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637A -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637A
KR20000031637A KR1019980047780A KR19980047780A KR20000031637A KR 20000031637 A KR20000031637 A KR 20000031637A KR 1019980047780 A KR1019980047780 A KR 1019980047780A KR 19980047780 A KR19980047780 A KR 19980047780A KR 20000031637 A KR20000031637 A KR 2000003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washing tank
washing tub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637A/ko
Publication of KR2000003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의 외면에 오염 물질이 발생되어 비위생적이며, 오염 물질이 세탁물에 오염되어 세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저수조의 내부에 세탁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는 급수 밸브와 연결되는 용기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클리닝 코스 버튼의 조작에 의해 클리닝 코스가 설정되면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물의 급수를 수행하고, 물의 급수가 수행되는 동안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를 회전시키며, 세탁조의 수위가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클리닝 코스를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를 회전시켜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의 외면을 클리닝시킴으로써,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의 발생 원인을 제거시킬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세탁을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구매 의욕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오염 물질로 인한 세탁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water flow)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며, 세제는 형태에 따라 분말 세제와 액체 세제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에 대한 예를 도 1a 및 도 1b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캐비닛(10)의 상부에 톱 패널(12)이 설치되고, 톱 패널(12)은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입구(14)를 갖는다. 톱 패널(12)의 입구(14)에는 입구(14)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16)가 설치되며, 톱 패널(12)의 상면 후방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 밸브(18)가 장착되고, 톱 패널(12)의 상면 전방에는 세탁기의 운전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컨트롤 패널(20)이 장착된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 물의 저수가 가능한 저수조(22)가 설치되며, 저수조(22)의 상부에 샤워 링(shower ring: 24)이 장착되고, 샤워 링(24)은 급수 밸브(18)로부터 물을 급수받게 된다. 저수조(22)의 내부에 세탁조(26)가 회전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28)을 두고 떨어져 설치되며, 세탁조(26)에는 저수조(22)와 이어지는 다수의 구멍(26a)이 형성된다. 세탁조(26)의 바닥에는 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40)에 의해 펄세이터(pulsator: 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기어 장치(40)는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축(42)과 세탁조(26)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축(44)을 갖추고 있다. 또한, 기어 장치(40)는 다수의 기어들, 예를 들어 유성기어들 및 링기어의 조합과 제 1 및 제 2 구동축(42, 44)중 하나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단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3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40)에 의해 펄세이터(50)가 회전되며, 이 펄세이터(50)의 회전에 의해 물살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물의 탈수시에는 기어 장치(40)의 단속에 의해 제 2 구동축(44)이 회전되어 세탁조(26)가 회전되고, 세탁조(26)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26)내의 물과 세탁물에 젖어있던 물기가 구멍(26a)을 통하여 저수조(22)로 빠져나가면서 탈수가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에 오염 물질, 예를 들어 세탁물에서 나오는 때나 세제 찌꺼기 등이 묻어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곰팡이나 세균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탁 및 탈수 도중에 오염 물질이 저수조(22)와 세탁조(26)로부터 떨어지면서 세탁물에 오염되어 세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저수조(22)의 내부에 세탁조(26)가 설치되는 세탁기의 조립 구조로 인하여 저수조(22)와 세탁조(26)의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을 청소하는데 별다른 방법이 없으며, 저수조(22)와 세탁조(26)의 분리와 재조립은 매우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오염 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사용되는 세제 용해 장치에서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용해 장치에서 용기의 설치 상태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 용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급수 밸브 22: 저수조
26: 세탁조 28: 간격
30: 모터 40: 기어 장치
60: 용기 82: 클리닝 코스 버튼
84: 수위 센서 90: 마이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모터와, 저수조 및 세탁조와,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물을 급수시킬 수 있도록 급수 밸브와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클리닝 코스가 설정되면 상기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용기를 통하여 물을 급수시키는 단계와; 물의 급수가 수행되는 동안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세탁조의 수위가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클리닝 코스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패널(12)의 상면 한쪽에 안내관(50)이 나팔 형상의 입구(52)를 갖도록 형성되고, 안내관(50)의 입구(52)에는 뚜껑(54)이 힌지(5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도록 장착되며, 뚜껑(54)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관(50)의 하방에 분말 세제의 투입이 가능한 용기(60)가 내장되고, 용기(60)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60)는 안내관(50)의 입구(52)와 이어지는 나팔 형상의 호퍼(hopper: 62)를 가지며, 호퍼(62)의 하부에 배출관(64)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용기(60)의 배출관(64)은 저수조(22)와 세탁조(26)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28)의 상방에 이어진다.
