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512A -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512A
KR20000031512A KR1019980047589A KR19980047589A KR20000031512A KR 20000031512 A KR20000031512 A KR 20000031512A KR 1019980047589 A KR1019980047589 A KR 1019980047589A KR 19980047589 A KR19980047589 A KR 19980047589A KR 20000031512 A KR20000031512 A KR 2000003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input
theft
un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홍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8004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1512A/ko
Publication of KR2000003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 도난방지 기술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기적 노이즈나, 충격 또는 습기유입 등에 의한 에러 발생에 의해 차량 도난방지 동작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차량 도어의 열림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센서를 구비한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에서의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도난방지 동작모드하에서 상기 도어센서의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의 재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본 발명은 다중통신 시스템(IVMS:In Vehicle Multiplexing System, LAN 시스템)을 채용한 차량에 있어서, 시스템의 차량 도난방지 동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에 각종 전자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차량 전자 부품의 증가와 전자 시스템의 향상 등에 의해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 wiring harness)는 보다 복잡화되어, 중량의 증대와 볼륨(전선 다발의 지름)의 비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것은 수 mm의 차량 스페이스, 수 g의 차량 중량을 중요시하는 차량 설계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또한 차량 전자 시스템의 제어가 보다 고도화되어, 복수의 시스템을 집적화, 복합화한 토탈 네트워크로서의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와이어 하니스의 전선 절약화 및 토탈 네트워크 통신을 지향하여, 최근들어 다중통신 시스템을 채용한 차량이 늘고 있다. 차량의 다중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중앙 제어 모듈인 BCM(Body Control Module)과 지역 통신 모듈인 다수개의 LCU(Local Control Units)로 구성된다. 상기 BCM 및 LCU는 일련의 스위치와 전기 부하가 연결되며, 각 LCU는 통신선을 통해 BCM의 제어를 받는다.
한편 상기 차량 다중통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차량 도난방지 동작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도난 방지동작에서 도난 상태의 판단은 통상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주요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상기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의 확인을 위해 도어 열림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센서가 구비된다. 도어센서의 출력신호는 LCU 및 통신선을 통해 BCM에 전달되어, BCM의 차량 도난 상태 판단에 중요한 정보가 된다.
그런데, 전기적 노이즈나, 충격 또는 습기유입에 의한 도어센서의 접점 불량 등에 의해 상기 도어센서의 출력신호 등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럴 경우에 BCM은 도난 상태를 오판하게 되어, 미리 설정된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시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노이즈나, 충격 또는 습기유입 등에 의한 에러 발생에 의해 차량 도난방지 동작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열림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센서를 구비한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에서의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도난방지 동작모드하에서 상기 도어센서의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의 재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주요부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과정의 중앙 제어 모듈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로크 재확인 과정의 중앙 제어 모듈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진행 과정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주요부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중심 장치인 BCM(1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LSI(Large Scale Integration)부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총괄적인 통신과 제어를 수행한다. BCM(10)의 종속 장치인 LCU(11, 12, 13, 14, 15)는 통신 LSI와 입, 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BCM(10)으로부터 통신선으로 통해 데이터 신호를 받아서 각종 전기 부하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며, 각종 스위치의 신호를 통신선을 통해 BCM(10)으로 전송한다.
상기 LCU(11, 12, 13, 14)는 차량 도어 각각에 구비되며, 각각 해당 파워윈도우(P/W)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고, 각각 도어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스위치의 스위치부(31, 33, 35 및 37)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각각 연결된 부하부(P/W모터, 도어 로크 액츄에이터 등)(32, 34, 36 및 38)의 동작을 제어한다. LCU(15)는 멀티리모트 컨트롤 유니트로서, 안테나(ANT)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받아 BCM(10)에 전달하며 트렁크 리드 오프너 액츄에이터 등 연결된 부하부(39)의 동작을 제어한다.
