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798B1 -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798B1
KR100601798B1 KR1020060026412A KR20060026412A KR100601798B1 KR 100601798 B1 KR100601798 B1 KR 100601798B1 KR 1020060026412 A KR1020060026412 A KR 1020060026412A KR 20060026412 A KR20060026412 A KR 20060026412A KR 100601798 B1 KR100601798 B1 KR 10060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payment
linked
accounts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672A (ko
Inventor
허인구
정용욱
차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나라
허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나라, 허인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나라
Priority to KR102006002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7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의 정의에 의해 기존의 가입계좌들이나 신설된 복수의 계좌를 임의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결제 시스템을 구성하여, 단일의 가입 계좌에 대해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또 다른 계좌들을 복잡한 계좌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결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입자가 단일의 대표계좌를 결제하는 경우에 상기 대표계좌와 함께 동시에 연동계좌들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는, 자신의 계좌로 연동계좌가 제공되어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개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의 구분 및 관리는 가입 금융기관이 부여하는 개별 계좌번호 및 계좌특정코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므로, 기존 은행간의 결제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연동계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지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외부 결제망으로는 기존의 데이터 형식을 그대로 활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가입자 및 금융기관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현저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금융결제시스템, 계좌, 연동계좌, 대표계좌, 지불게이트웨이, 가입자, 금융기관

Description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Bank transaction method linking plural accounts}
도1은 종래의 단일 계좌를 통해 현금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설명도
도2는 종래의 가입카드 등을 결제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데이터의 흐름
도3은 종래의 결제 구조의 결제 흐름도
도4는 종래의 가입카드 등을 결제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데이터의 흐름
도5는 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
도6은 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에서 외부망 접속허브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흐름
도7은 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에서 지불게이트웨이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흐름
도8은 기존의 금융계좌 가입자 구조
도9는 기존의 계좌 결제 구조의 결제 구성
도10은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
도11은 본 발명의 예금 계좌번호 할당의 일실시예
도12는 본 발명의 개별 계좌들의 명칭 예시
도13은 본 발명의 계좌들이 개설되어 있는 금융기관에서 계좌 한정코드를 구분하는 일실시예
도14~도20은 본 발명의 ARS 메시지를 통한 연동계좌 서비스의 흐름
도20~도27은 본 발명의 단문 서비스내지 인터넷을 통한 연동계좌 서비스의 흐름
도28은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을 연동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도29는 본 발명의 구성에서 외부망 접속허브를 통해 결제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
도30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지불게이트웨이를 통해 결제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
오늘날 금융기관의 고객, 즉 가입자들은 여러 금융기관에 대해 복수의 계좌를 개설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존의 가입자들은 가입 금융기관별로 각각 결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가입 금융기관별 계좌번호들과 비밀번호 등을 기억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고, 금융기관간의 온라인 결제도 가능하나 허용되는 시간이라든지 제공되는 서비스가 금융기관 각각의 조건에 따라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가입자들이 개설한 계좌는, 비록 단일의 가입자가 개설하고 있는 복수의 계좌를 하나의 계좌로 통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실제에 있어서는 가입자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실용성에 있어 무의미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계좌로 통합되면 오히려 관리의 불편성만 가중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종래 금융계좌를 이용하는 결제관련 기술로는, 가상계좌를 생성/운용하여 카드 와 전자화폐의 재충전을 할 수 있고 가상계좌를 이용하여 각 발행사 내부에서의 비 은행권으로서 은행의 기능을 수행 도록 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107852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가상계좌를 통한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및 은행이 해당 계좌의 번호를 모두 기억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그 결제도 다수의 계좌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가입자에게는 그만큼의 복잡성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97303호는,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의 발행을 신청한 클라이언트(master)로부터 차후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의 사용에 대한 대금을 이체시킬 은행계좌번호와 상기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를 사용할 제3의 클라이언트들(slaves)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등)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계좌가 있는 해당 은행에 상기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 발행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여 발행심사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클라이언트(master)가 신청한 다수 개의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를 발행하여 상기 클라이언트(master)로부터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를 제공받은 클라이언트들(slaves)이 인터넷 상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3의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한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에 대한 대금 결제는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의 발행을 신청한 상기 클라이언트(master)의 상기 은행계좌를 통해 그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상기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의 발행 신청 클라이언트(master)는 사이버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를 사용할 제3의 클라이언트의 연령(미성년의 경우)에 따라 접속 또는 이용 (불)가능한 웹사이트를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 