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043A -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 Google Patents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043A
KR20000037043A KR1020000017820A KR20000017820A KR20000037043A KR 20000037043 A KR20000037043 A KR 20000037043A KR 1020000017820 A KR1020000017820 A KR 1020000017820A KR 20000017820 A KR20000017820 A KR 20000017820A KR 20000037043 A KR20000037043 A KR 2000003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learning
internet
score
stud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수
Original Assignee
신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철수 filed Critical 신철수
Priority to KR102000001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7043A/ko
Publication of KR2000003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0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학부모들에게 교육 참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은 인터넷망에 접속된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회원을 모집하는 단계와, 회원으로 하여금 수강신청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단계와, 수강신청 여부에 따라 회원의 단말기 상에 수강신청한 과목의 학습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회원의 학습 활동 결과에 관한 성적 처리 및 그에 따른 학부모와 학생 사이의 격려금 지급 대행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성적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함과 아울러 학생들 스스로 과제를 제출함으로 써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나아가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 인터넷 교육 방법{Educating Method on Internet For Providing Encouragement Money For Arousing Studying Motive of Students}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학부모들에게 교육 참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져 학부모의 참여가 곤란함과 아울러 단순히 게시판 등을 이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의 성취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었다. 또한, 이와 같은 단조로운 학습활동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학습성적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함과 아울러 학부모들에게 교육 참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원가입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강신청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문학습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문제풀이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격려금 지급 대행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은 인터넷망에 접속된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회원을 모집하는 단계와, 회원으로 하여금 수강신청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단계와, 수강신청 여부에 따라 회원의 단말기 상에 수강신청한 과목의 학습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회원의 학습 활동 결과에 관한 성적 처리 및 그에 따른 학부모와 학생 사이의 격려금 지급 대행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인터넷 상에서 교육을 받기 원하는 자(이하 "학생"이라 함)는 인터넷 상의 교육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신청을 한다.(S1) S1 단계에서 회원으로 가입된 학생은 원하는 과목 및 강좌을 수강 신청한다.(S2) 학생은 S2 단계에서 수강 신청한 과목 및 강좌에 따른 학습활동을 하고, 교육 서비스 시스템은 그 결과를 처리하여 데이터 베이스상에 저장한다.(S3) 이 후 교육 서비스 시스템은 학생이 수강 신청한 날로부터 30일이 지났는지를 체크한다.(S4) 수강 신청한 날로부터 30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S3 단계를 반복하며 수강 신청한 과목 및 강좌에 따른 학습활동을 지속한다. 수강 신청한 날로부터 30일이 지났다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결과를 성적으로 처리하여 학생에게 통보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실시한다.(S5)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원가입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일반회원 약관이 출력된 후(S6) 학생이 일반회원 약관에 동의하는지를 체크한다.(S7) 학생이 일반회원 약관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회원가입 과정은 종료된다.(S13) 학생이 일반회원 약관에 동의한다면 학생은 통신회선을 통해 일반회원 신청서를 작성한다.