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061A -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의학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의학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061A
KR20000036061A KR1019997002065A KR19997002065A KR20000036061A KR 20000036061 A KR20000036061 A KR 20000036061A KR 1019997002065 A KR1019997002065 A KR 1019997002065A KR 19997002065 A KR19997002065 A KR 19997002065A KR 20000036061 A KR20000036061 A KR 2000003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ated
polysaccharide
sulfated polysaccharide
cellulose
o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래디마이클윌리암
도일피터존
싱클레어로라
휴스턴폴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메디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3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4Guluromannuronans, e.g. alginic acid, i.e. D-mannuronic acid and D-guluronic acid units linked with alternating alpha- and beta-1,4-glycosidic bonds; Derivatives thereof, e.g. alginates

Abstract

본 발명은 설페이트화 산화 재생 셀룰로즈 화합물,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 및 이의 염과 수화물을 제공한다. 이들 화합물은 산화 재생 셀룰로즈를 삼산화황으로 설페이트화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특히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에 의해 매개되는 의학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응고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의학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Sulfated polysaccharides and uses thereof in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셀룰로즈 유도체 또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설페이트화하여 수득한 신규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약제 조성물과 상처 치료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사카라이드 잔기상의 하이드록실 그룹 1개 이상이 설페이트 그룹으로 대체된 설페이트화 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설페이트화 사카라이드는 헤파린 설페이트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같이 설페이트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의 경우에서와 같이 천연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설페이트화 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및 폴리사카라이드는 천연 사카라이드, 올리고사카라이드 또는 폴리사카라이드를 설페이트화시켜 제조한다.
공지된 합성 설페이트화 사카라이드 유도체는 슈크로즈를 설페이트화하여 수득한, 슈클로즈 옥타설페이트이다. 슈크로즈 옥타설페이트의 불용성 알루미늄염 (슈크랄페이트로 공지)이 EP-A-0230023에 상처 치유력 향상을 포함하는 수많은 의학적 용도로 제안된 바 있다.
US-A-2697093에는 셀룰로즈, 이눌린, 전분 또는 덱스트린을 삼산화황-3급 아민 시약으로 설페이트화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생성된 설페이트화 물질은 페이스트용 증점제, 접착제, 및 천공 오일 벽 중에 사용되는 머드용 첨가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특정의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특히 설페이트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은 응고억제제로서 의약에 사용된다. 또한, 헤파린, 1-4 결합된 글루코사민과 우론산 잔기의 고도의 다분산성 공중합체는 혈액 응고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헤파린은 응고에 대한 효소 반응성 단백분해를 가속시키는 복합체를 생성하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안티트롬빈과 결합한다. 헤파린 및 이의 동족체의 응고억제 특성은 얼마 전에 공지되었으며 생의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헤파린 및 설페이트화 글루코사미노글리칸을 제조하는 것은 고가이므로, 다른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르러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와 같은 셀룰로즈 유도체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와 같은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설페이트화하여 신규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생성시키면, 이 물질이 상처 치유 물질로서의 기대치못했던 이점을 제공하며, 추가로 응고억제 특성을 나타냄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페이트화 셀룰로즈 유도체 및 설페이트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로부터 선택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제공한다.
용어 "셀룰로즈 유도체"는 셀룰로즈의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에테르, 가수분해 산물 또는 산화반응 산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셀룰로즈 유도체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특히 산화 셀룰로즈 유도체[예: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 또는 미국 특허원 60/020,758 (1996년 6월 28일자로 출원되어 본원의 양수인과 동일한 자에게 양도됨, 발명의 명칭: "Bioresorbable Medical Devices from Oxidized Cellulose Derivatives")에 기재되어 특허청구되어 있는 산화된 셀룰로즈 에테르 및 에스테르]가 있다. 바람직한 물질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또는 셀룰로즈 아세테이트를 사산화이질소로 산화시켜 수득한다. 가장 바람직한 물질은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이다.
