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797A -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797A
KR20000031797A KR1019980048023A KR19980048023A KR20000031797A KR 20000031797 A KR20000031797 A KR 20000031797A KR 1019980048023 A KR1019980048023 A KR 1019980048023A KR 19980048023 A KR19980048023 A KR 19980048023A KR 20000031797 A KR20000031797 A KR 2000003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wireless network
failure
fault me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4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797A/ko
Publication of KR2000003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시스템 운용 관리에 있어서, 특히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검출된 장애 정보를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여 음성 및 화면을 통해 알려줌과 동시에 검출된 장애 정보를 축약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망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전달해 주기 위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장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범위의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애 편집부와, 장애 편집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송출하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호출 번호를 호출하는 무선망 호출부와, 무선망 호출부가 호출한 호출 번호로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송출하는 장애 문자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알려줄 수 있으므로,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현장 근무를 하지 못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로 하여금 발생된 장애에 대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본 발명은 시스템 운용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검출된 장애 정보를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여 음성 및 화면을 통해 알려줌과 동시에 검출된 장애 정보를 축약된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후 무선망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전달해 주기 위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 시스템은 수많은 전자 부품들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이 교환 시스템을 통하여 아날로그 통신 및 디지틀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사설 교환 시스템 내부에서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고장 부분에 의한 시스템의 대응 기능에 따라, 시스템 일부 또는 시스템 전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 가입자 또는 한 지역 전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설 교환 시스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장애 검출 및 보고 기능이 중요하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사설 교환 시스템은 크게 시스템 하드웨어(20)와, 시스템 소프트웨어(10)로 구성되며, 장애 검출 및 전송에 관련된 시스템 소프트웨어(10)에는 장애 검출부(11)와 장애 정보 출력부(12)가 구비된다.
장애 검출부(11)는 시스템 내부의 각 부분 단위의 장애 검출 및 장애 정보 발행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즉 시스템 내부의 각 장비, 부품, 보드 등에서 발생된 장애를 검출하여, 이에 따른 장애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장애 정보 출력부(12)는 장애 검출부(11)에서 출력된 장애 정보를 운용 관리 시스템(미도시)의 유지 보수 터미널(3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 때는 가장 일반적인 시리얼 인터페이스 규격인 RS-232를 통한다.
유지 보수 터미널(30)은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부터의 장애 정보 출력을 화면을 통해 나타내 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같이 구성된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설 교환 시스템 내부의 각 장비, 부품 또는 보드에서 발생된 장애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11)는 주기적 장애 검출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유지 보수 관리자의 명령에 의해 장애 검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장애 검출부(11)에 의해 장애가 검출되면, 즉시 이에 따른 장애 정보를 문자로 나타내어 장애 정보 출력부(12)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의 장애 정보에는 장애 내용, 장애 위치, 장애 등급이 포함되어 있다.
장애 정보 문자를 전달받은 장애 정보 출력부(12)는 사설 교환 시스템과 운용 관리 시스템간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RS-232를 통해 장애 정보 문자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운용 관리 시스템내 유지보수 터미널(30)을 통해 장애 내용, 장애 위치, 장애 등급이 화면상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유지보수 터미널(30)을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는 내용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998-05-11 13 : 20 : 00 (장애발생 년/월/일 시 : 분 : 초)
FLTOO2보드 탈장 검출 (장애 내용)
MPM (장애 위치)
긴급 (장애 등급)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에 있어서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장애 정보를 화면상으로 출력해 주는 유지 보수 터미널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게 되며, 유지 보수 관리자는 출력된 장애 정보를 확인한 후, 발생된 장애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시각이 아닌 청각을 통해 장애 발생을 인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상의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은 유지 보수 관리자가 운용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항상 위치했을 때만, 장애 발생을 즉시 인지할 수 있다는 불편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운용 중에 있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 언제, 어떤 장애가 발생되는지를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지 보수 관리자가 부재중이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현장 근무를 할 수 없게 된다면, 사설 교환 시스템에 발생된 장애를 즉시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망의 정상적인 운용이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전체 통신망이 마비될 수도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유지 보수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서 근무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유지 보수 관리자가 어디에 있든지 상관없이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발생된 장애에 대한 모든 사항을 무선망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장애에 대한 적절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은, 시스템 운용을 담당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시스템에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유지 보수 관리자가 구비한 이동 단말에 자동으로 보고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이,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장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범위의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애 편집부와, 상기 장애 편집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송출하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호출 번호를 호출하는 무선망 호출부와, 상기 무선망 호출부가 호출한 상기 호출 번호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송출하는 장애 문자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망 호출부에 의해 호출되는 상기 호출 번호는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가 구비한 호출기 또는 이동 전화기의 고유 번호이며, 상기 유지 보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망 호출부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되는 번호이다.
