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208A -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208A
KR19980026208A KR1019960044574A KR19960044574A KR19980026208A KR 19980026208 A KR19980026208 A KR 19980026208A KR 1019960044574 A KR1019960044574 A KR 1019960044574A KR 19960044574 A KR19960044574 A KR 19960044574A KR 19980026208 A KR19980026208 A KR 1998002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base stations
data
synchronizat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335B1 (ko
Inventor
문용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35B1/ko
Priority to GB9721112A priority patent/GB2318257B/en
Publication of KR1998002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 H04M9/0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 line, i.e. key telephone systems with subscriber controlled access to an exchang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0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ynchronising information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3Cordless telephones wit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2Synchronisation amo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nodes, e.g. time triggered protocol [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키텔레폰 시스템과 다수의 무선기지국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가, 기지국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기신호발생부 및 송수신기들을 구비하며, 동기신호발생부들이 각 기지국들의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송수신기들이 각각 설정된 다른 채널을 통해 제어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전송하며, 기지국들이 각각 해당하는 채널로 수신되는 동기신호로 부터 무선동기신호를 추출하여 무선데이타를 전송한다.

Description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가입자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키텔레폰 시스템(key telephone system)은 여러 가지 종류의 기능 카드(card)를 개발하여 하나의 모듈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 옵션 카드(option card)들은 공통으로 사용하는 신호선과 제어데이타 선(control data line)들이 모두 플랫폼 버스(platform bus)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플랫폼 버스에 포함되는 신호에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음성 및 데이터 전달 통로인 하이웨이(highway), 클럭선, 기타 제어신호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카드 중에 하나가 디자탈 라인 인터페이스 카드(Digital Line Interface card: 이하 DLI라 칭한다)이다. 상기 DLI를 구비하는 디지탈 키텔레폰 시스템의 응용에서, 상기 DLI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통해 디지탈 키서브셋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DLI의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일반전화기 모듈을 접속 또는 데이터 터미널 모듈(data terminal module)을 접속하는 등의 여러 가지 응용을 할 수 있다. 도 1은 DLI를 구비하는 디지탈 키텔레폰 시스템의 응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SLI(Single Line Interface Card)는 아날로그 가입자를 서비스하기 위한 가입자카드가 된다. 상기 디지탈 키텔레폰 시스템에 무선전화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SLI에 일반전화기를 연결하듯이 연결하여 일반전화기와 병렬로 사용하고 있다. 즉, 이런 경우에는 여러개의 무선전화기를 사용하여도 키텔레폰 시스템에서 각 전화기를 제어하기 위해 따로 할당하는 신호없이 일반전화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현재 유럽에서 사용하는 무선전화기(cordless telephone) 분야에서 ETSI(European Telephone Standard Institute)에서 제정한 무선전화기의 표준으로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 규격을 발표했다. 상기 DECT 규격은 우리나라에서도 채택될 전망이다. 