용어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각 폴리사카라이드 분자 중의 다수의 사카라이드 잔기가 카복실레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그룹이나 음이온성 그룹의 상보적인 산 또는 염을 포함하는,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정의된 셀룰로즈 유도체 중의 일부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일 수도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로는 알기네이트, 펙틴, 히알루론산, 산화된 전분 및 상기한 바와 같은 산화 셀룰로즈 유도체가 있다. 가장 바람직한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알기네이트이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같은 천연 설페이트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오직 합성(즉, 화학적으로 설페이트화된)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산화 재생 셀룰로즈(ORC)는 숙지되어 있는 셀룰로즈 유도체로, US-A-3122479에 기재된 바와 같은 셀룰로즈로부터 제조된다. 셀룰로즈의 1급 하이드록실 그룹을 카복실레이트 그룹으로 산화시키면 다가음이온성 셀룰로즈 유도체, 즉 ORC가 생성된다. ORC는 US-A-251777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으며 지혈제로서 생의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는 등록 상표명 서지셀(Surgicel, 제조원: Johnson & Johnson Medical, Inc.)의 직물 형태와 등록 상표명 인터시드(Interceed, 제조원: Johnson & Johnson Medical, Inc.)의 지혈성 상처 치료 조성물로서 시판 중이다. ORC는 지혈성이며 또한 완전히 생체흡수성이어서, 상처 드레싱재로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기네이트"는 알긴산, 나트륨 알기네이트와 같은 이의 가용성 염, 및 칼슘 알기네이트와 같은 이의 불용성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기네이트는 칼슘 알기네이트이고, 이는 등록 상표명 인스탓(Instat, 제조원: Johnson & Johnsos Medical, Inc.) 및 칼토스탓(Kaltostat, 제조원: E.R. Squibb & Sons, Inc.)의 상처 드레싱재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시판 중이다. 바람직하게는, 알기네이트의 분자량 범위는 50,000 내지 400,000이고 만누론산/굴루론산 비는 약 0.45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폴리사카라이드의 사카라이드 잔기상의 하이드록실기 중의 적어도 일부가 설페이트 그룹으로 전환되어 있다는 점에서 설페이트화되지 않은 기재 물질과 구별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사카라이드 잔기상의 하이드록실 그룹 중의 평균 0.1개 이상이 설페이트 그룹으로 전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사카라이드 잔기상의 하이드록실 그룹 중의 평균 1개 이상이 설페이트 그룹으로 전환되어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 사카라이드 잔기상의 하이드록실 그룹 3 내지 4개가 설페이트 그룹으로 전환되어 있다.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유리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더욱 통상적으로는 염 또는 수화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염은 나트륨 또는 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과의 염, 칼슘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다가 이온과의 염(슈크랄페이트와의 동족체화에 의해 형성), 및 암모늄 또는 알킬암모늄과 같은 복합 양이온과의 염일 수 있다. 물론,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이의 가용성 염은 완충된 수용액의 형태로 보관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상기와 같은 염 및 수화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출발물질의 분자량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500 내지 5,000,000의 분자량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저분자량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일반적으로 수용성인 알칼리 금속염을 가지며, 따라서 분자량 범위가 1,000 내지 50,000인 상기와 같은 물질이 일부 용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들 물질의 용해도가 pH 7인 수중에서 10g/ℓ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g/ℓ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용성 설페이트화 물질이 바람직한 경우, 기재 폴리사카라이드의 평균 분자량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50,000이다. 이러한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또는) 이들의 염은 통상적으로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판 중인 직물, 부직포 또는 편직물 형태의 섬유상 ORC로부터 불용성 설페이트화 ORC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 형태의 설페이트화 ORC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셀룰로즈 유도체 및(또는) 설페이트화 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처 치료용 조성물, 상처 드레싱 및 이식재 뿐만 아니라 국소, 경구 또는 비경구 의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에 대한 놀라운 결합능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는 욕창성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를 포함한, 다수의 의학 질환에 연루되어 있다. 이는 매트릭스 침착과 조직 전환간의 균형(이 또한 단백분해 효소와 이의 억제제간의 균형에 따를수 있음)이 상처 치유 및 특정의 다른 의학 질환에 대해 기본적이기 때문이다. 