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322A -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322A
KR20000037322A KR1020000020399A KR20000020399A KR20000037322A KR 20000037322 A KR20000037322 A KR 20000037322A KR 1020000020399 A KR1020000020399 A KR 1020000020399A KR 20000020399 A KR20000020399 A KR 20000020399A KR 20000037322 A KR20000037322 A KR 20000037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mily
identification number
user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연
Original Assignee
이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연 filed Critical 이구연
Priority to KR102000002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322A/ko
Priority to KR1020000035652A priority patent/KR20010007716A/ko
Publication of KR2000003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322A/ko
Priority to AU52729/01A priority patent/AU5272901A/en
Priority to CA002376941A priority patent/CA2376941A1/en
Priority to CN01802320A priority patent/CN1386240A/zh
Priority to PCT/KR2001/000644 priority patent/WO2001080112A1/en
Priority to JP2001577240A priority patent/JP2003531442A/ja
Priority to EP01926195A priority patent/EP1212720A1/en
Priority to US10/025,054 priority patent/US20020128857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제공되는 공적인 문서(세금고지서, 공문서)를 각 가정/기업의 구성원이 간단히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가정/기업에게 인터넷상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소별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소정 정보를 인터넷 또는 저장부에 기저장된 정보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 중 일반적, 보편적,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나 부호를 미리 정해져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주소별로 구별되는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패밀리 ID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각종 세금 및 공과금을 납부하기 위해 은행 등 수납금융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고지서 송달 비용 해소 및 행정능률 향상을 가져옴은 물론 전국 각 가정 및 기업별로 이메일 주소가 부여되어 있음으로 전자 정부 구현을 앞당길 수 있고, 거래처(서비스 대상)의 우편요금을 절감하여 경영수지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number,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식별번호 생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편번호, 전화번호, 사업자등록번호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또는 임의로 부여되는 공식적 번호를 사용하여 통신망에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국방성의 군사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된 아파넷(arpanet)에서 시작된 인터넷은 현재 세계각지의 수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쇄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매체 및 정보 제공매체가 되고 있다.
인터넷은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정보 전달 및 검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점차 인터넷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및 기업 광고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인터넷의 급부상으로 인해 현재 인터넷상에서 운용되는 웹사이트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수와 양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웹사이트는 개인이나 기업 또는 공공기관이나 국가 등에서 정보를 공유하거나 제공하는 것으로, 정보를 사거나 팔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등의 수많은 종류 및 방식을 갖추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최근 한국 통신 공사에서는 2000년 7월부터 전화요금을 인터넷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으며, 관세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방세를 인터넷으로 납부하는 제도를 채택시행하고 있다.
또한, 국세청에서는 소득세 신고를 인터넷으로 신고 받고 있으며, 법인 세무조정도 인터넷으로 신고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되는 인터넷으로 세금을 납부하는 방안은 이미 우편으로 고지된 세금을 단지 인터넷상에서 계좌이체를 통해 납부하는 방식만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고지(부과) 자체를 우편물 대신 인터넷으로 통지하고, 납세자(납부자)가 인터넷에서 확인하여, 바로 계좌이체, 지로납부, 또는 신용카드 등을 통하여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지금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때 각각의 세무서, 지방자치 단체, 신용카드회사, 보험회사, 의료보험공단, 통신회사, 도시가스공단, 상수도사업본부, 그리고 기타 거래처에서 통지되는 다수의 고지서 등을 사용자가 수령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해당 공단 및 거래처에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에 생성 받은 ID를 통해서 수령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개의 거래처인 각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회원으로 등록하여야 하며,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ID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미 사용되어 지고 있는 경우에는 또 다른 ID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ID를 생성 받아야만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다수개의 ID에 의해 고지서가 각각 수령되므로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기간 연장 시에 발생되는 고지서의 중복 수령에 따른 혼란으로 시간적, 경제적으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제공되는 공적인 문서를 각 가정/기업의 구성원이 간단히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가정/기업에게 인터넷상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일반 기업의 광고화면과 신제품 또는 기업의 경영에 소비자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 등을 회원의 이-메일에 제공함으로서 서비스 제공 대상인 국가, 지방자치단체, 통신회사 등은 우편요금을 절약하고, 국가 정책 등을 홍보할 수 있으며, 기업에게는 효과와 소비자의견을 기업 경영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는 무료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밀리 ID 생성 방법을 나타내 흐름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번호와 실지주소를 활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자 등록번호를 활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비스 제공자 110 : 중재부
