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139B1 -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139B1
KR101723139B1 KR1020160050049A KR20160050049A KR101723139B1 KR 101723139 B1 KR101723139 B1 KR 101723139B1 KR 1020160050049 A KR1020160050049 A KR 1020160050049A KR 20160050049 A KR20160050049 A KR 20160050049A KR 101723139 B1 KR101723139 B1 KR 10172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dy case
main body
ceil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호
최유혁
민광기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엠앤에프
Priority to KR102016005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로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에는 송풍망이 설치되며 내측상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외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도어패널과, 상기 개방부를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져, 공기정화장치를 천장에 매립하거나 거치가 가능하고, 필터부와 송풍팬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 Ceiling-mounted air purifier }
본 발명은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정화장치를 천장에 매립하거나 거치가 가능하고, 필터부와 송풍팬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매립 또는 천장에 거치가 가능한 천장형 공기정화장치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등으로 되어있으며 이들의 프론트커버는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체결장치와, 프론트커버의 리브 및 돌기에 의한 체결장치, 또는 나사에 의한 체결장치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프론트커버가 완전 탈착형으로 되어있다.
우선,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체결장치는 본체 또는 프론트커버에 자석을 장착하고, 상기 자석이 장착된 프론트커버나 본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과 자력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금속부품을 장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체결장치는 자력에 의해 프론트커버와 본체가 체결되기 때문에 충격이나 강제로 힘을 가하여 프론트 커버를 개방하게 되면 쉽게 본체로부터 프론트커버가 개방이 된다. 즉, 자석에 의한 체결력이 프론트커버를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출물에 상기 자석 및 금속부품을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20-2006-008136 “프론트커버 개폐장치”에는 프론트커버의 리브 또는 돌기에 의한 체결장치는 프론트커버에 돌기 또는 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리브 또는 돌기와 대응되는 본체의 일부에 상기 리브 또는 돌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홈과 같은 형상을 형성하여 프론트커버가 본체에 체결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리브 또는 돌기에 의한 체결장치는 강한 힘으로 가하여 프론트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쉽게 이탈이 되고, 빈번한 개폐동작에 의하여 리브 또는 돌기가 손상될 경우, 프론트커버 전체 또는 후크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나사에 의한 체결장치는 본체와 프론트커버를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한 장치로서, 프론트커버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 프론트커버를 본체에 체결되도록 결합된 나사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천장 매립형의 경우 필터유닛을 교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점검구를 천장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유닛 교체 시 자동으로 안전을 위하여 전원을 차단해야 하나 그렇지 못 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유닛 교체 시 자동으로 안전을 위하여 전원을 차단해야 하나 그렇지 못 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넓은 공간에 설치 시 천장 매립형 일체형공기청정기(제연기) 한 대로 내부를 청정화 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체감지 또는 유해가스 감지 기능 등이 없어서 공기정화장치가 항상 동작하고 있어야 하는 비효율,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기정화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정화장치를 천장에 매립하거나 거치가 가능하고, 필터부와 송풍팬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 및 유해가스감지센서와 무선송출부가 마련되어 오염도 및 오염저감현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이 가능하여 정보화가 가능하게 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로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에는 송풍망이 설치되며 내측상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외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도어패널과, 상기 개방부를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측면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유입구가 형성된 기밀도어와, 상기 기밀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로 이루어진 정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기밀도어가 회동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기밀도어가 회동시 그 신호를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된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양측면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에는 유입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유입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면에 일단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유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관에는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는 상기 유입관에 끼움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는 환형의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롤러들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환형의 탄성관과, 상기 탄성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들과,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의 우측패널에는 보수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밀도어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부를 개방하며 회동시 상기 보수도어가 하향으로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를 교체하도록 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 내측면에는 탄성지지패널이 더 마련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를 고정시켜 상기 보수도어를 개방시 자중에 의해 상기 필터케이스에서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촉매장치, 감지센서 및 유해가스감지센서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유해가스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처리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사용자정보와 유해가스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송출부가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저장장치로 사용자정보 및 유해가스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정화장치를 천장에 매립하거나 거치가 가능하고, 필터부와 송풍팬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배관이 필요없으므로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 및 유해가스감지센서와 무선송출부가 마련되어 오염도 및 오염저감현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전달이 가능하여 정보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기정화장치라 명명함)은 건축물의 실내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공기정화장치(10)는 본체케이스(20)와 도어패널(30)과 정화필터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케이스(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중공된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부(21)가 마련되며, 상부에 송풍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22)에는 송풍망(23)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며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측상부에 송풍팬(24)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24)은 후술될 제어부(2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본체케이스(20)는 외면에는 브라켓이 형성되어, 상기 천장을 천공한 후 천공된 구멍에 상기 본체케이스(20)를 끼운 후 상기 브라켓으로 구멍에 설치되는 지지바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도어패널(30)은 천공된 구멍을 폐쇄하며 상기 본체케이스(20)에 설치된다.
