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026A -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026A
KR20000038026A KR1019980052873A KR19980052873A KR20000038026A KR 20000038026 A KR20000038026 A KR 20000038026A KR 1019980052873 A KR1019980052873 A KR 1019980052873A KR 19980052873 A KR19980052873 A KR 19980052873A KR 20000038026 A KR20000038026 A KR 2000003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unk
interface
cept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욱
박선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5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8026A/ko
Publication of KR2000003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0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23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 H04J3/1635Format conversion, e.g. CEP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Remote access server, e.g. BRAS
    • H04L12/2874Processing of data for distribution to the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시 물리 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물리 계층 제어 기능인 유럽전송방식(CEPT)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을 상위 프로토콜인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간략화시키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CEPT 인터페이스 처리의 제어기능을 담당함으로써, CEPT 인터페이스 처리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CEPT 인터페이스 장치에 별도의 프로세서가 필요없게 되어 장치 구성을 간략화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등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라인을 이용한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유럽 전송 방식(Conference of European Administrations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 CEPT) 인터페이스(interface) 처리 제어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위 프로토콜(protocol)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킨 CEPT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간에 데이터가 상호 교환되기 위해서는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즉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에 전송 선로 즉, 트렁크(trunk)가 연결되고, 이 트렁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교환국과 교환국 간에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물리 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가 필요하다. 물리 계층 제어는 물리적인 선로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때 수행되는 것이다. 선로를 통하는 전기적 신호는 데이터로서 인식되지 못하는 신호이고, 이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로서 인식하는 것이 링크 계층이며, 이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가 링크 계층 제어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에 트렁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물리 계층 제어 방식으로 CEPT 방식이 사용된다. 이 CEPT 방식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장치가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도1은 종래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EPT 인터페이스 수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0)와;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15)와; 상기 칩 제어 신호 발생부(15)의 제어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 라인을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20)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30)와; 상기 스위치(30)를 통한 신호 중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65)로 전송될 신호에 대해 고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High Data Link Control; HDLC) 절차를 수행하는 HDLC 제어기(40)와; 상기 스위치(30)를 통한 신호 중 서브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될 신호를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해주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35)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45)와; 상기 프로세서(50)에서 수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50)과; 상기 프로세서(10)에서 처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SRAM)(55)과; 상기 프로세서(10)와 DPRAM(60)을 통해 연결되어 CEPT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된 데이터에 대해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장치(65)로 구성되었다.
상기 칩 제어 신호 발생부(15)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ay; FPGA)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s; EPLD)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CEPT 방식으로 트렁크를 전송되는 신호는 프레임(frame) 형태이다. 이 프레임은 32채널로 구성되며, 0번째 채널은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전송된다. 그리고 16번째 채널은 프레임의 시그널링(signaling)을 위한 채널이고, 나머지 30개의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용 채널이다. 여기서 신호용 채널을 D 채널이라고 하고, 사용자 데이터용 채널을 B 채널이라고 한다. 때로는 D 채널도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교환국에서 다른 교환국으로 신호를 전송할 경우,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부터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서브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35)로 B채널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65)에서 D 채널 데이터가 전송되면, 프로세서(10)는 스위치(30)와 칩제어 신호 발생부(15)를 제어하여, B채널 데이터와 D 채널 데이터가 트렁크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종래 CEPT 인터페이스 장치 내부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20)의 구성을 설명하면, 물리적 선로의 주파수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는 선로 등화부(line equalizer)(21)와; 수신되는 양극성 신호(bipolar signal)를 단극성 신호(unipolar signal)로 변환하여 프레이머(framer)(23)로 전송하고, 프레이머(framer)(23)에서 전송되는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선로 등화부(21)로 전송하는 신호 극성 변환부(22)와; 상기 스위치(3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프레임(frame)으로 만드는 프레이머(framer)(23)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프로세서(10)의 제에에 의해, 트렁크 인터페이스부(20)로 스위치(30)를 통한 B 채널 데이터와 D 채널 데이터가 입력되면, 프레이머(23)는 이 데이터로 프레임을 만들고 만든 프레임을 신호 극성 변환부(22)로 전송한다.
