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557A -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557A
KR20000033557A KR1019980050466A KR19980050466A KR20000033557A KR 20000033557 A KR20000033557 A KR 20000033557A KR 1019980050466 A KR1019980050466 A KR 1019980050466A KR 19980050466 A KR19980050466 A KR 19980050466A KR 20000033557 A KR20000033557 A KR 2000003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band
panel
ban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남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5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3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limiting effects of implosion of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5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펀넬의 전면에 형성된 대전방지막과 접촉가능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면과 방폭밴드의 아랫면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막층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본 발명은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밴드의 하부에 부착되어 패널 전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관선관(catjode ray tube)에는 칼라 음극선관과 모노크롬 음극선관이 있으나, 현재는 칼라 음극선관이 주류를 이룬다. 그중 거의가 섀도우마스크 방식의 칼라 음극선관이다.
섀도우마스크 방식은 패널 내면의 형광막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섀도우마스크가 설치되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상기 전자빔 통과공을 통하여 형광막의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타색의 발광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1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선관(10)에는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1)과, 상기 패널(11)의 단부와 봉착되며 네크부(12)의 내부에 전자총(13)이 내장되는 펀넬(14)과, 상기 펀넬(14)의 콘부(15)에 설치되는 편향 요오크(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11)의 외면에는 방폭밴드(1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폭밴드(17)가 설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전자총(1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의 자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음극선관(10)의 내부에 10-7torr 이상의 고진공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렇게, 상기 음극선관(10)의 내부가 고진공으로 유지되면, 외부의 대기압과 음극선관(10) 내부의 진공압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음극선관(10)의 외면중 가장 큰 응력이 작용하는 부위에는 금속편으로 된 보강 밴드인 방폭밴드(17)가 체결된다.
상기 방폭밴드(17)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본체부(17a)와, 상기 본체부(17a)의 각 모서리에 고정되며 소정의 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이어(ear,17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폭밴드(17)의 아랫면에는 밴드테이프(18)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자총(13)으로부터 출사된 전자빔으로 인하여 패널(11)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11) 표면의 소정부에는 별도의 정전기 차폐테이프(19)가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정전기 차폐테이프(19)는 패널(11)의 가장자리로부터 접촉하여 방폭밴드(17)까지 접촉 면적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11)의 표면에 발생된 정전기는 상기 차폐테이프(19)와 접지된 방폭밴드(17)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기 차폐테이프(19)는 도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된 테이프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패널(11)과 방폭밴드(17) 사이에 개재되는 밴드테이프(18)는 유리로 된 패널(11)의 외면에 방폭밴드(17)가 밴딩시 상기 패널(11)을 보호하고, 방폭밴드(17)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되어 있는데, 여기다가 상기 정전기 차폐테이프(19)가 가지는 소재의 물성을 첨가시켜 정전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음극선관(10)의 구조나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패널의 외면과 방폭밴드 사이에 개재되어 패널로부터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가 용이한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을 도시한 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음극선관을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밴드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20. 음극선관 11,21. 패널
12,22. 네크부 13,23. 전자총
14,24. 펀넬 15,25. 콘부
16,26. 편향 요오크 17,27. 방폭밴드
17a,27a. 본체부 17b,27b. 이어
18,200. 밴드테이프 210. 접착층
220. 금속막층 230. 도전막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는,
펀넬의 외면에 부착되고, 상기 펀넬의 전면에 형성된 대전방지막과 접촉가능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면과 방폭밴드 아랫면사이에 개재되는 도전막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와, 도전성 흑연과, 도전 보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전 보조제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과 도전막층 사이에는 도전성을 증가시키도록 금속막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막층은 박판의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막층은 탄소층과, 도전 보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도전 보조제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방폭테이프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10)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선관(10)에는 유리로 된 패널(21)과, 상기 패널(21)의 단부와 봉착되는 펀넬(24)이 마련된다. 상기 펀넬(24)의 네크부(22)에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23)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콘부(25)에는 상기 전자총(2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오크(2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21)의 외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밴드테이프(200)가 부착되고, 상기 밴드테이프(200)의 상면에는 방폭밴드(27)가 설치된다. 