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455A -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455A
KR20000035455A KR1019990050253A KR19990050253A KR20000035455A KR 20000035455 A KR20000035455 A KR 20000035455A KR 1019990050253 A KR1019990050253 A KR 1019990050253A KR 19990050253 A KR19990050253 A KR 19990050253A KR 20000035455 A KR20000035455 A KR 2000003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dditional information
data
display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타야스아키
와카하라다쯔야
무라야마나오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09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494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334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163828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3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4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 수신 장치에 관하여, 종래에 비하여 한층더 좋은 효율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 재생 수단으로부터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기억 수단을 기억해 두어, 외부에서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어, 이렇게하여 종래에 비하여 한층더 좋은 효율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 apparatus for controlling data recording process and method thereof}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위성을 통하여 보내져오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 장치 및 수신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백 채널쯤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TV 채널 외에, 라디오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 채널이나, 콤팩트 디스크(CD)로부터 재생한 디지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하고 있는 음악 채널도 존재하여, 사용자의 모든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위성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 장치(이하, 이것을 IRD(Integrated Receiver Decorder)라고 칭함)와 해당 수신한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해당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IRD는 선국된 채널이 음악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면서,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광 자기 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 IRD는 곡명, 아티스트명 및 연주 시간 등으로 이루어지는 TOC(Table Of Content) 정보라고 불리는 음성 부가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와 같이 수신하여, 이 음성 부가 정보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광 자기 디스크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광 자기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부가 정보의 내용을 표시할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표시관에 음성 부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이 표시관의 표시 영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음성 부가 정보중 일부의 정보밖에 표시할 수 없으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수신 단말 장치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9)의 제어에 의거하여 각각의 회로가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먼저, 안테나(2)에 의해서 방송 전파를 수신하여, 튜너(3)에 의해 선국한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수신 신호(S3)를 프론트 엔드부(4)에 송출한다.
프론트 엔드부(4)는 수신 신호(S3)를 복조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수신 데이터 스트림(D4)로서 디스크램블 회로(5)에 송출한다. 디스크램블 회로(5)는 IRD(1) 본체에 삽입한 IC 카드(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채널의 암호 키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데이터 스트림(D4)중 계약 채널의 다중화 데이터(D5)만을 추출하여 디멀티플렉서(6)에 송출한다.
디멀티플렉서(6)는 다중화 데이터(D5)를 각각의 채널마다 재배열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채널의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추출하여,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D6A)을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비디오 디코더(7)에 송출함과 동시에, 음성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MPEG 오디오 디코더(8)에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7)는 비디오 스트림(D6A)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 압축부호화 이전의 비디오 데이터(D7)를 복원하여, 이것을 NTSC(National Telelevision System Committee) 인코더(9)에 송출한다. NTSC 인코더(9)는 비디오 데이터(D7)를 NTSC 방식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여 이것을 디지털 아날로그-변환 회로(10)를 통하여 모니터(11)에 영상으로서 출력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8)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오디오 데이터(D8)를 복원하여, 이것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12)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화함으로서 L(좌) 채널(이하, 이것을 Ch라고 칭함) 오디오 신호(S12A) 및 R(우) Ch 오디오 신호(S12B)를 생성하여, 이것을 모니터(11)의 스피커(도시 생략)을 통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그런데, 디멀티플렉서(6)는 지정된 채널이 음악 채널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과 곡명, 아티스트명 및 연주 시간등의 음성 부가 정보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MPEG 오디오 디코더(8)에 송출한다.
이 경우 MPEG 오디오 디코더(8)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오디오 데이터(D8)를 복원하여 이것을 광 디지털 케이블(13)을 경유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의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인코더(22)에 디지털 데이터인채로 송출한다. 여기에서 MPEG 오디오 디코더(8)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디코드함으로서 음성 부가 정보에 대해서도 복원하고 있지만, 광 디지털 케이블(13)을 통하여 제어 신호나 음성 부가 정보등을 송신하는 것은 할 수 없다.
그런데, IRD(1)가 광 디지털 케이블(13)에 의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MPEG 오디오 디코더(8)에 의해서 복원한 오디오 데이터(D8)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12)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화하여, 이 결과얻어진 LCh 오디오 신호(S12A) 및 RCh 오디오 신호(S12B)를 동축케이블 등을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의 아날로크 디지털 변환 회로(21)에 송출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회로(21)는 LCh 오디오 신호(S12A) 및 RCh 오디오 신호(S12B)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이것을 LCh 오디오 데이터 및 RCh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데이터(D21)로서 ATRAC 인코더(22)에 송출해도 된다.
ATRAC 인코더(22)는 광 디지털 케이블(13)를 통하여 보내여져 온 디지털의 오디오 데이터(D8)를 ATRA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이것을 오디오 데이터(D22)로서 기록 재생계(23)로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23)는 오디오 데이터(D22)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 및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기록 데이터 (D23)로서 광 픽업(24)을 통하여 광 자기 디스크(25)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재생시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는 광 픽업(24)에 의해서 재생한 재생 데이터(D24)를 기록 재생계(23)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23)는 재생 데이터(D24)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재생 데이터(D25)로서 ATRAC 디코더(26)에 송출한다.