만성 상처의 진물은 MMP2(젤라티나제 A) 및 MMP9(젤라티나제 B)를 상승된 수준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에 의해 매개되는 의학 질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학 질환이 상처, 특히 만성 상처 또는 궤양이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약제학적 부형제와 함께,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국소 또는 전신 투여함으로써 포유동물에 있어서 정맥성 궤양 또는 욕창성 궤양과 같은 만성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설페이트화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상처 드레싱 조성물로서 또는 조성물 중에 국소적으로 적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물 또는 겔화제와 같이 통상의 부형제와 함께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0.1 내지 10% w/w 함유하는 연고로 적용시킨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는 응고억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와 같은 특성은 ORC 자체에 대해 숙지된 지혈 특성과 정확히 반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응고억제성 의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국소 또는 전신 투여에 의한 포유동물에서의 혈액 응고제제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통상의 약제학적 부형제 및(또는) 다른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국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셀룰로즈 유도체 또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를 삼산화황-3급 아민 복합체 또는 삼산화황-피리딘 복합체로, N-메틸 피롤리돈과 같은 적합한 불활성 극성 용매중에서 설페이트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설페이트화도는 당해 반응이 필수적으로 정량적이기 때문에 폴리사카라이드 대 삼산화황의 몰비를 조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설페이트화도는 nmr 및 원소 분석, 특히 적외선 분광법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저분자량의 가용성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를 목표로 하는 경우, 설페이트화를 저분자량의 가용성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설페이트화를 본 출원인의 계류중인 영국 특허원 제9613683,3호[발명의 명칭: "Oxidised Oligosaccharides"]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한 ORC 올리고사카라이드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간략하면, 시판 중인 ORC를 6M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37℃에서 45분간 처리한 다음 여과함으로써 ORC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제조한다. 용액 중에 ORC 올리고사카라이드를 함유하는 여액을 중화시키고 투석시켜 분자량이 1000 이하인 단편과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기술된다.
도 1은 ORC 자체, 및 또한 콜라겐 대조군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ORC 유도체에 대한 MMP 결합의 측정 양을 나타낸다.
도 2는 순수한 콜라겐 스폰지 및 설페이트화되지 않은 알기네이트/콜라겐 스폰지와 비교한,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콜라겐 스폰지에 대한 MMP2 및 MMP9 결합의 측정 양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분쇄된 ORC (Interceed: 등록상표, 10g)를 40℃에서 40분간 교반시키며 탈이온수 100㎖ 중에 슬러리화하여 활성화시킨다. 상기 슬러리를 부크너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생성된 케이크를 빙초산 100㎖ 중에 재현탁시켜 다시 30분간 4℃에서 교반시켜 과량의 물을 제거한다. 상기 슬러리를 다시 여과하고 N-메틸 피롤리돈 (NMP)으로 아세트산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강력하게 세척한다.
피리딘 삼산화황(40g)을 N-메틸 피롤리돈 40㎖에 용해시키고, 4℃로 냉각시켜, 상기 활성화된 ORC에 천천히 가한다. 상기 슬러리를 4℃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냉 2M NaOH를 주의하며 가하여 pH를 5.6으로 조정한다. 중화된 슬러리를 3배 용적의 메탄올에 붓고 침전물을 수거한다. 설페이트화 물질을 메탄올 수개 분획으로 세척하여 N-메틸 피롤리돈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미결합 황산나트륨을 제거한다. 상기 물질을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킨다.
수득된 물질을 FT-IR 분석한 결과, 1급 하이드록실 그룹 모두와 2급 하이드록실 그룹 1개 이상이 설페이트화 것으로 밝혀졌다. 생성물은 설페이트화 ORC의 불용성 나트륨 염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공정을 인터시드R직물 10g 샘플에 대해 반복하여 설페이트화 ORC 직물 제품을 수득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ORC와 콜라겐간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설페이트화 ORC 섬유(0.875g)를 증류된 0.06M 아세트산 10㎖중에 현탁시켜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시킨다. 완전히 소독하여, 동결건조시켜 1㎜ 섬유로 분쇄한 보빈(Bovine) 콜라겐(1.625g)을 0.05M 아세트산 250㎖에 슬러리화하여 웨어링 블렌더(Waring Blendor)에서 15초간 균질화시킨다. 설페이트화 ORC의 현탁액을 콜라겐 슬러리에 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초간 균질화시킨다. HMDI 0.0325㎖를 가하여 상기 슬러리를 가교결합시킨 다음 2 x 15초간 균질화시킨다. 상기 슬러리를 진공하에서 탈기시키고 9㎝ x 9㎝ 페트리 접시에 부어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시킨다. 생성된 스폰지를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멸균시킨다.
