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237A -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237A
KR20000033237A KR1019980050009A KR19980050009A KR20000033237A KR 20000033237 A KR20000033237 A KR 20000033237A KR 1019980050009 A KR1019980050009 A KR 1019980050009A KR 19980050009 A KR19980050009 A KR 19980050009A KR 20000033237 A KR20000033237 A KR 2000003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ayer
weight
mold
interior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651B1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1998005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6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미관을 용이하게 장식함은 물론 단열 방음 방진 효과가 있으며, 특히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그 형상 및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다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단열, 방습, 방수, 충격흡수가 용이한 단열완충부의 표면에 압축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열을 방지하는 메시형상의 보강접착부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접착부의 상단에는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 및 색상을 표현하는 상층부가 단열완충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의 상단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명하게 하는 코팅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형상 및 크기의 제품성형공간부을 갖는 형틀을 제작하는 형틀제작단계와; 상기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삽입되는 크기로 재단된 단열완충부의 표면에 보강접착부를 부착하는 단열완충부 및 보강접착부 결합단계와; 상기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상층부소재를 부어 소정 두께의 상층부를 형성하는 상층부형성단계와; 상기 상층부가 형성된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보강접착부가 부착된 단열완충부를 넣고 진동 가압하여 상기 상층부와 단열완충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와; 상기 단열완충부가 결합되어 소정시간 양생된 상층부에서 형틀을 탈거한 후 상기 상층부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부형성단계를 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미관을 용이하게 장식함은 물론 단열 방음 방진 효과가 있으며, 특히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그 형상 및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다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나 외부를 장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벽돌이나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이 이용되며, 이중 특히 대리석 같은 경우에는 그 무늬가 아름답고 강도가 높은 이점으로 인해 보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리석은 대부분 천연의 바위를 일정방향으로 절단하여 채취하기 때문에 자연을 훼손시키게됨은 물론 대리석 채취할 경우 이용되는 고가의 장비 및 작업상으로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대리석의 가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연 대리석은 강도가 높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충격, 소음, 진동, 지진 등에 약함으로 이로 인해 부착물이 이탈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무방비 하다는데 결점이 있고, 단열 및 방수 등에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어 미관을 용이하게 장식함은 물론 단열 방음 방진 효과를 갖도록 구성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단열, 방습, 방수, 충격흡수가 용이한 단열완충부의 표면에 압축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열을 방지하는 메시형상의 보강접착부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접착부의 상단에는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 및 색상을 표현하는 상층부가 단열완충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의 상단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명하게 하는 코팅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정형상 및 크기의 제품성형공간부을 갖는 형틀을 제작하는 형틀제작단계와; 상기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삽입되는 크기로 재단된 단열완충부의 표면에 보강접착부를 부착하는 단열완충부 및 보강접착부 결합단계와; 상기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상층부소재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상층부를 형성하는 상층부형성단계와; 상기 상층부가 형성된 형틀의 제품성형공간부에 보강접착부가 부착된 단열완충부를 넣고 진동 가압하여 상기 상층부와 단열완충부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와; 상기 단열완충부가 결합되어 소정시간 양생된 상층부에서 형틀을 탈거한 후 상기 상층부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부형성단계를 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상층부소재 10 : 인조대리석
11 : 단열완충부 11a : 지지홈
12 : 보강접착부 13 : 상층부
14 : 코팅부 20 : 형틀
21 : 제품성형공간부
이하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10)은 단열, 방습, 방수, 충격흡수가 용이한 단열완충부(11)의 표면에 압축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열을 방지하는 메시형상의 보강접착부(12)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접착부(12)의 상단에는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 및 색상을 표현하는 상층부(13)가 단열완충부(11)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13)의 상단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명하게 하고 또 지정색을 나타내는 코팅부(1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단열완충부(11)의 저면 또는 측면에는 제품의 변형방지 및 난연을 위해 보강접착부(12a)가 상층부소재(13a)에 의해 소정두께로 접합된다.