ATRAC 디코더(26)는 재생 데이터(D25)를 ATRAC 방식으로 디코드하여, 이것을 디지털 데이터인채로 광 디지털 케이블(28)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든지,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27)를 통하여 아날로그의 LCh 오디오 신호(S26A) 및 RCh 오디오 신호(S26B)로 변환하여, 이것을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방법에 있어서는, IRD(1)에 의해서 수신하여 얻은 음악 채널의 오디오 데이터(D8)를 광 디지털 케이블(13)를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인채로 광 자기 디스크(25)에 기록함으로서, 음질의 열화가 없는 고품질인 기록을 실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IRD(1)에 있어서는, 광 디지털 케이블(13)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D8)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로 송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를 컨트롤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IRD(1)에 의해서 수신하여 얻은 오디오 데이터(D8)를 광 자기 디스크(25)에 기록하는 경우, IRD(1) 및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의 양쪽 기록 조작을 수동으로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IRD(1)는 오디오 스트림(D6B)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D8)를 광 디지털 케이블(13)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에 송신하여 광 자기 디스크(25)의 소정 영역에 기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음성 부가 정보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에 송신하는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음성 부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 설치된 광 자기 디스크(25)의 TOC(Table Of Content) 영역에 음성 부가 정보를 기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D8)를 광 자기 디스크(25)에 기록할 때에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20)의 조작 패널(도시 생략)상에 설치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하여, 곡명, 아티스트명등을 원하는 표시 형태로 맞추어 인식하기 쉽도록 수동으로 입력하여 광 자기 디스크(25)의 소정 T0C 영역에 기록해야하는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한층더 좋은 효율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을 제안하며, 또한, 수신한 프로그램 방송 데이터의 내용을 기록 수단을 통하여 조작성이 양호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송파를 수신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수단과 프로그램 선택 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외부의 기록 재생 수단에 송신하여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외부에서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기록 재생 수단으로부터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두어, 외부에서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한층더 좋은 효율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방송을 수신하여 해당 수신한 프로그램 방송의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표시 형태에 대응시켜 가공함으로서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데이터 내용 정보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에 대하여 해당 기록 수단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신호 및 데이터 내용 정보를 기록 수단에 송신함으로서, 기록 수단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여 인식하기 쉽게 생성한 데이터 내용 정보를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수신한 프로그램 방송의 데이터의 내용을 기록 수단을 통하여 조작성 좋게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광 자기 디스크의 TOC 영역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4는 GUI 화면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5는 곡명 카피 처리 순서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6은 악곡 삭제 처리 순서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7은 곡순서 교체 처리 순서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8은 곡명 입력 처리 순서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9는 CPU에 의한 편집 처리 순서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선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오디오 데이터와 같이 다중화되어 송신되는 음성 부가 정보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2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타이틀 데이터를 도시하는 개략선도.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타이틀 데이터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구성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타이틀 데이터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0: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31: CPU
32: 안테나 33: IRD
34: 튜너 54: 기록 재생계
55: 광 픽업 56: 광 자기 디스크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1) 제 1 실시예
도 2에 있어서, 30는 전체로서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하는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하며, 안테나(32), IRD(33), IEEE(The Instuti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케이블(45) 및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30)는 우선 통신 위성(도시 생략)으로부터의 방송 전파를 안테나(32)에 의해서 수신하여, 이것을 프로그램 수신 장치로서의 IRD(33)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선택 수단(34 내지 37)의 튜너(34)에 송출한다. IRD(33)는 CPU(31)의 제어에 근거하여 각각의 회로가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튜너(34)에 의해서 선국한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수신 신호(S30)를 프론트 엔드부(35)에 송출한다.
프론트 엔드부(35)는 수신 신호(S30)를 복조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수신 데이터 스트림(D31)으로서 디스크램블 회로(36)에 송출한다.
디스크램블 회로(36)는 IRD(33) 본체에 삽입된 IC 카드(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채널의 암호 키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데이터 스트림(D31)중 계약 채널의 다중화 데이터(D32)를 추출하여 디멀티플렉서(37)에 송출한다.
디멀티플렉서(37)는 다중화 데이터(D32)를 각각의 채널마다에 재배열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채널만을 취득,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D33)을 MPEC 비디오 디코더(39)에 송출함과 동시에, 음성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D34A)을 MPEG 오디오 디코더(40)에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39)는 비디오 스트림(D33)를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비디오 데이터(D35)를 복원하여, 이것을 NTSC 인코더(41)에 송출한다. NTSC 인코더(41)는 비디오 데이터(D35)를 NTSC 방식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여, 이것을 NTSC 데이터(D36)로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2)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2)는 NTCS 데이터(D36)를 아날로그 신호(S37)로 변환하여 이것을 모니터(43)에 영상으로서 출력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40)는 오디오 스트림(D34A)을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PCM(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D38)를 복원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4)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4)는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아날로그 신호화함으로서, LCh 오디오 신호(S39A) 및 RCh 오디오 신호(S39B)를 생성하여, 이것을 모니터(43)의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회로(58)에 송출한다.
그런데, 디멀티플렉서(37)는 계약 채널중 음악 채널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다중화 데이터(D32)중에서 오디오 스트림(D34A)을 MPEG 오디오 디코더(40)에 송출함과 동시에, 음성 부가 정보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부가 정보로서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IEEE1394 인터페이스(38)를 통하여 CPU(31)에 송출한다.
CPU(31)는 전각의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 등에 의해서 표현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의 패킷중에서, 각각에 부가된 ID(IDentification) 번호를 기초로 프로그램 부가 정보로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한다.
이때, 기록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31)는 조작 패널(46)상의 조작 버튼(도시 생략)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기록 명령에 근거하여 기록 개시 및 기록정지 등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서의 기록 제어 데이터(D41)를 생성하여, 해당 기록 제어 데이터(D41) 및 타이틀 데이터(D40)를 제어 데이터(D42)로서 IEEE1394 인터페이스(38)로 돌려 보낸다.