발행 당시 미리 정해 놓고 상기 사용자(미성년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무분별한 분할 계좌(또는 직불카드) 사용을 규제 및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나, 이 또한 가입자가 해당 계좌의 번호를 모두 기억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복수의 계좌를 통해 이루어지는 결제를 가입자가 일일이 처리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31531호는 복수개의 제휴기관서버와; 가상계좌를 관리하고, 가상계좌에 대한 모계좌를 관리하는 복수개의 금융기관 서버와 상기 복수개의 제휴기관 서버와, 복수개의 금융기관서버의 금융 업무를 중계관리하는 중계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계좌 중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나, 거래발생시 거래마다 고유한 가상계좌를 부여하기 때문에 계좌 개설 및 거래를 예측할 수 없고, 거래 종료 후에도 가상계좌가 남아있게 되어 그 관리가 불편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개설되는 가상 계좌도 기관 대 기관 규모로 제한되어 개인적 용도로는 활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72676호는, 은행에 가상의 계좌를 마련하여 계좌번호 없이 수금자의 이메일로 금액을 송금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계좌를 전자상거래의 결제수단 또는 전자지갑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은행의 가상계좌를 이용한 금융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나, 이는 통장을 발행하지 않고 이메일을 통해 거래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급 보증 등의 추가 단계가 필요하고 가입자가 일일이 이메일로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복수의 계좌를 결제하는 경우 그 관리의 곤란성 및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00616호는, 주 결제계좌 와 다수개의 보조 결제계좌를 이용한 통신망 계좌이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금액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제계좌 가입자가 소유한 주 결제계좌 와 별도로 평상시에는 잔액이 존재하지 않는 다수개의 보조 결제계좌(예: 제1보조 결제계좌, 제2보조 결제계좌, 제3보조 결제계좌)를 각각 발급 받아 결제계좌 가입자가 인터넷 접속장비(컴퓨터, 무선인터넷 단말기 등)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품 검색 또는 비지니스를 통하여 상품구입 이나 상거래 업무를 협약한 후에 결제를 위하여 결제계좌 발행기관의 네트워크 전산망 서버 시스템에 유.무선 전화기를 사용하여 자동이체 통신망시스템 (ARS: 자동응답 서비스 또는 텔레뱅킹 서비스)으로 주 결제계좌에서 다수개의 보조 결제계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보조 결제계좌로 결제할 금액을 자동이체하여 전자 상거래 사이트의 결제 입력란에 보조 결제계좌의 계좌번호 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결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역시 이 방법도 사용자가 쇼핑몰 등의 결제를 위한 별도의 계좌를 증설하는 정도로서, 가입자가 보조결제 계좌를 통해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입자 및 은행이 해당 계좌의 번호를 모두 기억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그 결제도 다수의 계좌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가입자에게는 그만큼의 복잡성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24646호는, 기존의 은행영업점 개설중심의 계좌가 아닌 제휴기관의 필요에 따라 가상계좌를 대량으로 개설토록 하는 것으로 가상계좌는 제휴기관의 고객에게 부여되고 이는 각 고객의 인식번호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제휴기관이 각종 대금의 입금 및 출금 등의 금융서비스를 원하는 고객별로 주은행의 계좌와 동일하여 어느 은행에서도 입금 가능한 유일한 계좌번호를 배정하여 제휴기관의 업무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가상계좌 서비스에 관한 것이나, 개설되는 가상 계좌가 제휴기관으로부터 고객에게 부여되므로 고객의 필요에 따른 개설이 제한적이고 단순히 기존의 은행영업점에서 개설되는 계좌를 제휴기관이 할당받아 일괄 관리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으므로 가입자에게는 또 다른 종래의 계좌가 부여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결제를 가입자가 일일이 기존의 결제방법으로 처리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입자의 정의에 의해 기존의 가입계좌들이나 신설된 복수의 계좌를 임의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결제 시스템을 구성하여, 단일의 가입 계좌에 대해 가입자가 필요로 하는 또 다른 계좌들을 복잡한 계좌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결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가입 계좌와 기존의 가입계좌들이나 신설된 복수의 계좌들이 가입자에 의해 용이하게 연동되도록 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입자의 필요에 따라, 단일의 가입 계좌와 연계된 신설 계좌들을 통합하거나 개개의 거래 계좌로 구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가 단일의 대표계좌를 결제하는 경우에 상기 대표계좌와 함께 동시에 연동계좌들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를 지정하고, 자신의 계좌로 연동계좌가 제공되어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개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가입자의 계좌는 대표계좌로서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입자는 연동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데, 이들 중 하나는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로 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계좌를 통해 복수의 다른 계좌를 개설하고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구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입자가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때, 동시에 연동계좌들도 조회되고 결제되도록 연동되어 가입 계좌별로 조회하고 결제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연동계좌들을 조회하고 결제할 경우는, 연동계좌들의 계좌번호내지는 대표계좌의 가입자에 의해 명명된 명칭으로 개별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도 있으므로 계좌번호를 모두 기억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는 연동계좌들 중의 하나이며, 상기 다른 가입자는 상기 지정된 계좌 이외의 대표계좌와 다른 연동계좌는 조회 및 결제를 제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는 지정된 연동계좌의 계좌번호로 결제를 하나, 결제기관에 따라서 가입 금융기관이 계좌에 부가한 계좌특정코드를 참조하여 다른 연동계좌로부터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가입자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의 구분 및 관리는 가입 금융기관이 부여하는 개별 계좌번호 및 계좌특정코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므로, 기존 은행간의 결제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연동계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지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외부 결제망으로는 기존의 데이터 형식을 그대로 활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입자 및 금융기관의 편의를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단일 계좌를 통해 현금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설명도이다. 도1의 예시는, 가입자의 거래은행과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 등의 가입카드에 의해 지불대상기관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결제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도1은 현금카드의 가치를 충전하는 결제의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도1의 결제 구조는 가입자, 가입자 거래은행, 지불대상기관, 지불대상기관 거래은행간의 거래로 이루어지며, 특히 은행과 은행 또는 지불대상기관 사이의 모든 결제정보는 결제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결제 게이트웨이는 금융결제원 중계센터가 담당하고 있다.
