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369A -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369A
KR20000037369A KR1020000020975A KR20000020975A KR20000037369A KR 20000037369 A KR20000037369 A KR 20000037369A KR 1020000020975 A KR1020000020975 A KR 1020000020975A KR 20000020975 A KR20000020975 A KR 20000020975A KR 20000037369 A KR20000037369 A KR 2000003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rticle
server
shopping mall
head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주식회사 네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주식회사 네오비젼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0002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369A/ko
Publication of KR2000003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369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사의 헤드라인과 상기 헤드라인과 연관된 기사내용을 저장·관리하는 컨텐츠서버와; 상기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 또는 업체가 취급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쇼핑몰서버와; 상기 컨텐츠서버의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과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와 쇼핑몰이 결합된 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와 전자상거래를 상호 연관시킴으로써 컨텐츠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전자상거래 이용자에게는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상품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품선택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Apparatus for Contents-linked Shopping Mall,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의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와 쇼핑몰을 긴밀하게 연관시킴으로써 컨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고 쇼핑몰 이용시 보다 유용하고 공신력있는 상품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이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관련 산업 역시 다양하게 생성·발전하고 있다. 인터넷에 기반한 산업은 크게 3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가상 쇼핑몰(이하 "쇼핑몰"이라 함)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분야, 각종의 영상, 문헌, 음악 등의 자료를 정리·제공하는 컨텐츠분야 및 게임/오락분야가 그것이다.
종래 상기 세 분야는 전혀 공통점이 없이 개별적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컨텐츠를 각색한 게임, 예컨데 인기소설 또는 인기영화를 게임화한 것 또는 게임을 이용한 광고기법, 예를들면 CF 장면을 이용한 퍼즐 등과 같이 컨텐츠와 게임, 게임과 전자상거래가 결합하여 새로운 인터넷 활용분야가 개척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분야와 전자상거래분야는 성격이 판이하여 상호 연관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전자상거래의 경우 취급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상품공급자 측이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정보의 편중화 현상 때문에 이용자가 상품선택에 애로를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미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의견을 게시하여 다른 이용자의 상품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소위 이용자에 의한 사후평가방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이용자의 개인적 주관이 과도하게 반영되어 있거나, 업체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어려워 신뢰를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급정보가 풍부한 컨텐츠와 산업적 이용가치가 높은 전자상거래 방법을 융합함으로써 컨텐츠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키고 전자상거래시 객관적인 상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상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터넷 산업의 축이 되고 있는 컨텐츠분야와 전자상거래분야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영장치 구성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영장치 중 각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에 관한 예시도.
도 3은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서버에 접속한 경우의 흐름도.
도 4는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쇼핑몰서버에 접속한 경우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장치에 접속하였을 때 이용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사의 헤드라인과 상기 헤드라인과 연관된 기사내용을 저장·관리하는 컨텐츠서버와; 상기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 또는 업체가 취급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쇼핑몰서버와; 상기 컨텐츠서버의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과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와 쇼핑몰이 결합된 장치(이하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자가 상기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관심있는 헤드라인을 클릭하여 대응되는 기사내용을 열람하고 기사에 언급된 상품명, 업체명 또는 상품사진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각각 추출하여 이용자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며, 이용자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에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이용자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통상의 쇼핑몰에서와 같이 상세한 상품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용자가 관련기사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그에 대응되는 상세한 기사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각종의 영상, 음악, 문헌 등이 가능할 것이지만, 상품정보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상품 또는 상품취급 업체와 관련된 동영상이나 정지영상 그리고 상품에 관하여 기술된 문자정보이며, 특히 각종의 언론매체(신문, 잡지, TV, 사이버신문, 사이버잡지 등)에 게재된 기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신문기사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컨텐츠가 신문기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텐츠서버는 기본적으로 헤드라인, 기사본문, 신문명(또는 발생사명), 발행일, 작성기자(또는 작성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사DB, 이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매칭서버가 요청한 기사 검색식에 따라 상기 기사DB에서 헤드라인을 검색하여 검색식에 맞는 헤드라인을 추출하거나, 기사정보를 추출하는 기사DB검색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컨텐츠서버 제어장치(C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쇼핑몰서버는 물품명, 모델명, 취급업체명, 상품의 사양, 상품사진, 상품가격 등이 저장된 상품DB, 이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매칭서버가 요청한 상품 검색식에 따라 상품정보DB를 검색하여 검색식에 맞는 상품을 추출하는 상품DB검색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쇼핑몰서버 제어장치(S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칭서버는 특정 상품의 상품명, 물품명 및 취급업체명을 저장하고 있는 상품명DB, 컨텐츠서버 또는 쇼핑몰서버를 통한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상품명 또는 특정상품의 취급업체명을 추출하는 대칭어추출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매칭서버 제어장치(M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들은 물리적으로 반드시 독립적인 서버일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버에 상기 3가지 기능을 갖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제어기도 통합제어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 DB도 필요에 따라 몇 종류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서버에 접속한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의) 컨텐츠서버 접속-검색단계, 기사표시단계, 상품표시단계 및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운영장치를 활용한 운영방법에 해당된다.