실시예 4
설페이트화 칼슘 알기네이트를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Sigma Chemical Company)에 의해 공급되는 알긴산(A7003)으로부터 제조한다. 상기 재료의 샘플 (10g)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페이트화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와 콜라겐 간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복합 물질을 설페이트화 ORC 섬유 대신 분쇄된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 섬유를 사용하여, 실시예 3에 기술된 공정으로 제조한다.
공정 1: ORC에 의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결합에 대한 설페이트화 효과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 결합에 대한 ORC의 설페이트화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설페이트화 ORC를 실시예 2에 기술된 공정으로 제조한다. ORC를 함유하지 않는 유리 콜라겐 스폰지를 비교용으로 제조한다. 서지셀(Surgicel)RORC 직물 샘플을 또한 비교용으로 제조한다.
간략하게 각 물질 50㎎을 단백분해 완충액(50mM 트리스/HCl pH 7.8, 50mM CaCl2, 0.5M NaCl)중에 1:50으로 희석시킨 급성 상처의 진물 2.5㎖를 함유하는 플라스틱 비이커에 넣고 진탕 수조 중에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시킨다. 급성 상처의 진물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테이나제를 함유하며 이들 효소의 다수가 각종 드레싱재에 우선적으로 결합한다. 각 물질에 의해 흡수되는 과량의 진물을 금속 스파튤라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표시하고 폐기한다. 나머지 드레싱을 미리 충전된 2㎖ 주사기에 넣는다(각 주사기는 2.5㎜ 유리 비드를 0.5㎖ 용적 포함). 단백분해 완충액 4㎖를 주사기를 통하여 분취량 1㎖ 중에 강제로 밀어넣고 폐기한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 미결합 프로테이나제 및 드레싱재에 약하게 결합된 프로테이나제가 모두 드레싱재로부터 제거되어 더욱 강력하게 결합된 형태로 남게 된다. 이어서, 완충액 세정된 드레싱을 다른 15㎖ 플라스틱 비이커로 제거한다. 비변성 샘플 완충액(0.05M 트리스/HCl pH 6.8 6.3㎖, 글리세롤 2.5㎖, SDS 0.5g, 물 및 브로모페놀 블루 16.2㎖) 1㎖를 각 샘플에 가하고 이를 6으로 맞춘 오비탈 진탕기에 2시간 동안 넣는다. 샘플 완충액은 상기 물질로부터 강력하게 결합된 프로테이나제를 떼어내어 샘플 완충액 자체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샘플 완충액 20㎕를 각 용기로부터 회수하여 문헌[참조: Heussen C. and Dowdle E.B. in Anal. Biochem. 102:196-202 (1980)]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젤라틴 기질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zymography)시킨다.
프로테이나제 활성으로 인하여 겔상의 투명한 각 영역의 면적을 옵티랩(Optilab) 시스템으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이는 각 결합 실험을 반복(n=3)하고 결과를 스튜던츠(Students) T 시험법 (여기서, P ≤ 0.05)으로 통계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수행한다. 분석은 순수한 콜라겐 대조군에 대해서도 수행한다.
도 1에 나타낸 결과는 설페이트화 ORC의 경우 MMP 결합이 놀라울 정도로 상승작용적으로 개선됨을 증명한다. 도면 1에서, Pro2 및 Pro9는 MMP2 및 MMP9의 프로엔자임 형태이다. MMP2 및 MMP9는 둘 다 활성 프로엔자임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프로MMP9 또는 pro9의 분자량은 92kDa이다. MMP 활성화는 2단계 공정으로, 프로엔자임에서 배위 변화가 일어난 다음, 일련의 자동촉매적 변화에 의해 프로펩티드가 제거된다. 생성된 활성 형태의 분자량은 ActMMP9의 경우 86kDa이고 ActMMP2의 경우 66kDa로, 때로는 ACT9 및 ACT2로 약칭된다.