120 : ID 생성부 130 : 회원 DB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별번호 생성을 위한 장치의 특징은 다수의 사용자 및 거래처와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중재역할을 담당하는 중재부와, 상기 중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되는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ID 생성부와, 상기 중재부를 통해 수신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ID 생성부와 저장부를 대응하여 회원과 데이터를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회원 DB와, 시스템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별번호 생성 방법의 특징은 사용자의 소정 정보를 인터넷 또는 저장부에 기저장된 정보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 중 일반적, 보편적,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나 부호를 미리 정해져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되는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패밀리 ID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우편번호와 실지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 번호 그리고 사업자 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 가능한 패밀리 ID를 생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생성된 패밀리 ID에 추가의 코드를 별도로 삽입하여 각 가정 또는 기업에 소속된 다수의 구성원 개인에게 별도의 개인별 ID를 생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에게 일반 기업의 광고화면과 설문조사를 회원의 이-메일에 추가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서비스 받을 대상을 선택하여 계속적, 안정적으로 금융거래를 인터넷에서 수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에서 제시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접속된 이용자가 사용자인지 또는 거래처인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거래처인 경우 일반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접속된 이용자가 사용자인 경우 회원여부를 회원 DB의 검색을 통해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제 2 판단 결과 비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입력창을 제공하여 소정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 및 회원 DB에 저장하여 회원으로 등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판단 결과 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회원에게 전송될 데이터의 유무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 전송될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는 회원 DB에 저장된 패밀리 ID를 이용하여 전송데이터를 회원 이-메일(E-mail)을 통해 송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식별번호(패밀리 ID)에 따라 각 가정/기업의 이-메일(E-mail) 주소가 공적으로 자리를 잡게되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각 가정/기업으로 우편을 통해 보내던 공적인 문서를 이-메일을 통하여 전자문서로 대체함으로서, 사용자는 소비경향 및 지출의 사전 예출이 가능하여 건전한 가계/기업 경영이 가능하고, 고지 납부에 따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고지서 송달 비용 해소 및 행정능률 향상을 가져오고 국가 정책을 홍보할 수 있으며, 전자 정부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다수의 사용자 및 거래처와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중재역할을 담당하는 중재부(110)와, 상기 중재부(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ID 생성부(120)와, 상기 중재부(110)를 통해 수신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상기 ID 생성부(120)와 저장부(140)를 대응하여 회원과 데이터를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회원 DB(130)와, 시스템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별번호 생성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밀리 ID 생성 방법을 나타내 흐름도 이다.
도 2를 보면 먼저, 사용자 또는 세무서, 지방자치단체, 신용카드회사, 보험회사, 의료보험공단, 통신회사, 도시가스공단, 상수도사업본부, 그리고 기타 거래처(이하 거래처라 칭함) 등이 서비스 제공자(100)가 제시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10).
그러면 서비스 제공자(100)는 접속된 이용자가 사용자인지 또는 거래처인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 결과 거래처인 경우 서비스 제공자(100)는 거래처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30).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는 자동차세, 면허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주민세, 가스요금, 상수도사용요금, 의료보험료, 국민연금, 자동차 할부금, 전화요금 등이다.
이어 서비스 제공자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S40).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접속된 이용자가 사용자인 경우 회원여부를 회원 DB(130)의 검색을 통해 판단한다(S50).
상기 회원여부 판단 결과 비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접속된 사용자에게 회원가입에 따른 절차 및 회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혜택 정보 등을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 등을 검색한 후 회원가입을 희망하면, 서비스 제공자(100)는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입력창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자(100)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입력하게 한다(S60).
이어 서비스 제공자(100)는 입력된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ID 생성부(120)를 통해 회원별 ID인 패밀리 ID를 생성하고(S70) 회원별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회원 DB(130)에 저장한다(S80).