상기 단열완충부(11)는 단열 단열 방수 충격흡수 등이 용이하도록 두께 약 10 내지 100㎜정도의 스티로폴이나 이와 동등한 소재가 이용되며, 상기 보강접착부(12) 및 상층부(13)와 결합되는 면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상층부(13)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지름 약 5 내지 50㎜ 정도의 지지홈(11a)이 단열완충부(11) 두께의 약 1/2 정도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접착부(12)는 열에 강하면서도 상기 상층부(13)와 단열완충부(11)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 약 0.5 내지 2㎜정도의 유리섬유가 이용되고, 그 형상은 상층부(13)의 주재료인 상층부소재(3)가 단열완충부(11)의 표면에 접착되기에 용이하도록 통공이 다수 형성된 메시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층부(13)는 시멘트혼합물에 접착액과 색소안료가 혼합된 상층부소재(3)가 두께 약 2 내지 30㎜정도로 도포되어 성형된 것으로, 상기 상층부소재(3)는 시멘트혼합물 55 내지 80중량%, 접착액 10 내지 44중량%, 색소안료 0 내지 4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멘트혼합물은 시멘트(백시멘트 또는 일반시멘트) 40 내지 60중량%, 백중탄 40 내지 6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백중탄 대용으로 규사, 석분(돌의 분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액은 약 50 내지 70℃의 물 80 내지 95중량%, PVA(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알콜) 5 내지 20중량%가 혼합된 후 소정온도 예를 들어 약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PVA가 물에 골고루 녹아 혼합되도록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시멘트에 부합하는 일반 접착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부(14)는 도막의 침투성이 양호함은 물론 내산성 내식성이 높고 자외선에 강한 1액형이나 2액형의 유성 또는 수용성 도료로써 투명(무색) 또는 유색도료를 마감재로 이용하여 상층부(13)의 표면에 두께 약 2㎜이하로 도료의 특성에 따라 1회 이상 도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10)의 제조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상 및 크기의 제품성형공간부(21)을 갖는 형틀(20)을 제작하는 형틀제작단계(100)와, 상기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삽입되는 크기로 재단된 단열완충부(11)의 표면에 보강접착부(12)를 부착하는 단열완충부 및 보강접착부 결합단계(200)와, 상기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상층부소재(3)를 도포하여 소정 두께의 상층부(13)를 형성하는 상층부형성단계(300)와, 상기 상층부(13)가 형성된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보강접착부(12)가 부착된 단열완충부(11)를 넣고 진동 가압하여 상기 상층부(13)와 단열완충부(11)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400)와, 상기 단열완충부(11)가 결합되어 소정시간 양생된 상층부(13)에서 형틀(20)을 탈거한 후 상기 상층부(13)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코팅부(14)를 형성하는 코팅부형성단계(500)를 거쳐 성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10)이 도 2a와 같은 단면 구성일 경우에는 상기 코팅부형성단계(500)의 이전인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400) 이후에 상기 상층부(13)와 반대되는 단열완층부(11)의 표면에 제품의 변형방지 및 난연을 위한 보강접착부(12a)가 상층부소재(13a)에 의해 접착되는 단계가 선행된다.
상기 형틀제작단계(100)에서 제작되는 형틀(20)은 목재, 합판, 금속, PVC, 아크릴, PET, 비닐 스치로폴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상기 상층부(13)의 형상 예를 들어 정방형, 다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 및 상기 상층부(13) 표면의 무늬(평면 또는 요철)등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품성형공간부(21)가 형성되며, 상층부(13) 성형을 위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단열완충부 및 보강접착부 결합단계(200)는 단열완충부(11)와 보강접착부(12)가 상기 상층부(13)를 이루는 상층부소재(3)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층부형성단계(300)는 시멘트혼합물과 접착액과 그리고 색소안료가 적절히 혼합된 상층부소재(3)를 소정형상으로 형성된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미장공구나 주걱 기타 에어스프레이건 등과 같은 다양한 공구를 상층부(13)의 적용칼라 또는 표면의 모양에 따라 임의 선택하여 상기 상층부소재(3)를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 내면에 제품의 용도에 따라 약 2 내지 30㎜정도의 두께로 평탄하게 상층부(13)를 형성하게된다.