IEEE1394 인터페이스(38)는 CPU(31)으로부터 공급된 제어 데이터(D42)를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서의 IEEE1394 케이블(45)로부터 데이터 기록 재생 수단으로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IEEE1394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CPU(52)에 송출함과 동시에,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IEEE1394 케이블(45)로부터 IEEE1394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ATRAC 인코더(53)에 송출한다.
ATRAC 인코더(53)는 CPU(52)의 제어에 근거하여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ATRAC 방식으로 고능률 부호화하여, 이것을 PCM 오디오 데이터(D43)로서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CPU(52)는 제어 데이터(D42)중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기록 재생계(54)에 의해 PCM 오디오 데이터(D43)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 및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기록 데이터(D44)로서 광 픽업(55)을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광 자기 디스크(56)의 지정된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CPU(52)는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타이틀 데이터(D40)중 반각의 카다가나 및 영숫자에 의해서 표기된 데이터를 가나 영수 코드 타이틀 데이터(D40A)로서 광 자기 디스크(56)의 T0C(1) 영역에 기록함과 동시에, 전각 한자 및 히라가나에 의해 표기된 데이터를 한자 코드 타이틀 데이터(D40B)로서, TOC(1) 영역과는 별도 독립하여 마련된 TOC(4) 영역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도 3).
이와 같이 IRD(33)는 CPU(31)에 의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여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기록하는 PCM 오디오 데이터(D38)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 영역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재생시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는 광 픽업(55)에 의해서 재생한 재생 데이터(D45)를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재생 데이터(D45)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재생 데이터(D46)로서 ATRAC 디코더(57)에 송출한다.
ATRAC 디코더(57)는 재생 데이터(D46)를 ATRAC 방식으로 디코드하여, 이것을 디지털의 재생 데이터(D47)로서 광 디지털 케이블(60)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든지, 또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59)를 통하여 아날로그의 LCh 오디오 신호(S48) 및 RCh 오디오 신호(S49)로 변환하여, 이것을 스피커(61)를 통해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는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 및 또는 TOC(4) 영역으로부터 재생중의 재생 데이터(D45)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50)를 광 픽업(55)에 의해서 판독하여, 이것을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타이틀 데이터(D50)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타이틀 데이터(D51)로서 CPU(52)에 송출한다.
CPU(52)는 타이틀 데이터(D51)를 RAM(Random Access Memory)(52A)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해당 타이틀 데이터(D51)를 IEEE1394 인터페이스(51), IEEE1394 케이블(45), IEEE1394 인터페이스(38) 및 CPU(31)를 통하여 RAM(31A)에 송출하는 것에 의해, 타이틀 데이터(D51)를 기억 수단으로서의 RAM(31A)에 기억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31)는 타이틀 데이터(D51)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43)에 표시하는 지시 정보가 조작 패널(46)을 통하여 입력된 경우에는, RAM(31A)에서 타이틀 데이터(D52)를 판독하여, 이것을 MPEG 비디오 디코더(39)에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39)는 타이틀 데이터(D52)에 대하여 소정의 그래픽 처리를 실시하여, 그 결과 얻은 화상 데이터를 NTSC 인코더(41)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43)에 송출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GUI(graphical·user·interface) 화면을 표시 수단(1)으로서의 모니터(43)에 표시한다.
GUI 화면(100)은 IRD(33)에 의해서 현재 수신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성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 정보 표시 영역(101)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에 내장되어 있는 광 자기 디스크(56)의 디스크 명을 표시하는 디스크 명 표시 영역(102)과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각각에 부가되어 있는 음성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음성 부가 정보 표시 영역(103)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버튼 표시 영역(10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성 부가 정보 표시 영역(103)은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 각각에 대하여, 곡순서를 나타내는 곡순서 정보(110)와, 곡명을 나타내는 곡명 정보(111)와, 아티스트명을 나타내는 인명 정보(112)와, 가사의 유무를 나타내는 가사 정보(113)와, 화상 데이터의 유무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114)와, 연주 시간 정보(115)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어 버튼 표시 영역(104)은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하여 접속된 기기를 나타내는 접속 기기 정보 표시 영역(120)과, 접속된 기기에 내장되는 광 자기 디스크(5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121)과, 접속된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버튼을 갖는 제어 버튼 표시 영역(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버튼 표시 영역(122)은 접속된 기기의 전원의 온/오프을 행하는 전원 버튼(123)과, 접속된 복수의 기기중 제어 대상의 기기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124)과, 제어 대상의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125)과 입출력의 전환을 강제적으로 IEEE1394 케이블(45)로 하기 위한, i.LINX 입력 버튼(126)과, 음성 부가 정보 표시 영역(103)에 있어서 선택된 악곡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버튼(127)과, 해당 악곡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버튼(128)과, 해당 악곡의 연주 시간의 표시의 유무를 전환하는 표시 버튼(129)과, 음성 부가 정보의 편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편집 버튼(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GUI 화면(1OO)에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편집 버튼(130)이 선택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편집 화면(W1)을 표시한다. 