따라서 상업용으로 상기 DECT 규격의 원격 단말을 키텔레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종래의 키텔레폰 시스템은 상기 DECT 규격의 무선단말을 접속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먼저 상기 키텔레폰 시스템에 다수의 DECT 기지국(DECT Base Station: 이하 DBS라 칭한다)을 연결하는 경우, 각 DBS에서 동일한 시점에서 TDMA(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두 번째로 다스의 옵션 카드를 수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플랫폼 버스에서 하나의 선을 할당하여 공통으로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카드 자체에서 동일한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세 번째로 다스의 DBS 모듈을 접속하여 할 때 키텔레폰 시스템과 DBS와의 접속 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전력(power) 전송 방법, 음성 및 데이터 전송 방법, 동기신호 전송 방법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텔레폰 시스템에서 무선가입자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텔레폰 시스템에서 DECT 규격의 무선가입자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카드를 구비하여 다스의 기지국에서 요구하는 동기신호 및 전력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텔레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키텔레폰 시스템과 다수의 무선기지국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기신호발생부 및 송수신기들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들이 각 기지국들의 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수신기들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들이 해당 채널로 수신되는 동기신호로 부터 무선동기신호를 추출하여 무선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키텔레폰 시스템과 가입자 전화기들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텔레폰 시스템과 무선가입자들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 중 가입자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클럭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와 같은 시스템에서 키텔레폰 시스템과 무선 가입자 간의 동기신호를 도시하는 파형도
도 6은 무선가입자 측에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텔레폰 시스템이 다수의 기지국 인터페이스부(Base Station Interface:이하 BSI라 칭함) BSI1-BSIm을 구비하고, 각 BSI는 다수개의 기지국 DBS1-DBSn 들과 연결되어 키텔레폰 시스템과 무선단말기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상기 BSI1-BSIm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직병렬변환기301은 키텔레폰 시스템의 제어부와 BSI 간의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PRAM(Dual Port RAM)315는 상기 키텔레폰 시스템과 BSI의 프로세서311이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프로세서311은 BSI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312은 상기 프로세서312가 상기 BSI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램313은 상기 프로세서311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발진기314는 상기 프로세서311의 동작 클럭을 발생한다. 클럭발생기317은 프로세서311 및 DASL(Digital Adaptor for Subscriber Loop) 들의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도 4는 상기 클럭발생기317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초기화신호/reset가 정상 상태로 천이된 상태에서 프레임동기신호FSX를 카운트하여 제1클럭신호 및 제2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클럭발생기317은 80ms의 제2클럭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프로세서311에 공급하고 10ms의 제1클럭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DASL 들에 공급한다. 상기 DASL들은 상기 DBS 들과 연결되며, 상기 DBS와 키텔레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나의 DBS에 두 개의 DASL들이 연결되며, 상기 하나의 BSI가 4개의 DBS들을 서비스할 수 있다면, 상기 하나의 BSI에는 8개의 DASL1-DASL8이 연결된다. 모듈제어부(Digital Module Controller)318은 상기 프로세서311과 DASL1-DASL8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DASL1-DASL8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DASL1-DASL8은 내셔널 세미콘덕트 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TP3043을 사용할 수 있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driver)316은 BSI와 외부 장치간에 데이터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UART318\6에 연결되는 장치는 계측 장치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는 상기 다수의 DBS 모듈(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DBS1-DBS4)에 전원을 공급하며,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핑퐁(ping-pong) 방식의 송수신기인 DASL1-DASL8과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포머에 접속, 각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DMC(Digital Module Controller)318, 그리고 플랫폼 중에 초기화신호(/reset)신호의 프레임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317 들로 구성된다. 또한 키텔레폰 시스템과 BSI 간에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해 DPRAM315, 프로세서311, 롬312, 램313을 구비한다.
