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601A - 형광표시관 - Google Patents

형광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601A
KR20000038601A KR1019980053656A KR19980053656A KR20000038601A KR 20000038601 A KR20000038601 A KR 20000038601A KR 1019980053656 A KR1019980053656 A KR 1019980053656A KR 19980053656 A KR19980053656 A KR 19980053656A KR 20000038601 A KR20000038601 A KR 2000003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anode
substrate
fluorescent display
displ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현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5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601A/ko
Priority to US09/454,652 priority patent/US6452329B1/en
Priority to JP34842599A priority patent/JP4499859B2/ja
Publication of KR2000003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15Cathodes heated directly by an electric current
    • H01J1/18Supports; Vibration-dam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23Flat display tubes
    • H01J31/125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 H01J31/126Flat display tubes provided with control means permitting the electron beam to reach selected parts of the screen, e.g. digital selection using line sourc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필라멘트의 구동전압을 저감할 수 있으며 표시영역을 증대시키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상부기판과, 상부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배면기판과,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서리에 설치되는 사이드글래스와,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고 형광체가 도포되는 애노드와, 애노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그리드와, 그리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라멘트와, 배면기판에 설치되고 애노드와 그리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선과, 리드선과 수직한 방향의 배면기판 양옆 모서리에 설치되고 필라멘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형광표시관을 제공한다.
필라멘트는 지지체에 리드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애노드는 리드선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수직한 모서리의 사이드글래스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하며, 지지체는 그리드가 배면기판에 고정되는 그리드고정부 위쪽에 설치한다.