신호 극성 변환부(22)는 프레이머(23)에서 출력되는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 극성 변환부(22)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를 통해 전송되는 양극성 신호를 수신하여 단극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프레이머(23)로 전송하는 수신 변압기(transformer)(22c)와; 상기 프레이머(2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analog) 신호로 변환시키는 RCL회로(22a)와; 상기 RCL 회로(22a)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선로 등화부(21)로 출력하는 송신 변압기(22b)로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신호 극성 변환부(22)에 프레이머(23)로부터 프레임이 전송되면, 신호 극성 변환부(22)의 RCL회로(22a)는 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 변압기(22b)는 RCL회로(22a)에서 출력되는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 신호로 변환한다. 단극성 신호(unipolar signal)는 신호의 극성이 음양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한정된 신호로서, 부호화기, 복호화기 등에서 사용되는 신호 형식이다. 양극성 신호(bipolar signal)는 신호의 극성이 기선("0")으로부터 음방향, 양방향 모두를 갖는 신호로서, 변환되기 전의 신호가 스페이스(space)일 때는 "0"상태, 마크(mark)일 때는 + 상태,- 상태로 번갈아가며 변환된다. 이 양극성 신호 방식은 선로에서의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선로를 통해 신호 전송시 사용된다.
이러한 양극성 신호가 송신 변압기(22b)에서 선로 등화부(21)로 출력되면, 선로 등화부(21)는 현재의 교환국과 다른 교환국간에 연결된 트렁크의 길이에 따라 트렁크의 주파수 특성을 보상한다. 그래서 트렁크의 주파수 특성을 좋게 한 후 송신 변압기(22b)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이 트렁크를 통해 다른 교환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트렁크를 통해 현재의 교환국으로 프레임이 전송될 경우, 위의 동작 방식의 역방식으로 동작되므로 이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CEPT 인터페이스 장치는, CEPT 인터페이스의 특성상 고성능의 처리 동작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8비트 프로세서가 사용된다. 그런데 이 프로세서의 사용으로 인해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50)과 램(SRAM)(55)이 필요하게 되어,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부피를 크게 하는 단점을 초래했다.
그리고 8비트 프로세서 사용으로 인해, 이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도 어렵고, 이 프로그램의 문제 발생시 디버깅(debugging)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각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ay; FPGA)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s; EPLD)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이 부품이 원하는 논리를 실현하도록 fusing하는 경우, 보드(board)로부터 이 부품을 빼낸 후 fusing해야 하므로 장치 생산 시에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 라인을 이용한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시 유럽 전송 방식(Conference of European Administrations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 CEPT)으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처리 제어 기능을 상위 프로토콜(protocol) 처리 장치에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장치 생산성을 높인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는,
물리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통한 신호가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되도록 서브 하이웨이에 정합시키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변압기와;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event)를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 발생하고, 상기 칩제어 신호 발생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프레임(frame)으로 만든 후, 그 프레임이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선로에 정합시키는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물리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와 CEPT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트렁크 라인 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를 통한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와; 상기 버퍼를 통한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통한 신호가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되도록 서브 하이웨이에 정합시키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가 용이하고, 장치 구성을 간략화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1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3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3의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 110:칩제어 신호 발생부
120:트렁크 인터페이스부 130:스위치
140:클럭 발생부 150:서브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환국간 트렁크(trunk)를 이용한 신호 통신시 물리계층 제어와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110)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130)와; 상기 스위치(130)를 통한 신호가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되도록 서브 하이웨이에 정합시키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150)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130)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에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칩 제어 신호 발생부(110)는, ispLSI(in-system programmable 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된다.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다른 교환국으로 트렁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변압기(121)와;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event)를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로 발생하고, 상기 칩제어 신호 발생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130)로부터의 신호를 프레임(frame)으로 만든 후, 그 프레임이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선로에 정합시키는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12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로 전송하는 수신 변압기(121c)와; 상기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트렁크를 통해 전송될 때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커패시터(capacitor) (121a)와; 상기 커패시터(121a)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트렁크 라인으로 전송하는 송신 변압기(121b)로 구성된다.
도5는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CEPT 인터페이스 처리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계층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초기화하고, 링크 계층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장치를 초기화한 후 상위 장치의 동작을 시험하는 하드웨어 초기화 단계(310,320)와; 상기 하드웨어 초기화 단계(310,320) 수행 후, 운영체제를 수행시킨 다음 물리 계층 제어를 위한 하위 프로토콜(protocol)과 링크 계층 제어를 위한 상위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프로토콜 초기화 단계(330,340)와; 상기 프로토콜 초기화 단계(330,340) 수행 후, 이벤트(event)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벤트가 어느 레벨 장치에서 발생된 것인지를 검사하는 이벤트 검사 단계(350)와; 상기 이벤트 검사 결과 상위 장치에서 발생된 이벤트이면 링크 계층 제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이벤트를 처리하는 상위레벨 이벤트 처리 단계(360,370)와; 상기 이벤트 검사 결과 하위 레벨에서 발생된 이벤트이면 CEPT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이벤트를 처리하는 하위레벨 이벤트 처리단계(380,39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먼저 파워(power)가 온(on)되면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는, 물리 계층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초기화하고 링크 계층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초기화한 후 상위 장치의 동작을 시험한다(310,320).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초기화는 트렁크 관련 장치인 스위치(130)와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 및 칩 제어 신호 발생부(110)를 초기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스타트(start)시킨 후(330), 물리 계층 제어인 CEPT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한 하위 프로토콜(protocol)과 링크 계층 제어를 위한 상위 프로토콜을 초기화한다(340).