상기한 본체케이스(20)는 찬장을 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천장에 프레임들을 설치한 후 그 프레임에 상기 브라켓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패널(30)은 상기 개방부(21)를 외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외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20)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흡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패널(30)의 일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20)에 힌지결합되며, 자유단인 타측은 상기 본체케이스(20)와 탈착되게 원터치 빠찌링으로 상호 체결되며, 장금장치, 잠금쇠, 문걸이, 걸림쇠 및 후크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화필터부(40)는 상기 개방부(21)를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정화필터부(40)는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측면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유입구(411)가 형성된 기밀도어(41)와, 상기 기밀도어(41)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유입구(411)를 통해 공기를 전달받도록 하부에 상기 유입구(411)와 연통되게 관통공(421)이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22)가 상부에 형성된 필터케이스(42)와, 상기 필터케이스(4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밀도어(41)의 일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케이스(42)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며, 자유단인 타측은 상기 필터케이스(42)와 탈착되게 원터치 빠찌링으로 상호 체결되며, 장금장치, 잠금쇠, 문걸이, 걸림쇠 및 후크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화부(43)는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로 이루어지며,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케이스(4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를 교체시 기밀도어(41)를 회동시킨 상태에서 기밀도어(41)에서 상기 필터케이스(42)를 분리한 후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정화필터(433)를 교체하거나, 필터케이스(42)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필터케이스(42)의 배면패널이나 좌측패널 및 우측패 널중 어느 하나에는 도어를 설치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케이스(20)에는 상기 기밀도어(41)가 회동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차단감지센서(25)가 더 설치되어, 상기 기밀도어(41)가 회동시 그 신호를 상기 송풍팬(24)을 제어하는 제어부(26)에 전달하여 상기 송풍팬(24)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케이스(20)에는 양측면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에는 유입장치(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유입장치(50)는 상기 본체케이스(20)의 양측면에 일단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유입관(51)과, 상기 유입관(51)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유입팬(52)으로 이루어져, 격벽이 설치된 다른 방의 천장에 상기 유입관(51)의 끝단부가 배치하여 공기를 흡입되도록 함으로서, 방마다 공기정화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은 상기 도어패널(30)과 상기 기밀도어(4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유입관(5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부(40)를 통해 정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입관(51)에는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는 상기 유입관(51)에 끼움되고 내부에 작동공간(611)을 갖는 환형의 본체케이스(20)와,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롤러(62)들과, 상기 본체케이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진동이 직접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환형의 탄성관(63)과, 상기 탄성관(63)의 내부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는 바이브레이터(64)들로 이루어져, 유입관(51)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이물질을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의 진동에 의해 탈거시킨 후 정화시킬 수 있게 되고, 롤러(62)에 의해 유입관(51)을 따라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가 마찰을 줄이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에는 상기 롤러(6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26)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65)가 더 설치되어,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가 상기 유입관(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62)에는 가압돌기를 갖는 환형의 탄성팬드가 상기 롤러(62)를 감싸면서 더 끼움되어, 상기 탄성밴드 및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유입관(51)을 가압한 상태로 배치되어, 이동시 유입관(51)에서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이동관에 래크를 형성시키고 상기 롤러(62)의 외면에 기어부를 형성시켜 상기 래크에 치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구동모터(6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래크를 따라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6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케이스(42)의 우측패널에는 보수도어(423)가 설치되어 상기한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정화필터(433)를 하게 된다.