도2는 종래의 기술로서, 가입카드 등을 결제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가입카드는 통신단말기, 일반단말기, 특수단말기, 교통단말기 및 기타단말기로 결제될 수 있으며, 매 결제 시 그 내역이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금융결제원 중계센터의 결제게이트웨이를 통해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비롯한 고객거래은행과 가맹점거래은행에 통보되어 결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3은 앞의 도1에 제시된 종래의 결제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결제 흐름도이다. 먼저 가입자가 결제정보를 지불대상기관에 통보(S1)하면 지불대상기관은 이를 결제 게이트웨이에 전송(S2)하고, 결제 게이트웨이는 결제정보를 토대로 해당 가입자 거래은행에 결제정보와 함께 출금지시를 전송(S3)한다. 가입자 거래은행은 결제정보 및 출금지시에 대해 해당 계좌를 조회하고 그 여부에 따른 출금결과를 결제 게이트웨이에 전송(S4)하며 이 출금결과는 지불대상기관을 통해 가입자에게 통보된다.(S5)(S6) 또한 결제 게이트웨이는 지불대상기관의 계좌정보 및 거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정보를 지불대상기관에 제공(S6')하며, 동시에 지불대상기관에 입금을 지시(S7)하여 가입자의 계좌나 카드로 입금(S8)이 이루어진다. 이때 지불대상기관은 가입자로부터의 주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지불대상기관 거래은행에 전송(S8')함으로써, 지불대상기관 거래은행이 결제 게이트웨이로부터 받은 DB자료(S6')와 주문정보 데이터베이스(S8')를 비교하고 저장하여 결제를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도2에 제시된 종래의 기술로서, 가입카드 등을 결제 단말기를 통해 사용할 때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고객의 거래은행을 통해 가치가 충전(S10)된 카드로 구매가 발생(S11)되는 경우, 단말기로 거래내역이 금융결제원의 결제 게이트웨이에 전송(S12)된다. 이 때 금융결제원의 게이트웨이는 거래내역을 참조하여 가맹점의 거래은행으로 거래내역처리를 요청(S13)한다. 그리고 금융결제원의 게이트웨이는 고객의 거래은행과 가맹점 거래은행에 각각 자금정산내역을 통지(S14),(S15)하고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으로는 자금정산의뢰(S16)를 하게 된다. 자금정산의뢰(S16)를 받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다시 고객거래은행과 가맹점거래은행으로 자금정산을 통보(S17)(S18)하며, 이 결과로 가맹점거래은행으로부터 단말기로 가입카드가 결제된 계좌로 판매대금의 입금(S19)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도1부터 도4에 걸쳐 설명된 종래의 결제과정은 본 명세서에서는 가치가 충전되는 카드를 예로서 인용하였으나, 그 이외의 신용거래나 계좌를 이용하는 결제에 있어서도 개개의 결제단말기, 금융기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 등은 모두 금융결제원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어 동일한 결제경로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결제과정은 현행의 결제 체제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결제를 위한 기존의 전산망의 구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고객거래은행을 중심으로 하여 도시화된 현행(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 내지 도4에 걸쳐 전술한 결제구조에서, 고객거래은행의 모든 결제를 담당하는 주전산기(700)에는 계좌 데이터베이스(800)가 연결되어 있는 데, 이 계좌 데이터베이스(800)에는 고객들의 계좌정보가 주전산기(700)에 의해 저장되고 관리된다. 주전산기(700)는 통상적으로 두 가지의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데, 하나는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된 금융결제원의 지불게이트웨이(900)와 연결된 경로이고, 또 다른 하나는 외부망 접속허브(600)로 접속되는 외부 결제기기들이다. 외부망 접속허브(600)는 방화벽 등의 보안 기능이 겸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있으나, 도5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대표적인 외부 결제기기로는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하여 연결된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의 DTMF 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를 외부망 접속허브(6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전달하는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창구 단말기를 비롯한 다양한 결제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금융결제원의 지불게이트웨이(900)는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등과 연결되어 은행간 거래가 이루어지며 개개의 은행(1000),(1200)에는 각각의 고객 계좌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0),(1300)로 구동된다. 도5에서는 지불게이트웨이(900)에 은행전산기(1000),(1200)들이 연결되어 있으나, 전술한 카드 결제단말기 등도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고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이 연결될 수도 있다.
도6은 도5의 현행(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에서 외부망 접속허브(600)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낸다.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한 단말기(100), ARS서버(400)를 통한 유무선전화(300), ATM단말기(500) 들로부터 결제요청(S701)이 발생하면, 이를 접수한 주전산기(700)는 해당 결제요청이 접수된 기기로 계좌데이터 요구(S702)를 보낸다.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S703) 등의 계좌데이터가 주전산기(700)로 보내지고, 주전산기(700)는 이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를 계좌 데이터베이스(800)에서 검색하여 연결(S704)한다. 이어서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 부수적인 결제정보 및 결제금액(S705)이 수신되면, 해당계좌를 정리(S708)하게 된다. 만약 결제정보를 참조한 결과, 타행 계좌 이체와 같은 타 은행과의 거래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계좌이체정보(S706)를 주전산기(700)가 지불게이트웨이(900)로 전송하여 해당 은행의 승인(S707)을 획득한 후, 해당계좌정리(S708)를 수행한다.
도7은 도5의 현행(종래)의 금융결제 시스템에서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낸다.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는 카드 결제단말기,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들로부터 결제요청(S711)이 발생하면, 이를 접수한 주전산기(700)는 해당 결제요청이 발생된 전산기나 단말기로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계좌데이터 요구(S712)를 보낸다.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는 계좌번호(S713) 등의 계좌데이터가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보내지고, 주전산기(700)는 이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를 계좌 데이터베이스(800)에서 검색하여 연결(S714)한다. 이 경우는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는 카드 결제단말기,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들에서 이미 비밀번호 등으로 고객이 인증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므로 비밀번호 등을 재차 확인할 필요는 없으며, 출금과 같은 결제에서는 필요에 따라 비밀번호를 부가할 수도 있다. 이어서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부수적인 결제정보, 즉, 결제기기의 가입번호 및 결제금액(S715) 등이 수신되면, 계좌를 확인하여 승인정보(S716)를 전송하고, 해당계좌를 정리(S717)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해당계좌에는 잔액뿐만이 아니고, 일회 결제 한도액이라든지, 일일 결제횟수, 결제 기관의 선택 등 부수적인 정보를 추가하여 금융전산망을 통해 요청된 결제를 제한적 내지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제 구조는 주전산기(700)가 구비된 단일 금융기관이 외부와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야 하며, 이에 대한 변형이나 개선을 위해서는 전면적인 변경을 요구하므로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개개인의 입장에서 고려하면, 오늘날 금융기관의 고객, 즉 가입자들은 여러 금융기관에 대해 복수의 계좌를 개설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기존의 가입자들은 가입 금융기관별로 각각 결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가입 금융기관별 계좌번호들과 비밀번호 등을 기억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고, 금융기관간의 온라인 결제도 가능하나 허용되는 시간이라든지 제공되는 서비스가 금융기관 각각의 조건에 따라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가입자들이 개설한 계좌는, 비록 단일의 가입자가 개설하고 있는 복수의 계좌를 하나의 계좌로 통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실제에 있어서는 가입자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실용성에 있어 무의미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계좌로 통합되면 오히려 관리의 불편성만 가중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도8을 통해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은 기존의 금융계좌 가입자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계 가입자의 경우를 대표하여 가입자 자신의 계좌A(801), 가입자의 가족의 계좌B(802), 그리고/또는 가입자의 자녀A의 계좌(803), 가입자의 자녀B의 계좌(804) 등이 있을 때, 각각의 계좌는 카드 등을 지불수단으로 하거나 현금 거래의 방법으로 지불대상이 있다. 