여기서 먼저, 다른 교환국으로부터 트렁크를 통해 현재의 교환국으로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를 설명하면, 트렁크 인터페이스부(120)의 수신 변압기(121c)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변압기(121c)가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로 전송한다. 신호가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에 수신되면,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는 데이터 수신을 알리는 이벤트를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100)로 발생한다.
그러면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100)는 이 이벤트를 수신하여 어느 레벨에서 발생시켰는지를 검사한다(350). 검사 결과 하위 레벨인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에서 발생된 이벤트이면(380),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는 이 수신 프레임중 각 채널이 해당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도록 칩 제어신호 발생부(110)를 제어한다(390).
칩 제어 신호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칩 인에이블(enable)신호에 의해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는 수신된 프레임(frame)중 각 채널을 인식한다.
프레임은 32개의 채널로 이루어지는데, 채널 종류는 0번 프레임 시작 채널과, D채널, B채널로 구성된다. D채널은 신호용 채널이고 B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용 채널인데, D채널도 사용자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는 D채널과 B채널 모두가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측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스위치(130)는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되는 D채널과 B채널 신호를 칩제어 신호 발생부(130)와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D채널을 신호용 채널로 사용할 경우, D 채널은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로 전송되고 B채널은 서브 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35) 측으로 전송되도록,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100)는 제어한다. 이에 스위치(130)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와 칩제어 신호 발생부(110)의 제어에 따라 B채널 신호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하고, D채널 신호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렇게 트렁크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CEPT 인터페이스 처리를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100)에서 제어하여, 교환국은 다른 교환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나의 교환국에서 다른 교환국으로 트렁크(trunk)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를 설명하면,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부터 B채널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100)로부터 D 채널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위 프로토콜 처리장치(100)는 스위치(130)를 제어하여 B채널과 D 채널을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에 출력한다. 이에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122)는 이 B채널과 D채널로 하나의 프레임을 만든 후, 커패시터(121a)와 송신 변압기(121b)를 순차 통해 트렁크 라인으로 출력한다. 그래서 이 프레임은 트렁크 라인을 통해 다른 교환국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동작 방법으로 교환국과 교환국간에 트렁크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링크 계층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하위 프로토콜 기능인 물리 계층 제어를 수행하여, 물리 계층 제어 기능인 CEPT 인터페이스 장치가 간략화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400)에서 CEPT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트렁크 라인 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팬아웃(fanout)을 위해, CEPT 인터페이스장치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400) 사이에 버퍼(410)를 구현한다. 이 버퍼(410)는 상기 프로토콜 처리 장치(400)로부터의 제어신호와 CEPT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트렁크 라인 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조기판(daughter board) 형태로 만들어, 이 보조기판의 CEPT 인터페이스 장치를 버퍼(410)와 연결한다. 그래서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신호가 이 버퍼(410)를 통한 후 CEPT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되기 때문에,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트렁크 라인 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트렁크 라인을 4E1에서 8E1, 16E1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은,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가 버스 형태로 직접 연결된 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되므로, 이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이용한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의 데이터 전송 뿐만 아니라 교환국과 제어국 사이의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트렁크 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시스템, 범세계 이동통신 시스템(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2000 ; IMT-2000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는, 교환국과 교환국사이에 트렁크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물리 계층 제어와 링크 계층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물리 계층 제어 기능인 CEPT 인터페이스 처리 기능을 상위 프로토콜인 링크 계층 제어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에서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이 간략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CEPT 인터페이스 장치 간에 충분한 팬아웃(fanout)을 위해 버퍼를 구현함으로써, 트렁크 라인 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CEPT 인터페이스 장치의 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디바이스를 ispLSI(in-system programmable 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함으로써, fusing시 간편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물리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통한 신호가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되도록 서브 하이웨이에 정합시키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피티(CEPT)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 제어 신호 발생부는,
    ispLSI(in-system programmable 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항이 있어서,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변압기와; 신호가 수신되면 이벤트(event)를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 발생하고, 상기 칩제어 신호 발생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프레임(frame)으로 만든 후, 그 프레임이 선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선로에 정합시키는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트렁크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로 전송하는 수신 변압기와; 상기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트렁크 라인을 통해 전송될 때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커패시터(capacitor)와; 상기 커패시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트렁크 라인으로 전송하는 송신 변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의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를 초기화하고, 상기 프레이머/선로 인터페이스부에서 이벤트(event)가 발생되면, CEPT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칩제어 신호 발생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EPT 인터페이스 장치.
