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599A -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599A
KR20000032599A KR1019980049101A KR19980049101A KR20000032599A KR 20000032599 A KR20000032599 A KR 20000032599A KR 1019980049101 A KR1019980049101 A KR 1019980049101A KR 19980049101 A KR19980049101 A KR 19980049101A KR 20000032599 A KR20000032599 A KR 2000003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ccumulator
shell
suction pip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2599A/ko
Publication of KR2000003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어큐뮬레이터의 강성을 강화하여 압축기 본체로부터 어큐뮬레이터에 전달되는 진동 및 이로 인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쉘의 임의의 내측 벽면에 그 외주면이 접합·지지된 흡입파이프와, 흡입파이프의 입구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냉매 유입홀이 형성된 스크린 홀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어큐뮬레이터의 강성이 보강되어 압축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맥동 성분에 기인하는 공진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진동으로 인한 소음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본 발명은 냉매의 압축기 본체 유입 전단계에서 냉매를 기상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본체로부터 어큐뮬레이터측으로 전달되는 주기적인 진동이나 방사소음을 줄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압축기는 회전에 의한 편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기기로서, 압축기 본체측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면 압축기의 압축효율이 저하되므로 냉매의 압축기 본체 유입 전단계에서 냉매를 기상의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어큐뮬레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로터리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도 1 및 도 2 에 제시된 장치를 한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로터리 압축기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구분되며, 이 구동부와 압축부는 크랭크축(3)으로 연결된다.
먼저, 전동부는 상호 유도작용에 의한 회전력을 얻기 위한 고정자(1) 및 회전자(2)로 구성되며, 전동부의 회전력을 압축부로 전달하는 크랭크축(3)은 회전자(2)에 압입된다.
압축부는 크랭크축(3)의 하부에 편심 설치되어 크랭크축(3)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편심궤적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롤러(4)와, 롤러(4)의 회전에 따라 냉매가 흡입·압축되는 공간인 실린더(5)와, 실린더(5)의 상·하부에서 이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6) 및 서브 베어링(7)과, 토출 냉매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메인 베어링(6)에 체결되어 소정의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머플러(8)로 구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9는 로터리 압축기의 외형을 이루는 밀폐용기이다.
여기서, 실린더(5)에는 도 1b 와 같이 냉매 흡입구(10) 및 토출구(11)가 형성되고, 토출구(11) 인접부에 형성된 슬롯(12)내를 롤러(4)의 회전에 따라 왕복하면서 흡입실(14)과 압축실(15)을 분리하는 베인(13)이 구비된다.
또한, 압축기 본체 실린더(5)의 흡입구(10)와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16)는 도 2 와 같이 원통형의 쉘(17)로 외형을 이루게 되며, 그 상부에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에서 나온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파이프(18)가 삽입되어 있고, 하부 중앙부에는 냉매를 압축기 본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부(19a)를 갖는 흡입파이프(19)가 삽입되어 그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16)의 내부에는 유입된 냉매의 필터역할을 하는 스크린(20)과, 스크린(20)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크린(20)을 통해 나온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 유입홀(21a)이 형성된 스크린 홀더(21)가 구비되어 있으며, 흡입파이프(19)의 일측에는 시스템을 돌고 나온 오일을 압축기 본체로 유입시키기 위한 오일 리턴홀(2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은 수직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크린 홀더(21)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액냉매가 흡입파이프(19)로 직접 유입되지 못하도록 흡입파이프(19) 입구부(19a)의 바깥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 및 어큐뮬레이터는 아래와 같은 동작을 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1)와 회전자(2)의 유도작용에 의해 회전자(2)가 회전하게 되며, 회전자(2)의 회전에 따라 크랭크축(3)이 회전하게 된다.
크랭크축(3)의 회전에 따라 롤러(4)가 일정한 편심괘적을 그리면서 실린더(5) 내주면을 따라 자전 및 공전하기 시작하면 실린더(5) 내측으로 흡입력이 발생하여 냉매가 흡입구(10)를 통해 실린더(5)의 흡입실(14) 내로 유입되고(흡입행정), 롤러(4)가 일정각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냉매의 압축이 시작되며(압축행정), 롤러(4)의 회전각이 200°근방에 왔을 때 압축실(15) 내의 압력이 토출압과 같거나 커지게 되어 토출구(11) 전면의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토출밸브가 열리고, 압축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토출행정).