상기 보수도어(423)를 상기 필커케이스의 우측패널에 설치함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기밀도어(41)가 회동하여 개방시 상기 보수도어(423)가 하향으로 바라보도록 배치되고, 보수도어(423)가 힌지에 의해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보수도어(423)를 개방하여 내부의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정화필터(43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42)의 양 내측면에는 탄성지지패널(424)이 더 접착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를 상기 탄성지지패널(424)이 가압하여 고정시켜 상기 보수도어(423)를 개방시 자중에 의해 상기 필터케이스(42)에서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한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는 상기 탄성지지패널(424)들 사이에 억지끼움되게 상기 필터케이스(42)에 삽입되어 탄성지지패널(424)의 탄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탄성지지패널에는 일면에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를 가압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압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에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상기 보수도어와 연결되게 개폐실린더를 더 설치하여, 상기 개폐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보수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보수도어를 힌지회동되지 않고, 우측패널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면패널에 슬릿을 형성한 후 상기 슬릿에 도어(70)가 관통되게 끼움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함으로서, 기밀도어가 개방시 슬릿을 통해 도어를 인출하되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중 하나만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인출하여 순차적으로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를 빼내도록 함으로서, 자중에 의해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가 한번에 분리되어 낙하하는 문제점이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도어(70)도 실린더에 의해 상기 슬릿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7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수도어가 회동시 및 상기 도어가 승강되며 이동시 정화필터(431), 전기집진기(432) 및 탈취필터(433)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의 안내롤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10 : 공기정화장치 20 : 본체케이스
30 : 도어패널 40 : 필터부
50 : 유입장치 60 :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
70 : 도어
21 : 개방부 22 : 송풍구
23 : 송풍망 24 : 송풍팬
25 : 차단감지센서 26 : 제어부
27 : 촉매장치 28 : 인체감지센서
29 : 유해가스감지센서 C : 중앙처리장치
S : 무선송출부
31 : 흡입구
41 : 기밀도어 411 : 유입구
42 : 필터케이스 421 : 관통공
422 : 배출구 423 : 보수도어
424 : 탄성지지패널
43 : 정화부 431 : 정화필터
432 : 전기집진기 433 : 탈취필터
51 : 유입관 52 : 유입팬
61 : 몸체케이스 611 : 작동공간
62 : 롤러 63 : 탄성관
64 : 바이브레이터 65 : 구동모터

Claims (8)

  1.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로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에는 송풍망이 설치되며 내측상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개방부를 외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도어패널;
    상기 개방부를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측면에 힌지회동되게 설치되고 유입구가 형성된 기밀도어와, 상기 기밀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관통공이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케이스의 우측패널에는 보수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기밀도어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부를 개방하며 회동시 상기 보수도어가 하향으로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필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를 교체하도록 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 내측면에는 탄성지지패널이 더 마련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를 고정시켜 상기 보수도어를 개방시 자중에 의해 상기 필터케이스에서 필터, 전기집진기 및 탈취필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상기 기밀도어가 회동시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상기 기밀도어가 회동시 그 신호를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된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는 양측면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에는 유입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유입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양측면에 일단이 연통되게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유입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동바이브레이터장치는 상기 유입관에 끼움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는 환형의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주연을 따라 마련되는 롤러들과,