BCM(10)은 후드(hood), 와이퍼(wiper), 이그니션(ignition), 헤드램프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의 스위치부(21)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디포거, 와이퍼 등 연결된 부하부(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연결 부하에는 도난경보를 하기 위해 혼(horn)과 헤드램프를 구동하는 경고부(23)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각종 동작모드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도난방지 동작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종래의 도난방지 동작은 차량을 주차시 등에 상기 시스템에 도난방지 동작모드가 설정되며, 이러한 동작모드의 설정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언로크 신호가 발생하면 경보를 울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난방지 동작모드의 설정하에서 도어 언로크 신호가 발생하면 곧바로 도난 경보를 울리는 것이 아니라, 도어가 실제로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에러 요인에 의해 상기 도어 언로크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언로크 신호를 재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과정의 중앙 제어 모듈, 즉 BCM(10)의 제어 흐름도로서, 차량의 운전석 도어의 언로크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예로 들었다. 도어 언로크 신호가 입력되면, BCM(10)은 40단계에서 전체 도어가 언로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42단계에서 현재 도난방지 동작모드인가를 확인하여 도난방지 동작모드가 아니면 종료하고, 도난방지 동작모드이면 이후 44단계로 진행한다. 44단계에서는 전체 도어가 다시 로크되도록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입력된 도어 언로크 신호가 에러에 의한 것일 경우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이후 44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도어 언로크 신호가 재입력되는가를 확인한다. 도어 언로크 신호가 재입력 되지 않으면 종료하게 되며, 도어 언로크 신호가 재입력되면 이후 48단계로 진행하여 경보음의 출력이나, 헤드램프의 점등 등 도난 경보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과정에 의해 도난방지 동작모드의 설정하에서는 도어 언로크 신호가 발생하면 곧바로 도난 경보를 울리는 것이 아니라, 도어 언로크 신호가 재입력되었을 경우에 도난 경보를 울리게 되므로, 에러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된다. 한편 도어를 로크할 경우에도 에러에 의해 도어 로크가 정확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 로크 신호를 재차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로크 재확인 과정의 중앙 제어 모듈(BCM)의 제어 흐름도로서, 차량의 운전석 도어의 로크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예로 들었다. 도어 로크 신호가 입력되면 BCM(10)은 먼저 50단계에서 전체 도어가 로크되도록 제어하고, 이후 52단계에서는 카운터 값을 '1'증가시킨다. 카운터 값은 초기에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후 54단계에서 현재 카운터 값이 '2'인지를 확인하여 '2'가 아닐 경우에는 다시 상기 50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도어의 로크 제어를 수행하고 이후 52단계에서 카운터 값을 '1'증가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현재 카운터 값이 '2'이면 이후 56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터 값을 '0'으로 리셋한 후에 종료하게 된다.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운전석 도어 로크 신호 발생시 2회에 걸쳐 전체 도어를 로크하게 됨으로, 보다 완벽한 도어 로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난방지 동작모드의 설정하에서는 도어 언로크 신호가 두 번 입력되었을 경우에 도난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도어 언로크 신호가 세 번 입력되었을 경우에 도난 경보를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열림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센서를 구비한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에서의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도난방지 동작모드하에서 상기 도어센서의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의 재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짐으로, 전기적 노이즈나, 충격 또는 습기유입 등에 의한 에러 발생에 의해 차량 도난방지 동작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차량 도어의 열림 유무를 감지하는 도어센서를 구비한 차량내 다중통신 시스템에서의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에 있어서,
    도난방지 동작모드하에서 상기 도어센서의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하는 시간 동안 상기 도어 언로크 전환임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의 재입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의 도어 로크 전환을 의미하는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도어의 로크 동작을 재차 수행하는 과정을 추가로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47589A 1998-11-06 1998-11-06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KR2000003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89A KR20000031512A (ko) 1998-11-06 1998-11-06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89A KR20000031512A (ko) 1998-11-06 1998-11-06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512A true KR20000031512A (ko) 2000-06-05

Family

ID=1955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89A KR20000031512A (ko) 1998-11-06 1998-11-06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15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78B1 (ko) * 2002-08-13 2004-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0885363B1 (ko) * 2006-06-20 2009-02-2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도어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678B1 (ko) * 2002-08-13 2004-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0885363B1 (ko) * 2006-06-20 2009-02-2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도어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174A (en) Vehicle security system upgrade
US7061137B2 (en) Vehicle data communications bus disrupter and associated methods
US6392534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701040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vehicle controller using vehicle code learning index and related methods
US6515377B1 (en) Circuit for control of power windows, sun roofs, or door locks in motor vehicles
EP1053128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JPH01164653A (ja) 自動車の錠装置用複合中央鎖錠兼浸入−盗難警報装置
JP4018011B2 (ja) エアバッグの展開許可装置、展開許可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20000031512A (ko) 차량 도난방지 오동작 방지 방법
CN108340873B (zh) 车辆的防盗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4171857B2 (ja) 車両の警報装置
GB2329053A (en) Motor vehicle anti-theft system
JP4415721B2 (ja) 車両用警報装置
CA2415023C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JP3137356B2 (ja) 車両用多重伝送装置
JP3430538B2 (ja) 盗難防止装置
JP2628808B2 (ja) パワーウインド制御装置
KR100412215B1 (ko) 퍼스널 ic 카드를 차량내부에 두고 내렸을시 도어언록방법
JP6940144B2 (ja) 車両用システム
JP4073178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200178455Y1 (ko) 차량의 도어 오픈방지 장치
KR0134018B1 (ko) 차량의 도난경보 시스템
US20080204207A1 (en) Two-Way Automotive Remote Controller
JPH09217534A (ja) 車両用キーレスシステムの自動ロック装置
JP2001090409A (ja) ドアロックタイマ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