공정 2: 콜라겐-알기네이트 복합체에 의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결합에 대한 알기네이트의 설페이트화 효과
공정 1을 다음 샘플에 대해 반복한다: 순수한 콜라겐 스폰지(비교 실험), 알기네이트를 5% 및 20% w/w 함유하는 콜라겐/칼슘 알기네이트 스폰지(5% ALG 및 20% ALG로 표시되는 비교 실험), 및 실시예 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5% SALG, 10% SALG 및 20% SALG로 표시되는 설페이트화 칼슘 알기네이트를 5%, 10% 및 20% w/w 함유하는 콜라겐/설페이트화 칼슘 알기네이트 스폰지.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콜라겐/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 스폰지가 비교용 스폰지보다 훨씬 더 강력한 MMP2(젤라티나제 A) 및 MMP9(젤라티나제 B)에 대한 결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공정 3: 혈액 응고에 대한 ORC의 설페이트화 효과
ORC의 응집 특성에 대한 설페이트화 효과를 다음과 같이 연구한다.
신선한 래트의 혈액(1㎖)을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설페이트화 ORC 섬유 0(대조군), 0.1g 또는 1.0g을 함유하는 7㎖ 멸균관 내로 계량공급한다. 상기 관을 부드럽게 1분간 교반시킨 다음 20초 간격으로 교반시킨다. 혈액이 응괴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록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페이트화 ORC 섬유의 중량(g) 응고 시간(sec)
설페이트화 ORC의 경우 대조군
0.1 510 380
1.0 735 490
이는 설페이트화 ORC 섬유가 응고억제 효과를 가짐을 증명한다. 상기 결과는 ORC 자체의 공지된 지혈 특성 관점에서 예상치 못했던 것이다.
공정 4: 지혈작용에 대한 설페이트화 ORC의 효과
지혈작용에 대한 설페이트화 ORC의 효과는 돼지 비장 모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한다:
체중 범위가 대략 22 내지 45㎏인, 최근 이유한 암컷 교배종 돼지를 이소플루란(Isoflurane)(Aerrane: 등록상표)으로 마취시킨다. 마취의 외과적 플랜을 수행하여 유해 자극에 대한 무의미 반응으로 증명한다. 마취하에서, 체온, 박동 및 호흡과 같은 생리학적 인자를 모니터하여 기록한다.
동물을 등쪽으로 누운 자세로 놓고 사지를 고정시킨다. 복부 강을 중앙선을 따라 개복한다. 비장을 외부로 드러낸다. 비장의 표명상에서 작은칼을 사용하여 지혈 절개 상처를 낸다. 상처 길이는 0.5 내지 2.0㎝ 범위에서 조정한다. 상처 깊이는 대략 1.5 내지 3.0㎜ 범위에서 조정한다. 각 상처의 깊이는 적절한 깊이에서 칼날로 표시하여 일정하게 유지한다. 절개 길이는 적절한 절개 길이에 대해 명확하게 표시된 적합한 주형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비장의 끝에서 떨어져 있는 제1 상처를 네가티브 대조군으로 제공하고 12분간 방혈시켜 미처리 상처의 방혈 전위를 증명한다. 제1 상처에 대해 대략 1.0㎝ 떨어진 곳에 제2 상처를 낸다. 이와 후속의 절개를 시험 절개로 사용한다. 최종 절개는 종결 네가티브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미처리 상처의 방혈 전위가 변화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
절개부를 형성시킨 후, 관찰 단계를 시작하고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제조된 콜라겐 스폰지(Instat) 또는 콜라겐/설페이트화 ORC 스폰지를 상처 부위에 신속하게 붙힌다. 상부 표면 또는 거즈를 2분간 부드럽게 가압한 다음 압력을 해제한다. 이 과정을 지혈이 억제될 때까지 30초 간격으로 반복한다. 출혈의 억제(지혈작용)는 30초간 새로운 방혈이 없는 것으로 정의된다. 최종적으로 압력을 해제한 시간이 지혈이 성취된 시간이다. 시험 제품 또는 대조용 제품을 상처에 놓는 순서는 컴퓨터에 의해 무작위로 정한다.
마취로부터 회복되기 전에 시판 중인 용액을 정맥 주사하거나 다른 적합한 수단으로 동물을 안락사시킨다.