    상기 몸체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환형의 탄성관과,
    상기 탄성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들과,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0050049A 2016-04-25 2016-04-25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KR10172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49A KR101723139B1 (ko) 2016-04-25 2016-04-25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49A KR101723139B1 (ko) 2016-04-25 2016-04-25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139B1 true KR101723139B1 (ko) 2017-04-05

Family

ID=5858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49A KR101723139B1 (ko) 2016-04-25 2016-04-25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204A (ko) * 2020-12-11 2022-06-20 황민욱 듀얼타입 워크스루 검체 채취 장치
US20220258089A1 (en) * 2021-02-12 2022-08-18 Darryl Cerro Activated Charcoal Air Ventilation System Filter
US11988406B2 (en) 2020-09-18 2024-05-21 Carrier Corporation Return air grille air purifi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0400A1 (de) * 1979-12-07 1981-06-17 den Dekker, Dirk Jan Marinus Luftreiniger
KR20000038557A (ko) * 1998-12-08 2000-07-05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0343302Y1 (ko) * 2003-11-25 2004-02-27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 롤 필터 장치
KR2004005615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90104369A (ko) * 2008-03-31 2009-10-06 대 규 이 탈취처리기의 이젝터 배출장치
KR100922254B1 (ko) * 2009-05-18 2009-10-15 문강인 천장 매립형 광촉매 공기청정기
KR101247855B1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0400A1 (de) * 1979-12-07 1981-06-17 den Dekker, Dirk Jan Marinus Luftreiniger
KR20000038557A (ko) * 1998-12-08 2000-07-05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040056151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343302Y1 (ko) * 2003-11-25 2004-02-27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자동 롤 필터 장치
KR20090104369A (ko) * 2008-03-31 2009-10-06 대 규 이 탈취처리기의 이젝터 배출장치
KR100922254B1 (ko) * 2009-05-18 2009-10-15 문강인 천장 매립형 광촉매 공기청정기
KR101247855B1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8406B2 (en) 2020-09-18 2024-05-21 Carrier Corporation Return air grille air purifier
KR20220083204A (ko) * 2020-12-11 2022-06-20 황민욱 듀얼타입 워크스루 검체 채취 장치
KR102464658B1 (ko) * 2020-12-11 2022-11-07 황민욱 듀얼타입 워크스루 검체 채취 장치
US20220258089A1 (en) * 2021-02-12 2022-08-18 Darryl Cerro Activated Charcoal Air Ventilation System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39B1 (ko) 천장설치용 공기정화장치
CN101687125B (zh) 天花板空气净化设备
KR101509060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정화기
KR101411587B1 (ko) 필터 자동 교체 장치 및 그 방법
JP2004340507A (ja) 天井埋め込み型空気調和機
KR200487718Y1 (ko) 방충창용 환풍장치
KR101351455B1 (ko) 에어커튼의 결합구조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WO2006137650A1 (en) Indoor float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convection flow
KR10202288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CN208884657U (zh) 一种酒店卫生间通风除味装置
CN110290736B (zh) 过滤系统和包含过滤系统的真空吸尘器
KR102039278B1 (ko) 환풍기 역류 방지장치
CN204987299U (zh) 能装配在集成设备带中的空气净化装置以及集成设备带
KR100921536B1 (ko)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도어
CN208382420U (zh) 安装在回风口和中央空调末端风机盘管之间的空气净化装置
CN209900882U (zh) 一种门窗用空气净化装置
KR101915396B1 (ko) 화장실용 환기장치
CN206656467U (zh) 一种建筑工地施工人员宿舍板房的通风装置
KR20040056194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이동형 집진장치
KR100745582B1 (ko) 공기조화기
KR101664813B1 (ko) 빌트인 공기청정기
CN110882581A (zh) 一种滤筒清洗装置
JP2007183079A (ja) 空気調節装置並びにその排気管の開閉弁取付方法
CN219253615U (zh) 一种循环通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