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950A - 전자오디오신호의고조파개선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오디오신호의고조파개선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950A
KR20000029950A KR1019997001179A KR19997001179A KR20000029950A KR 20000029950 A KR20000029950 A KR 20000029950A KR 1019997001179 A KR1019997001179 A KR 1019997001179A KR 19997001179 A KR19997001179 A KR 19997001179A KR 20000029950 A KR20000029950 A KR 2000002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frequency
input audio
amplitud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르시아아투로제이.
가르시아아투로에이취.
Original Assignee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트루 디멘져널 사운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95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가청 사운드의 음질이 음향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원래의 라이브 사운드의 음질에 보다 접근할 수 있도록 전자 오디오 신호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에서 통상적으로 손실되는 고조파의 인식을 복원한다. 상기 장치는 원래의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개선된 오디오 신호(31)가 생성될 수 있도록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회로(8)를 포함하고 있다. 이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또는 주파수를 개선하는 비선형 증폭(33)이다. 즉, 입력 오디오 신호의 바람직한 고조파 또는 주파수의 대역이 이 대역 전체에 걸쳐서 비균일하게 증폭된다.

Description

전자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개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일반적으로, 음악, 노래 또는 기타 다른 복합적인 라이브 사운드를 듣는 것은 전자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가청 사운드로 다시 재변환한 후 동일한 사운드를 듣는 것보다 만족스러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우리가 듣는 다수의 사운드, 특히 뮤지컬 노트(musical notes)는 흔히 복합된 것이다. 예컨대, 기본 피치(basic pitch)와 기본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뮤지컬 노트는 통상적으로 고조파(harmonics)라고 하는 기본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고조파는 악기 또는 기타 다른 사운드 발생원에 흔히 특정되는 뮤지컬 노트와 같은 사운드의 음질 또는 음색을 생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고조파는 우리가 듣는 사운드를 좋게 한다. 오디오 신호에 고조파 개선을 부가하려는 시도로 수많은 사운드 재생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들 시스템의 대부분은 매우 정교하고 고가이며, 이러한 시스템으로 재생된 음질은 라이브로 듣는 원래의 사운드의 인식 음질이 여전히 부족하다.
가청 사운드로 변환시 원래의 입력 오디오 신호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개선된 전자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적 덜 복잡하고 저렴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은 음향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원래의 라이브 사운드를 듣는 것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인식된다. 이 시스템은 본 출원의 양수인 측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361,306 호 공보에 공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361,306 호 공보에 공개된 회로는 필드 유도 코일(field inducing coil)을 가진 입력단과, 전자기장 수용기(electromagnetic field receptor)(예컨대, 다른 코일)와 출력을 가진 출력단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는 유도 코일을 통해 전송되어 전자기장을 형성한다. 필드 유도 코일과 전자기장 수용기가 미약하게 결합되면 입력 오디오 신호가 필드 유도 코일을 통해 전송될 때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측에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제 5,361,306호 공보에 공개된 발명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저렴하다.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사운드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오디오 신호의 개선(enhanceme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개선을 얻기 위해서 미약한 자기적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 오디오 신호를 고조파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스테레오 실시예의 좌측 채널 회로, 우측 채널 회로, 및 전원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주파수 응답예의 그래프 곡선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가청 사운드의 음질이 음향적으로 설계된 환경에서 원래의 라이브 사운드의 음질에 더욱 가깝도록 전자 오디오 신호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개선하기 위한 많은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사운드는 높은 볼륨에서 저하되지 않고, 스위트 스폿(sweet spots)의 형성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크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오디오 변환 장치의 한계, 기록 처리의 한계, 기록 매체의 결점 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 손실되는 고조파의 인식을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에 따라, 하한 주파수(즉, 하한)에서부터 상한 주파수(즉, 상한)까지의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장치는 원래의 입력 오디오 신호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생성되도록, 전송된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왜곡은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또는 주파수를 개선하는 비선형 증폭이다. 즉, 입력 오디오 신호의 바람직한 고조파 또는 주파수의 대역은 이 대역에 걸쳐서 비균일하게 증폭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의 이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대역, 저주파 대역, 또는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주파수는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특성을 사람의 귀로 보다 양호하게 인식 또는 포착할 수 있도록 선택 및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균일 증폭은 미약한 자기적 커플링을 사용하지 않고도(즉, 미약하게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필드 유도 코일과 전자기장 수용기를 통해 전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도) 얻어진다.