이때 상기 ID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패밀리 ID는 일반적, 보편적,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나 부호를 이용하여 주소별로 구분 가능하도록 생성한다.
상기 사용되는 숫자나 부호로는 다음 세 가지를 활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편번호와 실지주소를 활용하여 세금 고지서 등의 공과금에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화번호를 활용하여 전화요금 납부시에 사용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도 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업자 등록 번호를 활용하여 기업 고지서 등의 공과금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은 도면 3a, 3b, 3c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첫 번째 방법인 우편번호와 실지주소를 활용하는 방법은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를 통해 입력된 정보 중 우편번호와 주소를 검출한다(S71).
이때,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6개 단위로 구성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우편번호는 발송용의 전측 3개의 숫자와 배달용이 후측 3개의 숫자를 합하여 6개의 숫자 단위로 구성되며, 우편번호의 전측의 첫 번째 단위는 특별(광역)시/도를, 두 번째 단위는 지역권을, 세 번째 단위는 시/군/구를 나타내고, 나머지 후측의 세 개의 단위는 000~599 범위가 동 단위를, 600~900 범위가 읍/면 단위를, 600~699 범위가 우편사서함을, 700~799 범위가 대형빌딩/아파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우편번호는 법률에 의거 체계적으로 부여하게 되어 있어서 본 발명은 우편번호를 코드화 한 후 실지 주소와 조합함으로서 실지주소와 일치되는 주소지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S72).
상기 주소지별 식별번호 생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송용의 전측 3개의 숫자는 전국 232개의 시/군/구를 구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입력 가능하고 또한 전국 232개의 시/군/구를 대표할 수 있는 다수 개로 구성된 기호체계 또는 문자체계(하나의 예로써, 영문)를 사용하여 전국 232개의 시/군/구를 코드화한다.
이 때 문자체계로써 영문의 26개 알파벳을 사용한다면 두 자리의 알파벳(aa∼zz : 262)으로 전국 232개 시/군/구를 대표하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자리의 알파벳만으로는 우편번호에서 배달용의 후측 3개의 숫자로 구분되는 900개의 동/읍(면)/우편사서함/기타(대형빌딩과 아파트)의 코드화를 실현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세 자리의 알파벳(aaa∼zzz : 263)으로 우편번호를 코드화한다.
그리고 코드화된 우편번호와 주소를 제외한 주소 번지의 수치를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식별번호가 생성된다.
여기서 우편번호에 대응되는 식별번호의 코드는 미리 전국 시/군/구별 그리고 동/읍(면)/우편사서함/기타(대형빌딩과 아파트) 별로 전국 우편번호 순서에 맞게 미리 정해져 있으며(예로써, 서울 강남구 개포동은 "aaa", 서울 강남구 개포1동은 "aab", 개포1동 주공1단지는 "aac", 서울 강남구 개포2동은 "aad", ..... , 서울 강남구 역삼동은 "abr", ....), 우편번호별 식별번호가 룩업테이블(look-up table)로 제작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추가된다.
따라서, 개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개인 정보에서 우편번호를 포함한 주소에서 우편번호를 검출한 후 그 검출된 우편번호와 대응되는 식별번호 코드를 룩업테이블로부터 읽어와서 주소 번지의 수치와 조합하여 해당 식별번호를 생성시키고 부여해 준다(S73).
하나의 예를 들어 입력된 개인 정보 중에서 소비자의 주소가 서울 강남구 개포 1동 주공 1단지 101동 1005호 인 경우라면, "서울 강남구 개포1동 주공1단지"는 우편번호 "135-770"으로 코드 "aac"로 대응되므로, "101동 1005호"의 수치를 코드 "aac"와 조합하여 "aac101_1005"의 주소지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이와 같이 생성된 주소지별 식별번호에 한 자리수의 코드를 더 추가함으로써 그 주소지의 가족 구성원에게 서로 다른 식별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대한 예로써, 상기에서 생성된 주소지별 식별번호 "aac101_1005"의 마지막 자리수 다음에 알파벳을 하나 또는 그 이상 더 사용하여 "aac101_1005a", "aac101_1005b", "aac101_1005c", ... 와 같이 개인별 식별번호를 생성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에서 생성된 주소지별 또는 개인별 식별번호를 토대로 "aac101_1005x@gucci.com"(여기서 x는 알파벳 x를 포함하여 a에서 z까지)와 같은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여 각 주소지별 또는 가족 구성원의 각 개인별로 부여한다.
