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792A -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792A
KR20000033792A KR1019980050814A KR19980050814A KR20000033792A KR 20000033792 A KR20000033792 A KR 20000033792A KR 1019980050814 A KR1019980050814 A KR 1019980050814A KR 19980050814 A KR19980050814 A KR 19980050814A KR 20000033792 A KR20000033792 A KR 2000003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compact disc
additio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50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792A/ko
Publication of KR2000003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3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radio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FM 라디오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FM 부가데이터가 포함된 FM 라디오방송채널로 절환하여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지속적으로 FM 부가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체크한다. 이어 FM 부가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FM 부가데이터를 복조하여 교통정보방송을 출력하므로써 사용자는 고가의 카오디오세트를 항시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교통정보 등의 유용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본 발명은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오디오의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구동모드시에도 FM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M 다중 방송은 디지털화된 여러 가지 정보를 스테레오 음성 신호와는 다른 주파수대로 다중화시켜 상기 스테레오 음성신호와 똑같이 FM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송이다.
도 1은 반송파를 FM 변조하기 전의 FM 다중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의 파일롯트 신호를 중심으로 저역주파수대역에 L채널의 음성신호와 R채널의 음성신호의 합신호(L+R)가 위치하고, 고역주파수대역에 L채널의 음성신호와 R채널의 음성신호의 차신호(L-R)가 위치하며 상기 차신호의 주파수레벨을 벗어난 고역주파수대역에 FM 다중신호가 위치한다.
이처럼 FM 다중신호의 다중위치, 즉 서브캐리어 주파수나 비트율, 변조방식 등에 따라서 각종 방식을 개발 실용화하고 있다.
그 예로써 RDS(Radio Data System)은 주행중인 자동차에서 FM방송 수신 중에 송신소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수신이 곤란하게된 경우 자동적으로 동일 프로그램을 방송중인 별도의 주파수로 교환하는 자동 교체 기능 등, 주로 카 스테레오를 위해 수신기 제어 데이터를 방송하고 있다.
다른 예로써는 DARC(Data Radio Channel; 이하 DARC라 칭함.)는 카 스테레오나 휴대용 수신기로도 수신 가능한 이동 수신 방식 FM 다중방송으로 스테레오 음성방송과 동시에 명곡이나 유명 가수 이름 등 스테레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문자 도형정보, 뉴스나 일기예보 등 정보, 자동차를 위한 도로 교통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FM 다중방송의 하나인 DARC 기능을 적용한 카오디오 세트의 경우 DARC 방송 수신시 테이프, 콤팩트디스크 모드로 전환시에는 지속적인 DARC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여, 긴급정보나 교통정보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DARC 부가방송 실시국이 아닌 타방송의 수신시,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 재생모드로 전환하여 카세트 테이프나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 DARC 데이터 수신이 단절되어 DARC 데이터에 내포된 긴급정보, 교통정보 등을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FM 다중방송을 청취하고 있지 않더라도 항시 FM 다중방송을 모니터링하여 FM 부가방송으로의 절환을 할 수 있는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반송파를 FM 변조하기 전의 FM 다중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튜너부 110 : 튜너
120 : IF 증폭기 200 : 카세트 데크
300 : CD 플레이어 410 : 제1 스위치
420 : 제2 스위치 430 : MPX회로
440 : 가청주파수증폭기 450 : 스피커
500 : FM 부가데이터복조기 600 : 제어부
700 : 채널절환부 800 : 일시구동정지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FM 라디오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ⅱ)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현재 출력중인 FM 라디오방송이 FM 부가방송인지 체크하여 FM 부가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변조된 교통정보인 FM 부가데이터가 포함된 FM 부가방송채널로 절환하는 단계;
(ⅲ) 상기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FM 부가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ⅳ) 상기 단계(ⅲ)에서 FM 부가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FM 부가데이터를 복조하여 교통정보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ⅴ) 상기 교통정보방송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ⅲ)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에 의하면, 카세트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도중에도 FM 부가방송 실시국의 채널로 자동 절환하여 지속적으로 FM 부가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FM 부가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오디오출력중인 카세트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구동을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검색되는 FM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므로써 고가의 카오디오세트를 항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튜너부(100), 카세트 데크(200), CD 플레이어(300), 제1 스위치(410), 제2 스위치(420), MPX회로(430), 가청주파수증폭기(440), 스피커(450), FM부가데이터복조기(500), 제어부(600), 채널절환부(700), 그리고 일시구동정지부(800)를 포함한다.