이들 연구는 순수한 콜라겐 스폰지와 비교하여 설페이트화 ORC의 존재로 인하여 출혈이 지연됨을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한다. 첨부되는 특허청구 범위의 범주내에 속하는 수많은 다른 양태가 숙련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6)

  1. 설페이트화 셀룰로즈 유도체 및 설페이트화 다가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설페이트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설페이트화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및 설페이트화 산화 재생 셀룰로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설페이트화 산화 재생 셀룰로즈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 설페이트화 펙틴 및 설페이트화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설페이트화 알기네이트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의 각각의 사카라이드 잔기에 대해 설페이트 그룹을 평균 0.1개 이상 포함하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폴리사카라이드의 각각의 사카라이드 잔기에 대해 설페이트그룹을 평균 1개 이상 포함하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 범위가 25,000 내지 250,000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부직포 또는 편직물 형태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과의 고체 복합체 형태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수용성이 10g/ℓ 이상인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12.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처 드레싱재 또는 연질 조직 이식재 형태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에 의해 매개되는 의학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의 용도.
  15. 제14항에 있어서, 의학 질환이 만성 상처인 용도.
  16. 혈액응고의 방지 또는 저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의 용도.
KR1019997002065A 1996-09-11 1997-09-10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의학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 KR200000360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618958A GB2317182B (en) 1996-09-11 1996-09-11 Sulfated polysaccharides and uses thereof in medical treatment
GB9618958.4 1996-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061A true KR20000036061A (ko) 2000-06-26

Family

ID=1079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065A KR20000036061A (ko) 1996-09-11 1997-09-10 설페이트화 폴리사카라이드 및 의학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90227537A1 (ko)
EP (1) EP0925310B1 (ko)
JP (1) JP2001500184A (ko)
KR (1) KR20000036061A (ko)
AU (1) AU726555B2 (ko)
BR (1) BR9711747A (ko)
CA (1) CA2265780C (ko)
DE (1) DE69702862T2 (ko)
DK (1) DK0925310T3 (ko)
ES (1) ES2152107T3 (ko)
GB (1) GB2317182B (ko)
NO (1) NO991160L (ko)
PT (1) PT925310E (ko)
WO (1) WO1998011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940054A1 (it) * 1994-03-23 1995-09-2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olisaccaridi solfatati
WO2000056283A1 (en) * 1999-03-24 2000-09-28 The B.F.Goodrich Company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with polymer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thereof
DE10050870A1 (de) * 2000-10-11 2002-08-01 Knoell Hans Forschung Ev Biokompatibles Verbundmaterial für medizinische Anwendungen
WO2005054446A2 (en) * 2003-12-02 2005-06-16 Universiteit Gent Use of polysulphated alginate in cellular matrices
DE102006024748A1 (de) * 2006-05-26 2007-11-29 Paul Hartmann Ag Proteasen-Inhibitor zur Wundbehandlung
DE102007035322B4 (de) 2007-07-25 2011-11-17 Friedrich-Schiller-Universität Jena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löslicher, niedrig substituierter Cellulosesulfate
AU2009231634B2 (en) 2008-04-04 2014-05-15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lkylated semi-synthetic glycosaminoglycosan ethe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reof
IT1397246B1 (it) * 2009-05-14 2013-01-04 Fidia Farmaceutici Nuovi medicamenti ad uso topico a base di acido ialuronico solfatato come agente attivante o inibente l'attivita' citochinica
CA2830933A1 (en) 2011-03-23 2012-09-2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urological inflammation
US9259455B2 (en) * 2011-04-11 2016-02-16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hemically modified cellulose fibrous meshes for use as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CN103360499B (zh) * 2012-04-11 2017-02-08 厦门大学 一种纤维素硫酸酯的简便合成工艺
CN104277130A (zh) * 2013-07-02 2015-01-14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硫酸酯化聚古洛糖酸多糖或其可药用盐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145533B8 (en) 2014-05-23 2024-05-01 Reponex Pharmaceuticals A/S Compositions for promoting the healing of wounds
US10105415B2 (en) 2014-07-24 2018-10-23 Reponex Pharmaceuticals A/S Compositions comprising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11337994B2 (en) 2016-09-15 2022-05-24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In situ gelling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nflammation and tissue damage
US11491199B1 (en) 2021-06-09 2022-11-08 King Abdulaziz University Anticoagulation activity of sulfated carboxymethyl cellulose/Azadirachta indica leaf powder-based biocomposit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56772A (fr) * 1950-06-23 1954-03-02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 anticoagulant de synthèse
US3115488A (en) * 1960-02-29 1963-12-24 American Home Prod Alginic acid methyl ester sulfates, preparation and molecular weight fractionation thereof
FR1730M (fr) * 1962-01-17 1963-03-18 Charles Riviere Nouvelle composition de collyre.
