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645Y1 -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 Google Patents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645Y1
KR200159645Y1 KR2019970027827U KR19970027827U KR200159645Y1 KR 200159645 Y1 KR200159645 Y1 KR 200159645Y1 KR 2019970027827 U KR2019970027827 U KR 2019970027827U KR 19970027827 U KR19970027827 U KR 19970027827U KR 200159645 Y1 KR200159645 Y1 KR 200159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adhesive
wall plate
styrop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124U (ko
Inventor
이춘오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이춘오
이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오, 이병곤 filed Critical 이춘오
Priority to KR2019970027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645Y1/ko
Priority to CN98241761U priority patent/CN2364116Y/zh
Publication of KR19990014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6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실리카 세분말을 강력 접착제(40)에 혼련하여 구성한 스톤층(10)의 하면에 일정한 강도를 갖는 판재(20)를 접착하고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층(30)을 코팅하며 상기 판재(20)의 하면에는 접착제(40)로서 스티로폴(50)을 접착하여서 된 벽판(60)을 구비하여 벽체(70)에 일측단이 노출되는 구조로 고정쇠(80)를 박고 그 외부에 모르타르 접착제(90)를 바른 후 상기 벽판(60)을 고정쇠(80)에 밀어 박아 벽체(70)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 구조는 다층으로 된 벽판의 중량이 가벼우므로 시공이 쉽고 간편함과 동시에 안전하여 빠른 시공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공기단축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 건물의 중량을 경감해 줌으로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또한 벽판의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 및 긁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반영구적임과 아울러 자연석재의 벽판보다 저렴하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스티로폴에 의해 방음, 단열, 방습 효과가 있으며, 색상이 다양하므로 색상의 선택폭이 넓어 건물들이 너무 같은 색상 일변도라고 싫증을 느끼는 입주자들에게 만족할 만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 마감 구조 (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본 고안은 벽면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가벼우면서 고유의 특성을 갖는 판재를 여러겹으로 결합시켜 다층을 이루는 벽판을 벽면에 부착하여 방음, 단열, 방습성 및 내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시공이 용이하고 또 다양한 색채를 가짐으로써 외관이 미려한 벽면 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에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기타의 천연석 또는 인조석을 가공한 마감재를 구비하여 건물의 벽체에 고정쇠를 박고 이에 접착제를 발라 이 마감재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방법과, 벽체의 미장 완료한 후 단열시공과 아울러 그 표면에 스톤 스프레이 또는 페인트를 발라 마감하는 방법 등이 있다.
석재를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마감재는 강도와 광택 분야에서 우수하나 단열성과 방음성이 없어 시공시 단열 및 방음 시공을 별도로 해야 하며 색상이 단조로워 건물이 개성이 없다.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됨으로 고층건물에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석재 자원의 부족과 계속적인 체취에 의해 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자재의 확보가 어려워져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석재 마감재는 무게가 많이 나감으로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높은 곳의 공사시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작업시 시공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작업성의 차이가 현저하므로 초보자는 어려우며 그로인한 인건비 비중이 매우 높아져 공사비용이 많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재가 가져야할 단열, 방음, 방습 및 견고성을 갖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를 다층으로 일체화한 판재를 구비하여 벽체에 부착시공하므로써 시공이 간편하여 숙련정도의 차이 없이 초보자도 만족할 만한 시공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안전시공 또한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이나 풍화 작용과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단열, 방음 및 방습효과와 더불어 다양한 색채를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벽체 마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벽판의 구조를 각층별로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벽판을 벽체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벽판을 벽체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a, 5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착 상태를 나타낸 부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톤층 20 : 판재
30 : 에폭시 수지 코팅층 40 : 접착제
50 : 스티로폴 60 : 벽판
70a, 70b : 벽체 80 : 고정쇠
90 : 모르타르접착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벽체 마감 구조는, 실리카 세분말을 강력 접착제에 혼련하여 구성한 스톤층의 하면에 판재를 접착하고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를 코팅하며, 상기 판재의 하면에는 접착제로서 판상의 스티로폴(50)을 접착하여서 된 벽판을 구비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쇠를 박고 그 외부에 모르타르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벽판을 고정쇠에 밀어 붙여 벽체에 부착시킴으로 벽체의 마감 시공이 완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벽판의 구조를 각층별로 절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벽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의 세분말(20-80mesh)을 강력 접착제(40)에 개여(混練)서 스톤(STONE)층(1)을 압착 성형하고, 그 하면에 합판이나 그외의 철판,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한 강도를 갖는 각종 판재(20)부착하며 상측표면에는 에폭시 수지층(30)을 코팅하고 판재(20)의 하면에 접착제(40)(안정성 접착제라고도 함)를 도포한 후 이에 방염 처리한 판상의 스티로폴(50)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티로폴(50)대신 화이버 그래스나 석면층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벽판(60)을 구성하는 각층의 특징으로 보면 스톤층(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각 층을 보호하고 판재(20)는 스톤층(10)과 함께 외부의 충격을 2차적으로 차단하고, 스톤층(10)의 표면에 코팅된 에폭시 수지층(30)은 표면의 흠집 발생을 방지하며, 스티로폴(50)은 완충작용과 방음, 단열, 방습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구조 및 특성을 갖는 벽판(60)을 벽체(70a)에 부착하여 마감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고정쇠(80)를 에어건을 이용하여 일단이 돌출 되도록 벽체(70a)에 견고하게 박고 고정쇠(80)를 비롯하여 벽체(70a)의 표면에 모르타르접착제(90)를 바른 후 제3도와 같이 벽판(60)을 화살표 방향 즉, 벽체(70a) 쪽으로 밀어붙인다. 