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709A -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709A
KR20000037709A KR1019980052358A KR19980052358A KR20000037709A KR 20000037709 A KR20000037709 A KR 20000037709A KR 1019980052358 A KR1019980052358 A KR 1019980052358A KR 19980052358 A KR19980052358 A KR 19980052358A KR 20000037709 A KR20000037709 A KR 2000003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tank
septic tank
sewage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곤
Original Assignee
김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곤 filed Critical 김승곤
Priority to KR101998005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709A/ko
Publication of KR2000003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2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오수 또는 인분과 같은 유기성 오물성분에 대한 활발한 분해작용을 제공하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최적화하고, 유기물 제거에 도움을 주는 지렁이와 같은 토양서식 미생물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오수정화탱크에 토양을 부가한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상면에 오수 유입구를 형성하며, 다수의 혐기조와, 다수 중복 설치되고, 산기관 및 미생물 접촉여제가 부여된 폭기조와, 침전조와 여과조와 슬러지 반송관과 정수 배출구 및 상부에는 다수의 맨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통상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상부에 토양을 부가하며,
상기 토양과 정화조의 내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로서, 정화조의 토양접촉면에 통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통공과 정화조의 여제 사이에 여제로 이루어진 가교를 부여하며, 상기 토양은 황토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은 잔디밭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토양에서 서식·배양되는 지렁이 등의 미소동물이 정화조내로 출입하며 수중의 미생물과 함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오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것임.

Description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본 발명은 생활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활오수 또는 인분과 같은 유기성 오물성분에 대한 활발한 분해작용을 제공하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최적화하고, 유기물 제거에 도움을 주는 지렁이와 같은 토양서식 미소동물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오수정화탱크에 토양을 부가한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하므로서 발생되는 하수로서 분뇨, 음식물 하수, 화장실용수, 등 대부분이 유기성하수인 생활오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정화조는 탱크 내에서 유기물질을 미생물에 의한 발효에 의하여 분해시키게 되는데,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상면에 구비된 유입구(19)를 통하여 유입된 오수가 혐기성조(11)를 거쳐 다수중복설치된 폭기조(12)를 통과하면서, 하수 중의 유기물, 질소 및 인 등은 생물막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고, 침전조(13)를 거쳐 슬러지의 침전 분리가 이루어지고, 여과조(14)를 통과하며 정화된 물이 다른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20)를 통하여 방류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폭기조(12)에는 호기성 미생물의 부착표면적인 생물막을 확장하고, 공극을 높이기 위한 미생물 접촉여제(16)와 산기관(15)이 부여되고,
상기 침전조(13)의 슬러지를 반송시켜 분해 여과 과정을 반복시키는 슬러지 반송관(17)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화조는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산화 분해시키는 정화능력을 가진 지렁이와 같은 토양 미소동물의 서식 및 배양처소가 없으므로 오수정화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자연스런 지렁이, 박테리아 같은 토양 미소동물의 서식 및 배양처소인 토양을 정화조와 결합시키고, 상기 정화조와 토양과의 사이에 통로를 부여함으로써, 오수 중의 유기물을 수중의 미생물과 토양의 미생물이 효율적으로 분해 제거하도록 하는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정화조 110: 혐기성조
120: 폭기조 130: 침전조
140: 여과조 151: 산기관
153: 여제 155: 여제 지지대
157: 슬러지 반송관 160: 오수 유입구
170: 정수 배출구 180: 맨홀
200: 토양 210: 토양층
230: 자갈 250: 잔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는,
일측 상면에 오수 유입구를 형성하며, 다수의 혐기조와, 다수 중복 설치되고, 산기관 및 미생물 접촉여제가 부여된 폭기조와, 침전조와, 여과조와 슬러지 반송관과 정수 배출구 및 상부에는 다수의 맨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통상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상부에 토양을 부가하며,
상기 토양과 정화조의 내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로서, 정화조의 토양접촉면에 통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통공과 정화조의 여제 사이에 여제로 이루어진 가교를 부여하며,
상기 토양은 황토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잔디밭을 형성하여,
토양에서 서식·배양되는 미소동물이 정화조내로 교통하며 수중의 미생물과 함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오수를 정화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 상면에 오수 유입구(160)를 형성하며, 다수의 혐기조(110)와, 다수 중복 설치되고, 산기관(151) 및 미생물 접촉여제(153)가 부여된 폭기조(120)와, 침전조(130)와, 여과조(140)와, 슬러지 반송관(157)과, 정수 배출구(170) 및 상부에는 다수의 맨홀(180)을 구비하여 구성된 통상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100)의 상부에 토양(200)을 부가하고,
상기 토양(200)과 정화조(100)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로서, 정화조의 토양접촉면에 통공(101)을 다수 형성하며, 가교(103)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부가되는 토양(200)은 정화조에 형성된 통공(101) 상면에 망체(220)를 깔고, 상기 망체(220)에 걸릴 수 있을 크기의 자갈층(230)과, 상기 자갈층(230) 위에 모래층(240)과 흙(210)을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하고, 토양(200)의 표면은 잔디밭(250)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양(200)의 흙(210)은 황토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화조(100)의 통공(101)은 정화조 내의 폭기조(120)의 상면에 형성한다.
상기 가교(103)는 상기 통공과 폭기조(120) 내에 설치된 미생물접촉 여제(153)를 이어주기 위하여 설치되며, 표면적이 크고, 공극율이 높아 생물막의 흡착성이 양호하고, 부식, 변형, 변질이 없는 여제로 형성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55는 는 미생물접촉 여제의 지지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토양 중에는 특히, 황토 지하 1M 이내에는 각종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여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키는 정화능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오수, 특히 인분이나 축산분뇨와 같은 유기성 오물성분에 대한 활발한 분해작용을 하는 호기성 미생물들과 유기물질을 먹어치우는 지렁이 등 토양 미소동물들의 최적합한 서식·배양·증식환경이다.
이러한 토양(200)층을 정화조에 부가하되 토양(200)과 정화조 내부 공간, 특히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 처소인 폭기조(120)에 설치된 여제(153)를 이어주기 위한 통로 즉, 통공(101)과 여제로 이루어진 가교(103)를 형성해줌으로써,
수중의 미생물과 토양층에 서식하는 미생물 및 지렁이 등의 미소동물이 토양(200)과 상기 폭기조의 미생물 부착여제(153) 사이를 출입하면서,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또한 그 토양 미소동물들로 하여금 토양중의 호기성 미생물들을 정화조 내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수정화효율 및 질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통공(101)과 가교(103)로 이루어진 토양(200)과 정화조(100) 사이의 미소동물 통로가 새로운 공기의 유입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오수중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으로는, 정화조 상부에 토양층을 형성함으로써, 정화조의 내부온도를 미생물이 번식하기에 적당한 온도로 보장해주는 한편, 정화조 내부에서 미생물 분해시 발생되는 온도로 토양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상호 보완작용을 하게 되어, 토양에서 서식하는 미소동물에도 적당한 온도를 제공하는 한편, 겨울에도 잔디를 푸르게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는,
정화조 상부에 토양층을 부가하되 폭기조와 연통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토양과 폭기조에 설치되는 여제 사이에 통공과 여제로 이루어진 가교를 형성하여, 토양에서 서식 배양되는 지렁이와 같은 미소동물들을 유기물분해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수중의 미생물과 토양의 미소동물이 유입 유기물질을 분해 제거하는데 상승작용을 하여, 오수의 정화처리효율 및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고,
토양표면에 잔디밭을 형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미감을 자아내도록 하는 잇점을 가진 기술이다.