도 5는 각 DBS 들에서 사용되는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4개의 DBS1-DBS4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으며, 각각의 DBS1-DBS4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시점에서 각각 동기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각 DBS1-EDBS4에서 수신되는 동기신호를 재생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동작을 살펴보면, 키텔레폰 시스템에서는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이웨으를 구동하는 공통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BSI는 하이웨의 시작을 의미하는 프레임 동기신호FSx와 각 비트를 구분하는 클럭BCLK를 입력한다. 상기 신호들은 모든 보드들로 공급되어 다른 임의의 카드로 부터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된다. 그러면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클럭발생기317은 상기 신호들 중에서는 Fsx를 이용하여 상기 DECT에서 필요한 제1클럭신호 10ms 및 제2클럭신호 800ms 발생한다. 상기 클럭발생기317은 플랫폼 버스에서 프레임 동기신호인 Fsx와 전 카드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reset신호를 이용하여 10ms 및 800ms를 발생한다. 즉, 전 카드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reset신호가 정상으로 된 후 부터 Fsx를 카운팅하여 DECT에서 필요한 10ms 및 800ms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BSI 보드 내에서 동일한 시점에서 동기신호를 발생하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BSI 보드가 DBS 모듈 간의 연결 방법은 4-와이어(four wire) 방식으로 두 개의 TCM 송수신기가 하나의 DBS로 연결된다. 상기 송수신기는 DASL1-DASL8이 된다. 상기 송수신기들은 2B+D 용량의 전송능력을 가지므로, 하나의 DBS를 통하여 동시에 4 가입자의 무선가입자들과 통화 기능을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BSI 내에 4개의 DBS가 연결 가능한 경우,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셀(multi-cell) 구조의 DECT 시스템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동기신호SYNC는 두 개의 송수신기 중 하나의 송수신기가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머지 송수신기가 상기 동기신호SYNC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핑퐁 방식의 송수신기는 음성 전송을 위한 B채널과 제어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한 D채널이 동기화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입력시의 B채널 및 D채널의 타이밍이 반대편으로 전송되었을 때 임의 타이밍을 갖고 출력되는 경우이다. 상기 송수신기가 DASL를 사용하는 경우, 위와 같은 예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BSI에서 일정한 동기신호를 각 DBS로 하나의 D 채널을 통해 전송한 경우, 동일한 시점에서 전송전송을 했어도 각 DBS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는 서로 다르게 되어 동기신호SYNC로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DBS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발생시켜 입력되는 BCLK와 같은 클럭으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게이팅신호를 만들어 사용한다. 이런 경우, 상기 BSI에서 전송한 동기신호SYNC가 도 5의 511-513과 같이 한 프레임 내에 들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상기 각 DBS에서 출력되는 D채널의 동기신호SYNC도 일치하지 않고 상기 도 5의 522 및 524와 같이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 각 DBS1-DBS4에서는 상기 동기신호SYNC를 추출하기 위해 도 6과 같은 동기추출회로를 구비한다. 즉, 상기 도 6과 같은 동기추출회로는 521 및 523과 같은 B채널 동기신호인 Fsc를 클럭으로 입력하고 이 Fsc에 동기되는 RFSYNC를 발생하며, 각 DBS1-DBS4는 이를 동기신호RFSYNC를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Fsc는 BSI와 DBS 간의 거리 영향을 받아 달라진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DBS에서 B채널 동기신호Fsc의 차이는 FSdiff로 발생되고, D채널을 통해 전송된 동기신호SYNC의 차이는 SYNCdiff이다. 상기 도 6과 같은 구성에 의해 조정된 동기신호RFSYNC는 525 및 526과 같이 RFSYNC1 및 RFSYNC2로 나타난다.
현재 DECT 규격에서는 상기 동기신호RFSYNC 간의 4μs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상기 BSI에서 모듈제어부318은 프로세서311과 송수신기인 DASL1-DASL8 사이에 연결되어 D채널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며, 상기 송수신기에서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용 집적회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유럽 표준으로 채택되어 운용되고 있는 DECT 규격의 무선전화기를 키텔레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화기의 이동성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handover) 기능 및 로밍(roaming)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호 실패(call missing) 확률을 줄일 수 있어 호 처리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키텔레폰 시스템과 다수의 무선기지국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기신호발생부 및 송수신기들을 구비하며,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들이 각 기지국들의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송수신기들이 각각 다른 채널을 통해 제어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들이 각각 해당하는 채널로 수신되는 동기신호로 부터 무선동기신호를 추출하여 무선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텔레폰 시스템의 무선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부가 시스템 초기화신호가 정상으로 천이된 후 프레임 동기신호를 카운트하여 상기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텔레폰 시스템의 무선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인터페이스장치가 다수의 무선기지국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기신호발생부 및 송수신기들을 구비하는 키텔레폰 시스템과 다수의 무선기지국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방법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들이 각 기지국들의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송수신기들이 각각 