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089A - 메뉴 기능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메뉴 기능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089A
KR20000033089A KR1019980049771A KR19980049771A KR20000033089A KR 20000033089 A KR20000033089 A KR 20000033089A KR 1019980049771 A KR1019980049771 A KR 1019980049771A KR 19980049771 A KR19980049771 A KR 19980049771A KR 20000033089 A KR20000033089 A KR 20000033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text
function
graphic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089A/ko
Publication of KR2000003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된 메뉴 기능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은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표현하는 그림과 상기 메뉴 항목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은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그래픽으로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가 메뉴 항목의 기능을 즉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뉴 기능 안내 방법
본 발명은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된 메뉴 기능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각각의 메뉴 항목을 단순히 텍스트 또는 아이콘(icon) 형태로 표시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1a는 텍스트로 표시하는 예를 보이는 것이고, 도 1b는 아이콘과 텍스트에 의해 표시하는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에 의한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는 메뉴 항목의 기능이 단순한 텍스트 및 아이콘으로 표시될 뿐이었기 때문에 메뉴 항목의 상세한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별도로 제공되는 도움말 메뉴 혹은 사용설명서를 참조할 수밖에 없었다.
즉, 메뉴 항목의 기능을 간단한 텍스트나 아이콘을 표시하는 종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서는 사용자가 메뉴 항목의 기능을 즉시적으로 상세하게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뉴 항목의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화면과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는 개선된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으로부터 변화된 화면들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합한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은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표현하는 그림과 상기 메뉴 항목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림은 적어도 화면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그래픽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텍스트는 적어도 화면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텍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본원 발명의 방법을 텔레비전 수상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에 적용된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은 메인 메뉴 영역이고, 22는 그래픽 영역이고, 24는 텍스트 영역이다.
메인 메뉴 영역(20)은 메인 메뉴 항목들(20a) 및 선택 버튼들(20b, 20c, 20d, 20e, 20f)들을 포함한다. 메인 메뉴 항목들은 화면 크기 조정(PICTURE), 오디오 볼륨 조절(AUDIO), 시각 등을 설정하기 위한 셋업(SETUP), 돌비 오디오(DOLBY AUDIO) 등을 포함한다. 메뉴 항목의 선택은 커서(20g) 혹은 업/다운 버튼(20b, 20c)으로 수행한다. 선택된 메뉴 항목에는 도면에서 굵은 실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바가 표시된다.
선택 버튼들에는 업/다운 버튼(22b, 22c), 무브 버튼들(22d, 22e), 익사이트 버튼(22f)들이 있다. 업/다운 버튼(22b, 22c)은 메뉴 항목들 혹은 선택된 메뉴 항목이 선택 가능한 여러 가지의 모드들을 가지는 경우에 모드들 간의 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무브 버튼들(22d, 22e)은 선택된 모드가 서브 모드들을 가지는 경우 이들 서브 모드들 간의 이동을 위하여 제공된다. 익사이트 버튼(22f)은 현재의 활성화된 상태를 벗어나 상위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래픽 영역(22)에는 선택된 메뉴 항목들의 기능을 표시하는 그래픽 화면이 표시된다. 만일 선택된 메뉴 항목이 선택 가능한 여러 개의 모드들을 가지는 경우 디폴트로 결정된 모드의 기능을 표시하는 그래픽 화면이 그래픽 영역(22)에 표시된다.