특히,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원하는 기준 주파수로부터 신호의 상한쪽으로 주파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고주파(즉, 상한 피크 주파수)에서 피크 진폭까지 진폭이 증가되거나, 원하는 기준 주파수로부터 신호의 하한까지 주파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저주파수(즉, 하한 피크 주파수)에서 피크 진폭까지 진폭이 증가되거나, 이들 모두가 행해진다.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 모두를 개선할 때에는 동일한 기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 피크 주파수 이상에서는, 상기 주파수가 신호의 상한쪽으로 주파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진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 피크 주파수 이하에서는, 주파수가 신호의 하한쪽으로 주파수를 감소시킴에 따라 진폭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이 단일 주파수인 대신에, 상한 피크 주파수, 하한 주파수 또는 이들 모두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동일한 진폭을 가지고 있는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기준 주파수라는 용어는 기타 다른 모든 주파수의 응답이 비교될 수 있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를 말한다. 모든 다른 주파수의 진폭은 상기 기준 주파수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주파수는 이 주파수 다음에 고주파 및/또는 저주파의 왜곡(즉, 개선)이 보이기 시작할 수 있는 주파수나 주파수 범위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의 주파수 범위는 표준 정방형파 신호를 입력 오디오 신호로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이 회로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의 기준 주파수가 정방형파 신호의 기본 주파수의 진폭과 실질적으로 유사한(즉, 그 진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거나 작은) 진폭을 갖도록 된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 대역을 비선형적으로 증폭하기 위해 고역 통과 필터와 같은 회로망을 사용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비선형적으로 증폭하기 위해서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회로망을 사용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전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상한과 하한을 가진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미약한 자기적 커플링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비선형적으로 또는 비균일하게 증폭하여 입력 오디오 신호를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켜서, 이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왜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이 생성된 사운드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개선된 오디오 신호 및 이로부터 생성된 사운드는 일반적인 사람의 가청 범위(즉, 대략 20 Hz 내지 20 KHz)에 중첩되거나 이 범위에 속하는 오디오 신호 및 사운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본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나 이상의 본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자기 기록 매체(예컨대, 릴 투 릴(reel-to-reel)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 자기 디스크 등)나 광 기록 매체(예컨대, 컴팩트 디스크, 비디오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 형태의 기록 매체나 이 기록 매체에의 기록 방법에도 한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오디오 신호, 특히 예컨대, 음악, 노래, 스피치, 동물 사운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운드, 장치 잡음 등과 같은 복합적인 파형 형태(즉,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을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전자 오디오 신호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낸다. 유사한 고조파 개선이 "전자 오디오 신호를 개선하는 장치 및 방법"을 발명의 명칭으로 1995년 6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472,876 호, 및 미국 특허 제 5,361,306 호 공보에 공개된 회로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허 제 5,361,306 호 공보 및 제 08/472,876 호 특허 출원 공보에 공개된 발명을 사용하여 얻어진 고조파 개선이 전자기장 수용기에 미약하게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필드 유도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얻어질 수 있다는 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기술로부터 전자 오디오 신호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고조파 개선을 얻는 다양한 다른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공개된 기술이 제공된다면,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 또는 유사한 고조파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방식을 설계하는 것은 간단한 시행 착오적인 실험의 문제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공개된 일반적이고 특정한 회로는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특정 실시예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수정, 재배열 및 대체가 행해질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에 공개된 각각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전반적으로 전자 오디오 신호의 동일 형태의 개선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장치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또는 주파수를 비선형적으로(즉, 비균일하게) 증폭 개선함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는 회로(8)를 구비하고 있다. 본 회로(8)는 "전자 오디오 신호 개선 장치 및 방법"을 발명의 명칭으로 하여 1995년 6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472,876 호 공보, 및 미국 특허 제 5,361,306 호 공보에 공개된 바와 같이, 미약하게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필드 유도 코일 및 전자기장 수용기를 통해 전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필요없이 개선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공보는 참고 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 방법으로 고조파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진폭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얻어진 개선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8)의 바람직한 실시예(10)는 입력단, 주 정형단(primary shaping stage) 및 출력단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은 상기 회로(10)의 밸런스(balance)를 입력(28)을 통해 전자 오디오 신호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는 커플링 커패시터(12)를 포함하고 있다. 커패시터(12)가 상기 신호원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수 있는 DC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디커플링(decoupling)을 제공한다. 저항기(13)가 연산 증폭기(30)의 입력용의 바이어스 경로를 제공한다. 커패시터(14)가 전원 필터링에 사용된다. 이 커패시터(14)는 상기 증폭기(30)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2 개의 저항기(11, 22)가 전원 전압(Vs)의 1/2 기준 전압을 발생하기 위해서 분할기 회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 분할기 회로망은 12 볼트의 전원 전압((Vs)을 6 볼트의 기준 전압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13)는 증폭기(30)의 입력에 도달하기 전에 기준 전압을 바이어스한다. 커패시터(24)가 전원 전압에 대한 AC 필터링을 제공한다. 상기 입력 증폭기(30)는 전압 이득이 1인 버퍼 증폭기이다. 상기 입력 버퍼 증폭기(30)는 상기 신호원으로부터 상기 주 정형단을 분리시킨다.