이때, 실린더(5)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냉매의 압축 및 토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맥동에 의하여 충격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가진력이 압축부 구성 요소 부품들의 요동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며, 실린더(5)의 외부로 전파되어 실린더(5)와 용접되어 있는 밀폐용기(9)를 진동시킴으로써 압축기 외부로 소음이 누설되므로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냉매를 일정한 공명공간이 형성된 머플러(8)로 유입시켜 냉매의 유동소음을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압축·토출행정은 통상 약 50∼60㎐의 주기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로터리 압축기의 내부로 액냉매가 유입되면 압축기의 압축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으므로 압축기 본체측으로는 기상의 냉매만을 유입시켜야 되며, 이러한 역할을 냉매 유입 전단계에서 어큐뮬레이터(16)가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압축기의 작동초기에는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2상의 냉매가 쉘(17) 상부의 유입파이프(18)를 통해 유입되고, 스크린(20)을 통해 오물(찌꺼기, 탄화물질, 마모입자 등)이 걸러지면서 쉘(17)의 하부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 홀더(21)에 냉매가 직접적으로 부딪치면서 냉매 유입홀(21a)의 형상에 따라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 바깥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2상의 냉매 중 기상의 냉매는 쉘(17)의 하부측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압축기 본체로 공급되고, 액상의 냉매도 대부분 기화하게 되어 쉘(17)의 하부측으로 유동하면서 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압축기 본체로 공급되며, 그렇지 못한 액상의 냉매는 그 하중과 중력에 의해 쉘(17)의 하부에 모였다가 열에 의해 증발되어 기상상태로 되면서 상승하여 역시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압축기 본체로 공급된다.
압축기의 작동 중에는 증발기로부터 완전 증발된 기상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되며, 이때부터는 냉매가 쉘(17)에 모이지 않고 곧바로 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압축기 본체로 공급된다.
한편, 시스템을 돌고 나온 오일은 냉매와 함께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되어 쉘(17)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흡입파이프(19)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 리턴홀(22)을 통해 압축기 본체에 다시 유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 구조에서는 냉매의 압축·토출과정에서 발생된 충격 진동이 실린더의 흡입구에 삽입된 흡입파이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에 전달되며, 이러한 진동 전달에 의하여 어큐뮬레이터가 가진됨으로써 어큐뮬레이터의 쉘로부터 강한 지향성을 가지는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로터리 압축기는 약 50∼60㎐ 정도의 주기로 냉매를 흡입하게 되므로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주기적인 맥동 성분이 어큐뮬레이터 내부공간의 기주공명주파수와 공진을 일으키면서 내부공간의 음향모드를 가진함으로써 사람의 청감에 거슬리는 저주파 공명음을 방사하는 소음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흡입파이프는 길이가 길고 한쪽 끝이 쉘 하부 중앙에 지지된 구조로써 외부 가진에 따라 민감하게 진동하게 되어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흡입파이프를 쉘 내벽에 지지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및 제작상의 어려움과, 홀더의 지지상태 불량에 따른 소음 발생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압축기 본체로부터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어큐뮬레이터 쉘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강화하여 진동 및 방사소음을 저감한 어큐뮬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흡입파이프의 쉘 삽입부를 고정하여 흡입파이프 떨림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견지로는, 어큐뮬레이터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을 크게 하여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로터리 압축기의 구성도로서,
도 1a 는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1b 는 압축부 단면도이고,
도 2 는 종래 어큐뮬레이터 구성도로서,
도 2a 는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2b 는 평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구성도로서,
도 3a는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3b 는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 : 어큐뮬레이터 17 : 쉘
18 : 유입파이프 19 : 흡입파이프
19a : 입구부 19b : 절곡부
20 : 스크린 21 : 스크린 홀더
21a : 냉매 유입홀 21b : 경사면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는, 외형을 이루는 쉘에 입구부를 가진 흡입파이프가 절곡·삽입되며, 상기 쉘의 내부에는 유입 냉매의 필터역할을 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을 통해 나온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 유입홀이 형성된 스크린 홀더가 구비되어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는,