이러한 그래픽 영역(22)에 표시되는 그래픽 화면은 메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그래픽 영상을 얻고 이를 영상 신호에 중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텍스트 영역(24)에는 선택 메뉴 항목들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만일 선택된 메뉴 항목이 선택 가능한 여러 개의 모드들을 가지는 경우에는 디폴트로 결정된 모드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이러한 텍스트 영역(24)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메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텍스트 데이터에 의해 문자 신호를 얻고, 이를 영상 신호에 중첩시킴으로서 얻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메뉴 항목 영역(20)에서 돌비 오디오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보여지는 초기 화면을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에서 돌비 오디오 항목은 3D MODE, LIVE MODE, DOLBY MODE, OFF MODE의 4가지 모드를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3D MODE가 디폴트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그래픽 영역(22)에는 3D MODE의 기능을 표시하는 그래픽 화면이 표시되고, 텍스트 영역(24)에는 3D MODE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그래픽 영역(22)의 중앙에 사각형 박스로 표시된 것들(22s, 22b)은 각각 좌우 스피커를 표시하고, 외부의 사각형 테두리는 가청 환경의 경계 예컨대 벽을 나타내고, 그리고 인접된 물결 모양은 음향이 발생하는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사용자는 좌우 스피커(22a, 22b)에서 발생된 음향 및 벽에서 반사된 음향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그림으로부터 3차원 음향 효과를 달성하는 모드임을 즉시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영역(24)에 표시되는 설명을 통하여도 돌비 오디오의 3차원 모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에서 3D MODE는 ACTION, THEATER, DRAMA 등의 서브 모드들을 가지면 이들의 선택은 메뉴 영역(20)에 표시된 무브 버튼들(20d, 20e)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단순한 텍스트 혹은 아이콘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훨씬 풍부한 정보를 그래픽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통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강화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은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다운 버튼(20b, 20c)을 눌러 LIVE MODE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그래픽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보이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3a의 그래픽 영역(22)의 중앙에 사각형 박스로 표시된 좌우 스피커(22a, 22b)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사용자에서 생생하게 전달되는 그림으로부터 라이브 효과를 달성하는 모드임을 즉시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a의 텍스트 영역(24)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통하여 돌비 오디오 항목의 라이브 모드임을 알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은 도 3a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다운 버튼(20b, 20c)을 눌러 DOLBY MODE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그래픽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보이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3b의 그래픽 영역(22)의 중앙에 사각형 박스로 표시된 좌우 스피커(22a, 22b)와 센터 스피커(22c), 그리고 아래쪽에 사각형으로 표시된 서라운드 스피커(22d, 22e)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사용자에서 생생하게 전달되는 그림으로부터 서라운드 효과를 달성하는 모드임을 즉시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a의 텍스트 영역(24)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통하여 돌비 오디오 항목의 돌비 모드임을 알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은 도 3b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다운 버튼(20b, 20c)을 눌러 DOLBY AUDIO OFF MODE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되는 그래픽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을 보이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3c의 그래픽 영역(22)의 중앙에 사각형 박스로 표시된 좌우 스피커(22a, 22b)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사용자에서 단순하게 전달되는 그림으로부터 DOLBY AUDIO OFF 효과를 달성하는 모드임을 즉시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a의 텍스트 영역(24)에 표시되는 텍스트를 통하여 돌비 오디오 항목의 DOLBY AUDIO OFF 모드임을 알 수 있다.
도 2 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은 메인 메뉴 항목에서 돌비 오디오 항목을 선택한 경우의 예를 보이는 것이지만 동일한 개념을 화면 크기 조정, 오디오 레벨 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에서는 메인 메뉴와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표현하는 그래픽 화면 및 텍스트 화면이 같이 표시되고 있지만 메인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합한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있어서 참조부호 100은 리모트 콘트롤러이고, 200은 텔레비전 수상기이다.
리모트 콘트롤러(100)는 메뉴키(152), 선택키(154), 트랙볼(156), 트랙볼 움직임 감지부(158), 데이터 발생부(160), 제어 명령부(160), 그리고 송신부(164)를 포함한다.
텔레비전 수상기(200)는 수신부(252), 메뉴 디스플레이부(254), 메뉴 정보 저장부(256), 커서 디스플레이부(258), 메뉴 실행부(260), 그리고, 화면 발생부(262)를 포함한다.
메뉴 정보 저장부(256)는 메뉴 항목 데이터, 각 메뉴 항목의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픽 화면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 각 메뉴 항목의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화면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리모트 콘트롤러(100)에서 메뉴키(152)가 눌려지면 데이터 발생부(160)는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을 발생한다.