Description

형광표시관
본 발명은 형광표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드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지지체를 설치하여 표시영역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필라멘트의 구동전압을 저감시킨 형광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표시관(VFD)은 애노드상의 형광체에 전자를 충돌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 표시소자로서, 다색표시가 가능하고,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여 반도체부품의 적용이 쉬우며, 고신뢰성을 갖고 있으므로 여러분야에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한 형광표시관은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기판(2)과 배면기판(4)으로 진공용기를 형성하고, 이 진공용기 내에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인 필라멘트(6)와 열전자를 가속 확산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그리드(7) 및 표시하기 위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애노드(8)를 설치한다.
상기한 애노드(8)는 표시하기 위한 패턴으로 형성된 흑연 등의 도체 위에 형광체를 도포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형광체가 도포되어 패턴이 형성되는 부분이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표시영역(D)이라 한다.
상기한 그리드(7)는 스테인레스 등의 박판을 에칭한 금속 메시(mesh)로 이루어지고, 양끝부분을 계단형상으로 굽혀서 배면기판(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애노드(8)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또 상기한 형광표시관에는 그리드(7) 및 애노드(8)에 각각 전원(전압 및 전류)을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리드선(9)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표시영역인 애노드(8)의 패턴은 상기한 그리드(7)가 배면기판(4)에 고정되는 그리드고정부와 리드선(9)의 고정부만큼 배면기판(4)의 모서리 끝으로부터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형광표시관은 필라멘트(6)에서 방출된 열전자가 그리드(7)에 의하여 가속 확산되어 애노드(8)에 도포된 형광체에 충돌하여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것에 의하여 발광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나 화상을 구현한다.
종래의 형광표시관은 상기한 리드선(9)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체(10)에 필라멘트(6)가 리드선(9)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필라멘트(6)를 지지체(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므로 용접점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필라멘트(6)의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용접점에서 일정한 거리는 필라멘트(6)에서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충분한 온도에 이르지 못하므로 화면을 형성시키지 못하는 데, 이 구역을 냉각구역(C)이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지지체(10)를 리드선(9)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면기판(4)의 양옆에 설치하므로, 지지체(10)로부터 소정의 면적이 냉각구역(C)으로 형성되고 그만큼 표시영역(D)의 크기가 한정된다.
그리고 지지체(10)가 설치되지 않은 배면기판(4)의 양쪽 모서리에는 그리드(7)가 고정되고 한쪽 모서리에는 리드선(9)이 고정되므로 리드선(9)과 그리드(7)가 고정되는 부분은 애노드(8)의 패턴을 형성할 수 없고 그만큼 표시영역(D)의 크기가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의 형광표시관은 전면기판(2) 및 배면기판(4)의 크기에 비하여 표시영역(D)의 크기가 다른 표시장치(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등)보다 작다.
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형광표시관은 대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필라멘트(6)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필라멘트(6)에 인가하는 전압의 전압강하가 발생하여 좌우의 휘도차가 발생하며, 직류구동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대형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는 필라멘트(6)를 교류전압을 이용하여 구동하거나 직류의 구동전압을 높여야 하므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형광표시관의 길이에 제약조건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체를 리드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고 필라멘트를 리드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체에 설치하여 냉각구역이 그리드고정부 및 그리드로부터 패턴까지의 거리에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표시영역을 증대시킨 형광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직류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필라멘트의 구동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형광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형광표시관은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기판과, 상기한 전면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배면기판과, 상기한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서리에 설치되는 사이드글래스와, 상기한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고 형광체가 도포되는 애노드와, 상기한 애노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그리드와, 상기한 그리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라멘트와, 상기한 배면기판에 설치되고 상기한 애노드와 그리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선과, 상기한 리드선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한 배면기판 양옆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라멘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필라멘트는 상기한 지지체에 상기한 리드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에서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애노드는 상기한 리드선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수직한 모서리의 사이드글래스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한다.
또 상기한 지지체는 상기한 그리드가 배면기판에 고정되는 그리드고정부 위쪽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형광표시관은 냉각구역이 그리드고정부 및 그리드고정부로부터 애노드의 패턴까지의 거리에 형성되고 리드선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반대쪽 모서리에 지지체를 설치하므로 지지체가 설치되지 않는 양 모서리쪽은 표시영역을 사이드글래스에 인접한 부분까지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종래 형광표시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종래 형광표시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F-F 단면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일실시예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기판(20)과, 상기한 전면기판(2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배면기판(22)과, 상기한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2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서리에 설치되는 사이드글래스(24)와, 상기한 배면기판(22)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고 형광체가 도포되는 애노드(30)와, 상기한 애노드(30)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그리드(40)와, 상기한 그리드(40)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라멘트(50)와, 상기한 배면기판(22)에 설치되고 상기한 애노드(30)와 그리드(40)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선(70)과, 상기한 리드선(70)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한 배면기판(22) 양옆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라멘트(50)를 지지하는 지지체(6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22)이 네모서리에 설치되는 사이드글래스(24)를 사이에 두고 밀봉되는 것에 의하여 진공용기가 형성된다.
상기한 필라멘트(50)는 상기한 지지체(60)에 상기한 리드선(70)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된다.
상기에서 배면기판(22)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애노드(30)는 상기한 리드선(70)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수직한 모서리의 사이드글래스(24)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한다.
또 상기한 지지체(60)는 상기한 그리드(40)가 배면기판(22)에 고정되는 그리드고정부(44) 위쪽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지지체(60)와 그리드(40)는 서로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지체(60)는 바닥판(62)과, 상기한 바닥판(62)에 설치되고 필라멘트(50)가 하나씩 용접되는 용접부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6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지부재(64)는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설치되는 필라멘트(50)의 수에 대응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일부를 자른 다음 소정의 형상과 높이로 굽혀서 용접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일실시예는 냉각구역(C)이 그리드고정부(44) 및 그리드고정부(44)로부터 애노드(30)의 패턴까지의 거리에 형성되고, 리드선(70)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반대쪽 모서리에 지지체(60)를 설치하므로 지지체(60)가 설치되지 않는 양 모서리쪽은 표시영역(D)을 사이드글래스(24)에 인접한 부분까지 확대할 수 있고, 리드선(70)에 평행한 양쪽 모서리의 미사용구역(E)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그리드고정부(44)가 형성되므로 애노드(30)의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구역에 냉각구역(C)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2에서 보아서 표시영역(D)의 세로쪽 크기는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표시영역(D)의 가로쪽 크기는 최대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다른 실시예는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라멘트(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60)를 리드선(70)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즉 지지체(60)의 양쪽 끝부분은 계단형상으로 굽혀서 배면기판(22)에 고정하고, 리드선(70)이 위치하는 부분은 리드선(70)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영역(D)의 세로쪽 크기를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표시영역(D)의 크기가 더욱 증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형광표시관에 의하면, 냉각구역이 그리드고정부로부터 애노드 패턴까지의 공간에 형성되므로 표시영역의 형성(애노드의 패턴 형성)을 최대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판의 크기에 비하여 표시영역의 크기가 크게 증대된다.
또 대형으로 형광표시관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필라멘트를 폭방향으로 설치하므로 길이에 대한 제약이 없다.
즉 길이가 긴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도 필라멘트의 길이는 길어지지 않으므로 필라멘트에서의 전압강하에 의한 좌우의 휘도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형 형광표시관에 있어서도 필라멘트의 길이를 짧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동전압이 저감되고, 직류구동이 가능하며, 구동회로의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된다.