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이 상기 쉘의 임의의 내측 벽면에 접합·지지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흡입파이프의 입구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냉매 유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파이프의 절곡부는 상기 쉘의 하부에 접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은 많은 양의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린 홀더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는 단일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홀더에는 냉매를 상기 냉매 유입홀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은 유입된 냉매가 상기 흡입파이프의 입구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수평선상으로 상기 입구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쉘 및 흡입파이프의 강성이 강화되어 압축기 본체로부터 상기 흡입파이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감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쉘 및 흡입파이프의 접합부분과 다른 부분의 고유진동수가 다르게 되어 주기적인 맥동 성분에 의한 공진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사람의 청감에 거슬리는 저주파 공명음도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압축기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도 2 와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으로서, 도 3a 는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3b 는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16)는 외형을 이루는 원통형의 쉘(17) 상부에는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파이프(18)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쉘(17)의 하부에는 입구부(19a)를 갖는 흡입파이프(19)가 삽입되어 그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쉘(17)의 내부에는 유입된 냉매의 필터역할을 하는 스크린(20)과, 스크린(20)을 지지함과 아울러 스크린(20)을 통해 나온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 유입홀(21a)이 형성된 스크린 홀더(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그 구성 부품면에서는 종래 구조와 동일하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조면에서는 종래와 차별되며, 이에 주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16)는 쉘(17) 및 흡입파이프(19)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흡입파이프(19)의 쉘 삽입부로부터 그 단부까지의 외주면은 쉘(17)의 임의의 내측 벽면에 용접되며, 흡입파이프(19)의 절곡부(19b)는 상기 쉘(17)의 하부에 용접된다.
또한,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은 유입되는 냉매가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수직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스크린 홀더(21)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는 단일홀로 형성되며, 냉매 유입홀(21a)의 주위에는 냉매를 냉매 유입홀(21a)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21b)이 구비된다.
또한,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은 유입된 냉매가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수평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동작을 이하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압축기의 작동초기에는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2상 상태의 냉매가 유입파이프(18)를 통해 쉘(17) 내부로 유입되어 스크린(20)을 통해 걸러지면서 쉘(17)의 하부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스크린(20)을 통과한 냉매는 스크린 홀더(21)의 경사면(21b)에 의해 냉매 유입홀(21a)측으로 안내되어 냉매 유입홀(21a)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냉매 유입홀(21a)은 수직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스크린 홀더(21)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는 단일홀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냉매 유입홀(21a)을 통과한 2상의 냉매 중 기상의 냉매는 곧바로 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유입되며, 액상의 냉매 대부분은 그 하중과 중력으로 인해 쉘(17)의 하부측으로 유동하다가 증발·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유입되고, 나머지 액상의 냉매는 쉘(17)의 하부에 모였다가 열에 의해 증발되어 기상상태로 되면서 상승하여 역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유입된다.
압축기의 작동 중에는 증발기로부터 완전 증발된 기상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16)로 유입되며, 이때부터는 냉매가 쉘(17)의 하부에 모이지 않고 곧바로 상승하여 흡입파이프(19)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작용은 압축기 본체의 주기적인 흡입력에 의한 것으로, 압축기 본체로부터 약 50∼60㎐의 주기로 흡입력이 작용되면 냉매가 흡입파이프(19)를 통해 압축기 본체에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큐뮬레이터의 흡입시스템을 통해 흡입된 냉매가 압축기 본체에 공급되어 압축 및 토출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충격 진동이 발생되며, 이러한 충격 진동이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에 삽입된 흡입파이프를 통해 어큐뮬레이터에 전달되어 어큐뮬레이터가 가진됨으로써 어큐뮬레이터의 쉘로부터 강한 지향성을 가지는 소음이 발생됨은 전술한 바 있다.
또한, 로터리 압축기의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냉매의 주기적인 맥동 성분이 어큐뮬레이터 내부공간의 기주공명주파수와 공진을 일으키면서 내부공간의 음향모드를 가진함으로써 사람의 청감에 거슬리는 저주파 공명음을 방사하는 소음원으로 작용되고, 어큐뮬레이터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흡입파이프가 외부 가진에 따라 민감하게 진동하게 되어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됨도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6)에서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어큐뮬레이터(16)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쉘(17) 내측 벽면과 흡입파이프(19)의 외주면을 용접하며, 특히 효과적인 진동 완화를 위해 흡입파이프(19)의 절곡부(19b)와 쉘(17) 하부도 용접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쉘(17)과 흡입파이프(19) 용접부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이 부분의 고유진동수가 고주파쪽으로 이동되어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공진이 발생되지 않고 분산되는 것이다.