편집 화면(W1)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150)에 내장되어 있는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음성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음성 부가 정보 표시 영역(150)과, 음성 부가 정보에 대하여 편집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편집 버튼 표시 영역(151)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 버튼 표시 영역(151)은 음성 부가 정보 표시 영역(150)에 표시되는 음성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카다가나 또는 한자 중 어느 것인가로 전환하기 위한 표시 전환 버튼(152)과, 기록되어 있는 악곡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153)과, 곡순을 교체하기 위한 곡순서 교체 버튼(154)과, 곡명을 입력하기 위한 곡명 입력 버튼(155)과, 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되돌림 버튼(156)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편집 화면(W1)과 같이 음성 부가 정보를 카다가나에 의해서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 전환 버튼(152)이 선택되면, CPU(31)은 음성 부가 정보를 한자로 표시하는 편집 화면(W2)으로 변경한다. 이 편집 화면(W2)에는 2번째의 악곡 음성 부가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러한 한자의 음성 부가 정보가 표시되지 않은 악곡에 대하여 카다가나의 음성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편집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편집 화면(W5)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명 카피 버튼(155)이 선택되면, 편집 화면(W6)에 모니터(43)의 표시를 전환하여, 곡순이 1번째 악곡의 음성 부가 정보에 커서(160)를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6)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160)를 이동시킴으로서, 커서(160)를 음성 부가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악곡에 위치시킨 편집 화면(W7)을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7)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조작 패널(46)의 결정이 가압되면, 이것을 검출하여 곡순서가 2번째의 악곡 음성 부가 정보를 전각 카다가나로 표시한 편집 화면(W8)을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8)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실행 버튼(161)이 선택되면, 편집 화면(W9)으로 이동하여, 표시되어 있는 음성 부가 정보를 확정하는 데 대하여 취소 버튼(162)을 선택하면, 편집 화면(W5)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CPU(31)는 사용자에 의한 표시 전환 버튼(152)의 선택에 의해서 한자의 표시 형태로 전환되지 않고서 표시할 수 없는 경우(편집 화면(W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반각의 카다가나 및 영숫자에 의해서 표기된 데이터의 일부를 전각의 카다가나 및 영숫자에 의해서 표기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지정된 악곡을 삭제하는 편집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편집 화면(W15)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삭제 버튼(153)이 선택되면 곡순서가 1번째의 악곡에 커서(160)를 위치시키는 편집 화면(W16)을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16)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커서(160)를 이동시켜, 원하는 악곡의 위치까지 커서(160)를 이동시킨 편집 화면(W17)을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17)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커서(160)가 위치하는 악곡의 음성 부가 정보를 흑백 반전 표시한 편집 화면(W18)을 표시한다.
이 편집 화면(W18)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행 버튼(161)이 선택되면, 반전 표시된 악곡을 삭제한 편집 화면(W19)을 표시한다. 한편, 이 편집 화면(W18)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취소 버튼(162)에 커서를 이동시켜 편집 화면(W20)을 표시하며, 해당 편집 화면(W20)에 있어서 취소 버튼(162)이 선택되면, 편집 화면(W15)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관련하여, 편집 화면(W21)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커서(160)를 디스크 명표시 영역에 위치시킨 후, 조작 패널(46)의 결정 버튼이 눌러지면, 이것을 검출하여 편집 화면(W22)으로 이동하여 모든 음성 부가 정보를 삭제한다.
다음에 곡순서를 교체하는 편집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편집 화면(W30)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순서 교체 버튼(154)이 선택되면, 곡순서가 1번째의 악곡에 커서(160)가 이동한 편집 화면(W31)으로 옮긴다. 이 편집 화면(W31)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순서의 교체를 행하는 교체원의 악곡 위치에 커서(160)를 이동시킨 편집 화면(W32)을 표시하여, 해당 편집 화면(W32)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 패널(46)의 결정 버튼이 눌러지면, 이것을 검출하여 교체원의 악곡을 결정하여 편집 화면(W33)으로 이행한다.
편집 화면(W33)에 있어서, CPU(31)는 선택된 교체원의 악곡 표시를 흑백 반전 표시시킨다. 다음에 편집 화면(W34)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된 교체원의 악곡을 교체지까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편집 화면(W34)로부터 편집 화면(W35)를 지나서 편집 화면(W36)으로 이행시킨다. 이 편집 화면(W36)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교체지가 결정되면, 편집 화면(W37)으로 이동하여 반전 표시를 해제한다.
계속해서 곡명을 입력하는 편집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편집 화면(W40)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명입력 버튼(155)에 커서가 이동되어 결정하면, 편집 화면(W41)으로 이동하여, 커서(160)를 곡순서가 1번째의 악곡에 위치된다. 다음에 편집 화면(W42)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명을 입력해야 할 악곡의 위치에 커서(160)가 이동되어 결정되면, 곡명을 입력하기 위한 편집 화면(W43)을 연다. 이 편집 화면(W43)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곡명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편집 화면(W44)으로 이행한다.
이 편집 화면(W44)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확정 버튼(170)이 선택되면, 입력된 곡명의 문자수가 나머지의 디스크 용량의 범위내이면 편집 화면(W45)으로 옮겨 곡명 입력을 확정시키는 한편, 입력된 곡명의 문자수가 나머지의 디스크 용량의 범위내를 초과하면 편집 화면(W46)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메시지 「디스크가 가득 찼습니다」를 최하란에 표시한다. 이것에 대하여, 편집 화면(W44)에 있어서, CPU(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취소 버튼(171)이 선택되면, 초기 화면인 편집 화면(W47)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CPU(31)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이것들의 편집 처리 순서에 대해서 도 9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SP1)으로부터 들어간 스텝(SP2)에 있어서, CPU(31)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타이틀 데이터(D51)를 RAM(31A) 및 워크 RAM(31B)에 기억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은 편집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P3)에 있어서, CPU(31)는 워크 RAM(31B)에 기억되어 있는 타이틀 데이터(D52)를, 실행된 편집 처리에 따라서 재기록한다.
스텝(SP4)에 있어서, CPU(31)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RAM(52A)에 기억되어 있는 타이틀 데이터(D51)의 재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편집 화면(W)에서 실행 버튼(161)이 선택된 것인지, 취소 버튼(162)이 선택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실행 버튼(161)이 선택된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P5)으로 이행하며, 취소 버튼(162)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SP6)으로 이행한다.