다른 채널을 제어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들이 각각 해당 채널로 수신되는 동기신호로 부터 무선동기신호를 추출하여 무선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텔레폰 시스템의 무선가입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960044574A 1996-10-08 1996-10-08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407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74A KR100407335B1 (ko) 1996-10-08 1996-10-08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GB9721112A GB2318257B (en) 1996-10-08 1997-10-07 Subscriber interface and method of a key teleph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74A KR100407335B1 (ko) 1996-10-08 1996-10-08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08A true KR19980026208A (ko) 1998-07-15
KR100407335B1 KR100407335B1 (ko) 2004-01-24

Family

ID=194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574A KR100407335B1 (ko) 1996-10-08 1996-10-08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07335B1 (ko)
GB (1) GB23182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224A (ko) * 1998-12-24 2000-07-15 윤종용 무선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무선전화기에 부가기능을 세팅하는방법
KR100331868B1 (ko) * 1999-04-20 2002-04-09 서평원 이동 통신을 이용한 무선 가입자 망의 가입자 접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8028A (en) * 1983-09-30 1985-08-27 General Telephone Of Florida Apparatus for use with key telephon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device
FR2646302B1 (fr) * 1989-04-25 1993-01-15 Matra Communication Procede de pseudo-synchronisatio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a multiplexage dans le temps et applications
EP0437835B1 (en) * 1989-12-27 1995-04-26 Nec Corporation Frame synchronization system among multiple radio base stations for TDM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6165242A (ja) * 1992-10-26 1994-06-10 Philips Electron Nv 通信システム
KR940027417A (ko) * 1993-05-31 1994-12-10 김광호 키폰시스템의 통화내용 녹음/재생회로 및 방법
FR2728422A1 (fr) * 1994-12-14 1996-06-21 Trt Telecom Radio Electr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permettant de gerer des retards de transmission variables
KR0162839B1 (ko) * 1996-01-22 1998-12-01 김광호 덱트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내 무선전화시스템
KR100266816B1 (ko) * 1997-12-29 2000-09-15 윤종용 덱트방식무선통신시스템의동기화장치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224A (ko) * 1998-12-24 2000-07-15 윤종용 무선 사설교환시스템에서 무선전화기에 부가기능을 세팅하는방법
KR100331868B1 (ko) * 1999-04-20 2002-04-09 서평원 이동 통신을 이용한 무선 가입자 망의 가입자 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8257A (en) 1998-04-15
GB2318257B (en) 1998-09-23
GB9721112D0 (en) 1997-12-03
KR100407335B1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9250A (en) Interface arrangement for connecting base stations to a private branch exchange
US20020042272A1 (en) Mobile radio receiver for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s
WO1994005101A1 (en) Portable to portable communication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10020396A (ko) 이동국으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홈 기지국
US4744101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233710B1 (ko)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의 동기화 관련정보 일치방법
EP0683944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duplex communications systems
EP0785694B1 (en) Private cordless branch exchange system accommodating DECT terminal subscribers
KR100407335B1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1995005720A1 (en) Ct2 telephone system
US5697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ink establishment and monitor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3254874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200200192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rdless transmission of telephone calls via a number of base stations to mobile dect telephones
EP1590947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3500529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接続装置
KR100251584B1 (ko)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KR20020026658A (ko) 덱트 기지국에서 다중프레임 동기 장치 및 방법
KR100258148B1 (ko) 덱트(dect)방식의무선교환기에서기지국간베어러핸드오버처리방법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KR100224963B1 (ko) 종합 정보 통신 망의 슈퍼 프레임 신호를 이용한 ct-2 기지국 동기화 회로
KR20000002926U (ko) 사설 교환기와 기지국 간의 동기화 장치
KR920001549B1 (ko)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766087B2 (ja) 移動通信におけるtdmaフレームタイミング情報伝送方式
KR20030013909A (ko) 더불유엘엘 시스템의 기준클럭 선택장치 및 그 신호처리방법
JPH04287432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