두 번째 방법인 각 소비자의 전화번호를 활용하는 방법은 도 3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 두 번째로 입력된 각 소비자들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별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선 전화번호는 지역 전화국 별로 고유의 국번호가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검출한다(S74).
이때 모든 유선 전화번호는 지역번호를 포함하여 최대 12개의 숫자 단위로 구성되며, 전측의 최대 4자리 수는 지역을, 중간의 최대 4자리 수는 지역 전화국을, 나머지 후측의 4자리 수는 고유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유선 전화번호에서 전측 지역을 나타내는 4자리 숫자는 전국 145개의 지역번호를 구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두 자리의 기호체계 또는 문자체계(예로써, 영문 알파벳 aa∼zz : 262)를 사용하여 전국 145개 지역번호를 코드화하고 지역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8자리 번호의 수치와 조합하여(S75) 하나의 전화번호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예 : 02-333-4444의 식별번호는 "aa3334444")(S76).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 다른 예로써 더 많은 기호체계 또는 문자체계를 사용하여 지역번호와 지역 전화국 번호의 최대 8자리 수를 코드화하고 나머지 4자리의 고유일련번호의 수치와 조합하여 전화번호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의 두 가지 경우에도 생성된 전화번호별 식별번호를 토대로 인터넷 주소를 생성하여 각 주소지별로 부여한다(예 : aa3334444@gucci.com).
그러나 이동통신번호를 같이 고려할 경우에는 이동통신서비스 업체의 고유번호(예로써, 011, 016, 017, 018, 019)를 같이 고려하여 코드화하는데, 다시 말해서 유선 전화번호를 a, 011을 b, 016을 c, 017을 d, 018을 e, 019를 f로 정의하여 코드화하고, 유선 전화번호의 경우 지역번호와 지역 전화국 번호를 또는 이동 전화의 경우 업체 고유번호와 후측 4자리의 일련번호가 제외된 중간 최대 4자리 번호를 다음에 코드화하여 후측 4자리의 일련번호의 수치와 조합함으로써 전화번호별 식별번호가 생성된다(예 : 019-222-3333의 식별번호는 "fbbb3333").
이와 같이 각 이동통신서비스 업체별로 미리 정의된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전화번호를 코드화함으로써 전화번호별 식별번호가 생성되며, 그 생성된 식별번호를 토대로 인터넷 주소가 생성 부여된다(예 : 019-2222-3333의 인터넷 주소는 "fbbbb3333@gucci.com").
세 번째 방법인 사업자 등록번호를 활용하는 방법은 도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입력된 정보 중 사업자등록번호를 검출한다(S77).
이때 사업자등록번호는 세무서코드, 개인, 법인, 면세사업자 구분코드 및 일련번호로 구성되어 동일한 사업자등록번호는 생성되지 않는 고유체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이미 설명된 식별번호 생성 방식을 수정 적용시켜 고유체계로 되어있는 사업자등록번호를 코드화함으로써(S78) 사업자등록번호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S79).
여기서 검출된 사업자등록번호가 123-45-67890인 경우에, 1 은 지역 표시를, 23은 세무서코드 표시를, 45는 기업형태를, 6789는 일련번호를, 0은 오류여부검증번호를 나타낸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등록번호에서 전측 3자리와 가운데 2자리 숫자를 조합하여 코드화하고, 후측 일련번호와 조합하여 사업자등록번호별 식별번호를 생성한다.
즉, 123을 코드화하여 a로 나타내고, 45를 코드화하여 b로 나타내고, 나머지 일련번호의 수치와 조합하여 식별번호 "ab67890"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주소지별로 생성된 패밀리 ID는 회원별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회원 DB에 저장한다.