접속-검색단계는, 이용자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기사의 헤드라인창과 기사 검색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가 검색식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 상기 검색식에 해당하는 기사의 헤드라인을 상기 헤드라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기사표시단계란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헤드라인 중에서 특정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기사 내용중에서 특정 상품명, 업체명 및 상품사진이 있는 경우 이들은 사전에 매칭서버의 상품명DB와 링크되어 있다.
상품표시단계는,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사중의 상품명 또는 업체명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이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이어서, 상품구매단계란,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상품의 구매버튼을 클릭하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품의 구매행위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통상의 방법'이란 일반적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과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매상품확인, 구매액확인, 결제방법결정, 배송지 결정 등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이용자에게 컨텐츠의 제공을 강화하거나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사표시단계에서 해당기사와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특정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해당기사 및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품표시단계에서도 해당 상품과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상품에 관한 기사정보를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쇼핑몰서버에 접속한 경우 이용자가 관심갖는 상품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즉, 컨텐츠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상기 운영장치를 활용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서버접속단계, 상품군표시단계, 상품표시단계 및 상품구매/기사열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속단계는 이용자가 인터넷 등 통상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면 쇼핑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로서 종래 사이버 쇼핑몰에 접속하는 방법·과정과 동일하다. 이어서 이용자가 화면 중의 특정 상품군을 클릭하거나 상품검색창에 상품명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릭 또는 입력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군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품군표시단계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품군이란, 예를들면 TV라는 물품에 대한 각 취급업체의 모델 집합체를 의미한다. 상품표시단계란,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군중의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 또는 상기 상품을 취급하는 업체명이 언급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데, 이때 상기 클릭된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상품구매/기사열람단계란 이용자가 상기 함께 디스플레이된 상품정보 및 관련기사 헤드라인을 선택적으로 클릭했을 때 진행되는 단계이다. 이용자가 상기 상품정보를 참조하여 구매의사를 결정하여 구매버튼을 클릭하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품의 구매행위가 이루어진다. 만약 이용자가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상기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가 디스플레이 (되) 된다. 이용자는 상기 상품과 관련된 컨텐츠(예컨데 기사)를 참조하여 상품의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때 이용자가 반복적으로 상품과 관련된 컨텐츠(기사)를 열람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품표시단계에서 이용자가 해당 상품과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해당기사 및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추가로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며, 상기 상품구매/기사열람단계에서 이용자가 상기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 및 해당기사와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용자는 컨텐츠를 열람하다가 관련된 상품 또는 업체에 관심이 있는 경우 즉시 상기 상품정보 및 상품이나 업체에 관한 추가적인 컨텐츠(기사)를 볼 수 있으며, 쇼핑몰을 열람하다가 특정 상품에 관심이 있는 경우 즉시 상기 상품 또는 상품의 취급업체에 관한 추가적인 컨텐츠(기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이용자는 쇼핑몰을 통한 상품구매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상품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개인소비자, 소비자단체, 소비자보호센터 등을 통해 특정 상품 또는 취급업체에 관해 평가하고 이를 기사내용과 함께 이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품선택을 위한 정보의 객관성 및 공신력을 한층 더 올려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통신을 위한 통상의 하드웨어, 예를들면 모뎀, 통신망 등과 소프트웨어, 예를들면 각종 통신규약, 브라우저 등에 관한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서버 또는 이용자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것도 통상의 방법으로 통신이 가능한 것이면 되므로 역시 언급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영장치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운영장치 중 각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서버는 기사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기사DB, 이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매칭서버가 요청한 기사 검색식에 따라 상기 기사DB에서 헤드라인을 검색하여 검색식에 맞는 헤드라인을 추출하거나, 기사정보를 추출하는 기사DB검색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컨텐츠서버 제어장치(C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쇼핑몰서버는 상품정보가 저장된 상품DB, 이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매칭서버가 요청한 상품 검색식에 따라 상품정보DB를 검색하여 검색식에 맞는 상품을 추출하는 상품DB검색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쇼핑몰서버 