튜너(110) 및 IF 증폭기(120)를 포함하는 상기 튜너부(100)는 안테나를 통해 FM 라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라디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카세트 데크(200) 및 CD 플레이어(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스위치(410)는 스위칭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튜너부(100), 카세트 데크(200) 및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3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420)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스위치(420)는 상기 제어부(600)의 스위칭제어에 응답하여 선택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MPX회로(430)에 제공한다.
상기 MPX회로(430)는 상기 제2 스위치(420)의 스위칭 동작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제공받아 L채널 및 R채널의 오디오신호를 분리한 후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가청주파수증폭기(440)에 제공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45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FM 부가데이터복조기(500)는 상기 튜너부(100)의 IF 증폭기(120)로부터 출력되는 FM 라디오신호를 복조한 후 복조된 FM 라디오신호를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FM 부가데이터복조기(500)는 FM 라디오신호를 체크하여 부가데이터의 존재 유무에 응답하는 존재유무신호(501)를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하고, 상기 FM 라디오신호에 포함된 부가데이터를 복조한 복조신호(502)를 상기 제2 스위칭부(42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존재유무신호(501)가 '0'인 경우에는 현재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FM 신호는 FM 부가데이터를 운반하지 않는 신호라는 뜻이고, 반면에 상기 존재유무신호(501)가 '1'인 경우에는 현재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FM 신호는 FM 부가데이터를 운반하는 신호라는 뜻이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FM 부가데이터복조기(500)로부터 '1'의 존재유무신호(501)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출력동작을 지속하면, 복조신호(502)의 입력 유무를 체크한다. 이때 복조신호(502)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출력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복조신호(502)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제어부(600)의 동작을 라디오신호가 출력중일 때와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가 출력중일 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라디오신호가 출력중일 때를 설명한다.
상기 FM 부가데이터복조기(500)를 통해 입력되는 존재유무신호(501)를 체크하여 '0'의 존재유무신호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제1 신호(601)를 상기 채널절환부(700)에 제공하고, 제1 신호(601)를 제공받은 상기 채널절환부(700)는 채널절환신호(701)를 상기 튜너부(100)의 FM 튜너(110)에 제공하여 현재 수신중인 FM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타른 채널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1'의 존재유무신호(501)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복조신호(502)의 입력 유무를 체크하여 복조신호(50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출력중인 라디오방송을 출력하면서 계속적으로 FM 라디오신호를 체크하여 FM 부가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복조신호(502)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위치(420)를 절환하여 상기 복조신호(502)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가 출력중일 때를 설명한다.
상기 FM 부가데이터복조기(500)를 통해 입력되는 존재유무신호(501)를 체크하여 '0'의 존재유무신호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제1 신호(601)를 상기 채널절환부(700)에 제공하고, 상기 제1 신호(601)를 제공받은 상기 채널절환부(700)는 채널절환신호(701)를 상기 튜너부(100)의 FM 튜너(110)에 제공하여 현재 수신중인 FM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다른 채널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1'의 존재유무신호(501)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복조신호(502)의 입력 유무를 체크하여 복조신호(502)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한편으로는 현재 출력중인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계속적으로 FM 라디오신호를 체크하여 FM 부가데이터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복조신호(502)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2 신호(602)를 상기 일시구동정지부(800)에 제공하여 구동중인 상기 카세트 데크(200)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300)의 구동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420)를 절환하여 상기 복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용 키삽입 등의 동작에 의해 전원이 온인 경우(단계 S11)에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라디오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450)를 통해 라디오방송을 출력한다(단계 S12).
이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카세트 데크(200)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300)의 구동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3).
상기 단계 S13에서, 상기 카세트 데크(200)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3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현재 스피커(450)를 통해 출력중인 라디오방송이 FM 부가방송인가 체크한다(단계 S14).