스텝(SP5)에 있어서, CPU(31)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로부터 재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에 대한 응답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응답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P7)으로 이행하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응답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SP7)에 있어서, CPU(31)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로부터의 응답이 에러를 나타내는 것인지의 여부를, 즉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에 있어서 타이틀 데이터(D51)의 재기록이 실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RAM(52A)에 기억되어 있는 타이틀 데이터(D51)의 재기록이 실행된 경우에는 스텝(SP8)으로 이행하여, 재기록이 실행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스텝(SP6)으로 이행한다.
스텝(SP8)에 있어서, CPU(31)는 모니터(43)의 표시 내용을 편집 처리에 따른 내용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재기록된 워크 RAM(31B)의 타이틀 데이터(D52)를 RAM(31A)에 기록하여 해당 타이틀 데이터(D52)를 편집후의 것으로 재기록한다. 스텝(SP6)에 있어서, CPU(31)는 RAM(31A)에서 타이틀 데이터(D52)를 판독하여, 이것을 워크 RAM(31B)에 재기록함으로서, 재기록된 워크 RAM(31B)의 데이터를 처음으로 되돌린다. 다음에 스텝(SP9)으로 옮겨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CPU(52)는 내장하는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 데이터(D51)를 판독하여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해 IRD(33)의 CPU(31)에 송출한다. IRD(33)의 CPU(31)는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해 공급되는 타이틀 데이터(D51)를 RAM(31A) 및 워크 RAM(31B)에 기억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타이틀 데이터(D51)에 따른 화상을 모니터(43)에 표시한다.
이렇게하여 타이틀 데이터(D51)에 근거하는 음성 부가 정보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의 표시관에 표시하는 경우와 같이, 음성 부가 정보중 일부의 정보밖에 표시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가 회피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정보가 모니터(43)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모니터(43)의 표시를 목시할 뿐으로 광 자기 디스크(56)의 기록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IRD(33)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부가 정보를 RAM(31A)에 기억하고 두고, 필요에 따라서 해당 RAM(31A)으로부터 음성 부가 정보를 판독하여 모니터(43)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음성 부가 정보를 모니터(43)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하여 종래에 비하여 한층더 좋은 효율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반각의 카다가나 및 영숫자에 의해서 표기된 음성 부가 정보를 전각의 카다가나 및 영숫자에 의해서 표기된 음성 부가 정보로 변환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마자에 의해서 표기된 데이터를 한자에 의해서 표기된 데이터로 변환해도 되며, 요점은 음성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른 표시 형태로 변환하면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음성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변환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50)로부터 음성 부가 정보가 IRD(33)에 공급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 자동적으로 해당 음성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변환해도 된다.
(2) 제 2 실시예
도 2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어 나타내는 도 10에 있어서, 90은 제 2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하며, 안테나(32), 기록 제어 장치로서의 IRD(80),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케이블(45) 및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90)는 우선 통신 위성(도시 생략)으로부터의 방송 전파를 안테나(32)에 의해서 수신하여, 이것을 기록 제어 장치로서의 IRD(80)의 튜너(34)로 송출한다. IRD(80)는 CPU(31)의 제어에 근거하여 각각의 회로가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수신 수단으로서의 튜너(34)에 의해서 선국한 트래스폰더로부터의 수신 신호(S30)를 프론트 엔드부(35)로 송출한다.
프론트 엔드부(35)는 수신 신호(S30)를 복조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수신 데이터 스트림(D31)으로서 디스크램블 회로(36)로 송출한다.
디스크램블 회로(36)는 IRD(80) 본체에 삽입하여 IC 카드(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 채널의 암호 키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 데이터 스트림(D31)중 계약 채널의 다중화 데이터(D32)만을 추출하여 디멀티플렉서(37)에 송출한다.
디멀티플렉서(37)는 다중화 데이터(D32)를 각각의 채널마다에 재배열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된 채널만을 취득, 영상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스트림(D33)을 MPEG 비디오 디코더(39)에 송출함과 동시에, 음성 부분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오디오 스트림(D34A)을 MPEG 오디오 디코더(40)로 송출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39)는 비디오 스트림(D33)을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비디오 데이터(D35)를 복원하여 이것을 NTSC 인코더(41)에 송출한다. NTSC 인코더(41)는 비디오 데이터(D35)를 NTSC 방식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변환하여, 이것을 NTSC 데이터(D36)로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1)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2)는 NTCS 데이터(D36)를 아날로그 신호(S37)로 변환하여, 이것을 모니터(43)에 영상으로서 출력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40)는 오디오 스트림(D34A)을 디코드함으로서, 압축 부호화전의 PCMC(Pulse Code Modulation) 오디오 데이터(D38)를 복원하여, 이것을 IEEE1394 인터페이스(38)에 송출함과 동시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4)에 송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44)는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아날로그 신호화함으로서, LCh 오디오 신호(S39A) 및 RCh 오디오 신호(S39B)를 생성하여, 이것을 모니터(43)의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회로(58)에 송출한다.
그런데, 디멀티플렉서(37)는 계약 채널중 음악 채널이 지정되어 있던 경우, 다중화 데이터(D32)중에서 오디오 스트림(D34A)을 MPEG 오디오 디코더(40)에 송출함과 동시에, 음성 부가 정보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부가 정보로서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IEEE1394 인터페이스(38)를 통하여 데이터 내용 정보 생성 수단 및 제어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의 CPU(31)로 송출한다.
CPU(31)는 전각의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등에 의해서 표현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 패킷중에서, 각각에 부가된 IDC(IDentification) 번호를 기초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곡명「귀여운 사람」, 아티스트명 「울프즈」를 구별하여 판독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분 기호『/(슬래시)』를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부가하여, 곡명과 아티스트명을 이해하기 쉽게 구별시킨 「귀여운 사람/울프즈」같은 표시 형태로 되는 『데이터 내용 정보로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한다.