JPS4943937B1 (ko) * 1970-12-28 1974-11-25
US3709877A (en) * 1972-03-07 1973-01-09 Johnson & Johnson Process for the sulfation of cellulosic ethers
US3804092A (en) * 1973-01-15 1974-04-16 Johnson & Johnson Water dispersible nonwoven fabric
JPS5152484A (en) * 1974-10-18 1976-05-10 Sumitomo Chemical Co Pururanno ryusanesuteru oyobi sono enruino seizohoho
US4500519A (en) * 1978-11-06 1985-02-19 Choay S.A. Mucopolysaccharides having biological properties, preparation and method of use
GB2148901A (en) * 1983-10-04 1985-06-05 Johnson & Johnson Protein/polysaccharide complexes
US4879282A (en) * 1987-03-17 1989-11-07 Saliba Jr Michael J Medical application for heparin and related molecules
JPH02178229A (ja) * 1988-12-28 1990-07-11 Fujirebio Inc 抗ウイルス剤
ITPD940054A1 (it) * 1994-03-23 1995-09-2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olisaccaridi solfatati
US5997863A (en) * 1994-07-08 1999-12-07 Ibex Technologies R And D, Inc. Attenuation of wound healing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2862D1 (de) 2000-09-21
DK0925310T3 (da) 2000-11-20
ES2152107T3 (es) 2001-01-16
JP2001500184A (ja) 2001-01-09
NO991160L (no) 1999-05-10
GB2317182A (en) 1998-03-18
CA2265780A1 (en) 1998-03-19
AU726555B2 (en) 2000-11-09
EP0925310A1 (en) 1999-06-30
WO1998011141A1 (en) 1998-03-19
DE69702862T2 (de) 2001-02-22
GB2317182B (en) 2000-11-01
GB9618958D0 (en) 1996-10-23
NO991160D0 (no) 1999-03-10
EP0925310B1 (en) 2000-08-16
US20090227537A1 (en) 2009-09-10
PT925310E (pt) 2000-11-30
BR9711747A (pt) 1999-08-24
CA2265780C (en) 2006-08-22
AU4131597A (en) 199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7537A1 (en) Sulfated polysaccharides and uses thereof in medical treatment
EP0918548B1 (en) Use of oxidized cellulose and complexes thereof for chronic wound healing
US5470840A (en) Anti-inflammatory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6187743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wound healing
US4912093A (en) Use of synthetic sulfated saccharides to enhance wound healing
KR101846036B1 (ko) 상처용 세정제로서 합성 폴리설페이트화 올리고당의 사용
ES2385088T3 (es) Uso de derivados de exopolisacáridos (EPS) despolimerizados sulfatados, como cicatrizantes
DE69733493T2 (de) Dermatandisulfat,ein hemmer von thrombinerzeugung und komplementaktivierung
KR20020080406A (ko) 히알루론산 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의용재료
KR19980703628A (ko) 혈전증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EP0066908A1 (en) New anti-thromboticum based on polysacharides,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GB2329181A (en) Bioabsorbable material comprising a weak acid or acid buffer in a protein matrix
WO1999026984A1 (fr) Modification de l'heparine de faible masse moleculaire et remede contre l'ulcere de la peau
Tarusha Novel nanostructured biomateria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BRPI0902681A2 (pt) o preparo, o uso e a aplicação de membranas hemostáticas de derivados de quitosana e colágeno
Won et al. Development of Artificial Skin from Chitosan Derivatives
JPH02124902A (ja) 血液凝固抑制剤
MXPA97008378A (en) Compounds and methods to prevent the trombog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