며 종료를 위한 처리는 단순히 상기 메시지 수집모듈(314)에게 종료요청 신호만을 전달하고 실제 종료는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메시지 수집모듈(314)과 메시지 저장모듈(315)은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교환기(300∼300b)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의 각 교환기별로 지정된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에 저장하므로 다른 구동들이 메시지를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로부터 억세스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써 상기 메시지 수집모듈(314)은 메시지를 교환기(300∼300b)로부터 읽어 일시 버퍼용 화일(도면에 도시않음)에 저장하면 상기 메시지 저장모듈(315)은 상기 버퍼용 화일로부터 데이타를 읽어 메시지 단위로 편집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에 저장하고, 계속적으로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에 저장되는 교환기의 메시지는 입력되는대로 상기 교환기 상태감시모듈(316)에 의해 읽혀져 메시지를 통한 감시가 수행되는데 이때 교환기(300~300b)의 주요 부위에 비정상 상태가 발견되면 그래픽 모니터(240)의 구동과 경보 화일의 관리를 담당하는 경보기능 모듈(317)이 동작되어 상기 그래픽 모니터(240)의 경보 내용이 출력되고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경보 테이블(350)에 상기 경보내용이 등록됨과 동시에 상기 상태감시화일(343)에도 경보의 이력으로 수록되어 교환기의 주요부위 상태변화 이력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운용자가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에 지정한 패턴을 갖는 메시지가 동일 교환기(300∼300b)로부터 지정된 시간 내에 반복적으로 임계치 이상 발생되면 중복발생 메시지의 내용을 지정된 작업석으로 벨(bell)음과 함께 내보내 메시지 다중 발생 사실을 알린다.
운용자가 작업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그인(LOG IN)과정을 거쳐 합법적인 운용자임을 확인된 뒤에야 비로소 제공되는 명령어를 입력시킬 수 있는데 상기 로그인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해당 작업석에는 명령처리모듈(311)이 할당되어 운용자의 입력 명령어를 분석하고 이 명령어에 해당되는 모듈을 동작시켜 주며, 입력명령의 이력관리등을 담당하게 되고 특히 상기 명령처리모듈(311)에 의해 제공되는 작업석의 모드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연결된 교환기(300∼300b)의 출력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는 메시지 감시모드와, 둘째 운용자가 직접 교환기에 명령을 송출하거나 대화를 실시하는 교환기 명령모드, 세째 각종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입력모드들이 있다.
교환기 명령모듈(318)은 운용자가 원격의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송출할 수 있도록 운용자 작업석과 관련 교환기와의 구동 경로를 형성하여 마치 교환기에 직접 접속된 로컬 작업석에서 운용자가 교환기와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것과 같이 대화를 진행시키며 운용자가 여러 교환기에 대해 동일한 명령을 자동적으로 수행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교환기에 전달할 명령과 대상 교환기의 명칭등을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교환기 명령 전파테이블(349)에 등록하고 테이블의 앤드리바와 함께 상기 명령전파모듈(319)을 호출하면 동시에 여러 교환기에 명령을 줄 수 있고, 실시간 표시모듈(320)는 가장 단순한 메시지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실시간 저장되는 감시대상 교환기의 메시지를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로부터 읽어 연결된 작업석으로의 출력을 담당하며 이 출력되는 메시지를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는 관련 내용을 미리 실시간 메시지 표시 테이블(347)에 등록하여야 하며 한 작업석에서 동시에 여러 교환기의 감시도 가능하며 각종 구동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테이블의 정보를 활용하고 있으며 운용자는 필요한 경우 테이블을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테이블 관리모듈(321)은 공용 데이타인 이들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변경이나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에 각 테이블의 변경이나 표기 및 인쇄 양식을 사전에 설계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쉽게 자료를 변경시키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교환기의 서비스 상태 변경에 대해서는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21)에게 통보하며 메시지 수집모듈(314) 및 메시지 저장모듈(315), 상태감시모듈(316)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일반기능 모듈(330)은 기본기능에서 누적된 데이타 베이스(340)중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을 활용하여 분석 및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구동들을 포함하여 분석결과는 작업석이나 프린터 또는 화일로 출력하며 보존은 카트리지 테이프나 플로피 디스켓에 저장되고, 상기 일반기능 모듈(330)에 포함된 메시지 분석기능을 요약 설명하면, 첫째; 메시지 추출은 교환기가 출력한 데이타중 주어진 시간대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이며, 둘째; 메시지 계수는 사용자가 지정한 패턴에 따라 메시지내 세부 정보를 추출하고 그 발생횟수를 계산 도표화 하여 출력하는 것이며, 셋째; 메시지 요약은 하루동안 출력된 데이타의 시간별 발생분포를 메시지 번호별로 요약표시하는 것이며, 넷째; 메시지 기록은 주어진 시간대 내에서 교환기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그대로 프린트하는 것이며, 다섯째; 메시지 검색은 운용자가 작업석에서 다양하게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으로 줄단위나 화면단위의 검색 및 연속적인 전후 메시지의 검색과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메시지나 또는 특정 시간대의 메시지로 이동하는 기능등을 수행하고 특히 이러한 분석기능들은 현재 메시지가 저장되고 있는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의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 외에도 일단 테이프등에 보존되었다가 다시 데이타 베이스로 복원된 사용자 메시지 화일(342)에 대해서도 동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 검색은 교환기 경보의 이력을 보관하는 상태 감시화일(343)도 검색할 수가 있으며, 여섯째;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내에 입력된 교환기 메시지는 일단 데이타 베이스(340)에 저장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테이프 등에 보존 되었다가 필요한 시기에 다시 복원되어 활용되는데 메시지 보존은 하루동안의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을 카트리지 테이프나 플로피 디스크에 보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일곱째; 메시지 복원은 보존된 메시지의 화일 명칭을 열거하거나 그 내용을 데이타 베이스중 사용자 메시지 화일(342)이나 기타 임의의 화일에 저장하며 또는 그 내용을 작업석 화면에 출력해 볼 수 있다.