이때, CPU(31)는 조작 패널(46)상의 조작 버튼(도시 생략)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기록 명령에 근거하여 기록 개시 및 기록 정지 등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서의 기록 제어 데이터(D41)를 생성하여, 해당 기록 제어 데이터(D41) 및 타이틀 데이터(D40)를 제어 데이터(D42)로서 IEEE1394 인터페이스(38)에 돌려 보낸다.
IEEE1394 인터페이스(38)는 CPU(31)로부터 공급된 제어 데이터(D42)를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의 IEEE1394 케이블(45)로부터 기록 수단으로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IEEE1394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CPU(52)에 송출함과 동시에,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IEEE1394 케이블(45)로부터 IEEE1394 인터페이스(51)를 통하여 ATRAC 인코더(53)에 송출한다.
ATRAC 인코더(53)는 CPU(52)의 제어에 근거하여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ATRA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이것을 PCM 오디오 데이터(D43)로서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CPU(52)는 제어 데이터(D42)중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기록 재생계(54)에 의해 PCM 오디오 데이터(D43)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 및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기록 데이터(D44)로서 광 픽업(55)을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광 자기 디스크(56)의 지정된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CPU(52)는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5)의 TOC(4) 영역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IRD(80)는 CPU(31)에 의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여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기록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당 기록하는 PCM 오디오 데이터(D38)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재생시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는 광 픽업(55)에 의해서 재생한 재생 데이터(D45)를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재생 데이터(D45)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재생 데이터(D46)로서 ATRAC 디코더(57)에 송출한다.
ATRAC 디코더(57)는 재생 데이터(D46)를 ATRAC 방식으로 디코드하여, 이것을 디지털의 재생 데이터(D47)로서 광 디지털 케이블(60)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하든지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59)를 통하여 아날로그의 LCh 오디오 신호(S48) 및 RCh 오디오 신호(S49)로 변환하여 이것을 스피커(61)를 통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는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로부터 재생중 재생 데이터(D45)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50)를 광 픽업(55)에 의해서 판독하여 이것을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타이틀 데이터(D50)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타이틀 데이터 (D51)로서 CPU(52)에 송출한다.
CPU(52)는 타이틀 데이터(D51)를 액정 디스플레이로 되는 표시부(62)에 송출한다. 표시부(62)는 예를 들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 본체의 표면상에 설치되어, 타이틀 데이터(D51)에 근거하여 재생중의 곡에 대한 타이틀(「귀여운 사람/울프즈」)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에서는 기록시에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기록 데이터(D44)를 기록함과 동시에, 타이틀 데이터(D40)를 TOC(4)에 기록한 후, 재생시에 재생 데이터(D45)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51)에 근거하여 구분 기호의 부가된 인식하기 쉬운 타이틀을 표시부(62)에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IRD(80)의 CPU(31)에 있어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에 근거하여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하여, 이것을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기록하기까지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도 13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CPU(31)는 RT(1)의 개시 스텝으로부터 들어와 스텝(SP21)으로 옮긴다. 스텝(SP21)에 있어서 CPU(31)는 튜너(34)를 통하여 원하는 음악 채널을 수신하여 다음 스텝(SP22)으로 옮긴다.
스텝(SP22)에 있어서 CPU(31)는 원하는 음악 채널 중에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추출하여, 다음 스텝(SP23)으로 옮긴다. 스텝(SP23)에서 CPU(31)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에 근거하여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한자 및 히라가나에 의해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하여 다음 스텝(SP24)으로 옮긴다.
스텝(SP24)에서 CPU(31)는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하여 타이틀 데이터(D4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로 송출하여,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는 기록 지시를 행하여, 다음 스텝(SP25)으로 옮겨 타이틀 데이터(D40)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90)의 IRD(80)는 디멀티플렉서(37)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전각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 등에 의해서 표현된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CPU(31)에 의해서 생성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데이터(D41)와 같이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에 송출한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의 CPU(52)는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에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기록함과 동시에, 구분 기호가 부가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기록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IRD(80)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구분 기호의 부가된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하여, 기록 제어 데이터(D41)와 같이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에 송출하도록 한 것에 의해, 기록 제어 데이터(D41)에 근거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기록함과 동시에,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IRD(80)는 CPU(31)에 의해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전각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등에 의해서 표현된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40)를 생성하여, 이것을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기록함으로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에 의한 광 자기 디스크(56)의 재생시에 CPU(52)에 의해서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로부터 판독된 타이틀을 표시부(62)에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3) 제 3 실시예
도 10과의 대응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도시하는 도 14에 있어서, 100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하며, 안테나(32),기록 제어 장치로서의 IRD(70),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의 제어 마우스(72) 및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는 디멀티플렉서(37)로부터 오디오 스트림(D34A)을 MPEG 오디오 디코더(40)에 송출함과 동시에, 부가 정보로서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CPU(71)에 송출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40)는 오디오 스트림(D34A)을 디코드하는 것에 의해, 압축 부호화전의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복원하여, 이것을 광 디지털 케이블(47)을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인채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ATRAC 인코더(53)에 송출한다.
ATRAC 인코더(53)는 CPU(75)의 제어에 근거하여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ATRAC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이것을 PCM 오디오 데이터(D43)로서 기록 재생계(54)로 송출한다.
또한, IRD(70)에 있어서, 데이터 내용 정보 생성 수단 및 제어 신호 생성 수단으로서의 CPU(71)는 반각의 카다가나 및 영수에서만 표현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의 패킷중에서, 각각에 부가된 ID 번호를 기초로 곡명, 아티스트명을 구별하여 판독하며,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귀여운 사람/울프즈」와 같은 표시 형태로 되는 데이터 내용 정보로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생성한다.