도8에서는 가입자 자신의 계좌A(801)로부터의 지불대상이 각각 A, B, C가 있고, 가입자의 가족의 계좌B(802)는 지불대상D, E, 그리고/또는 가입자의 자녀A의 계좌(803)는 지불대상 F, G, 가입자의 자녀B의 계좌(804)는 지불대상 H, I, J 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구조에서, 가입자가 전체를 대표하는 경우, 즉, 경제적으로 가계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가입자라면, 때에 따라서는 가입자 자신의 지불대상 A, B, C 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가족의 지불대상D, 그리고/또는 가입자의 자녀A의 지불대상 F, 가입자의 자녀B의 지불대상 H 등에 대한 결제를 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가입자의 자녀 A와 B의 학교 등록금, 학원비, 부인의 신용카드 결제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가입자의 자녀 A와 B의 학교 등록금, 학원비 등은 사실상 자녀에 의해 납입기관에 운반만 되는 것에 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전달과정에서 갖가지의 사고 등이 일어나온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은행의 지로나 공과금 및 납입금 창구를 통해 결제할 수도 있었으나, 금융기관간 결제의 구조가 방만하고, 지불받고자 하는 학교 등의 계좌로 이체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관리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정산 결과를 알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9에서, 전술한 도8의 계좌 결제 구조 중 가입자의 자녀B만의 계좌D(804)의 결제 구성을 추출하여 도시한다. 도9에서 지불대상 I와 지불대상 J는 가입자의 자녀B가 자신의 계좌D(804)로부터 결제하는 일반대상을 의미하고 가입자의 계좌A(801)로부터 결제되는 지불대상H는 비록 가입자의 자녀B의 명의로 청구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실상의 결제는 가입자 계좌A(801)로부터 이루어지는 등록금이나 학원비 등의 지불대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8과 도9에 제시된 종래 가입자는 계좌A(801)로부터 지불되어야 하는 대상이 다수 존재하게 되고, 개개의 결제 대상별로 기일을 한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금전적, 시기적 관리의 곤란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을 도10에 제시한다. 도10의 구조는 전술한 도9의 종래의 결제 구조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가입자의 계좌는 이미 가입한 계좌이거나 신규로 가입한 일반계좌로서, 본 발명에서는 대표계좌(1500)로 칭한다. 그리고 가입자의 자녀B의 명으로 가입된 계좌인 연동계좌A(1600)가 있다. 아울러 연동계좌B(1700)와 연동계좌C(1800)가 신규하게 가입 설정된다. 가입자는 대표계좌(1500)를 결제할 때, 전술한 도5의 구성을 통해 일반 계좌와 마찬가지로 통장 또는 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버(200)를 통한 단말기(100), ARS 서버(400)를 경유하는 유무선 전화(300), ATM단말기(500)등을 사용한다. 또한 연동계좌A(1600)도 마찬가지로 가입자의 자녀B에 의해, 일반 계좌와 마찬가지로 통장 또는 카드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버(200)를 통한 단말기(100), ARS 서버(400)를 경유하는 유무선 전화(300), ATM단말기(500)등으로써 결제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은, 가입자가 상기의 대표계좌(1500)를 결제하는 경우에 대표계좌(1500)와 함께 동시에 연동계좌A(1600), 연동계좌B(1700), 연동계좌C(1800)를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가입자의 자녀B는, 자신의 계좌인 연동계좌A(1600)만이 제공되도록 하나, 지불대상에 따라서 연동계좌B(1700)나 연동계좌C(1800)로 연결되어 개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계좌의 구분이 선행되어야 하며, 도11에는 예금 계좌번호 할당의 일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다. 보편적인 계좌번호는 은행(지점)번호라고 불리는 고유번호와, 예금의 종류(예를 들면, 보통예금, 저축예금, 단좌예금, 정기예금 등)를 나타내는 숫자, 해당계좌의 일련번호, 그리고 전체 계좌번호의 전산 오류를 체크하기 위해 CRC 코드 등을 이용하는 오류체크를 위한 숫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계좌번호의 할당은 각각의 번호 할당에 있어 자릿수의 제한이나 그 할당된 숫자의 배치 순서에 있어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자리를 더 추가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결제를 수행하는 계좌를 구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로서는, 도11에의 예금의 종류를 의미하는 코드를 여타의 계좌에서 사용하지 않는 번호를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의 예에서는 '77'번을 예로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대표계좌번호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그 중 하나의 실시예로서, 끝자리가 '0'번인 번호로만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가입자 자녀B의 계좌번호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할당된다. 도11의 예를 보면, 계좌일련번호의 끝자리가 '1'번인 계좌로 설정되도록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계좌번호의 끝자리가 '0'번인 하나의 대표계좌는, 앞의 계좌번호는 같고 끝자리가 '1'번인 연동계좌를 갖는다. 도11의 예시에서는 나머지 8개의 계좌가 존재하게 되는 데, 이들은 모두 연동계좌로 할당될 수 있으며, 가입자의 대표계좌와 모두 연동이 된다. 다만 가입자 자녀B는 끝자리가 '1'인 연동계좌만을 입금, 출금 및 카드 등의 일반 결제계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연동계좌는 지불대상이 미리 정해진 지불대상 특정계좌로 한정된다. 이러한 지불대상 특정계좌와 대표계좌, 그리고 가입자 자녀B의 계좌는, 각각의 계좌번호(통장번호)외에, 해당 금융기관에서 구분하기 위한 계좌한정코드가 더 추가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11에서는, 개별 계좌들의 고유 계좌번호와 함께 계좌 한정코드가 추가된 일실시를 나타내는 데, 계좌한정코드가 '00'이면 대표계좌번호, '01'이면 연동계좌A로 구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 다른 계좌 한정코드들은 지불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금융기관의 결제 관리번호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12에서는 이와 같은 개별 계좌들의 명칭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전술한 예금 계좌번호 할당에 따르면 계좌일련번호의 끝자리가 '0'번인 대표계좌의 가입자는 '홍길동'일 때, '홍길동'의 자녀인 '홍경래'의 계좌는 계좌일련번호의 끝자리가 '1'번인 연동계좌가 된다. 이 때 대표계좌의 가입자인 '홍길동'은, 후술될 구성에 의해 '홍경래'의 계좌를 포함하는 전체 연동계좌를 결제할 수 있는 데, 각각의 연동계좌는 '홍경래'의 계좌는 '홍경래의 용돈', 나머지 연동계좌들은 도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불대상이 특정되어, 각각 '홍경래의 등록금', '홍경래의 학원'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수의 계좌들은 별도의 가입 과정을 통해 이와 같이 명명할 수 있도록 되는 데, 상기 별도의 과정이란 오프라인 방식의 창구를 통한 접수의 방법이 있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이나 ARS 또는 이동통신 등을 통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13은 상기의 계좌들이 개설되어 있는 금융기관에서 계좌 한정코드를 구분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계좌한정코드가 '00'인 계좌는 가입자계좌로서, 도11과 도12에서 설명된 해당계좌일련번호의 대표계좌이다. 이 대표계좌는 도10 내지 도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시에 대표계좌를 포함하여 모든 연동계좌를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 있으며, 개개의 계좌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대표계좌의 가입자에 의해 명명된 명칭으로 개별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도 있다. 계좌한정코드가 '01'인 계좌는 연동계좌들 중 하나로서, 또 다른 가입자의 일반 계좌로 사용된다. 그리고 나머지의 연동계좌들은 대표계좌의 가입자에 의해 지불대상이 특정된 계좌, 즉 특정한 경제대상만이 연결될 수 있는 연동계좌들이다.