이때 한 가정 또는 기업에 다수의 구성원이 소속되어 있는 경우에 각 구성원에 따른 ID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정의 경우는 가장을 1로, 처를 2로, 자식들과 노부모 등을 3, 4, 5 ....등으로 미리 정의한 후 패밀리 ID에 추가하여 각 개인 ID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기업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정 코드를 각 구성원에게 부여하여 패밀리 ID에 추가하여 부서별 각 개인 ID로 사용 가능하다.
또 각 개인이 패밀리 ID와 별도로 자신의 별도의 ID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어 상기 회원여부 판단 결과 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는(S50) 거래처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140)를 통해 회원에게 전송될 데이터의 유무를 검색한다(S90).
그리고 전송될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는 회원 DB(130)에 저장된 패밀리 ID를 통해 전송데이터를 회원 이-메일(E-mail)을 통해 송부한다(S110).
이때 1999년 2월에 시행된 전자서명법(법률 제 5729호) 시행 및 보안시스템의 개발로 공적인 문서를 인터넷을 통하여 전자문서로 발송할 수 있는 인터넷 및 정보통신 주변여건이 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의 실용화가 인증된 셈이다.
이어 서비스 제공자(100)는 회원에게 송부된 전송데이터에 전송확인 표시를 통해 일정기간동안 임시로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일정기간이 경과 후에 회원의 결제 경과를 통해 삭제할 것인지 또는 재 송부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판단은 회원이 결제를 완료한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판단 결과 회원이 결제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추가 비용을 삽입하여 재 송부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100)는 일정 시간단위로 저장부(140)를 검색하고 임의의 회원에게 전송된 데이터가 발생하면 회원 DB(130)에 생성된 패밀리 ID를 통해 해당 회원의 이-메일에 송부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별도의 수수료나 서비스료를 받지 않고, 일반 기업의 광고화면을 회원의 이-메일에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광고주에게 소정의 광고료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의 ID 생성 방법을 통해 주소지별로 생성된 패밀리 ID가 각 가정과 기업에 보급되어 행정사무에 활용하여 현재의 인터넷망에 적용함으로써 행정의 일대 변혁을 가져올 것이며, 또한 전자정부의 실현을 앞당김으로서 우리나라가 정보 통신 강국으로 대두되는 등 일대 행정개혁의 전기가 될 것이다.
그에 따라 고지서 감축으로 인한 고지서 인쇄, 송달 무제가 해결되어 송달인력 및 우편료등 발송비용이 절감될 것이다.
그리고 기업 및 납세자의 기회비용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인터넷 통해 물건을 사고 팔 때, 주소지별로 구분된 패밀리 ID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는 별도의 개인 정보 입력에 따른 불편함을 줄이고, 판매자는 사용자의 패밀리 ID를 통해 사용자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되어 홈쇼핑 제도의 정착을 가져올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소지별로 구분되는 패밀리 ID를 사용함으로서 가족 및 기업의 경제활동을 소비경향 및 지출예상을 분석하는 등 사전예측에 의거할 수 있어 건전한 가계(기업)경영을 할 수 있다.
둘째, 사용자 및 거래처는 별도의 고지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사용자는 홈뱅킹에 의거 수령 및 납부가능하기 때문에 은행에 가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거래처는 고지서 송달 비용 해소 및 행정능률 향상을 가져온다.
다섯째, 수납에 따른 장표 이송(수납점-〉본점-〉주거래은행-〉징수기관) 및 장표확인등 과다한 행정적 낭비용인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국민들의 기회비용절감은 약 6,700억원이 절감되는데, 그 산출근거는 시간당 평균 임금(3,787원, 1 인당 GNP/연간 근무시간) X 건당 소요시간(1시간) X 연간 수납건수(177만건)이다.
또한, 은행 등 수납금융기관의 수지 개선에 기여됨으로서 국민경제를 살찌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다수의 사용자 및 거래처와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중재역할을 담당하는 중재부와,
    상기 중재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또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되는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ID 생성부와,
    상기 중재부를 통해 수신된 거래처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에게 전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ID 생성부와 저장부를 대응하여 회원과 데이터를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회원 DB와,
    시스템 전체를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별번호 생성을 위한 장치.