Claims (2)

  1. 일측 상면에 오수 유입구를 형성하며, 다수의 혐기조와, 다수 중복 설치되고, 산기관 및 미생물 접촉여제가 부여된 폭기조와, 침전조와 여과조와 슬러지 반송관과 정수 배출구 및 상부에는 다수의 맨홀을 구비하여 구성된 통상의 오수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상부에 토양을 부가하며,
    상기 토양과 정화조의 내부가 연통되기 위한 통로로서, 정화조의 토양접촉면에 통공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통공과 정화조의 여제 사이에 여제로 이루어진 가교를 부여하여,
    토양에서 서식·배양되는 미소동물들이 정화조내로 출입하며 수중의 미생물과 함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오수를 정화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의 상부에 형성된 토양은 황토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을 잔디밭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KR1019980052358A 1998-12-01 1998-12-01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KR20000037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58A KR20000037709A (ko) 1998-12-01 1998-12-01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358A KR20000037709A (ko) 1998-12-01 1998-12-01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709A true KR20000037709A (ko) 2000-07-05

Family

ID=1956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358A KR20000037709A (ko) 1998-12-01 1998-12-01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7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539B1 (ko) * 1999-07-07 2001-09-24 안명환 토양 유효 미생물군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CN110228899A (zh) * 2019-05-13 2019-09-13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水处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539B1 (ko) * 1999-07-07 2001-09-24 안명환 토양 유효 미생물군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CN110228899A (zh) * 2019-05-13 2019-09-13 浙江大东吴集团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4392A (zh) 一种净化黑臭河道污水的一体化装置及方法
JP2005500906A (ja) 下水を生物学的に浄化する方法及び該方法に従って用いる好ましくは小型浄化プラントであるプラント。
CN111204927A (zh) 生态公厕污水处理循环系统及污水处理再利用方法
KR20000072363A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CN208038135U (zh) 一种单元曝气水平折流生物滤池
CN111170580A (zh) 一种污水净化处理系统
JP2005074407A (ja) 水質浄化施設
CN208883568U (zh) 一种集过滤、沉淀功能于一体的过滤沉淀池
CN104085998A (zh) 一种增强微生物作用的人工湿地系统
CN217148721U (zh) 一种排口溢流污染原位净化装置
CN215799061U (zh) 一种组合式水处理反应器
JPH11104686A (ja) 河川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37709A (ko) 토양 미소동물을 이용하는 오수 정화장치
CN104085993A (zh) 一种人工湿地装置
CN114230012A (zh) 一种排口溢流污染原位净化装置及处理方法
CN100506707C (zh) 可控生物膜景观湿地污水净化系统及技术
CN209974535U (zh) 一种北方寒冷地区人工湿地污水处理装置
KR200293086Y1 (ko) 자연친화형 무동력 하수 처리장치
KR101960876B1 (ko) 일체형 방류수 여과장치
JPH10113693A (ja) 水上栽培法による水質浄化方法とその水質浄化装置
CN111943434A (zh) 一种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系统及方法
CN111908603A (zh) 一种新型厌氧生物滤池废水处理设备及其处理废水的方法
CN101172733A (zh) 一种高藻水处理工艺
KR200303060Y1 (ko) 인위적인 공기공급식 자연친화형 하수 처리장치
JP2573902B2 (ja) 水浄化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