(S8) 이때 학생은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 재적학교, 전자우편 주소 및 원하는 ID와 비밀번호를 교육 서비스 시스템에 제출 하여야한다. 일반회원 신청서를 작성한 학생에게는 일반회원 ID(identification)가 발급된다.(S9) 학생이 제출한 모든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관리된다. 일반회원 ID가 발급된 후 특별회원 약관이 출력된다.(S10) 학생 및 학부모가 특별회원 약관에 동의하는 지를 체크한다.(S11) 학생 및 학부모가 특별회원 약관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회원가입 과정은 종료된다.(S13) 학생 및 학부모가 특별회원 약관에 동의한다면 특별회원 가입을 승인한다.(S12) 이때 학생은 학생 은행 계좌번호를 추가로 교육 서비스 시스템에 제출 하여야한다. 또한 학부모는 부 또는 모의 ID와 비밀번호 및 주민등록번호, 전자우편 주소, 주소, 전화번호와 은행 계좌 번호를 교육 서비스 시스템에 제출하여야 한다. 학생 및 학부모가 제출한 모든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관리된다. 즉, 특별회원은 학부모가 회원으로 가입된 학생이고, 일반회원은 학부모가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다. 일반회원은 도 1에 도시된 S5 단계의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보상을 제외한 모든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강신청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현재 학생이 수강신청 할 수 있는 과목 및 단원이 출력된다.(S14) 수강신청 할 수 있는 과목이 출력된 후 수강신청 여부를 체크한다.(S15) 학생이 수강신청을 하지 않는다면 수강신청 과정은 종료된다.(S24) 이때, 수강신청을 하지 않은 학생은 회원자격을 유지하면서, 학습활동 이외에 교육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예를 들면 자료실 이용)를 활용할 수 있다. 학생이 수강신청을 한다면, 학생은 자신이 수강할 과목 및 단원을 선택한다.(S16) 학생이 수강신청한 과목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관리된다. 학생이 수강할 과목을 선택한 후 성적처리 신청여부를 체크한다.(S17) 학생이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보상서비스를 신청하지 않는다면 수강신청 과정은 종료된다.(S24) 학생이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격려금 지급 대행 서비스를 신청한다면 특별회원인지를 체크한다.(S18) 성적처리를 원하는 학생이 특별회원이 아니라면 특별회원에 가입 여부를 체크한다.(S20) 학생이 특별회원에 가입하지 않는다면 수강신청 과정은 종료된다.(S24) 학생이 특별회원에 가입한다면 도 2에 도시된 S10 내지 S13 단계를 거쳐 특별회원에 가입한다.(S21) S21 단계에서 특별회원에 가입한 학생 및 S18 단계에서 특별회원임을 인증받은 학생의 학부모는 수강신청한 과목중 선택적으로 격려금을 신청한 후 신청한 과목에 대하여 그 금액을 정해진 은행 계좌에 예치한다.(S19) 이때, 예치된 격려금은 학생의 성적에 따라 보상금으로 지급된다. 이후 격려금이 입금되었는지를 체크한다.(S22) 격려금이 예치되지 않았다면 성적처리를 승인하지 않은채 수강신청 과정은 종료된다.(S24) 단 성적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회원들은 학습활동을 할 수 있다. 예치금이 입금되었다면 성적처리를 승인한다.(S23) 성적처리 승인 및 격려금 예치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다. 성적처리를 승인 받은 학생은 학습활동의 결과를 종합하여 소정기간(예를 들면 30일) 후에 성적을 통보받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를 요구한 학생이 회원인지를 체크한다.(S25) S25 단계에서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를 요구한 학생이 회원이 아니라면 회원의 가입 여부를 체크한다.(S27) 회원에 가입하지 않는다면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은 종료된다.(S42) 회원에 가입한다면 도 2에 도시된 회원가입 과정을 거쳐 회원에 가입한다.(S1) S25 단계에서 회원임을 인증받은 학생과 S1 단계에서 회원으로 가입한 학생의 수강신청 여부를 체크한다.(S26) 수강신청을 하지 않았다면 수강신청 여부를 체크한다.(S29) S29 단계에서 수강신청을 하지 않는다면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은 종료된다.(S42) S29 단계에서 수강신청을 한다면 도 3에 도시된 수강신청 과정을 거쳐 수강신청을 한다.(S2) S26 단계에서 수강신청을 했음을 인증받은 학생과 S2 단계에서 수강신청을 한 학생의 수강 과목이 출력된다.(S31) 수강 과목이 출력된 후 당일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이 출력된다.(S32) 학생은 출력된 과목중 공부할 과목을 선택한다.(S33) 학생이 공부할 과목을 선택하면 당일 공부할 수 있는 목차 가 출력된다.(S34) 이후 학생은 공부할 목차(본문학습 및 문제풀이)를 선택한다.(S35) 학생은 공부할 목차를 선택한 후 본문학습 또는 문제풀이를 한다.(S36) 본문학습 과정에서는 교과목에서 알아야 할 내용을 학습한다. 문제풀이 과정에서는 본문학습 과정에서 공부한 학습 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풀이한다. 이 후에 S36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의 결과를 저장한다.(S39) 학습 내용의 결과는 점수로 변환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학습한 내용의 결과가 저장된 후 다음 목차를 공부할 지 여부를 체크한다.(S41) 다음 목차를 공부한다면 S34 내지 S39 단계를 반목하며 선택한 목차 또는 주제를 학습한다. S41 단계에서 다음 목차를 공부하지 않는다고 선택하면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은 종료된다.(S42)