  2. 사용자의 소정 정보를 인터넷 또는 저장부에 기저장된 정보를 통해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정보 중 일반적, 보편적,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숫자나 부호를 미리 정해져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되는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패밀리 ID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자동차세, 면허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주민세, 가스요금, 상수도사용요금, 의료보험료, 국민연금, 자동차 할부금, 그리고 전화요금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밀리 ID 생성 단계는
    회원이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중재부를 통해 ID 생성부로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ID 생성부로 입력된 정보 중 주소지별로 구분된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미리 정의된 코드를 통해 코드화 및 수치화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화 및 수치화된 해당 정보를 조합하여 패밀리 ID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정보는 우편번호와 실지주소, 전화번호 그리고 사업자 등록 번호, 주민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주소지별로 식별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밀리 ID 생성은 생성된 패밀리 ID에 추가의 코드를 별도로 조합하여 각 가정 또는 기업에 소속된 다수의 구성원 개인에게 별도의 개인별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일반 기업의 광고화면을 회원의 이-메일에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번호 생성 방법.
KR1020000020399A 2000-04-18 2000-04-18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00037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399A KR20000037322A (ko) 2000-04-18 2000-04-18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0000035652A KR20010007716A (ko) 2000-04-18 2000-06-27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식별번호 생성 장치
AU52729/01A AU5272901A (en) 2000-04-18 2001-04-18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same
CA002376941A CA2376941A1 (en) 2000-04-18 2001-04-18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same
CN01802320A CN1386240A (zh) 2000-04-18 2001-04-18 产生标识码的方法和用其提供电子通知书服务与电子仪表读数服务的系统和方法
PCT/KR2001/000644 WO2001080112A1 (en) 2000-04-18 2001-04-18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same
JP2001577240A JP2003531442A (ja) 2000-04-18 2001-04-18 識別番号生成方法とこれを用いた電子告知および電子検針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01926195A EP1212720A1 (en) 2000-04-18 2001-04-18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same
US10/025,054 US20020128857A1 (en) 2000-04-18 2001-12-18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vice b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399A KR20000037322A (ko) 2000-04-18 2000-04-18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322A true KR20000037322A (ko) 2000-07-05

Family

ID=1966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399A KR20000037322A (ko) 2000-04-18 2000-04-18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3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51A (ko) * 2000-10-24 2002-05-03 윤재풍 전자 문서 발신 방법에 관한 새로운 인터넷 써비스 사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51A (ko) * 2000-10-24 2002-05-03 윤재풍 전자 문서 발신 방법에 관한 새로운 인터넷 써비스 사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3876B (zh) 一种信息管理方法
US8010451B1 (en) Effecting financial transactions
US200902544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US20060184585A1 (en) Communication point delivery instructions
KR102173129B1 (ko) 지역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A2376941A1 (en) Method for produc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and system for giving electronic notice service and electronic meter reading service by using the same
AU358080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20200013098A1 (en) Invoice classification and approval system
Shafiyah et al. Review on electronic commerce
Ngugi et al.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explaining the strategic factors responsible for mobile product innovation success in an emerging african market
KR20000037322A (ko)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010007716A (ko) 식별번호 생성 방법 및 식별번호 생성 장치
KR102080769B1 (ko) 금융식별코드 기반 금융정보 마이닝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7323A (ko) 전자고지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158367B1 (ko) 지역화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39786A1 (en) System for maintaining regulatory compliance of communication point data
Shymon et al. Protection of consumer rights in the world wide web in the context of ensuring sustainable well being
US20060184586A1 (en) Communication point relationship scheduling
US20220230153A1 (en) Payment manager having data enrichment tool
Fadillah et al.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How WeChat Become Indonesian Students Favorite Using Daily in China
KR100601798B1 (ko)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Ukoh INFORMATION TECHNOLOGY AND PERFORMANCE OF DEPOSIT MONEY BANKS IN NIGERIA
Sane et al. Should consumers be prohibited from storing card data on the internet?
US20070237315A1 (en) System for maintaining type and/or status information for a party - communication point relationship
CN114691733A (zh) 识别目标对象并触发后续服务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