메뉴 디스플레이부(254)는 수신부(252)를 통하여 수신된 메뉴 디스플레이 명령에 응답하여 메뉴 정보 저장부(256)로부터 메인 메뉴에 관한 정보를 얻고, 이를 OSD 발생부(266)에 OSD 발생부(266)는 제공하며, 이에 상응하는 메뉴 영상을 발생한다. 메뉴 영상은 메뉴 영역(2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중에서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트랙볼(156)을 움직이면 트랙볼 움직임 감지부(158)는 트랙볼(156)의 움직임을 x, y방향으로 감지한다. 데이터 발생부(160)는 주기적으로 트랙볼 움직임 감지부(158)에서 감지된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일정량의 변량을 가지는 커서 이동 명령을 발생한다. 데이터 발생부(160)에서 커서 이동 명령은 송신부(164)를 통하여 전송된다.
수신부(252)는 리모트 콘트롤러(100)의 송신부(164)에서 발생된 커서 이동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커서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커서 디스플레이부(258)는 커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리모트 콘트롤러(100)로부터 선택키(154)가 눌려지면 메뉴 실행부(260)는 이에 응답하여 현재 커서가 위치한 메뉴 항목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메뉴 정보 저장부((256)로부터 얻고 이를 각각 OSG 발생부(264) 및 OSD 발생부(266)에 제공한다.
OSG발생부(264)는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그래픽 영상을 발생하고 이를 화면 합성부(262)에 제공한다. 그래픽 화면은 그래픽 영역(22)에 디스플레이된다.
OSD 발생부(266)는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문자 영상을 발생하고 이를 화면 합성부(262)에 제공한다. 화면 합성부는 그래픽 영상 및 텍스트 영상을 합성하여 메뉴 영상을 발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제공한다. 텍스트 화면은 텍스트 영역(24)에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 기능 안내 방법은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그래픽으로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가 메뉴 항목의 기능을 즉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표현하는 그래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기능 안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기능 안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은 적어도 화면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그래픽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텍스트는 적어도 화면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텍스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그래픽 영역과 텍스트 영역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기능 안내 방법.
  4.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 메뉴로부터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항목의 기능을 표현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독취하는 과정;
    독취된 그래픽 데이터로부터 그래픽 영상을 발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메뉴 기능 안내 방법.
KR1019980049771A 1998-11-19 1998-11-19 메뉴 기능 안내 방법 KR20000033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71A KR20000033089A (ko) 1998-11-19 1998-11-19 메뉴 기능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771A KR20000033089A (ko) 1998-11-19 1998-11-19 메뉴 기능 안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089A true KR20000033089A (ko) 2000-06-15

Family

ID=1955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771A KR20000033089A (ko) 1998-11-19 1998-11-19 메뉴 기능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0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77B1 (ko) * 2004-09-22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제품 상의 작업들을 편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185427B2 (en) 2004-09-22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user tasks for th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8412554B2 (en) 2004-09-2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consumer electronics using separate task and device descriptions
US8510737B2 (en) 2005-01-0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tasks made available by devices in a networ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977B1 (ko) * 2004-09-22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제품 상의 작업들을 편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099313B2 (en) 2004-09-22 201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he orchestration of tasks on consumer electronics
US8185427B2 (en) 2004-09-22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user tasks for th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8412554B2 (en) 2004-09-24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scribing consumer electronics using separate task and device descriptions
US8510737B2 (en) 2005-01-07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tasks made available by devices in a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1015B1 (ko) 지시자 위치 제어 방법
KR100667337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768113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user menu
KR102482549B1 (ko) 영상표시장치
KR10071126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434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1077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060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20000033089A (ko) 메뉴 기능 안내 방법
KR20180033771A (ko) 영상표시장치
KR20120132054A (ko)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818677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22027A (ja) 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904087B2 (ja) 画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477636B1 (ko) 메뉴 위치 이동 방법
US20170237929A1 (en) Remote controller for providing a force input in a media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4415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0659320B1 (ko)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5147667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46089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6904B1 (ko) 영상표시장치
JPH0863320A (ja) 操作用メニュー付き表示装置
KR100503469B1 (ko) 영상확대장치 및 방법
KR102140812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KR100573435B1 (ko) 셋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서버기반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