  6.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물리계층 제어(physical layer control)와 링크 계층 제어(link layer control)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상기 프로토콜 처리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와 CEPT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버퍼링하여, 트렁크 라인 수를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를 통한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칩(chip)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칩 제어 신호 발생부와;
    상기 버퍼를 통한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CEPT 인터페이스 장치와 트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상위 프로토콜 처리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를 통한 신호가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를 통해 정합 교환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으로 전송되도록 서브 하이웨이에 정합시키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와;
    CEPT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의 동기를 위한 클럭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부에 제공하는 클럭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피티(CEPT)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80052873A 1998-12-03 1998-12-03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KR20000038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73A KR20000038026A (ko) 1998-12-03 1998-12-03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873A KR20000038026A (ko) 1998-12-03 1998-12-03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026A true KR20000038026A (ko) 2000-07-05

Family

ID=1956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873A KR20000038026A (ko) 1998-12-03 1998-12-03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802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43A (ja) * 1991-12-02 1994-03-11 Hyundai Electron Ind Co Ltd Isdnシステムのヨーロッパ方式(cept)及び北米方式(t1)のためのトランク接続方式
JPH06141087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Isdn中継線による任意情報の転送方法
KR0135542B1 (ko) * 1992-12-10 1998-04-27 정장호 유럽방식 디지털 가입자선로정합장치
KR0137088Y1 (ko) * 1993-12-29 1999-04-01 정장호 통신장비 엔에이에스, 시이피티, 디에스 1간 라인신호 변환장치
KR0186030B1 (ko) * 1992-05-28 1999-05-15 정용문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43A (ja) * 1991-12-02 1994-03-11 Hyundai Electron Ind Co Ltd Isdnシステムのヨーロッパ方式(cept)及び北米方式(t1)のためのトランク接続方式
KR0186030B1 (ko) * 1992-05-28 1999-05-15 정용문 교환기의 트렁크 인터페이스회로
JPH06141087A (ja) * 1992-10-26 1994-05-20 Fujitsu Ltd Isdn中継線による任意情報の転送方法
KR0135542B1 (ko) * 1992-12-10 1998-04-27 정장호 유럽방식 디지털 가입자선로정합장치
KR0137088Y1 (ko) * 1993-12-29 1999-04-01 정장호 통신장비 엔에이에스, 시이피티, 디에스 1간 라인신호 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920A (en) Data communication using a dual mode radiotelephone
JP2583484B2 (ja) デイジタルリンク装置
US6842771B2 (en) Adapter for rendering data transmission request and responses compatible between the requesting client and its target ser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6463302B1 (en) Multi-sector base station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38026A (ko) 시이피티 인터페이스 장치
AU1376997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data-packet switch, and method for handover
US8379669B2 (en) Conversion apparatus
JPS6059841A (ja) 通信速度可変端末
CN101247372B (zh) 通信系统、信关装置和适配器装置
CN114679221B (zh) 一种可配置光接口工作模式的通信装置及设备
US7031464B2 (en) Ring relay control unit for foreign exchange station
KR10030386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기지국 정합장치
KR100295831B1 (ko) 교환기의 유럽전송방식 중계선 처리 기능과 넘버.7 프로토콜 기능 통합 장치
KR10028571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가입자신호직접변환방법
KR100360268B1 (ko) 차세대 이동통신 교환기
KR100267264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용 트랜스코딩장치
KR100271006B1 (ko) 키폰 시스템의 더블유티아이비에서의 비에스씨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47327B1 (ko) Imt-2000 시스템에서의 atm 스위치 라우터 정합장치
KR100301581B1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내 브이5 정합장치
KR19980026208A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9990060525A (ko) 무선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망동기 클럭 추출 장치
KR100241913B1 (ko) 씨티 투 시스템에서 패킷 통신장치
JPS59131245A (ja) デ−タ回線交換機
JPS61214640A (ja) モデムのトレ−ニング方式
KR20010053925A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용 기지국제어기에서동기신호안정화기능을 갖는 트랜스코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