도 5는 도 4의 학습활동 중 본문학습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36 단계에서 본문학습을 공부한다면 당일 공부할 본문이 출력된다.(S44) 이 후에 출력된 본문을 클릭했는지는 체크한다.(S45) 출력된 본문을 클릭하지 않았다면 공부하지 않은 항목으로 카운트된다.(S49) 출력된 본문을 클릭하면 공부할 항목에 대해 설명하는 해설창이 출력된다.(S46) 해설창의 하단에 있는 소정버튼(예를 들면 "잘 알겠습니다")을 클릭했는지를 체크한다.(S47) 소정버튼을 소정시간동안 클릭하지 않았다면 공부하지 않은 항목으로 카운트된다.(S49) 소정버튼을 소정시간안에 클릭했다면 공부한 항목으로 카운트된다.(S48) 공부한 항목과 공부하지 않은 항목들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이 후에 공부할 항목을 모두 클릭했는지를 체크한다.(S50) 공부할 항목을 모두 클릭하지 않았다면 S44 내지 S50 단계를 반복한다. 공부할 항목을 모두 클릭했다면 제출할 과제 또는 질문이 있는지를 체크한다.(S51) 제출할 과제가 없다면 본문학습은 종료된다.(S54) 제출할 과제가 있다면 과제 제출 여부를 체크한다.(S100) 과제를 제출했다면 과제 제출이 카운트된 후 본문학습은 종료된다.(S52,S54) 제출된 과제 또는 질문은 소정점수로 변환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과제를 제출하지 않았다면 과제 미제출이 카운트된 후 본문학습은 종료된다.(S53,S54)
도 6은 도 4의 학습활동 중 문제풀이 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36 단계에서 문제풀이를 선택하면 당일 공부할 문제가 출력된다.(S55) 당일 문제가 출력된 후 학생은 문제에 따른 답을 클릭한다.(S56) 다음 클릭된 답이 정답인지를 확인한다.(S57) 클릭된 답이 정답이라면 정답이라는 표시창(예를 들면 "정답입니다")을 출력한다.(S58) S58 단계에서 표시창이 출력된 후 정답으로 카운트된다.(S60) S57 단계에서 클릭된 답이 정답이 아니라면 오답이라는 표시창(예를 들면 "정답이 아닙니다")을 출력한다.(S59) S59 단계에서 표시창이 출력된 후 오답으로 카운트된다.(S61) 정답 또는 오답의 정보는 점수로 환산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이 후에 모든 문제를 풀었는지를 체크한다.(S62) 모든 문제를 풀지 않았다면 S55 내지 S62 단계를 반복하며 문제를 푼다. 모든 문제를 풀었다면 학생에게 정답과 오답의 개수를 출력한다.(S63) 정답과 오답의 개수가 출력된 후 문제풀이 과정을 종료한다.(S64)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보상과정을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수강을 완료했는지를 체크한다.(S65) 수강을 완료하지 않았다면 S3 단계의 학습활동 및 결과처리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S3) 수강을 완료했다면 학습결과를 종합한다.(S102) 학습결과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본문학습 활동, 문제풀이 활동, 과제제출 활동 및 질문내용이다. 학습결과를 종합한 후 학습결과를 점수로 변환한다.(S66) 부여된 점수가 소정점수(예를 들면 40점) 이상인지를 체크한다.(S67) 점수가 소정점수 이하라면 예치된 격려금 전액이 학부모 계좌에 입금된다.(S68) 점수가 소정점수 이상이라면 점수의 비율에 따른 격려금이 학생 계좌에 입금된다.(S69) 예를 들어, 학생의 점수가 40점 이라면 예치된 금액의 40%가 학생 계좌에 격려금으로 입금된다. 점수 비율에 따른 예치금이 학생 계좌로 입금된 후 잔액은 학부모 계좌로 입금된다.(S70) 예치금이 학부모 계좌로 입금된 후 성적처리 및 그에 따른 보상과정이 종료된다.(S7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의하면 학습성적에 따라 적절한 보상을 함과 아울러 학생들 스스로 과제를 제출함으로 써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나아가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함과 아울러 학생들이 장기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인터넷망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는 교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에 접속된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회원을 모집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으로 하여금 수강신청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수강신청 여부에 따라 상기 회원의 단말기 상에 상기 수강신청한 과목의 학습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의 학습 활동 결과에 관한 성적 처리 및 그에 따른 학부모와 학생 사이의 격려금 지급 대행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을 모집하는 단계는,
    학부모를 동반하지 않은 수강생을 상기 보상대상이 아닌 일반회원으로 가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학부모를 동반하여 가입하는 수강생을 상기 보상이 주어지는 특별회원으로 가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신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일반회원 및 특별회원이 원하는 과목을 인터넷을 통하여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특별회원의 학부모가 격려금을 예치하는 단계와,
    상기 격려금을 예치한 특별회원의 성적처리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으로 하여금 당일 공부할 과목을 선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공부할 과목의 본문학습 및 문제풀이중 어느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이 상기 본문학습 및 문제풀이에 따른 질문 및 과제를 제출하는 단계와,
    상기 본문학습, 문제풀이, 질문 및 과제제출을 점수로 환산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적 및 그에 따른 보상단계는,
    상기 점수가 소정점수 이상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점수가 소정점수 이상이면 상기 격려금을 이용하여 점수에 따른 보상을 하는 단계와 그 잔액을 부모에게 되돌려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법.