Claims (5)

  1.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기판과, 상기한 전면기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배면기판과, 상기한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모서리에 설치되는 사이드글래스와, 상기한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고 형광체가 도포되는 애노드와, 상기한 애노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그리드와, 상기한 그리드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라멘트와, 상기한 배면기판에 설치되고 상기한 애노드와 그리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선과, 상기한 리드선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한 배면기판 양옆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라멘트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형광표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라멘트는 상기한 지지체에 상기한 리드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상기한 배면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애노드는 상기한 리드선이 설치되는 모서리와 수직한 모서리의 사이드글래스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설치하는 형광표시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체는 상기한 그리드가 배면기판에 고정되는 그리드고정부 위쪽에 설치하는 형광표시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체는 리드선의 위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형광표시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체는 양쪽 끝부분을 계단형상으로 굽혀서 배면기판에 고정하고, 리드선이 위치하는 부분은 리드선 위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형광표시관.
KR1019980053656A 1998-12-08 1998-12-08 형광표시관 KR20000038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656A KR20000038601A (ko) 1998-12-08 1998-12-08 형광표시관
US09/454,652 US6452329B1 (en) 1998-12-08 1999-12-06 Vacuum fluorescent display for minimizing non-use area
JP34842599A JP4499859B2 (ja) 1998-12-08 1999-12-08 蛍光表示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656A KR20000038601A (ko) 1998-12-08 1998-12-08 형광표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01A true KR20000038601A (ko) 2000-07-05

Family

ID=1956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656A KR20000038601A (ko) 1998-12-08 1998-12-08 형광표시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52329B1 (ko)
JP (1) JP4499859B2 (ko)
KR (1) KR200000386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3197B2 (ja) 2015-01-20 2018-09-19 ノリタケ伊勢電子株式会社 真空管
US11881373B2 (en) 2022-01-11 2024-01-23 Thomas Koschmieder Triode with wirebonded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178A (en) * 1972-06-14 1974-03-26 Rca Corp Multi-indicia display device
JPS5527418B2 (ko) * 1974-01-25 1980-07-21
US4004186A (en) * 1975-12-01 1977-01-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ing a grid plate coplanar with the anode
JPS5272158A (en) * 1975-12-12 1977-06-16 Seiko Epson Corp Hot-cathode fluorescent multi-digit display
JPH01155649U (ko) * 1988-04-19 1989-10-25
KR0148123B1 (ko) * 1990-10-24 1998-11-02 김정배 필라멘트 설치 방법 및 그 장치
JP2833562B2 (ja) * 1996-01-18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蛍光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9859B2 (ja) 2010-07-07
US6452329B1 (en) 2002-09-17
JP2000173515A (ja) 200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7765A2 (en) Apparatus for coupling a module circuit board and a frame together, and backlight using same
KR10123258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EP0333079B1 (en) Light source display tube
KR20000038601A (ko) 형광표시관
CN1965387A (zh) 平面荧光灯
KR100327073B1 (ko) 형광표시관
KR20030095624A (ko) 금속 메쉬 일체형 스페이서 구조체 및 이 구조체를 갖는평판 표시 소자
US6943487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having complex-type filament supports
JP3108136B2 (ja) 平面型蛍光ランプ
US5801487A (en) Fluorescent display panel with photo-shield plate for decreasing light reflected on frit
KR100315228B1 (ko) 형광표시관
JP4662358B2 (ja) 外部電極放電ランプ
KR100502903B1 (ko) 형광표시관
KR200183610Y1 (ko) 형광표시장치
KR100717777B1 (ko) 형광표시관
KR100521779B1 (ko) 전면발광형 형광표시관
KR100334014B1 (ko) 전면발광형형광표시관
KR100521778B1 (ko) 전면발광형 형광표시관
KR100805146B1 (ko) 고휘도 구현이 가능한 형광표시관
KR100284749B1 (ko) 광기록소자
KR100315229B1 (ko) 형광표시관
KR100318379B1 (ko) 형광표시관
KR100277645B1 (ko) 형광표시관
KR100362537B1 (ko) 형광표시관
KR20000002666A (ko) 스페이서 가이드가 구비된 전계방출표시소자 및 스페이서 실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