또한, 상기 장애 문자 송출부는 상기 송출된 문자 데이터의 수신 여부 응답에 따라, 수신 응답이 있을 때까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재송출하며,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검출된 장애 메시지는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을 포함하는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달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스템 소프트웨어 110 : 장애 검출부
120 : 장애 메시지 구성부 130 : 장애 메시지 전송부
200 : 시스템 하드웨어 300 : 유지보수 전용 소프트웨어
310 : 장애 메시지 수신부 320 : 장애 추출부
330 :장애 출력부 340 : 장애 편집부
350 : 무선망 호출부 360 : 장애 문자 송출부
400 : 운용 관리부(Window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장애 검출부(110)는 시스템 내부의 각 부분 단위의 장애 검출 및 장애 정보 발행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즉 시스템 내부의 각 장비, 부품, 보드 등에서 발생된 장애를 검출하여, 이에 따른 장애 정보를 장애 메시지 구성부(120)로 출력한다.
장애 메시지 구성부(120)는 제공받은 장애 정보를 장애 메시지로 변환하여, 장애 메시지 전송부(130)에 전달하면, 장애 메시지 전송부(130)는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달받은 장애 메시지를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여기서,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송출하기 위한 장애 메시지로 변환하는 장애 메시지 구성부(120)는 검출된 장애 정보, 즉 장애 내용, 장애 위치, 장애 등급별로 미리 정해진 이진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사설 교환 시스템의 하드웨어(200)에서 검출된 장애 정보인 장애 내용, 장애 위치, 장애 등급을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달하여, 장애 출력부(330)를 통해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시킴으로써, 유지 보수 관리자로 하여금 보고 받은 장애에 대한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운용 관리 시스템은 전송된 장애 메시지를 통해, 발생된 장애에 대한 기본적인 음성 및 화면 보고 기능은 계속 지원하면서, 현장 근무를 할 수 없는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 변환한 후, 무선망을 통해 보고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해, 운용 관리 시스템은 사설 교환 시스템과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접속되며, 무선망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유지 보수 전용 소프트웨어(300)를 탑재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하자면, 운용 관리 시스템은 크게 유지 보수 전용 소프트웨어(300)와, 윈도우(windows)를 사용하는 운용 관리부(400)로 구성되며, 특히 유지 보수 소프트웨어(300)는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검출되어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통해 전달된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는 장애 메시지 수신부(310)와, 수신된 장애 메시지를 추출하는 장애 추출부(320)와, 추출된 장애 정보를 음성 또는 화면을 통해 여러 형태로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장애 출력부(330)와, 유지 보수 관리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장애 발생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무선망을 통해 전송될 장애 문자를 편집하는 장애 편집부(340)와, 유지 보수 관리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호출기 번호 또는 이동 전화기 번호를 근거로 하여 무선망을 통해 유지 보수 관리자의 호출기 번호 또는 이동 전화기 번호에 자동으로 호출해 주는 무선망 호출부(350)와, 호출된 번호로 편집된 장애 문자를 송출하는 장애문자 송출부(3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장애 검출 및 보고에 대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종래에는 사설 교환 시스템과 운용 관리 시스템간 장애 정보 전달의 매개체로 RS-232 규격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접속된다는 상이한 점이 있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유지 보수 전용 소프트웨어(300)에 구비된 장애 메시지 수신부(310)는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통해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장애 메시지를 장애 추출부(3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운용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장애 메시지의 구조 및 쓰임새는 다음과 같다.
" 장애 메시지 헤더 정보
장애 코드
장애 위치
장애 등급 "
장애 추출부(320)는 전달받은 장애 메시지에서 장애 내용, 장애 위치, 장애 등급과 같은 장애 정보를 추출하여 장애 출력부(330)에 알리면, 장애 출력부(330)는 발생된 장애에 대한 내용, 위치, 등급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모니터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여, 현장에 있는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장애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 때, 운용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현장 근무를 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발생된 장애 정보를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보고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장애 편집부(340)는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 중 유지 보수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미리 지정해 놓은 문자 정보로 편집하게 되는데, 해당 장애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송출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편집한 데이터 구조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구분 내용 설명 출력 여부 데이터 형식
사이트 이름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 출력 사이트 스트링 데이터(예)SKTEL
발생 시간 장애가 발생된 시간 출력 년-월-일 시:분(예)98-06-23 12:30
장애 종류 발생된 장애의 종류 출력 축약된 장애 스트링 데이터(예)망동기 장애
장애 위치 장애가 발생된 위치 정보 미출력 시스템 고유명칭에 해당된 스트링 정보(예)LSM
장애 등급 발생된 장애의 등급 출력 등급에 해당되는 스트링 정보(예)긴급/주요/일반
복구 여부 발생된 장애의 복구 여부 출력 (예)복구/미복구
후속 조치 장애 후속 조치 여부 미출력 (예)조치 필요/조치 불필요
상기 표 1 에 나타낸 장애 편집부(340)에서 사용되는 편집 데이터 구조는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유지 보수 관리자의 호출기나 이동 전화기에 표시되기 때문에, 장애 문자 송출부(360)에 의해 송출되는 문자 데이터의 범위가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장애 편집부(340)에서 편집되는 데이터 구조는 한글 40자 이내 또는 영문 80자 이내의 범위를 갖게 되며, 이에 따른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이 편집되어 유지 보수 관리자의 호출기나 이동 전화기에 송출된다.