KR1020000017820A 2000-04-06 2000-04-06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KR20000037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820A KR20000037043A (ko) 2000-04-06 2000-04-06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820A KR20000037043A (ko) 2000-04-06 2000-04-06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043A true KR20000037043A (ko) 2000-07-05

Family

ID=1966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820A KR20000037043A (ko) 2000-04-06 2000-04-06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704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038A (ko) * 2000-07-14 2002-01-26 정승채 학습 결과에 따른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6832A (ko) * 2000-07-13 2002-01-26 문단열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한 학습촉진 시스템 및 그 촉진방법
KR20020008465A (ko) * 2000-07-20 2002-01-31 양원곤 인터넷을 통한 번역 교육 방법
KR20020083872A (ko) * 2001-04-30 2002-11-04 변경환 온라인에서의 보상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5809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에듀메카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성과에 따른 성과급 지급 사업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291333B1 (ko) * 2011-06-10 2013-07-3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832A (ko) * 2000-07-13 2002-01-26 문단열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한 학습촉진 시스템 및 그 촉진방법
KR20020007038A (ko) * 2000-07-14 2002-01-26 정승채 학습 결과에 따른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8465A (ko) * 2000-07-20 2002-01-31 양원곤 인터넷을 통한 번역 교육 방법
KR20020083872A (ko) * 2001-04-30 2002-11-04 변경환 온라인에서의 보상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5809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에듀메카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 성과에 따른 성과급 지급 사업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291333B1 (ko) * 2011-06-10 2013-07-3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US20130273517A1 (en) On-line integration and credit-granting platform for learners seeking and engaging in practice-based learning in the real world
Chumbley The impact of a career and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KR20000037043A (ko) 학생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격려금 지급 방식에 관한인터넷 교육방법
Ford Identifying technology leadership competencies for Nebraska's K–12 technology leaders
McKeague The Role of the Honors Program in the Community College Curriculum.
Parker A workshop on mentoring across gender and culture lines
Janicik et al. Faculty development online: an observation and feedback module
Erwin An intrusive, comprehensive advising and career planning system: Eastern Michigan University
Woloszyk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 Handbook.
Graham Successful liaison marketing strategies for library instruction: the proof is in the pudding
Wickam Assessing Career Development Curriculum Within a Business Capstone
Burtnett Bound-for-college Guidebook: A Step-by-step Guide to Finding and Applying to Colleges
Jurkowski Implement co‐curricular assessments to gauge, boost student success
Johnson et al. Mentoring by design: Examples of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programs
DelGesso American adult education doctoral programs in comparison to the commission of professors of adult education standards for graduate programs in adult education
Brady Instructor presence and design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uccess in internet classes
Swett The perceived value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volvement and computer skill proficiency in graduating seniors and job placement potential
Waters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Assesses the Community Partnership in Service Learning: One Strategy for Institutionalizing Service Learning.
Bulik et al. A workshop on teaching beliefs
Seitchik Employer Strategies for a Changing Labor Force: A Primer on Innovative Programs and Policies
Aguilar Private Lives, Public Agendas: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Capital Fellows Program On Public Service Careers
Hasanah et al. THE POTENTIAL FOR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FOR SHARIA ACTUARY NON-CERTIFICATION PROGRAMS FOR SHARIA INSURANCE IN INDONESIA
Cooke et al. The UCSF academy of medical educators
Raga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curricular transcript program at Rowan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