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317A -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317A
KR20000038317A KR1019980053272A KR19980053272A KR20000038317A KR 20000038317 A KR20000038317 A KR 20000038317A KR 1019980053272 A KR1019980053272 A KR 1019980053272A KR 19980053272 A KR19980053272 A KR 19980053272A KR 20000038317 A KR20000038317 A KR 20000038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racket
airbag cover
horn switch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253B1 (ko
Inventor
현일암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 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8005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2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60R21/21658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with integrated switches, e.g. hor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에 박막형 혼 스위치를 장착하는 경우에 아웃커버의 내측에 배치하던 기존의 인너커버를 삭제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 혼 스위치 장착구조는 다수의 고정핀에 의해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앰블런을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에어백 커버의 가압에 의해 와이어를 연결시켜 혼을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커버에 박막형 혼 스위치를 장착하는 경우에 아웃커버의 내측에 배치하던 기존의 인너커버를 삭제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충돌사고시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던 중에 정면 또는 측면 충돌하게 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에어쿠션이 팽창되면서 탑승자가 차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 인명 피해를 최소화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백의 구성을 보인 반단면도이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전자제어유닛(ECU)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발생기(10)와, 하부에는 가스발생기(10)가 고정되고 상부에는 아웃커버(2)가 장착되는 하우징(12)과, 가스발생기(10)에서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하우징(12)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는 에어쿠션(8)과, 아웃커버(2)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에어쿠션(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 박막형 혼 스위치(membrane type horn switch)(6)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인너커버(4)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대형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운전석 에어백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에어백 커버에는 제조회사의 마크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의 엠블런을 부착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엠블런에 있어서,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켜야 하여야 하며, 더욱 중요한 것은 에어백 폭발시에 에어백 커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점과, 내부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어야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한 엠블런 장착 에어백 커버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는 한편, 종래의 혼 스위치에서는 박막형 혼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해 인너커버를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박막형 스위치를 에어백 커버 자체에 부착하여 혼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인너커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혼 스위치를 장착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성을 단축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혼 스위치의 장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에어백 커버 21:브라켓
24:고정핀 30, 30':와이어
40:커버시트 42, 42':전도성 탭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고정핀에 의해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앰블런을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에어백 커버의 가압에 의해 와이어를 연결시켜 혼을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엠블런 장착형 에어백 커버에 혼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안으로 앰블런을 에어백 커버에 부착시키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2개의 와이어를 연결시킴으로써 혼을 작동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또한, 제 1내지 제 3실시예를 통하여 혼을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블런 장착형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도성 재질로 형성된 브라켓(21)이 부착되며, 이 브라켓(21)에 의해서 운전자를 향하는 에어백 커버(20)의 표면상에 앰블런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브라켓(21)에는 다수의 고정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22)에는 다수의 고정핀(24)이 끼워지게 된다. 혼에 접속되어 있는 와이어(30, 3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브라켓(21)상에는 다수의 전도성 탭(42, 42a, 42', 42a')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시트(40)가 부착된다.
도 3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시트(40)에 부착된 전도성 탭(42, 42a, 42', 42a')은 와이어(30, 30')에 순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라켓(21)의 중앙 수직 연결부(26')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도성 탭(42a, 42a')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대되어 최외측의 전도성 탭(42, 42a)의 길이가 최대한 크게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탄성변형이 큰 중앙을 누르거나 탄성변형이 작은 외측부분을 누르더라도 와이어(30, 30')와의 접촉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수단의 구성을 위해서 2개의 접촉단자를 이용하였다. 이 스위칭 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양단이 브라켓(121)의 수직 연결부(125, 125')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부도체(129, 1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130, 1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는 고정단자(128, 128')와, 양단이 브라켓(121)의 수평 연결부(126, 126'), (126', 126")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스프링(144, 144'), (142", 124'")을 개재하여 접점판(140, 140')이 연결된 가동단자(142, 1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고정단자(128, 128')의 양단은 핀(132)에 의해서 부도성 브라켓(121)의 수직 연결부(125, 125')에 고정되며 재질은 전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단자(142, 142')의 양단은 핀(134, 136)에 의해 부동성 브라켓(121)의 수평 연결부(126, 126'), (126', 126")에 고정되며 부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커버(120)의 가압에 의해 가동단자(142, 142')가 눌리게 되면, 가동단자(142, 142')에 부착된 접점판(140, 140')이 부도체(129)양 옆쪽의 고정단자(128, 128')와 접촉되면서 통전되어 혼을 작동시키게 된다.
다음에,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혼 스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수단을 고정단자와 가동단자로 구성하되, 가동단자에는 반원형의 탄성 확장판을 부착하였다.
이 스위칭 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브라켓(221)의 수직 연결부(225, 225')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부도체(2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230, 2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는 고정단자(228, 228')와, 양단이 핀(234, 238)에 의해 브라켓(221)의 수평 연결부(226, 226")에 고정되고 중앙은 핀(236)에 의해 중앙의 수평 연결부(226')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단자(228, 228')와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확장판(240, 240')가 설치된 가동단자(24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탄성 확장판(240, 240')은 도 6에서 보아 반원형 단면형상을 지니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커버(250)에 의해 눌리게 되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되는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처음에는 하단이 고정단자(228)의 부도체(229)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와이어(230, 230')는 통전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이 확장되면서 외측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부도체(229)를 벗어나는 순간에,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고정단자(228)와 접촉되어 통전됨으로써 혼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박막형 스위치를 에어백 커버 자체에 부착하여 혼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인너커버를 사용하지 않고도 혼 스위치를 장착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성을 단축할 수 있는 한편,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엠블런을 부착하였기 때문에 미관을 향상시켜 상품성의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Claims (8)