또 한편, 데이타 베이스 관리기능 모듈(335)은 크게 각종 모듈과 결합되어 데이타의 억세스를 지원하는 공용의 보조구동과 명령어로 구분되는데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을 다루는 명령어의 대부분이 상기 보조 구동과 결합하여 동작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타 베이스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데이타 베이스의 유형은 주로 소규모의 데이타를 저장하고 디스크의 할당이 입력되는 데이타의 양에 따라 증가되는 형태인 테이블 형과, 데이타의 최초 생성시 최대의 디스크 범위를 할당하고 소규모의 시간 발생별 데이타를 범위내에서 순환하면서 저장하는 구조인 순환 구조형 및 상기 순환구조와 동일한 개념이나 대량의 데이타를 고려하여 입력 레코드의 시간 부분을 인덱스 키로 하여 데이타와 함께 키도 동시에 보존하는 형태인 인덱스를 갖는 순환 구조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데이타 베이스 관리기능 모듈(335)중 보조 구동의 역할은 레코드의 추가 변경 삭제와, 데이타 베이스(340)로부터 레코드의 억세스 및 키지정이나, 레코드 번호의 지정에 의한 억세스와 기타 화일단위의 잠금기능(LOCK)이나 풀림기능(UNLOCK)을 지원한다.
상기 데이타 베이스 관리기능 모듈(335)중 명령어를 요약설명하면, 첫째; 데이타 베이스의 생성은 새로운 데이타 베이스(340) 화일을 주어진 명칭과 요구 레코드 수만큼 만드는 명령이며 이때 데이타 베이스(340)의 제원은 미리 지정된 화일에 정의되어야 하고, 둘째; 데이타 베이스의 제거는 데이타 베이스 화일의 위치를 지정된 화일에서 찾아 기종의 화일을 제거하는 명령이고, 셋째; 데이타 베이스 보존은 데이타 베이스(340) 내의 자료를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화일 양식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명령으로 기간별 보존도 가능하고 테이프의 보조 기억장치에 수록되기 직전의 데이타로서 이때는 상기 운영체제의 편집 명령에 의한 자료 편집도 가능한 상태가 되며, 넷째; 데이타 베이스 복원은 앞의 보존의 경우와는 반대도 운영체제 화일에서 데이타를 읽어 다시 데이타 베이스 양식의 데이타로 복원시키는 명령이며 이때 데이타 베이스(340)의 유형이 인덱스를 갖는 순환구조형인 경우는 키 인덱스도 자동적으로 데이타 베이스에 포함하여 만들어 주며, 다섯째; 데이타 베이스 조회는 데이타 베이스(340)의 관련정보나 데이타 베이스 수록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이다.