제어장치(S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칭서버는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품명DB, 컨텐츠서버 또는 쇼핑몰서버를 통한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상품명 또는 특정상품의 취급업체명을 추출하는 대칭어추출기 및 상기 장치를 관리제어하는 매칭서버 제어장치(MS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들 컨텐츠서버-매칭서버-쇼핑몰서버는 항시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텐츠서버 및 쇼핑몰서버는 이용자가 통상의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버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화벽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들은 물리적으로 독립적인 서버인 것으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버에 상기 3가지 기능을 갖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제어기도 통합제어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각 DB도 필요에 따라 몇 종류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사DB에는 기사번호, 헤드라인, 기사본문, 신문명(또는 발생사명), 발행일, 작성기자(또는 작성자), 관련기사번호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상품DB에는 상품번호, 물품명, 모델명, 업체명, 사양, 사진, 가격, 제조일자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상품명DB에는 상품번호, 상품명, 물품명, 모델명, 업체명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3은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였을 때의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쇼핑몰서버에 이용자가 접속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장치에 접속하였을 때 이용자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이용자가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S1) 기사를 검색하면(S2) 컨텐츠서버제어장치가 검색어를 참조로 기사DB를 검색하여 관련 헤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한다(S3)(도 5의 A 상태).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헤드라인을 클릭하면(S4) 상기 컨텐츠서버제어장치가 기사DB를 검색하여 해당기사 및 관련기사에 관한 헤드라인을 추출/디스플레이한다(S5)(도 5의 B 참조). 이어서 이용자가 기사중의 상품명, 업체명 또는 상품사진을 클릭하면(S6) 매칭서버가 상품명 또는 업체명에 해당하는 상품정보를 쇼핑몰서버에 요청하고, 관련기사를 추출하여 상품정보 및 관련기사 헤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한다(S7)(도 5의 D 상태). 이용자가 상품구매버튼을 클릭하면(S8) 통상의 전자상거래 구매행위가 이루어진다(S9). (S5)단계 이후에 이용자가 기사만 열람할 수도 있다(S10).
상기 (S5)단계 또는 (S7)단계 이후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헤드라인을 클릭하면(S11, 13) 클릭된 헤드라인에 대응하는 기사 및 관련기사의 헤드라인이 디스플레이되는 (S5)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각 단계 어디에서라도 이용자는 종료버튼을 누름으로써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S13).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는 경우통상의 방법에 따라 관심 갖는 상품을 검색한다 (S21, 22). 이용자의 검색식에 따라 상기 쇼핑몰서버제어장치가 상품DB를 검색하여 상품군을 디스플레이한다(S23)(도 5의 C 상태). 이용자가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S24) 쇼핑몰서버제어장치가 상품DB를 검색하여 상품정보를,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기사의 헤드라인을 컨텐츠서버에 요청하여 헤드라인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S7)(도 5의 B 참조). 이하 단계는 상기 (S7) 이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와 전자상거래를 상호 연관시킴으로써 컨텐츠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전자상거래 이용자에게는 보다 객관적인 상품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품선택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발전이 느린 인터넷에 기반한 컨텐츠산업에 새로운 수익모델이 창출됨으로써 컨텐츠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기사의 헤드라인과 상기 헤드라인과 연관된 기사내용을 저장·관리하는 컨텐츠서버와;
    상기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 또는 업체가 취급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쇼핑몰서버와;
    상기 컨텐츠서버의 기사내용에 언급된 상품과 상기 쇼핑몰 서버의 상품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용자가 상기 컨텐츠서버에 접속하여 기사내용을 열람하고 기사에 언급된 상품명 또는 업체명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이용자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며,
    이용자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에 관련된 기사를 상기 컨텐츠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이용자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2. 제 1 항에 의한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컨텐츠서버에 접속하면 기사의 헤드라인창과 기사 검색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가 검색식을 입력하여 검색하는 경우 상기 검색식에 해당하는 기사의 헤드라인을 상기 헤드라인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접속-검색단계와;
    이용자가 특정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사표시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사중의 상품명 또는 업체명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품표시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상품의 구매버튼을 클릭하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품의 구매행위가 이루어지는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표시단계에서 해당기사와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이용자가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해당기사 및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상품표시단계에서 해당 상품과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
  4. 제 1 항에 의한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면 통상의 쇼핑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접속단계와;