상기 단열완충부와 상층부의 결합단계(400)는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 내면에 소정두께로 펴진 상층부소재(3)가 마르기 이전에 보강접착부(12)가 접착된 단열완충부(11)를 올려놓은 후 상기 단열완충부(11)를 무거운 물건 또는 에어프레스 또는 유압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진동 압축함으로써 상기 상층부(13)와 단열완충부(11)가 밀착되어 치밀하게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층부(13)를 이루는 상층부소재(3)가 메시형상으로 형성된 보강접착부(12)의 통공을 통해 단열완충부(11)와 접착된다.
상기 코팅부형성단계(500)는 상기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400)에서 단열완충부(11)와 접착된 상층부(13)를 작업장 온도에 따라 약 1 내지 7일정도 양생시킨 후 형틀(20)을 분리시켜 탈거하고, 이후 상기 상층부(13)의 표면을 에어로 불거나 브러쉬 등으로 털어 이 물질을 제거한 다음 마감재인 도료를 상기 상측부(13) 칼라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상층부(13)의 표면에 약 2㎜이하 범위내에서 1회 이상 도포 한 후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10)은 시멘트가 포함된 상층부소재(3)와 유리섬유 그리고 스티로폴이 상호 접착되어 구성됨으로 천연 대리석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함으로 종래의 천연대리석을 건축물에 부착하는 방법과 같거나 앵커 또는 상층부소재(3) 또는 애폭시본드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하는 경우 시공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스티로폴의 특성인 단열 방음 방진 충격흡수 등과 같은 기능을 갖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 및 충격흡수가 용이한 단열완충부의 상단에 압축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열을 방지하는 메시형상의 보강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접착부의 상단에는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 및 색상을 표현하는 상층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의 상단에는 표면을 매끄럽게하는 코팅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본 발명인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및 제조방법은 종래의 천연대리석 보다 그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으로 운반 및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장에서의 분진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산업재해를 줄일수 있음은 물론 공사비 절감에 일조할 수 있고,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 지진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부착물의 이탈시 발생되는 모든 사고의 경우를 대비할 수 있게되며, 시공 후 변형되지 않음은 물론 건축물의 냉난방과 같은 열효율을 극대화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천연 대리석 채취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환경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층부소재의 배합시 색소안료 비율에 따라서 또는 배합된 상층부소재 도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칼라 및 형상을 표출할 수 있어 설계에 따라 다각도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열, 방습, 방수, 충격흡수가 용이한 단열완충부(11)의 표면에 압축 및 충격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균열을 방지하는 메시형상의 보강접착부(12)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접착부(12)의 상단에는 천연대리석과 같은 무늬 및 색상을 표현하는 상층부(13)가 단열완충부(11)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13)의 상단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함과 아울러 색상을 선명하게 하는 코팅부(1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2. 소정형상 및 크기의 제품성형공간부(21)을 갖는 형틀(20)을 제작하는 형틀제작단계(100)와; 상기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삽입되는 크기로 재단된 단열완충부(11)의 표면에 보강접착부(12)를 부착하는 단열완충부 및 보강접착부 결합단계(200)와; 상기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상층부소재(3)를 부어 소정 두께의 상층부(13)를 형성하는 상층부형성단계(300)와; 상기 상층부(13)가 형성된 형틀(20)의 제품성형공간부(21)에 보강접착부(12)가 부착된 단열완충부(11)를 넣고 진동 가압하여 상기 상층부(13)와 단열완충부(11)가 상호 접착되도록 하는 상층부 및 단열완충부 결합단계(400)와; 상기 단열완충부(11)가 결합되어 소정시간 양생된 상층부(13)에서 형틀(20)을 탈거한 후 상기 상층부(13)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코팅부(14)를 형성하는 코팅부형성단계(500)를 거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부소재(3)는 시멘트혼합물 55 내지 80중량%, 접착액 10 내지 44중량%, 색소안료 0 내지 