상기 단계 S14에서 현재 출력중인 라디오방송이 FM 부가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FM 부가방송 실시국인 FM 라디오방송채널로 절환한다(단계 S15).
상기 단계 S14에서 현재 출력중인 라디오방송이 FM 부가방송인 경우에는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FM 방송신호를 검색한다(단계 S16).
이어, FM 방송신호에 DARC 데이터가 포함되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7).
상기 단계 S17에서, FM 방송신호에 DARC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세트 데크(200)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300)의 구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FM 부가방송인 DARC 데이터의 일종인 교통정보방송을 상기 스피커(450)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18).
이어 교통정보방송의 종료여부를 체크하여, 교통정보방송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 S16으로 피드백하여 일시 정지되어 있었던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를 재구동시켜 카세트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FM 부가방송신호의 검색동작을 재수행하고, 교통정보방송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S18로 피드백하여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FM 부가방송을 출력한다(단계 S1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M 다중방송을 청취하고 있지 않더라도 항시 FM 다중방송을 모니터링하여 FM 부가방송으로의 절환을 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FM 다중방송 청취가 가능한 카오디오세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FM 다중방송을 접할 기회를 증대시켜 유용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FM 다중방송 실시중인 방송국이 전체 방송국 중 일부분이므로 FM 다중방송을 실시하지 않는 방송국의 채널을 선택 수신 중에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 청취모드로 전환하더라도 한편으로는 상기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FM 다중방송 실시국의 채널로 자동 절환하여 지속적으로 FM 부가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FM 부가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출력중인 카세트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검색되는 FM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므로써 고가의 카오디오세트를 항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오디오의 카세트 또는 콤팩트디스크모드의 동작시에도 항시 FM 다중방송에서 검출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ⅰ) FM 라디오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ⅱ)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현재 출력중인 FM 라디오방송이 FM 부가방송인지 체크하여 FM 부가방송이 아닌 경우에는 변조된 교통정보인 FM 부가데이터가 포함된 FM 부가방송채널로 절환하는 단계;
    (ⅲ) 상기 테이프 또는 콤팩트디스크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고, FM 부가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ⅳ) 상기 단계(ⅲ)에서 FM 부가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카세트 데크 또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구동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FM 부가데이터를 복조하여 교통정보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ⅴ) 상기 교통정보방송이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ⅲ)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KR1019980050814A 1998-11-25 1998-11-25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KR20000033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14A KR20000033792A (ko) 1998-11-25 1998-11-25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14A KR20000033792A (ko) 1998-11-25 1998-11-25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92A true KR20000033792A (ko) 2000-06-15

Family

ID=1955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814A KR20000033792A (ko) 1998-11-25 1998-11-25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041B1 (en) Radio data system receiver comprising a power supply circuit controlled by programme type data
JP3520307B2 (ja) 放送伝送方式および放送受信機
KR100565398B1 (ko) 다른미디어청취시에rds라디오로교통안내가능방송을선택하는방법
US20080200125A1 (en) Radio Broadcasting Device
EP0069213A3 (en) Combined car radio cassette unit
EP0643500A1 (en) Radio data system receive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audio equipment
JP3452368B2 (ja) Fm放送受信機を備えたオーディオ装置
KR20000033792A (ko) 카 오디오의 fm 다중 방송 수신방법
JP3295531B2 (ja) Rds受信機
JPH05344015A (ja) Rds受信機を含むオーディオ装置
JP2556742Y2 (ja) ラジオ受信機
KR100267582B1 (ko) 카 오디오의 에프엠 부가방송 선택 수신방법
KR100289960B1 (ko) Rds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신방법
JPH03176247A (ja) 交通情報受信機
JPH01200826A (ja) 受信機
JPH03143744A (ja) 車載用受信装置
JP3390199B2 (ja) Fmチューナ
JPS63136831A (ja) 車載用受信装置
JP2923392B2 (ja) Rds受信機
JPH11340856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817294B2 (ja) 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用受信機
JPH0888572A (ja) ラジオ受信機
JPH03110926A (ja) ラジオデータシステム受信機
JPS6223179Y2 (ko)
JP3158138B2 (ja) ラジオ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