도13의 예에서는 '99'번이 학교, '98'번이 공인학원, '97'번 이동통신요금, '96'번은 교통카드 요금 등으로 제시되어 있는 데, 이들 지불대상특정계좌들은 지정된 결제 대상만의 결제가 이루어지는 계좌이다. 다시 말해서, 계좌한정코드가 '01'인 계좌를 부여받은 다른 가입자(전술한 예에서는 가입자의 자녀B)는 계좌한정코드 '01'번만을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 있다. 다만 학교, 학원, 이동통신, 교통카드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결제기관들이 계좌특정코드가 '01'인 계좌를 부여받은 다른 가입자의 카드 결제 등의 청구를 할 경우, 가입자 금융기관은 이를 계좌한정코드와 비교하여 해당되는 계좌에서 결제를 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계좌번호를 10진수로 하고,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의 끝번호 한자리로 구분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대표계좌번호를 100단위나 1000단위의 숫자로 하고 연동계좌의 그룹을 각각10단위나 100단위로 할당하여 개별 연동계좌들을 해당 10단위에서는 계좌번호의 끝자리수 1~9, 100단위에서는 01~99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계좌일련번호의 선두자리나 중간 소정의 자리를 할당하여도 동일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입 금융기관의 전산처리를 기준으로 하여 2진수로 변환된 계좌번호의 소정의 자리 수, 즉 예를 들자면 2진수로 계좌번호의 일부자리수가 '0000'인 계좌를 대표계좌, '0001'을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 , 나머지를 연동계좌의 번호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진법에 의해 계좌번호의 구분으로 설명하면, N진법으로 L자리의 전체계좌번호에 대해, L보다 작은 자리수인 M자리의 일부분 자리수를 할당하여 그중 하나를 대표계좌로 할당하고, 또 다른 하나를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로 하며, L보다 작은 자리수인 M자리로 표현되는 경우의 수로 표현되는 계좌번호 그룹들 중 전술한 2개의 계좌를 제외한 나머지 계좌번호를 나머지 연동계좌의 번호로 부여함으로써 본 발명의 계좌할당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계좌번호의 할당 규칙에 의하면 하나의 대표계좌에 대해,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를 복수로 하고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별로 각각 연동계좌들을 구비하도록 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상기 계좌들의 구성상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입자의 계좌는 대표계좌로서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수 있다.
둘째, 가입자는 연동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데, 이들 중 하나는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로 할 수 있다.
셋째, 가입자가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때, 동시에 연동계좌들도 조회되고 결제되도록 연동된다.
넷째,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연동계좌들을 조회하고 결제할 경우는, 연동계좌들의 계좌번호내지는 대표계좌의 가입자에 의해 명명된 명칭으로 개별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도 있다.
다섯째,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는 연동계좌들 중의 하나이며, 상기 다른 가입자는 상기 지정된 계좌 이외의 대표계좌와 다른 연동계좌의 조회 및 결제가 제한될 수도 있다.
여섯째,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는 지정된 연동계좌의 계좌번호로 결제를 하나, 결제기관에 따라서 가입 금융기관이 계좌에 부가한 계좌특정코드를 참조하여 다른 연동계좌로부터 결제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의 구분 및 관리는 가입 금융기관이 부여하는 개별 계좌번호 및 계좌특정코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의 금융거래기관은 종래의 계좌관리 데이터 이외에, 전술한 도10 내지 도13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더 구비해야 한다.
첫째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별개의 구분번호(예금의 종류 등)를 대표계좌(1500) 및 연동계좌(1600), (1700), (1800)들에 구분하여 부여하고,
둘째로,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연동계좌들의 명칭을 계좌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셋째로, 상기의 연동계좌들의 명칭을 계좌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단은, 정해진 계좌 한정코드를 연동계좌들의 명칭에 부여하여 저장하고 관리해야 하며,
넷째로, 미리 설정된 결제기관들이 계좌한정코드가 '01'인 계좌를 부여받은 다른 가입자의 카드 결제 등의 청구를 할 경우, 상기 결제기관들의 정보와 계좌한정코드를 대조하여 해당되는 계좌에서 결제가 수행되도록 연결시켜주는 기능 등이다.
이러한 작용을 위한 구성을 위한 데이터로서,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가입 금융기관의 창구에서 서면에 의해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 그리고 연동계좌의 희망 명칭 등을 신청하여 본 발명의 계좌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통신수단이나, 단말기 등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의 계좌들을 구비하고 조회 및 결제를 할 수도 있다.
도14는 이러한 연동계좌 서비스를 ARS를 통해 구성할 때,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로써 인증된 가입자는 연동계좌 관련의 서비스를 전화기의 번호키로 선택하며 이를 ARS서버가 디코딩하여 해당 서비스 루틴으로 접속한다. 후술될 각각의 루틴은 처리 완료후 질의에 대한 고객의 선택에 의해 다시 서비스코드를 안내하도록 되돌아 올 수도 있다. 도14의 ARS서비스는 도5의 유무선 전화(300)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ARS서버(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동일한 구조의 서비스가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나 상기 도5의 인터넷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도 달성될 수 있으며, 그 기능상 유사한 구성이 된다.