이때 모르타르 접착제(90)가 도포된 고정쇠(80)가 벽판(60)에 박히게 되고 벽판(60)과 벽체(70a)가 밀착됨으로 벽판(60)은 제4도와 같이 모르타르접착제(90)와 고정쇠(80)에 의해 벽체(70a)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이러한 마감구조는 신축건물 뿐만 아니라 오래된 건물의 벽면에도 시공할 수 있는데, 만약 신축건물이 아니라 기존건물의 벽면을 보수할 때 본 고안의 벽판(60)을 직접 부착하기에 적당하지 않을 때에는 예를 들어 벽체(70b)의 표면이 요철면이어 벽판 (60)을 부착하기가 어려울 경우에는 제5a, 5b도에서와 같이 벽체(70b)에 보통의 고정쇠(80)보다 더긴 고정쇠(82)를 구비하여 일측 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정도로 박고 이어서 벽판(60)을 밀어 박는다. 이때 벽체(70b)의 표면과 벽판(60)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후 그 공간에 모르타르 접착제(90)를 충진시켜 벽체(70b)와 벽판(60)을 견고하게 부착시킴으로 벽체(70b)의 표면을 마감한다. 이러한 시공구조로써 낡은 건물을 신축 건물과 같이 현대감각의 색상을 갖도록 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벽체(70a) 마감 구조는 다층으로 된 벽판 (60)의 중량이 가벼우므로 시공이 쉽고 간편함과 동시에 안전하여 빠른 시공을 기대할 수 있므로 공기단축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 건물의 중량을 경감해 줌으로 건물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 또한 벽판(60)의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 및 긁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이 반영구적임과 아울러 자연석재의 벽판(60)보다 저렴하므로 경제적이다. 그리고 스티로폴(50)층에 의해 방음, 단열, 방습 효과가 있으며, 색상이 다양하므로 색상의 선택폭이 넓어 건물들이 너무 같은 색상 일변도라고 싫증을 느끼는 입주자들에게 만족한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실리카 세분말을 강력 접착제(40)에 혼련하여 구성한 스톤층(10)의 하면에 일정한 강도를 갖는 판재(20)를 접착하고 상면에는 에폭시 수지층(30)을 코팅하며 상기 판재(20)의 하면에는 접착제(40)로서 스티로폴(50)을 접착하여서 된 벽판(60)을 구비하여 벽체(70a)에 일측단이 노출되는 구조로 고정쇠(80)를 박고 그 외부에 모르타르 접착제(90)를 바른 후 상기 벽판(60)을 고정쇠(80)에 밀어박아 벽체(70a)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마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60)의 한 층을 이루는 스티로폴(50)대신 석면층을 접착제(40)로 접착하여서 구성한 벽체 마감 구조.
KR2019970027827U 1997-09-25 1997-10-07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KR200159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827U KR200159645Y1 (ko) 1997-09-25 1997-10-07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CN98241761U CN2364116Y (zh) 1997-09-25 1998-09-25 墙板结构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26642 1997-09-25
KR19970026642 1997-09-25
KR2019970027827U KR200159645Y1 (ko) 1997-09-25 1997-10-07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24U KR19990014124U (ko) 1999-04-26
KR200159645Y1 true KR200159645Y1 (ko) 1999-10-15

Family

ID=6970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827U KR200159645Y1 (ko) 1997-09-25 1997-10-07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6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908B1 (ko) * 2000-05-12 2002-12-11 주식회사 피앤티기연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395813B1 (ko) * 2013-12-06 2014-05-15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습식 타일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24U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7272A1 (en) Fiber enforced thin brick sheet and process
US10858842B2 (en) Wall panel
KR100274218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CZ20021203A3 (cs) Stavební materiál z laminátového kompozitu vláknitého cementu a sádry
AU2016342075B2 (en) Wall panel
KR200159645Y1 (ko) 벽면 마감 구조(Finish structure of the wall surface)
EP1736609B1 (en) System for construction with pre-fabricated panels, and pre-fabricated panel
KR20050013663A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장 시공 방법
KR100299651B1 (ko) 내,외장용단열인조대리석제조방법
US8047672B2 (en) Mosaic floors and corresponding installation procedures
KR20100134294A (ko)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EP1599646B1 (en) Wall, roof or facade element comprising composite layer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CN215977797U (zh) 一种装配式建筑保温结构
KR200149261Y1 (ko) 건축용 조립식 단열 경량구조재
KR100249940B1 (ko)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KR102526623B1 (ko)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코너 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마감층 시공 방법
KR100303857B1 (ko) 목재 마루 공법
KR19990017697U (ko) 문틀재
KR100249939B1 (ko) 스티로폴 패널벽재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공법
JPH0225849Y2 (ko)
KR960004757B1 (ko) 콘크리트 비접착성 장식판재류를 일체로 부착한 건축용 콘크리트판재
KR200254454Y1 (ko) 합성수지판이 부착된 인조석판재
JP2514130B2 (ja) 組立て塀用塀パネル
JPH076311Y2 (ja) タイル張り出隅部または笠木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