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557A -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557A
KR20000038557A KR1019980053596A KR19980053596A KR20000038557A KR 20000038557 A KR20000038557 A KR 20000038557A KR 1019980053596 A KR1019980053596 A KR 1019980053596A KR 19980053596 A KR19980053596 A KR 19980053596A KR 20000038557 A KR20000038557 A KR 2000003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ir
suction grill
air purifi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3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공기정화기에서는 도어 스위치 1개를 이용하여 모든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도어 스위치가 고장일 경우 집진기가 계속 가동되어 고전압이 발생되므로 청소도중 사용자에게 쇼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흡입공기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필터와, 공기속의 미세한 먼지를 부착시키는 집진기와, 송풍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어 고압발생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AC스위치와, 역시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DC스위치와, 상기 DC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됨으로써,
흡입그릴을 열 때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2중으로 차단함으로써 어느 일측의 스위치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고압발생부 작동으로 인한 쇼크 및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 및 악취를 제거하여 실내로 토출함으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감소시키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정화기의 흡입그릴에 설치되어 흡입그릴을 탈거할 때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잇도록 한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그릴부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공기정화기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1)과, 상기 흡입그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항균필터(12)와,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주는 금속필터(13)와, 정전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먼지 입자를 부착시키는 집진기(14)와, 흡입공기속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15)와, 실내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는 공기 오염센서(16)와, 공기정화기의 전면 상측에 설치되어 빨아들인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그릴(17)과, 공기정화기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전면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본체 제어부(18)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8)에는 집진기(14)의 청소를 경고하기 위한 청소등(19)이 구비되어 있고, 흡입그릴(11)을 탈거할 때 공기정화기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수리중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20)가 본체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흡입그릴을 통해 유입될 공기를 정화시키고 냉각하여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그릴(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항균필터(12)와 금속필터(13)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제거되고, 공기속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는 집진기(14)에 부착된다. 탈취필터(15)는 공기속의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먼지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상측의 토출그릴(17)을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만약, 상기 항균필터(12) 및 금속필터(13)가 막힐 경우에는 흡입팬의 부하가 커지고 공기의 흡입력이 약해지므로, 필터 청소를 자주 실시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집진기(14)에 미세한 먼지가 너무 많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집진기(14)도 청소해야 하는데, 집진기(14)의 청소시기는 제어부(18)의 청소등(19)의 점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사용자가 필터(12)(13) 및 집진기(14)의 청소를 위해 흡입그릴(11)을 탈거하면 도어 스위치(20)가 공기정화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공기정화기의 내부 부품을 만지는 동안 감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도어 스위치 1개를 이용하여 모든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도어 스위치가 고장일 경우 집진기가 계속 가동되어 고전압이 발생되므로 청소도중 사용자에게 쇼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발생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2중으로 구성하여, 집진기 청소 등 흡입 그릴을 열 때 안전성을 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그릴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부분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전기회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AC스위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DC스위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케이스 51 : 흡입그릴
52 : 필터 53 : 집진기
54 : 토출그릴 55 : AC스위치
56 : DC스위치 55',56' : 캠
57 : 제어부 58 : 오염감지센서
59 : 리셋스위치 60 : 마이컴
70 : 집진기 케이스 71 : 메인 PCB
71a : DC부 71b : AC부
72 : 고압발생부 73 : PCB 커버
74 : 집진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흡입공기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필터와, 공기속의 미세한 먼지를 부착시키는 집진기와, 송풍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어 고압발생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AC스위치와, 역시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DC스위치와, 상기 DC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가 설치된 공기정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51)과, 흡입공기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필터(52)와, 공기속의 미세한 먼지를 부착시키는 집진기(53)와,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54)과, 상기 케이스(50)에 설치되고 흡입그릴(51)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어 고압발생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AC스위치(55)와, 역시 케이스(50)에 설치되고 흡입그릴(51)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DC스위치(56)와, 상기 DC스위치(56)의 상태에 따라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송풍기(미 도시) 및 제어부(57)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58은 오염감지센서, 59는 리셋스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공기정화기에서 고압이 발생되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집진기 케이스(70)에 메인 PCB(71)가 설치되고, AC스위치(56)는 메인 PCB(71)의 AC부(71b)에서 전달되는 전원이 고압발생부(72)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고, DC스위치(56)는 메인 PCB(71)의 DC부(71a)에 전원을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여 마이컴이 고압발생부(7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미설명부호 73은 PCB 커버이며, 74는 집진기(53)의 집진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기회로도로서, AC스위치(55), DC스위치(56), 마이컴(60) 및 고압발생부(72)가 각각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AC스위치(55)와 DC스위치(56)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AC스위치(55)는 흡입그릴(51)이 닫힐 때 캠(55')의 동작에 따라 접점이 온 상태가 되도록 하고, DC스위치(56)는 흡입그릴(51)이 닫힐 경우에는 캠(56')이 접점을 오프시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전원차단장치는 흡입그릴을 열 때 고압발생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2중으로 차단하여 감전 위험성을 최소화하게 된다.