도21은 도14의 동일한 서비스 내용을 단문 서비스내지 인터넷으로 제공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의 서비스는 도14의 ARS서비스에 대해, 가입자가 직접 커서 등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선택하고 메시지가 문자화되어 있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거의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연동계좌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15는 대표계좌만이 개설되어 있는 경우 ARS를 이용하여 새로운 연동계좌를 신청하고 부여 받는 ARS루틴이며, 이 예시도에서는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또 다른 연동계좌의 가입 대상자가 복수이고, 상기 가입 대상자의 이름 및 연동계좌의 명칭 등의 정보가 가입자 거래 금융기관에 이미 제공된 것을 전제로 한 일 실시예이다. 또한 도22는 같은 서비스를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나 상기 도5의 인터넷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 구현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개설하려는 연동계좌 명칭의 선두부분을 가입자가 직접 이동통신수단의 키패드나 컴퓨터의 키보드로 입력하고 연동계좌 명칭의 뒷부분은 거래금융기관에 의해 미리 정해진 경우, 즉 연동계좌의 계좌한정코드가 이미 부가된 계좌의 명칭으로 제공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계좌한정코드가 이미 부가된 계좌의 명칭을, 도22에서는 가입자가 직접 커서 등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선택하게 된다.
도16은 대표계좌가 가입되어 있고, 또한 연동계좌로 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계좌도 이미 가입된 계좌인 경우 이를 연동계좌로 전환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이고, 이를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나 상기 도5의 인터넷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 구현하는 경우가 도23에 제시되어 있다.
도17과 도24는, 개설이 완료된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을 안내하는 서비스의 ARS 및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메시지 흐름을 도시하며, 도18과 도25는 기 가입된 연동계좌의 내역 조회 서비스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19, 도20은 ARS로, 도26,도27은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나 상기 도5의 인터넷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써 대표계좌와 선택된 연동계좌들 간의 입금 및 출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서비스의 실시예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ARS서비스는 유무선 전화(300)와 이에 연결되어 있는 ARS서버(400)에 의해 이루어지고, 동일한 구조의 서비스가 이동통신을 통한 문자 및 무선인터넷 서비스나 상기 도5의 인터넷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100)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을 연동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도28에 도시되어 있다. 고객거래은행의 모든 결제를 담당하는 주전산기(700)에는 계좌 데이터베이스(800)가 연결되어 있는 데, 이 계좌 데이터베이스(800)에는 고객들의 계좌정보가 주전산기(700)에 의해 저장되고 관리된다. 주전산기(700)는 통상적으로 두 가지의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나는 본 발명의 전반부에서 설명된 금융결제원의 지불게이트웨이(900)와 연결된 경로이고, 또 다른 하나는 외부망 접속허브(600)로 접속되는 외부 결제기기들이다. 외부망 접속허브(600)는 방화벽 등의 보안 기능이 겸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대표적인 외부 결제기기로는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하여 연결된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의 DTMF 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데이터를 외부망 접속허브(6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전달하는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창구 단말기를 비롯한 다양한 결제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금융결제원의 지불게이트웨이(900)는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등과 연결되어 은행간 거래가 이루어지며 개개의 은행(1000),(1200)에는 각각의 고객 계좌정보가 데이터베이스(1100),(1300)로 구동된다. 도28에서는 지불게이트웨이(900)에 은행전산기(1000),(1200)들이 연결되어 있으나, 전술한 카드 결제단말기 등도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고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본적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연동계좌 서비스를 위해서, 주전산기(700)에 연결된 계좌 데이터베이스(800)와 함께 연동계좌 번역기(1400)가 구비되며, 상기 연동계좌 번역기(1400)를 통해 주전산기(700)에 의한 계좌들의 결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계좌 번역기(1400)에는 대표계좌(1500), 연동계좌A(1600), 연동계좌B(1700), 연동계좌C(1800) 등이 접속되어 주전산기(700)의 요구에 따른 결제가 수행된다.
상기 연동계좌 번역기(1400)는, 외부망 접속 허브(600)을 통해 제공되는 가입자의 요구에 대해, 별개의 구분번호(예금의 종류 등)를 대표계좌(1500) 및 연동계좌(1600), (1700), (1800)들에 구분하여 부여하고,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연동계좌들의 명칭을 계좌번호와 함께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의 연동계좌(1600), (1700), (1800)들에, 정해진 계좌 한정코드를 연동계좌들의 명칭에 부여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미리 설정된 결제기관들이 계좌한정코드가 지불대상특정인 계좌를 부여받은 다른 가입자의 카드 결제 등의 청구를 할 경우, 상기 결제기관들의 정보와 계좌한정코드를 대조하여 해당되는 계좌에서 결제가 수행되도록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연동계좌 번역기(1400)의 기능은 주전산기(700)과는 별개로 구성되는 전산기가 될 수도 있으며, 연동 계좌들의 데이터 규모가 작거나 한 경우는 연동계좌 번역기(1400)의 역할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주전산기(700)에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28의 연동계좌(1600), (1700), (1800)들은 주전산기(700)에서는 계좌 데이터베이스(800)과 가입계좌번호만 다른 계좌들의 일종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도면28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대표계좌(1500), 연동계좌A(1600), 연동계좌B(1700), 연동계좌C(1800) 등과 계좌 데이터베이스(800)를 통합 관리할 수도 있다.
도29는, 상기 도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하여 연결된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의 DTMF 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창구 단말기 등으로부터의 결제 데이터가 외부망 접속허브(6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전달되는 경우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한 단말기(100), ARS서버(400)를 통한 유무선전화(300), ATM단말기(500) 들로부터 결제요청(S701)이 발생하면, 이를 접수한 주전산기(700)는 해당 결제요청이 접수된 기기로 계좌데이터 요구(S702)를 보낸다.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S703) 등의 계좌데이터가 주전산기(700)로 보내진다. 이 때 주전산기는 전술한 계좌번호의 구분에 의해 연동계좌임을 판독하여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연동계좌임을 통보(S1401)한다. 주전산기(700)의 요구에 대해 연동계좌번역기(1400)은 해당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을 주전산기에 각각 연결(S1402), (S1403), (S1404), (S1405)하고, 이를 참조한 주전산기(700)은 외부망 접속허브(600)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연동계좌를 선택(S1406)하고, 결제선택(S1407), 결제정보 및 결제금액(S705)을 주전산기(700)가 수신하면, 해당계좌를 정리(S708)하게 된다. 만약 결제정보를 참조한 결과, 타행 계좌 이체와 같은 타 은행과의 거래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계좌이체정보(S706)를 주전산기(700)가 지불게이트웨이(900)로 전송하여 해당 은행의 승인(S707)을 획득한 후, 해당계좌정리(S708)를 수행한다.