  1. 다수의 고정핀에 의해 에어백 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앰블런을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에어백 커버의 가압에 의해 와이어를 연결시켜 혼을 작동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에어백 커버(20)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와이어(30, 30')와 순차적으로 접촉되는 다수의 전도성 탭(42, 42a), (42', 42a')이 부착된 커버시트(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브라켓(21)의 중앙 수직 연결부(26')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도성 탭(42a, 42a')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대되어 최외측의 전도성 탭(42, 42a)의 길이가 최대한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양단이 브라켓(121)의 수직 연결부(125, 125')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부도체(1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130, 1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는 고정단자(128)와,
    양단이 브라켓(121)의 수평 연결부(126), (126')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스프링(144), (144')을 개재하여 접점판(140)이 연결된 가동단자(1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고정단자(128)의 양단은 핀(132)에 의해서 부도성 브라켓(121)의 수직 연결부(125, 125')에 고정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가동단자(142)의 양단은 핀(134, 136)에 의해 부동성 브라켓(121)의 수평 연결부(126, 126')에 고정되며 부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칭 수단은 양단이 브라켓(221)의 수직 연결부(225, 225')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부도체(2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230, 2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속되어 있는 고정단자(228, 228')와,
    양단이 핀(234, 238)에 의해 브라켓(221)의 수평 연결부(226, 226")에 고정되고 중앙은 핀(236)에 의해 중앙의 수평 연결부(226')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단자(228, 228')와 교차되는 부분에는 탄성 확장판(240, 240')가 설치된 가동단자(2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고정단자(228)의 양단은 핀(232)에 의해서 부도성 브라켓(221)의 수직 연결부(225, 225')에 고정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가동단자(242)의 양단은 핀(234, 236)에 의해 부동성 브라켓(221)의 수평 연결부(226, 226')에 고정되며 부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확장판(240, 240')은 대략, 반원형상을 지니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KR1019980053272A 1998-12-05 1998-12-05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KR10027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72A KR100271253B1 (ko) 1998-12-05 1998-12-05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272A KR100271253B1 (ko) 1998-12-05 1998-12-05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17A true KR20000038317A (ko) 2000-07-05
KR100271253B1 KR100271253B1 (ko) 2001-04-02

Family

ID=1956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272A KR100271253B1 (ko) 1998-12-05 1998-12-05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2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253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675B1 (en) Steering wheel
US5371333A (en) Steering wheel pad with improved horn switch assembly
US6688638B2 (en) Vehicle steering wheel
US5303952A (en) Electric signalling in a supplemental vehicle restraint system
US5459294A (en) Wireless floating horn switch
JP5283236B2 (ja) 安全装置及び安全装置を製造する方法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10576886B2 (en) Horn actuating device of motor vehicle
JPH0864327A (ja) クロックスプリング型コネクタ
US10099641B2 (en) Horn circuit
KR100271253B1 (ko) 에어백 커버의 혼 스위치 장착구조
US20050012311A1 (en) Assembly with a steering wheel and a gas bag module
US7671288B2 (en) Switch apparatus for horn device of vehicle
JPH0773789A (ja) 圧力応答電気スイッチ
EP1492686B1 (en) Horn mechanism featuring immunity to cushion fold
US20230406252A1 (en) Steering wh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9583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8318806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3154913A (ja) ホーンスイッチ付きエアバッグ装置及び該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6239241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212447297U (zh) 喇叭组件
KR10054259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KR200387319Y1 (ko) 에어백용 마운팅 플레이트 조립체
US20020195325A1 (en) Membrane switch for floater modules
WO1994016922A1 (en) Horn switch for an air bag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