공기정화기를 작동시키면 송풍기의 동작에 따라 실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필터(52)를 통과하면서 큰 먼지가 제거되고 미세한 먼지는 집진기(53)에 의해 제거된 후 상측의 토출그릴(54)을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공기정화기가 작동되는 시간은 카운트되는데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집진기(53)를 청소하도록 제어부(57)의 청소램프를 점등하게 되고, 흡입그릴(51)을 열어 집진기(53)를 청소한 후 리셋스위치(59)를 누르면 카운트한 시간이 초기화된다.
흡입그릴(51)을 열면 AC스위치(55)가 오프 상태가 되어 메인 PCB(71)의 AC부(71b)에서 고압발생부(72)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DC스위치(56)가 온되어 메인 PCB(71)의 DC부(71a)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마이컴(60)으로 이상 신호를 송신되게 한다. 따라서, 마이컴(60)은 고압발생부(72)의 작동을 차단하여 고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흡입그릴(51)을 닫았을 경우에는 AC스위치(55)가 온 상태가 되므로 고압발생부(72)로 전원이 인가되고, DC스위치(56)는 오프 상태가 되므로 마이컴(60)에 이상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어 고압발생부(72)가 정상 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정화기내의 각 장치들은 정상적인 작동을 하여 공기정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는 흡입그릴을 열 때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2중으로 차단함으로써 어느 일측의 스위치에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고압발생부 작동으로 인한 쇼크 및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케이스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흡입공기의 먼지를 걸러주는 복수개의 필터와, 공기속의 미세한 먼지를 부착시키는 집진기와, 송풍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어 고압발생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AC스위치와, 역시 케이스에 설치되고 흡입그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DC스위치와, 상기 DC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고압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스위치와 DC스위치는 서로 반대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스위치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PCB를 통해 마이컴에 이상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 장치.
KR1019980053596A 1998-12-08 1998-12-08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000038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596A KR20000038557A (ko) 1998-12-08 1998-12-08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596A KR20000038557A (ko) 1998-12-08 1998-12-08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557A true KR20000038557A (ko) 2000-07-05

Family

ID=1956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596A KR20000038557A (ko) 1998-12-08 1998-12-08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5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85A (ko) * 2002-04-1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723139B1 (ko) * 2016-04-25 2017-04-05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KR102413150B1 (ko) 2020-12-30 2022-06-24 울산과학기술원 공기청정기
KR102414699B1 (ko) 2020-12-30 2022-06-29 울산과학기술원 복합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85A (ko) * 2002-04-1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1723139B1 (ko) * 2016-04-25 2017-04-05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KR102413150B1 (ko) 2020-12-30 2022-06-24 울산과학기술원 공기청정기
KR102414699B1 (ko) 2020-12-30 2022-06-29 울산과학기술원 복합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7512C (en) Electrical power disable in an air cleaner
KR19990084486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시기 판단방법
KR20060010231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 살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268201B (zh) 空气净化器
KR20000038557A (ko)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JP2004093019A (ja) 空気清浄機
KR200331095Y1 (ko) 스탠드램프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장치
JP2004033648A (ja) 空気清浄機
JPH11156237A (ja) 空気清浄機
KR200324134Y1 (ko) 스탠드램프 공기정화 음이온 발생장치
JP2003065593A (ja) 空気調和機
JP3749118B2 (ja) 空気清浄装置
KR100383745B1 (ko)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85936B1 (ko) 올인원 전자동 조리실 후드용 배출가스 정화장치
KR200364179Y1 (ko) 공기청정기
KR200260062Y1 (ko) 흡입식 지폐 계수기용 집진기
JPH119930A (ja) 空気清浄機
KR0130810Y1 (ko) 공기청정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33054B1 (ko) 가스센서를 갖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730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를 가지는공기청정기
KR100529781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JPH10180138A (ja) イオン吸着式空気清浄機
KR20040087389A (ko) 공기 정화장치
KR970000651Y1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KR200280641Y1 (ko) 퍼스널 컴퓨터용 고압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