이외에도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의 컴화일 및 설치, 원시 프로그램의 인쇄, 프로그램 명칭 및 크기등 관련정보의 발췌, 초기 데이타 베이스(340)의 생성등 시스템의 설치 및 프로그램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보전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의 로그인 과정이후 각 작업석에는 명령처리모듈(311)이 기동되어 운용자의 모든 입력 명령의 처리를 담당하게 되는데 운용자는 먼저 준비단계로서 테이블 관리모듈(321)로의 명령을 통해 여러 기능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각종 테이블 정보를 입력하며, 여기에서 감시대상 교환기의 정보를 수록하는 교환기 테이블(344)과 운용자의 작업석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석 테이블(345), 실시간 메시지 표시테이블(347),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 교환기 명령 전파 테이블(349), 경보 테이블(350)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환경조성이 완료된 후 운용자는 최초 명령으로 시스템 기동모듈(321)에게 명령하면 교환기 테이블(341)에 등록된 대로 각 교환기별 메시지 수집모듈(314) 및 메시지 저장모듈(315)이 자동적으로 동작하면서 이와 동시에 교환기 상태감시모듈(316)도 동작하며 이때부터 교환기로부터 메시지의 수집과 저장 및 감시가 수행되는데 이들의 프로세스 번호는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이 생성한 프로세스 테이블(346)에 저장되어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활용되며 운용자가 시스템 정지모듈(313)을 구동할 때 까지 상기 메시지의 수집과 저장 및 감시가 계속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교환기에 수집되는 메시지는 교환기별로 할당된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에 저장되며, 상태감시모듈(316)은 상기 메시지 화일(341)로부터 메시지를 읽어들여 다중 발생 메시지는 상기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에 저장된 테이블에 출력하면서 중요 경보는 경보기능(317)을 동작시켜 그래픽 모니터에 표시하며, 발생된 경보내용을 상기 경보 테이블(350)에 현재 발생중인 경보로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상태 감시화일(343)에도 경보발생의 이력으로 저장하며 특히 입력되는 모든 메시지는 실시간 표시모듈(320)에 의하여 실시간 메시지 표시 테이블(347)에 지정된 작업석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발생되는 모든 메시지를 감시할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메시지 수집과 저장 및 감시 외에도 운용자는 교환기 명령모듈(318)을 이용하여 특정 교환기에 명령을 송출하거나 여러 교환기를 동시에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교환기 명령전파 테이블(349)에 관련 내용을 등록하여 여러 교환기에 동시에 명령을 송출한다.
또 운용자는 그래픽 모니터나 작업석에 출력되는 감시정보를 계속적으로 주시해야 하며 중요 경보등을 발견하면 상기 일반기능 모듈(330)의 메시지 검색이나 추출 계수요약 기록기능들을 활용하여 좀더 세밀한 고장분석을 수행하고 필요시 보수 요원을 현장에 출동시켜 조치하며 또한 매일 매일의 고장발생을 파악하기 위해 이 기능들을 이용하고 통계자료를 출력하고 차후의 메시지 통계나 과거 자료의 활용을 위해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의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을 메시지 보존 및 복원 기능들을 이용하여 일일단위로 테이프 등에 보관한다.
특히 이러한 모든 기능들을 데이타 베이스(340)로부터 필요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데이타 베이스 관리기능 모듈(335)을 이용하여 데이타 베이스의 생성과 삭제 보존 복원 표기 및 각종 억세스 방법들을 편리하게 활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산된 다수의 교환기를 수용하여 동시에 감시함으로 중요경보의 발생에 대한 신속한 발견과 즉각적인 보수조치가 가능하며 교환기에서 발생된 메시지가 항상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되거나 테이프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고장처리를 위한 메시지의 면밀한 분석이 가능하고 교환기 보전 실적의 판단을 위한 자료 제공이 가능하며 일정 지역별로 집중보전 센타가 설치운용됨으로써 개별 보전으로는 불가능한 보전 인력의 풀(POOL)제 운영이 가능하고 보전기술의 전문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최대 교환기 수용 능력의 범위내에서 교환기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고 메시지 저장능력의 범위도 제한없이 운용자가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으며 보전작업의 전산화를 기대할 수 있고 전산기 기종의 제약을 가능한한 피하기 위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운용체제로 개발하였으므로 수용하고자 하는 교환기의 수에 따라 적정용량의 컴퓨터를 선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석으로 활용되는 터미널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운용자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공용 데이타의 변경들을 위해서는 메뉴제공이나 도움말 표시 기능들을 도입하여 운용요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출력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감시모드, 교환기에 명령을 송출하거나 대화를 실시하는 교환기 명령모드 및 각종 명령어를 처리하는 명령어 입력모드를 수행하는 명령처리모듈(311)과, 최초 메시지 수집, 저장 및 감시와 같은 실시간 구동들을 동작시키고 이들의 정상적인 동작을 감시하는 시스템 기동모듈(312)과, 다른 모듈들로 부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에 실시간 구동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요구하는 시스템 정지모듈(313)과,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의 제어를 받으며 각각의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입력받는 메시지 수집모듈(314)과, 상기 메시지 수집모듈(314)의 제어를 받으면서 입력되는 메시지를 