    이용자가 특정 상품군을 클릭하거나 상품검색창에 상품명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릭 또는 입력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군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품군표시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품군중의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상기 매칭서버가 상기 상품명 또는 상기 상품을 취급하는 업체명이 언급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품표시단계와;
    이용자가 상기 상품의 구매버튼을 클릭하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품의 구매행위가 이루어지며, 이용자가 상기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품구매/기사열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표시단계에서 이용자가 해당 상품과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해당기사 및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상품구매/기사열람단계에서 이용자가 상기 헤드라인을 클릭하면 상기 헤드라인에 대응되는 기사 및 해당기사와 관련된 기사의 헤드라인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의 운영방법.
KR1020000020975A 2000-04-20 2000-04-20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000037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975A KR20000037369A (ko) 2000-04-20 2000-04-20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975A KR20000037369A (ko) 2000-04-20 2000-04-20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369A true KR20000037369A (ko) 2000-07-05

Family

ID=1966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975A KR20000037369A (ko) 2000-04-20 2000-04-20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36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861A (ko) * 2002-01-12 2003-07-23 민병돈 텍스트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72056B1 (ko) * 2001-03-28 2008-12-05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그 광고 결합 서버
KR100891913B1 (ko) * 2008-04-28 2009-04-08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0905973B1 (ko) * 2006-06-13 2009-07-06 강민수 이미지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광고하는 방법
KR100926123B1 (ko) * 2008-07-21 2009-11-11 강민수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955693B1 (ko) * 2001-11-27 2010-05-03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956517B1 (ko) * 2008-04-28 2010-05-06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56B1 (ko) * 2001-03-28 2008-12-05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하는 방법 및 그 광고 결합 서버
KR100955693B1 (ko) * 2001-11-27 2010-05-03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30061861A (ko) * 2002-01-12 2003-07-23 민병돈 텍스트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05973B1 (ko) * 2006-06-13 2009-07-06 강민수 이미지 콘텐츠에 상표 등의 표장 콘텐츠를 결합하여광고하는 방법
KR100891913B1 (ko) * 2008-04-28 2009-04-08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0956517B1 (ko) * 2008-04-28 2010-05-06 강민수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방법
KR100926123B1 (ko) * 2008-07-21 2009-11-11 강민수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8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aided research and shopping
JP5480389B2 (ja) 動的な検索提案および分類に特化した完了
US8296291B1 (en) Surfacing related user-provided content
WO200300920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transferable information packet
US73667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US20110082763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performing acts of trade and computer system therefor
JP2003162639A (ja) 銘柄選択支援装置
JP2004295267A (ja) 広告方法,及び、広告プログラム
JP2005056009A (ja)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60275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group-based merchandising and a one touch group checkout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369A (ko) 컨텐츠연관 쇼핑몰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US20040204987A1 (en) Customized catalog with on-line purchases
JP2009058988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装置、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およ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JP2011070288A (ja) 電子商取引における電子メール配信システム及び同電子メール配信方法
JP691501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2002099764A (ja)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
KR100357890B1 (ko) 비교 광고 및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100765A1 (ja) ウェブページ誘導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98799B1 (ko)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통합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100608A (ko) 질의 응답 게시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장치
JP2001344478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における商品購入システム,方法,仲介業者サーバおよび商品購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40064377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on content, and server executing same
JP2001175721A (ja) ネットワーク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ネットワーク通信販売方法並びにネットワーク商品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