이때, CPU(71)는 조작 패널(46)상의 조작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기록 명령에 근거하여 기록 개시 및 기록 정지 등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서의 기록 제어 데이터(D71)를 생성하여, 해당 기록 제어 데이터(D71) 및 타이틀 데이터(D70)를 제어 데이터(D72)로서, 제어 마우스(72)로부터 적외선에 의해서 기록 수단으로서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적외선 수광부(74)로 송출한다.
적외선 수광부(74)는 적외선에 의해서 보내여진 제어 데이터(D72)를 수신하여, 이것을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CPU(75)에 송출한다. CPU(75)는 제어 데이터(D72)중 기록 제어 데이터(D7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PCM 오디오 데이터(D43)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의 부가 및 소정의 변조 처리를 실시하여 기록 데이터(D44)를 생성하여, 해당 기록 데이터(D44)를 광 픽업(55)을 통하여 기록 매체로서의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CPU(75)는 기록 제어 데이터(D71)에 근거하여 기록 재생계(54) 및 광 픽업(55)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어 데이터(D72)중 타이틀 데이터(D7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기록한다. 여기서 CPU(75)는 타이틀 데이터(D70)가 반각의 카다가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반각 카다가나 및 영수로 표현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서 설치된 TOC(1) 영역에 타이틀 데이터(D70)를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재생시에 있어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광 픽업(55)에 의해서 재생한 재생 데이터(D45)를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재생 데이터(D45)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재생 데이터(D46)로서 ATRAC 디코더(57)에 송출한다.
또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로부터 재생중의 재생 데이터(D45)에 대응한 타이틀 데이터(D74)를 광 픽업(55)에 의해서 판독하여 이것을 기록 재생계(54)에 송출한다. 기록 재생계(54)는 타이틀 데이터(D74)에 대하여 오류 정정 처리 및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 후, 이것을 타이틀 데이터(D75)로서 CPU(75)에 송출한다.
CPU(75)는 타이틀 데이터(D75)를 액정 디스플레이로 되는 표시부(76)에 송출한다. 표시부(76)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 본체의 표면상에 설치되어, 타이틀 데이터(D75)에 근거하여 재생중 곡에 대한 타이틀(「귀여운 사람/울프즈」)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IRD(70)의 CPU(71)에 있어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에 근거하여 타이틀 데이터(D70)를 생성하여, 이것을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기록하기까지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도 1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CPU(71)는 RT(2)의 개시 스텝으로부터 들어와 스텝(SP11)으로 이동한다. 스텝(SP11)에 있어서 CPU(71)는 튜너(34)를 통하여 원하는 음악 채널을 수신하여, 다음 스텝(SP12)으로 이동한다.
스텝(SP12)에 있어서 CPU(71)는 원하는 음악 채널 중에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추출하여 다음 스텝(SP13)으로 이동한다. 스텝(SP13)에 있어서 CPU(71)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에 근거하여 반각 카다가나로 표현된 곡명 및 아티스트명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생성하여 다음 스텝(SP14)으로 이동한다.
스텝(SP14)에 있어서 CPU(71)는 제어 마우스(72)를 통하여 타이틀 데이터(D70) 및 기록 제어 데이터(D71)로 이루어지는 제어 데이터(D72)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송출하여, 타이틀 데이터(D7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대하여 기록하는 기록 지시를 행하여, 다음 스텝(SP15)으로 이동하여 타이틀 데이터(D70)의 기록 제어 처리 순서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의 IRD(70)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반각의 카다가나에 의해서 표현된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CPU(71)에 의해서 생성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기록 제어 데이터(D71)와 같이 제어 마우스(72)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적외선에 의해서 송신한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CPU(75)는 기록 제어 데이터(D71)에 근거하여 광 디지털 케이블(47)을 경유하여 보내져오는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함과 동시에, 구분 기호가 부가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기록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IRD(70)는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구분 기호의 부가된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생성하여, 기록 제어 데이터(D71)와 같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제어 마우스(72)를 통하여 적외선에 의해서 송신하도록 한 것에 의해, 기록 제어 데이터(D71)에 근거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의 소정 영역에 PCM 오디오 데이터(D38)를 기록함과 동시에,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IRD(70)은 CPU(71)에 의해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반각의 카다가나의 곡명 및 아티스트명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한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의 타이틀 데이터(D70)를 생성하여 이것을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한 광 자기 디스크(56)의 재생시에 CPU(75)에 의해서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로부터 판독된 타이틀을 표시부(76)에 인식하기 쉬운 표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100)는 타이틀 데이터(D70) 및 기록 제어 데이터(D71)를 제어 마우스(72)를 통하여 적외선에 의해서 송신하도록 한 것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같이 IEEE1394 케이블에 의해서 IRD(70)와 접속할 수 없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대하여도 기록 동작을 제어하여 타이틀 데이터(D7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4) 다른 실시예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각의 히라가나 및 한자로 표현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의 패킷을 기초로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생성한 타이틀 데이터(D40)를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4) 영역에 기록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각의 카다가나로 표현된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의 패킷을 기초로 카다가나의 곡명과 아티스트명과의 사이에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생성한 카다가나만의 타이틀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의 TOC(1) 영역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분 기호로서 「/(슬래시)」를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명과 아티스트명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으면, 「:(콜론)」이나 「:스페이스」등의 다른 여러가지의 구분 기호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송신 수단으로서의 IEEE1394 케이블(45) 및 제어 마우스(72)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D42 및 D72)를 IRD(80 및 70)으로부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83 및 73)에 송신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에 대한 타이틀 데이터(D40 및 D70)의 기록을 IRD(80 및 70)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데이터(D42 및 D72)를 단시간중에 고속으로 송신할 수 있으면 유선및 무선에 관계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데이터 송신 수단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악 채널에서 방송되는 곡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타이틀 데이터(D40 및 D70)를 생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 않고, 텔레비전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되는 곡에 부가되어 보내져오는 음성 부가 정보를 기초로 타이틀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악 채널에서 방송되는 곡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타이틀 데이터(D40 및 D70)를 생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텍스트 데이터로 되는 부가 정보를 기초로 예를 들면「프로그램명」,「구분 기호」,「출연자 또는 쟝르」등의 타이틀 데이터를 생성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이 타이틀 데이터를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악 채널에서 방송되는 곡명, 아티스트명등의 음성 부가 정보 스트림(D34B)을 기초로 타이틀 데이터(D40 및 D70)를 생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명」과「구분 기호」를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여, 「아티스트명」을 아티스트 자신의 얼굴 사진이 들어간 것의 정지 화상으로 생성하여, 이들을 1세트의 타이틀 데이터로서 IEEE1394 케이블(45)을 통하여 송출하여, 광 자기 디스크(56)에 기록하 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수단으로부터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기억 수단을 기억해 두어, 외부에서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표시 수단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0)