교환기 데이타 베이스(340)의 메시지 화일(341)에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모듈(315)과,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312)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데이타 베이스(340)에 저장되는 교환기의 메시지를 읽으면서 감시를 수행하는 상태감시모듈(316)과, 상기 상태감시모듈(316)에서의 메시지 감시중 비정상 상태가 전달되면 경보 화일의 관리하는 경보기능 모듈(317)과, 상기 명령처리모듈(311)의 제어를 받으며 운용자의 명령을 송출하도록 작업석과 관련 교환기와의 구동경로를 형성하는 교환기 명령모듈(318)과, 상기 교환기 명령모듈(318)의 제어를 받으며 동시에 여러 교환기에 명령을 전달하는 명령전파모듈(319)과 상기 명령처리모듈(311)의 제어를 받으며 실시간 저장되는 감시대상 교환기의 메시지를 읽어 작업석으로의 출력을 담당하는 실시간 표시모듈(320)과, 상기 명령처리모듈(311)의 제어를 받으며 테이블을 변경할 때 테이블의 변경이나 표기 및 인쇄 양식을 설계하면서 상기 시스템 기동모듈로 통보하는 테이블 관리모듈(321)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 집중보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베이스(340)는 교환기에서 입력된 메시지가 편집 저장되어 있는 교환기 메시지 화일(341)과, 일정기간 이후의 메시지가 테이프 등에 보존되었다가 재활용을 위해 데이타 베이스에 수록된 사용자 메시지 화일(342)과, 중요경보의 이력을 저장하는 상태감시화일(343)과, 수용된 교환기의 정보를 수록하는 교환기 테이블(344)과, 각 운용자가 사용하는 작업석의 정보를 갖는 작업석 테이블(345)과, 실시간 동작기능들의 동작중 프로세스 번호를 보관하여 상호 기능들간 필요한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 테이블(346)과, 입력되는 메시지의 표기시 메시지의 선택적 표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시간 메시지 표시테이블(347)과, 운용자가 감시하기를 원하는 중복발생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록하는 중복 메시지 감시 테이블(348)과, 여러 교환기에 동시에 교환기 명령을 정하는데 활용되는 교환기 명령전파 테이블(349)과, 현재 발생중인 중요 경보의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 테이블(350)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 집중보전 장치.
KR1019870013898A 1987-12-05 1987-12-05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KR91000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898A KR910000626B1 (ko) 1987-12-05 1987-12-05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898A KR910000626B1 (ko) 1987-12-05 1987-12-05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18A KR890011318A (ko) 1989-08-14
KR910000626B1 true KR910000626B1 (ko) 1991-01-28

Family

ID=1926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898A KR910000626B1 (ko) 1987-12-05 1987-12-05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456B1 (ko) * 1996-12-31 1999-12-01 윤종용 교환기 운용보전시스템에서 경보처리방법
KR20010019092A (ko) * 1999-08-25 2001-03-15 이계철 교환시스템에서의 교환기 집중 운용 관리 방법
KR100307321B1 (ko) * 1999-08-25 2001-11-01 이계철 교환기 데이터 분석 및 전산화 방법
KR100602628B1 (ko) * 2000-01-19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원격 관리 장치
KR20020050574A (ko) * 2000-12-21 200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망 운영 통계결과 편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18A (ko) 198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5102B (zh) 电力信息通信融合监控与服务标准化管理平台系统及方法
CA2338006C (en) Remote monitoring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01345663Y (zh) 一种继电保护运行管理信息系统
CN101714780A (zh) 一种继电保护运行管理信息系统
CN108170801A (zh) 一种太阳能电池生产设备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CN112508486A (zh) 一种电力系统企业二次备品备件库存管理系统
CN110456750A (zh) 信息采集设备、锻造模具生产信息采集系统及其工作方法
JPH07212325A (ja) 集中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表示方式
KR91000062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집중보전 장치
CN114090380A (zh) 一种终端监控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911829A (zh) 一种配电房运维管理方法及系统
CN111652500A (zh) 基于调度自动化值班辅助系统、设备及其报告生成方法
CN116246765A (zh) 一种医疗设备全生命周期智能维保管理方法及系统
KR20000038666A (ko) 국간전송망의 회선분배장치에 대한 성능관리 방법
JP2001339335A (ja) ネットワーク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装置故障確率管理方法
KR97000313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그래픽 출력기능을 위한 통계 데이타 운용방법
KR100307321B1 (ko) 교환기 데이터 분석 및 전산화 방법
KR20010019092A (ko) 교환시스템에서의 교환기 집중 운용 관리 방법
CN111078509A (zh) 一种电网综合管理系统
CN111082532B (zh) 一种安全控制管理系统
KR9200033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유지보수 방법 및 장치
KR100250989B1 (ko) 시티폰 운용관리시스템(coms)의 망성능관리정보 수집장치
JP3195014B2 (ja) 非稼働データ収集装置及びその方法
KR19980067466A (ko) Atm 교환기에 있어서 경보 통계 데이터 관리시스템
KR20000041885A (ko) 교환 시스템의 통계 데이터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