4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혼합물은 시멘트 40 내지 60중량%, 백중탄 40 내지 6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시멘트 40 내지 60중량%, 석분 40 내지 6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은 물 80 내지 95중량%, PVA 5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용 단열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KR1019980050009A 1998-11-20 1998-11-20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KR10029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09A KR100299651B1 (ko) 1998-11-20 1998-11-20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009A KR100299651B1 (ko) 1998-11-20 1998-11-20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237A true KR20000033237A (ko) 2000-06-15
KR100299651B1 KR100299651B1 (ko) 2001-10-29

Family

ID=1955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009A KR100299651B1 (ko) 1998-11-20 1998-11-20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6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039A (ko) * 2001-01-06 2001-08-04 송근관 인공경량골재를 이용한 흡음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473783B1 (ko) * 2002-10-18 2005-03-10 (주)삼승화학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KR100848713B1 (ko) * 2006-08-21 2008-07-28 손동일 인조대리석 단열, 보온, 판재의 제조방법
KR100879020B1 (ko) * 2008-11-03 2009-01-15 맹평주 건축용 대리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353B1 (ko) * 2009-06-17 2012-03-23 진재욱 건축외장용 주조석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67A (ko) * 1999-10-12 2000-01-15 김은미 건축용 내 외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443B1 (ko) * 1994-12-31 1998-08-01 성재갑 장식 판재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039A (ko) * 2001-01-06 2001-08-04 송근관 인공경량골재를 이용한 흡음판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473783B1 (ko) * 2002-10-18 2005-03-10 (주)삼승화학 인조대리석 제조방법
KR100848713B1 (ko) * 2006-08-21 2008-07-28 손동일 인조대리석 단열, 보온, 판재의 제조방법
KR100879020B1 (ko) * 2008-11-03 2009-01-15 맹평주 건축용 대리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353B1 (ko) * 2009-06-17 2012-03-23 진재욱 건축외장용 주조석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651B1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22B1 (ko) 방수, 방화, 단열, 장식 효과가 있는 일체형 발포유리판
CA2203720A1 (en)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3967147A (zh) 保温免拆模板及其制作方法
CN105332458A (zh) 一种免装饰环保建筑结构件
CN104110092A (zh) 一种人造平板石材及其幕墙
KR100299651B1 (ko)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CN216360856U (zh) 一种安装方便的复合板
US2013027640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recycled material in the fabrication of precast architectural products
CN201133043Y (zh) 建筑物用墙面装饰板
CN108252472A (zh) 易于拼接加热式墙面建筑装饰板
KR100588458B1 (ko) 환경도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0763242B1 (ko) 건축물의 내,외장 장식용 몰딩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02125B1 (ko)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내/외장재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CN2364116Y (zh) 墙板结构部件
CN205421793U (zh) 一种一体化聚氨酯保温板
CN210151982U (zh) 一种用于轻质保温建筑板材
CN209509499U (zh) Eps空腔模块组合楼梯模
CN216380382U (zh) 一种安装方便的复合硬质饰面板的人造石板材
CN217054105U (zh) 一种预埋管线的自带装饰面层墙体
KR200389548Y1 (ko) 건축용 외장판
KR200159645Y1 (ko)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JP2954011B2 (ja) 化粧盤
KR100887574B1 (ko) 규소 패널을 이용한 친환경 섬유강화 시멘트 보드 및 그제조방법
CN201133046Y (zh) 锚固水泥基轻质板外墙外保温墙体
KR100620243B1 (ko) 내·외장재가 부착된 치장블록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