도30은, 상기 도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낸다.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는 카드 결제단말기,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들로부터 결제요청(S711)이 발생하면, 이를 접수한 주전산기(700)는 해당 결제요청이 발생된 전산기나 단말기로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계좌데이터 요구(S712)를 보낸다.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는 계좌번호(S713) 등의 계좌데이터가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보내지고, 주전산기(700)는 전술한 계좌번호의 구분에 의해 연동계좌임을 판독하여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계좌번호를 전달(S1410)한다. 주전산기(700)의 요구에 대해 연동계좌번역기(1400)은 해당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을 주전산기에 각각 연결(S1411), (S1412), (S1413), (S1414)한다. 이 경우는 도28에 도시된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는 카드 결제단말기,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들에서 이미 비밀번호 등으로 고객이 인증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므로 비밀번호 등을 재차 확인할 필요는 없으며, 출금과 같은 결제에서는 필요에 따라 비밀번호를 부가할 수도 있다. 이어서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부수적인 결제정보, 즉, 결제기기의 가입번호 및 결제금액(S715) 등이 수신되면, 주전산기(700)는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이를 전달(S1415)한다. 이 때 연동계좌번역기(1400)는 지불게이트웨이(900)으로부터의 결제정보중에서 해당 결제 대상이 미리 등록된 기관, 즉 해당 지불대상특정계좌에 부합되는 결제정보인가를 판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인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기존의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전달되는 결제정보에는 결제 단말기의 번호라든가, 결제단말기를 설치한 가맹점의 고유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만약 가맹점이 본 발명의 지불대상으로 특정되어 있은 경우, 즉 가입자 계좌의 연동계좌들 중에 결제를 할 수 있는 특정된 지불대상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가입자의 연동계좌들 중 정해진 지불대상특정계좌로부터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만일 대표계좌 가입자가 연동계좌들 중 하나를 특정한 학교로 지정했을 때,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전달되는 결제정보내의 결제 단말기의 번호, 학교의 고유코드를 판독하여 결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연동계좌번역기(1400)는 승인여부(S1416)를 주전산기(700)으로 전송하고, 주전산기(700)은 다시 승인정보(S716)를 지불게이트웨이(900)으로 전송한 뒤, 해당계좌를 정리(S717)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해당계좌에는 잔액뿐만이 아니고, 일회 결제 한도액이라든지, 일일 결제횟수, 결제 기관의 선택 등 부수적인 정보를 추가하여 금융전산망을 통해 요청된 결제를 제한적 내지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주전산기(700)의 기능을 대폭적으로 변경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연동계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대표계좌와 이에 연동되는 연동계좌들을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계좌번호의 할당규칙에 의하면, 하나의 대표계좌에 대해,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를 복수로 하고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별로 각각 연동계좌들을 구비하도록 번호를 부여하여 연동계좌들을 그룹별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태양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입자가 단일의 대표계좌를 결제하는 경우에 상기 대표계좌와 함께 동시에 연동계좌들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는, 자신의 계좌로 연동계좌가 제공되어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개개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입자의 계좌는 대표계좌로서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가입자는 연동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데, 이들 중 하나는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로 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계좌를 통해 복수의 다른 계좌를 개설하고 결제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해당 계좌번호와 암호(패스워드)로써 대표계좌를 조회하고 결제할 때, 동시에 연동계좌들도 조회되고 결제되도록 연동되어 가입 계좌별로 조회하고 결제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연동계좌들을 조회하고 결제할 경우는, 연동계좌들의 계좌번호내지는 대표계좌의 가입자에 의해 명명된 명칭으로 개별의 계좌를 조회하거나 결제할 수도 있으므로 계좌번호를 모두 기억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는 연동계좌들 중의 하나이며, 상기 다른 가입자는 상기 지정된 계좌 이외의 대표계좌와 다른 연동계좌는 조회 및 결제를 제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는 지정된 연동계좌의 계좌번호로 결제를 하나, 결제기관에 따라서 가입 금융기관이 계좌에 부가한 계좌특정코드를 참조하여 다른 연동계좌로부터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부가 서비스 기능을 가입자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들의 구분 및 관리는 가입 금융기관이 부여하는 개별 계좌번호 및 계좌특정코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므로, 기존 은행간의 결제 구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연동계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지불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외부 결제망으로는 기존의 데이터 형식을 그대로 활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가입자 및 금융기관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현저한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7)

  1. 금융결제 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계좌 결제를 담당하는 주전산기(700)와, 상기 주전산기(700)에 연결되어 주전산기(700)에 의해 저장되고 관리되는 가입자의 계좌정보를 저장하는 계좌 데이터베이스(800), 상기 주전산기(700)에 연결되어, 가입자의 대표계좌와 연동계좌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연동계좌 번역기(1400), 상기 연동계좌 번역기(1400)가 관리하는 가입자의 대표계좌(1500)와 하나 이상의 연동계좌들의 계좌는, N진법으로 L자리의 전체계좌번호에 대해, L보다 작은 자리수인 M자리의 일부분 자리수를 할당하여 그중 하나를 대표계좌로 할당하고, 또 다른 하나를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로 하며, L보다 작은 자리수인 M자리로 표현되는 경우의 수로 표현되는 계좌번호 그룹들 중, 상기의 대표계좌와 상기의 대표계좌의 가입자가 지정하는 다른 가입자의 계좌번호를 포함하는 2개의 계좌를 제외한 나머지 계좌번호를 나머지 연동계좌의 번호로 할당하며, 상기 주전산기(700)에 연결되어 주전산기(700)와 외부간의 결제를 관리하는 지불게이트웨이(900), 상기 주전산기(700)에 연결되어 외부 결제기기와 주전산기(700)간의 결제 정보를 제어하는 외부망 접속허브(600)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망 접속허브(600)에 연결된,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하여 연결된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의 DTMF 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창구 단말기 등을 통해 상기 연동계좌 번역기(1400)에 의해 상기 가입자의 대표계좌와 연동계좌를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금융결제방법은,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한 단말기(100), ARS서버(400)를 