상기 방폭밴드(27)는 직사각형 형상의 띠로된 본체부(27a)와, 상기 본체부(27a)의 모서리에 설치되고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이어(27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밴드테이프(200)는 패널(21)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패널(21)의 가장자리의 소정부로부터 방폭밴드(27)의 아랫면까지 접촉하는 영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밴드테이프(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200)는 다중층의 구조를 가진다. 즉, 테이프(200)는 상기 패널(21)의 외면을 따라 접촉가능한 접착층(210)과, 제 2 물질층으로 접착층(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금속막층(220)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금속막층(220)의 상면에는 제 3 물질층으로서 상기 방폭밴드(27)의 아랫면과 접촉되는 도전막층(2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210)은 패널(21)과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아크릴계 수지로 된 접착제와 도전성을 가지는 흑연을 혼합하여 제조가능하다. 그리고, 도전 보조제로서 상기 접착층(210)의 저항을 낮출 수 있는 니켈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층(21)의 상면에는 도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금속막층(220)이 형성된다. 상기 금속막층(220)으로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알루미늄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진공 증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막층(220) 상면에는 도전막층(230)이 형성된다. 상기 도전막층(230)에는 도전성이 우수한 탄소 안료에 도전 보조제로서 니켈을 혼합하여 제조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20)은 상기 펀넬(24)의 네크부(22)에 내장된 전자총(23)으로부터 전자빔이 방출되고, 이 전자빔이 펀넬(24)의 콘부(25)에 설치된 편향 요오크(26)에 의하여 편향되어 패널(1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형광막의 형광체가 여기되어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21)의 표면에는 상기 전자총(23)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으로 인하여 음극선관(10)이 동작중이거나 동작이 종료된 이후에 전하가 축적된다. 이에 따라, 대기중의 먼지기 쉽게 패널(21)의 패면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전기 쇼오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전방지막(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패널(21)의 표면에 형성된 대전방지막은 밴드테이프(200)에 의하여 접지가능하다. 즉, 대전방지막의 소정부에 접착층(210)이 접촉되고, 그 접촉면적은 상기 방폭밴드(27)까지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층(210)과, 금속막층(220) 및 도전막층(230)으로 이루어진 방폭 테이프(200)를 통하여 상기 패널(21)의 표면에 축적된 전하가 흘러가게 되고, 상기 도전막층(230)은 방폭밴드(27)와 접지되어 있으므로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는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방폭밴드의 하부까지 접촉가능한 삼중층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방폭밴드가 패널의 외면에 밴딩시 유리로 된 패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패널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 제거가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펀넬의 외면에 부착되고, 상기 펀넬의 전면에 형성된 대전방지막과 접촉가능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면과 방폭밴드 아랫면사이에 개재되는 도전막층;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와, 도전성 흑연과, 도전 보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제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도전막층 사이에는 도전성을 증가시키도록 금속막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층은 박판의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층은 탄소층과, 도전 보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보조제는 니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KR1019980050466A 1998-11-24 1998-11-24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KR20000033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66A KR20000033557A (ko) 1998-11-24 1998-11-24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66A KR20000033557A (ko) 1998-11-24 1998-11-24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557A true KR20000033557A (ko) 2000-06-15

Family

ID=1955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466A KR20000033557A (ko) 1998-11-24 1998-11-24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5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9632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urface charge inhibiting means therein
EP0139760B1 (en) Cathode-ray tube
US5519283A (en) Internal magnetic shield for a color cathode-ray tube
KR100391255B1 (ko) 비디오디스플레이스크린용정전기방지코팅
KR20000033557A (ko) 음극선관용 밴드테이프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KR95000660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334074B1 (ko)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KR950002429B1 (ko) 절연물층을 구비한 음극선관
KR100274883B1 (ko) 음극선관
US7173364B2 (en) Cathode ray tube and anode button positioned on funnel therefor
US3639797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plated inner metal layer of high-tensile strength
KR910009640B1 (ko) 수상관(受像管)
JP2971665B2 (ja) 陰極線管
KR200183347Y1 (ko) 음극선관의 패널구조
KR20040060822A (ko) 애노드단자커버와 그것을 가지는 표시장치
KR200258240Y1 (ko) 음극선관용패널
KR100238166B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KR200266305Y1 (ko) 음극선관용패널
JP2693896B2 (ja) 陰極線管装置およびその電界シールド部材の製造方法
KR0136828Y1 (ko) 브라운관의 고압정류장치
KR200155157Y1 (ko) 음극선관의 판넬과 펀넬의 콘넥터 겸용 인너실드
KR940008088Y1 (ko) 음극선관의 정전기 방지 구조
KR200276470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전자총
WO2002049063A3 (en) Silicon carbide films for cathode-ray tube (cr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