  1. 방송파를 수신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송수신 수단을 통해 외부의 기록 재생 수단에 송신하여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상기 송수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하여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외부로부터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에 대하여 편집 처리를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편집 처리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편집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한 경우에는, 해당 재기록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상기 송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송출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표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2종 이상의 표시 형태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중, 원하는 종류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재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 종류의 표시 형태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에 부가된 음성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부가 정보는, 악곡에 대해서의 곡명, 아티스트명, 연주 시간, 가사 및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수신 장치.
  9. 방송파를 수신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해당 선택된 상기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송수신 수단을 통해 외부의 기록 재생 수단으로 송신하여 원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의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상기 송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외부로부터의 표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원하는 표시 사이즈의 표시 화면으로서 외부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에 대하여 편집 처리를 실행하고, 해당 실행된 편집 처리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기억 수단의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한 경우에는, 재기록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상기 송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 송출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표시 형태를 가지며,
    상기 2종 이상의 표시 형태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중, 원하는 종류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재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송수신 수단을 통해 상기 복수 종류의 표시 상태의 프로그램 부가 정보가 공급되면,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형태를 다른 종류의 표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부가 정보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에 부가된 음성 부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부가 정보는, 악곡에 대해서의 곡명, 아티스트명, 연주 시간, 가사 및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 방법.
  17. 프로그램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프로그램 방송의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표시 형태로 대응시켜 가공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에 대하여 기록 수단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상기 기록 수단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 생성 수단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부가 정보의 사이에 소정 형상의 구분 기호를 부가하여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전각의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에 의해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에 부가된 음성 부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부가 정보는, 악곡에 대해서의 곡명, 아티스트명, 연주 시간, 가사 및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의 기록 제어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24. 프로그램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프로그램 방송의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부가 정보를 표시 형태에 대응시켜 가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에 대하여 기록 수단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상기 기록 수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방법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기 부가 정보의 사이에 소정 형태의 구분 신호를 부가하여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전각의 히라가나, 카다가나, 한자 및 숫자에 의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수신한 프로그래의 음성 데이터에 부가된 음성 부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부가 정보는, 악곡에 대해서의 곡명, 아티스트명, 연주 시간, 가사 및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제어 방법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데이터 내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방법.
KR1019990050253A 1998-11-12 1999-11-12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5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09998A JP2000149434A (ja) 1998-11-12 1998-11-12 データ内容情報の記録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98-322099 1998-11-12
JP10334734A JP2000163828A (ja) 1998-11-25 1998-11-25 番組受信装置及び番組付加情報の表示制御方法
JP98-334734 1998-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455A true KR20000035455A (ko) 2000-06-26

Family

ID=2657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253A KR20000035455A (ko) 1998-11-12 1999-11-12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54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32B1 (ko) * 2002-10-23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 수신기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합성편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32B1 (ko) * 2002-10-23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 수신기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합성편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7218A (ja) セレクタ
KR100522949B1 (ko) 움직이는 아이콘 표시방법
JP2001045460A (ja) 番組ガイド情報提供装置、番組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受信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方法
JP3911508B2 (ja) 記録されたデータを再圧縮して書き直す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の再圧縮記録方法
US20020186423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trieval program
JPH09205638A (ja) データ送信方式および受信装置
KR20000035455A (ko)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프로그램 부가 정보의 표시 제어방법과, 데이터 내용 정보의 기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2061B1 (ko) 복수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 및 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JP3500728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100445006B1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목록 관리 방법 및 장치
JPH0918856A (ja) 双方向ケーブルテレビシステム、ケーブルテレビ装置 及び端末装置
JP2002132267A (ja) 再生装置および音楽提供システム
JP3177470B2 (ja) 再生装置
KR100609550B1 (ko)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JP2000163828A (ja) 番組受信装置及び番組付加情報の表示制御方法
US20040028382A1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list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0261890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보조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0149434A (ja) データ内容情報の記録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428459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CN1452173A (zh) 通过单个在屏显示控制多个设备的组合系统及控制方法
JP2001274757A (ja) データ放送システム
JP2002335488A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40013420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음악 방송 오디오 데이터기록방법
KR100703002B1 (ko) 선택적 인코딩이 가능한 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선택적인코딩 방법
KR20040079163A (ko) 정지영상의 화면크기조정이 가능한 기록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