통한 유무선전화(300), ATM단말기(500) 들로부터 결제요청(S701)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결제요청(S701)을 접수한 주전산기(700)가 해당 결제요청이 접수된 기기로 계좌데이터 요구(S702)를 보내는 단계, 계좌데이터 요구(S702)를 보내는 단계에 이어,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S703) 등의 계좌데이터가 주전산기(700)로 보내지는 단계, 상기의 계좌데이터가 주전산기(700)로 보내지는 단계에 이어, 주전산기가 전술한 계좌번호의 구분에 의해 연동계좌임을 판독하여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연동계좌임을 통보(S1401)하는 단계, 상기의 연동계좌 통보(S1401)를 받은 연동계좌번역기(1400)가 해당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을 주전산기에 각각 연결(S1402), (S1403), (S1404), (S1405)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 중, 주전산기(700)가 외부망 접속허브(600)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연동계좌를 선택(S1406)하고, 결제선택(S1407), 결제정보 및 결제금액(S705)을 수신하여 해당계좌를 정리(S708)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 중, 주전산기(700)가 외부망 접속허브(600)로부터의 결제정보를 참조한 결과, 타행 계좌 이체와 같은 타 은행과의 거래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계좌이체정보(S706)를 주전산기(700)가 지불게이트웨이(900)로 전송하여 해당 은행의 승인(S707)을 획득한 후, 해당계좌정리(S708)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은행의 전산기(1000),(1200),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연결되는 카드 결제단말기, 기타 허가된 금융거래기관의 전산망들로부터 결제요청(S711)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결제요청(S711)을 접수한 주전산기(700)가 상기 결제요청(S711)이 발생된 전산기나 단말기로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계좌데이터 요구(S712)를 보내는 단계, 상기 결제를 요청한 기기가 계좌번호(S713) 등의 계좌데이터를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주전산기(700)로 보내는 단계, 상기 계좌번호(S713) 등의 계좌데이터를 받은 주전산기(700)가 계좌번호의 구분에 의해 연동계좌임을 판독하여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계좌번호를 전달(S1410)하는 단계, 상기 계좌번호를 전달(S1410)받은 연동계좌번역기(1400)가 해당 대표계좌 및 연동계좌들을 주전산기에 각각 연결(S1411), (S1412), (S1413), (S1414)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이어, 주전산기(700)가 결제를 요청한 기기로부터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결제기기의 가입번호 및 결제금액(S715) 등을 연동계좌번역기(1400)로 전달(S1415)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 이어, 연동계좌번역기(1400)가 지불게이트웨이(900)로부터의 결제 정보 중에서 해당 결제 대상이 해당 지불대상특정계좌에 부합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해당 결제 대상이 해당 지불대상특정계좌에 부합되는 경우, 연동계좌번역기(1400)가 승인여부를 주전산기(700)로 전송하는 단계(S1416), 주전산기(700)가 상기 승인여부를 지불게이트웨이(900)로 전송(S716)하고 해당계좌를 정리(S717)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연동계좌번역기(1400)가 지불게이트웨이(900)로부터의 결제 정보 중에서 해당 결제 대상이 해당 지불대상특정계좌에 부합되는 지의 판단은, 연동계좌 번역기(1400)가 관리하는 가입자의 대표계좌(1500)와 하나 이상의 연동계좌들의 계좌번호에 가입 금융기관이 부여한 계좌특정코드와 지불게이트웨이(900)를 통해 전달되는 결제정보내의 결제 단말기의 번호, 고유코드 등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 서버(200)를 경유하여 연결된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의 DTMF 수단 등을 이용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창구 단말기 등이 상기 외부망 접속허브(60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100), 유무선전화(300) 및 ARS서버(400), ATM단말기(500), 창구 단말기들을 이용해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계좌와 연동계좌의 서비스는, 연동계좌의 개설, 가입계좌의 연동, 연동계좌안내, 연동계좌조회, 연동계좌입금, 연동계좌출금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KR1020060026412A 2006-03-23 2006-03-23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KR10060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412A KR100601798B1 (ko) 2006-03-23 2006-03-23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412A KR100601798B1 (ko) 2006-03-23 2006-03-23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538A Division KR100581001B1 (ko) 2003-12-12 2003-12-12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672A KR20060035672A (ko) 2006-04-26
KR100601798B1 true KR100601798B1 (ko) 2006-07-20

Family

ID=3714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412A KR100601798B1 (ko) 2006-03-23 2006-03-23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27B1 (ko) * 2006-11-17 2008-04-17 주식회사 신한은행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672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437B1 (ko) 공용계좌를 통한 연동 계좌 결제 시스템
US112761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irect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7753267B2 (en) In-lane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20080162348A1 (en) Electronic-Purse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US82856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able fund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80270246A1 (en) Global electronic payment system
US20110320347A1 (en) Mobile Networked Payment System
CN101884051A (zh) 子账户机制
EP3798965A1 (en) Decentralized digital payment service system
EP2304678A1 (en) Mobile payment system
US20100243730A1 (en)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 currency card
CN111899010A (zh) 用于处理支付交易的方法和系统
WO2001067331A1 (en) A system for managing inter-company settlement and the method therefor
KR100601798B1 (ko)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방법
KR20060054224A (ko)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시스템
KR100581001B1 (ko) 복수의 계좌를 연동하는 금융결제 시스템
KR100476236B1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신용카드의 매출전표 처리 방법
KR20010095938A (ko) 마일리지를 이용한 선결제 시스템
KR20040004308A (ko) 연동 계좌 번역기를 사용하는 금융결제 시스템
KR20040028447A (ko) 선후불 결제 신용 카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8552A (ko) 경조금 지불중개 시스템
KR20040093340A (ko) 온라인 환경의 지로요금 납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07460A (ko) 체크카드 발급 시스템
KR20090097839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체크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KR20010046302A (ko) 온라인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