" SKTEL:98-06-23 12:30
망동기 장애-긴급
미복구 "
무선망 호출부(350)는 발생된 장애의 장애 등급에 따라 이에 해당되는 축약 편집된 무선 호출용 문자 데이터를 송출할 목적으로 미리 등록해 놓은 무선 호출 번호에 자동으로 무선망을 통한 호출을 시도한다.
무선망 호출부(350)는 여러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호출 형식과 유사하며, 유지 보수 관리자가 미리 호출을 위한 데이터를 지정, 변경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갖는다.
장애 문자 송출부(360)는 호출을 시도하여 연결된 유지 보수 관리자의 호출기 또는 이동 전화기에 편집된 문자 데이터를 송출하게 되는데, 이 때는 호출기 또는 이동 전화기를 관장하는 통신 서비스 업체의 기지국 및 그 밖의 망 요소들을 통한다.
이 때, 호출된 유지 보수 관리자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발생된 장애에 대한 문자 데이터의 송출을 재시도하며, 응답이 있을 경우에는 문자 송출 이력 관리를 위해 해당 장애 정보를 저장한다.
표 2 는 무선망을 통한 호출시 사용되는 가입자 관리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운용 관리 시스템에서 조회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관리 항목 설명 데이터 형식
고객 이름 운용자의 고유 이름 정보 스트링 데이터
사이트 이름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 정보 사이트 스트링 데이터
호출기 및 이동 전화기 번호 관리자가 소유한 무선 호출 번호 전화번호 데이터
무응답시 재시도 횟수 관리자 무응답에 따른 재시도 횟수 재시도 횟수 : 1-9
이력 관리 여부 무선 호출에 따른 자체 이력 관리 자체적으로 정리하여 보관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알려줄 수 있으므로,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현장 근무를 하지 못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로 하여금 발생된 장애에 대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시스템 운용을 담당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시스템에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상기 유지 보수 관리자가 구비한 이동 단말에 자동으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은,
    사설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장애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범위의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애 편집부와,
    상기 장애 편집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무선망을 통해 송출하도록,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호출 번호를 호출하는 무선망 호출부와,
    상기 무선망 호출부가 호출한 상기 호출 번호로 상기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송출하는 장애 문자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호출부에 의해 호출되는 상기 호출 번호는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유지 보수 관리자가 구비한 호출기 또는 이동 전화기의 고유 번호이며, 상기 유지 보수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망 호출부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되는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문자 송출부는, 상기 송출된 문자 데이터의 수신 여부 응답에 따라, 수신 응답이 있을 때까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검출된 장애 메시지는 랜 프로토콜(LAN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을 포함하는 운용 관리 시스템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KR1019980048023A 1998-11-10 1998-11-10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KR20000031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23A KR20000031797A (ko) 1998-11-10 1998-11-10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023A KR20000031797A (ko) 1998-11-10 1998-11-10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797A true KR20000031797A (ko) 2000-06-05

Family

ID=1955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023A KR20000031797A (ko) 1998-11-10 1998-11-10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955B1 (ko) * 1999-10-20 2002-04-22 윤행순 자동전화통보시스템
CN105024765A (zh) * 2014-04-17 2015-11-04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室内天线分布系统故障快速定位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955B1 (ko) * 1999-10-20 2002-04-22 윤행순 자동전화통보시스템
CN105024765A (zh) * 2014-04-17 2015-11-04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室内天线分布系统故障快速定位方法及装置
CN105024765B (zh) * 2014-04-17 2018-02-23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室内天线分布系统故障快速定位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53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ibility to call connection status
EP1826997B1 (en) Central monitoring station with method to process call based on call sour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880002355A (ko) 호출 전달기능 제공방법 및 장치
EP3028410A1 (en) Improvements in central station connectivity
CA2401061A1 (en) Non-invasive remote monitoring and reporting of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KR20000031797A (ko) 무선망을 통한 장애 메시지 보고 시스템
JPH04506293A (ja) 通信様式を自動切換する加入者装置用の制御装置
KR100559038B1 (ko) 국가간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JPS6068499A (ja) 非常通報応答システム
JP2001148084A (ja) 携帯形端末装置の位置報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る携帯形端末装置
JP4218135B2 (ja) 発信地検索システム
KR100705933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JP3240285B2 (ja) 回線切替装置
JP3212802B2 (ja) 遠隔監視装置
JPH09153949A (ja) 防災通信用交換機及び防災通信用交換機の制御方法
JP3015624B2 (ja) 非常時通報連絡装置
KR100716388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화호 비착신으로 인한 호 해제시 sms모드로 전환하는 자동 sms전환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그 방법
KR20040051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단절 원인 자동 통보 방법
JP3286132B2 (ja) 代表回線数検知装置
JP2000341435A (ja) 通信システム
JPH03104466A (ja) 専用通信網利用者への自動障害通知方式
JPS5830258A (ja) 不達通知文配送方式
JPH11164037A (ja) 監視システム
JPH10313365A (ja) 交換機および音声ガイダンス報知システム
KR20000026395A (ko)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