그리고, 호퍼(62)의 테두리를 따라 유도관(66)이 유로(68)를 형성하도록 장착되며, 유도관(66)은 물이 배출되면서 호퍼(62)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호퍼(62)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되는 배출구(70)를 갖는다. 유도관(66)의 한쪽에는 급수 밸브(18)와 연결되는 유입관(72)이 형성되고, 배출관(64)의 상부에는 분말 세제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필터(74)가 장착되며, 필터(74)는 망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60)의 유입관(72)과 급수 밸브(18)는 직접 연결시키거나 이들의 거리가 떨어진 경우 호스(76)에 의해 연결시킨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60)는 도어(16)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용기(60)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도어(16)에 투시창(78)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기는 키매트릭스(80)의 조작에 의한 운전 신호의 입력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동 수단, 예를 들어 모터(30)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90)을 갖추고 있다. 키매트릭스(80)는 컨트롤 패널(20)과 클리닝 코스 버튼(82)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컴(90)에는 급수 밸브(18), 세탁조(26)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84)가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4,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할 때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안내관(50)의 뚜껑(54)을 열고 용기(60)의 호퍼(62)에 분말 세제를 투입시킨다(S100). 이와 같이 안내관(50)의 뚜껑(54)을 열고 닫는 것에 의해 분말 세제를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으며, 안내관(50)의 입구(52)는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 세제의 투입이 보다 용이해지므로, 사용이 편리해게 된다. 또한, 용기(60)의 호퍼(62)에 투입된 분말 세제는 필터(74)에 의해 배출관(64)을 통하여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여기에서, 분말 세제의 투입량은 세탁기의 수위에 따라 1회 세탁 분량에 맞도록 투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말 세제는 필요에 따라 투입한다.
그리고, 용기(60)의 호퍼(62)에 분말 세제를 투입시킨 후에는, 키매트릭스(80)의 클리닝 코스 버튼(82)을 조작하여 클리닝 코스를 설정한다. 클리닝 코스 버튼(82)의 조작에 의해 클리닝 코스 선택 신호가 마이컴(90)에 입력되면, 마이컴(90)은 클리닝 코스가 선택되었는 가를 판단하고(S102), 판단 결과 클리닝 코스가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모드를 실행시킨다(S104).
한편, 마이컴(90)은 클리닝 코스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 밸브(18)를 열어 급수를 수행한다(S106). 여기에서, 급수 밸브(18)를 통하여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급수시킬 수 있다. 급수 밸브(18)는 세탁조(26)와 유도관(66)으로 물을 급수시키게 되고, 급수 밸브(18)를 통한 급수량은 마이컴(90)의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물은 급수 밸브(16)로부터 샤워 링(24)을 통하여 세탁조(26)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급수됨과 동시에 유입관(72)을 통하여 유도관(66)의 유로(68)에 급수된다. 유도관(66)의 유로(68)에 급수된 물은 그 수압에 의해 유로(68)를 따라 흐르다가 배출구(70)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구(70)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호퍼(62)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호퍼(62)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은 호퍼(62) 내의 분말 세제를 용해시키게 되고, 분말 세제가 용해된 물, 즉 세제액은 필터(74)와 배출관(64)을 통하여 저수조(22)와 세탁조(26) 사이에 형성된 간격(28)의 상방에 공급된다.