특히, 흡입파이프(19)의 직선부 뿐만 아니라 절곡부(19b)를 쉘(17) 하부에 용접함으로써 압축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쉘(17)과 흡입파이프(19)가 용접됨에 따라 이 부분의 고유진동수가 다른 부분의 고유진동수와 다르게 형성되므로 압축기의 주기적인 흡입 과정에서 발생되는 맥동 성분과의 공진도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사람의 청감에 거슬리는 저주파 공명음 또한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흡입파이프(19)를 넓은 면적으로 용접하여 지지함에 따라 흡입파이프(19)의 진동이 저감되며, 부수적으로 냉매를 흡입할 때 흡입파이프(19)의 떨림에 의한 와류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냉매의 유동이 원활해지며 압축기의 효율 상승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입파이프(19)의 위치가 쉘(17)의 내벽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도 구조적으로 개선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을 통과한 냉매가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수직선상으로 흡입파이프(19)의 입구부(19a)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스크린 홀더(21)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는 단일홀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린 홀더(21)의 냉매 유입홀(21a)을 단일홀로 최대한 크게 구성시키게 되면 유로면적이 냉매 유입홀(21a)의 증가분만큼 증가되어 충분한 냉매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 본체에서의 냉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압력 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비교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어큐뮬레이터의 강성 보강 없이 쉘의 하부 중앙부위에 흡입파이프가 삽입된 구조와 달리, 본 발명은 쉘과 흡입파이프를 서로 용접하여 강성을 보강하게 되므로 압축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맥동 성분에 기인하는 공진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진동에 의한 소음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적용례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 증가 없이 단순히 쉘과 흡입파이프를 용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어큐뮬레이터의 큰 문제이던 진동 및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을 최대한 크게 단일홀로 구성함에 따라 냉매의 압손이 감소되며, 흡입파이프의 진동에 따른 냉매의 와류도 발생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흡입파이프를 쉘에 용접·지지함에 따라 압축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맥동 성분에 기인하는 공진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5)

  1. 외형을 이루는 쉘에 입구부를 가진 흡입파이프가 절곡·삽입되며, 상기 쉘의 내부에는 유입 냉매의 필터역할을 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을 통해 나온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매 유입홀이 형성된 스크린 홀더가 구비되어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는,
    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이 상기 쉘의 임의의 내측 벽면에 접합·지지되며;
    상기 스크린 홀더는,
    상기 흡입파이프의 입구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냉매 유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파이프의 절곡부는 상기 쉘의 하부에 접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은 많은 양의 냉매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린 홀더의 원주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는 단일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에는 냉매를 상기 냉매 유입홀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홀더의 냉매 유입홀은 유입된 냉매가 상기 흡입파이프의 입구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수평선상으로 상기 입구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1019980049101A 1998-11-16 1998-11-16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0003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01A KR20000032599A (ko) 1998-11-16 1998-11-16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101A KR20000032599A (ko) 1998-11-16 1998-11-16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599A true KR20000032599A (ko) 2000-06-15

Family

ID=1955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101A KR20000032599A (ko) 1998-11-16 1998-11-16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2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687B1 (en) Resonator for rotary compressor
KR102257493B1 (ko) 리니어 압축기
CN106062367A (zh) 紧凑型低噪声旋转式压缩机
KR20000050706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KR20050059494A (ko) 밀폐형 압축기
KR101056857B1 (ko) 로터리 압축기
JPH09126127A (ja) 密閉型圧縮機の吐出騒音低減装置
JP2018031303A (ja) 圧縮機
CN108626125B (zh) 旋转式压缩机
KR10076316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 저감구조
KR20000032599A (ko) 로터리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19990043510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JP3569683B2 (ja) 圧縮機の吸込マフラー
JP5672855B2 (ja) 圧縮機
KR20010004767A (ko) 로터리 압축기
US20040213682A1 (en) Hermetic compressor
KR20030059614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변형 흡입 머플러
CN212389522U (zh) 压缩机
KR100533045B1 (ko) 소음 감쇠 기능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US20100031696A1 (en) Refrigerating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14017336B (zh) 压缩机及制冷设备
JP2001182654A (ja) 密閉形往復動式コンプレッサ用吐出マフラーの遮蔽板
KR100685758B1 (ko)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JPH11324961A (ja) 密閉型回転圧縮機
KR10062005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맥동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