계속해서, 마이컴(90)은 급수가 수행되는 중에 모터(30)를 구동시켜 세탁조(26)를 회전시킨다(S108). 이때, 모터(30)의 구동력은 기어 장치(40)의 단속에 의해 제 1 구동축(44)에 전달되고, 구동축(44)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26)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탁조(26)의 회전은 일반적인 탈수 행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조(26)의 회전에 의해 용기(60)로부터 공급되는 세제액은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에 부딪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에 오염된 오염 물질, 예를 들어 세탁물에서 나온 때나 세제 찌꺼기 등을 제거하여 주게 된다. 즉, 저수조(22)와 세탁조(26) 사이의 간격(28)에 공급되는 물이 세탁조(26)의 외면에 부딪짐과 동시에 세탁조(26)의 회전에 의해 간격(28)을 따라 비산되면서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씻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저수조(22)의 내면과 세탁조(26)의 외면에 오염되었던 오염 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곰팡이나 세균의 서식이 불가능해져 악취 등의 발생이 방지되고, 결과적으로 위생적인 세탁기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등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구매 의욕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세탁 및 탈수 도중에 오염 물질이 저수조(22)와 세탁조(26)로부터 떨어지면서 세탁물에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세탁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세탁조(26)의 수위는 수위 센서(84)에 의해 감지되고, 수위 센서(84)에 의해 감지된 수위는 마이컴(90)에 입력된다. 마이컴(90)은 수위 센서(84)로부터 입력된 수위가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하였는 가를 판단하며(S110), 판단 결과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를 계속 수행한다.
그리고, 마이컴(90)은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급수 밸브(18)를 닫아 급수를 중지시킴과 아울러 모터(3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저수조(22)로부터 물을 배수시켜 클리닝 코스를 해제시킨다(S112). 이러한 세탁조(26)의 수위는 프로그램에 의해 마이컴(90)에 설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26)의 수위는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 용량에 따라 고, 중, 저, 그리고 극소 수위로 나누어져 있는 바, 클리닝 코스에 적합한 세탁조(26)의 수위는 중 수위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닝 코스에서 세탁조(26)의 수위는 키매트릭스(80)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배수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 펌프의 구동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의하면,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를 회전시켜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의 외면을 클리닝시킴으로써,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의 발생 원인을 제거시킬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세탁을 수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구매 의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염 물질로 인한 세탁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모터와, 저수조 및 세탁조와, 상기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물을 급수시킬 수 있도록 급수 밸브와 연결되는 용기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클리닝 코스가 설정되면 상기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에 상기 용기를 통하여 물을 급수시키는 단계와;
    물의 급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세탁조의 수위가 기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클리닝 코스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코스의 설정 전에 상기 용기에 분말 세제를 투입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KR1019980047780A 1998-11-09 1998-11-09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KR20000031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80A KR20000031637A (ko) 1998-11-09 1998-11-09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80A KR20000031637A (ko) 1998-11-09 1998-11-09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37A true KR20000031637A (ko) 2000-06-05

Family

ID=1955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780A KR20000031637A (ko) 1998-11-09 1998-11-09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40A3 (ko) * 2008-06-09 2010-03-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곰팡이 제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40A3 (ko) * 2008-06-09 2010-03-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곰팡이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981B1 (ko) 전방투입방식세탁기
JP5489328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7260097B (zh) 清洗机
JP2010035748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212821A (ja) 洗濯機
CN111809355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30066936A (ko) 세탁기
KR20000031637A (ko) 세탁기의 클리닝 방법
KR20180052282A (ko)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212335582U (zh) 洗衣机
KR100751408B1 (ko)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세척방법
JP2000102695A (ja) 全自動洗濯機
JP2001187294A (ja) 洗濯機
JP615839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420307B1 (ko) 세탁기의세제용해장치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2726144B (zh) 一种洗衣机过滤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JP2003236287A (ja) 洗濯機
KR100320462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장치
KR01729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 유출 방지장치
JP201024018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11155544A (ja) 野菜洗い機
JP200716727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0966188A (ja) 洗濯機
JP2023062454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