상기 주 정형단은 입력 신호의 고주파 대역을 비선형적으로 강조시키는 고주파 개선 회로망을 형성하는 커패시터(16)와 저항기(15)를 포함하고 있다. 저항기(19)와 커패시터(18)가 고주파 개선을 제거하는 저역 통과 필터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바꾸어 말하면, 저항기(19)와 커패시터(18)를 포함하고 있는 회로망은 강조된 고주파수의 최대 진폭을 제한하는 감쇄 회로이다. 상기 저항기(19)는 감쇄 저항기이며, 상기 커패시터(16)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출력 신호를 감소시킨다. 저항기(17)가 버퍼 증폭기(30)의 출력과 커패시터(16)을 포함하는 루프의 출력을 합한다. 즉, 상기 저항기(17)의 우측의 노드(26)에서는, 증폭기(30)로부터 입력되는 원래의 입력 신호가 커패시터(16)를 포함하는 루프를 통해 공급된 고주파 개선된 신호와 합해진다. 상기 저항기(17)는 상기 신호의 고주파 개선 세기(즉, 현저한 정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주파 개선은 상기 저항기(17)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현저해진다.
상기 출력단은 출력(31)과, 전압 이득을 증가시키고 노드(26)로부터의 합해된 신호를 버퍼링하는 출력 증폭기(32)를 포함하고 있다. 최종의 출력 신호가 원래의 입력 신호에 의해 나타나는 볼륨 레벨과 거의 동일한 볼륨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이득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기(30,32)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폭기(30,32)는 하나의 이중(dual) 연산 증폭기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두 증폭기(30,32)는 동일한 핀 또는 단자(33)를 통해 동일한 전원 전압(Vs)에 접속되어 있고, 동일한 핀 또는 단자(35)를 통해 동일한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출력단은 또한 커패시터(20)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기(27)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25)를 포함하고 있는 저주파 개선 회로망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저주파 개선 회로망은 상기 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비선형적으로 강조시킨다. 저항기(25, 27) 및 커패시터(20)는 고주파에 비해 저주파의 레벨을 부스트(boost)시킨다(즉, 진폭을 증가시킨다). 특히, 저항기(25, 27) 및 커패시터(20)는 상기 신호의 하한 주파수를 더욱 큰 증폭으로 증폭기(32)를 통해 선택적으로 재증폭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와 같은 회로망으로서 작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출력단은 상기 신호의 전체 대역폭의 저주파 대역 또는 스펙트럼을 비균일하게 증폭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주 정형단은 상기 신호의 고주파 대역을 선택적으로 개선(즉, 고주파 대역의 진폭을 비균일하게 증가)시키지만, 상기 출력단은 부분적으로, 상기 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선택적으로 개선(즉, 저주파 대역의 진폭을 비균일하게 증가)시키는 2 차 정형단으로서 기능한다.
입력 신호 및 개선된 신호의 볼륨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인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인식되는 볼륨의 균일성을 얻기 위해서, 상기 출력단은 고조파 개선된 신호를 충분히 증폭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출력 버퍼 증폭기(32)에 의해 제공되는 전체 이득은 가변 저항기, 즉 포텐셔미터(potentiometer)(21), 및 고정 저항기(23) 뿐만 아니라, 고정 저항기(25, 27)의 저항값에 의해 결정되고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저항기(21)와 고정 저항기(23)는 상기 신호의 모든 주파수의 진폭을 균일하게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포텐셔미터(21)는 가감 저항기(rheostat)로서 접속되어, 저항기(23, 25, 27)와 함께 증폭기(32)의 DC 및 저주파 이득을 결정한다. 저항기(21)의 조정 능력은 상기 회로(10)를 통해 상기 신호의 전체 이득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 요소 변화를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상기 출력 신호의 인식된 진폭은 대체로 상기 입력 신호의 진폭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단 상기 포텐셔미터(21)에 대한 원하는 저항이 결정되면, 상기 포텐셔미터(21) 및 고정 저항기(23)는 단일의 고정값 저항기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단은 고주파 개선된 신호의 모든 주파수를 균일하게 증폭함과 아울러, 상기 신호의 저주파수를 비균일하게 증폭한다.
제 2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8)의 다른 실시예(40)는 도 1의 회로(10)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회로(40)는 저항기(15a)와, 인덕터, 즉 코일(34)로 구성된 RL 고역 통과 필터와 같은 회로망이 커패시터(16)와 저항기(15)로 구성된 회로(10)의 RC 고역 필터와 같은 회로망으로 대체된 점에서 상기 회로(10)의 수정 회로이다. 상기 회로(40)에 있어서, 저항기(15a)는 커패시터(16)가 있었던 자리에 놓여 있고, 인덕터(34)는 저항기(15)가 이전에 있었던 자리에 놓여 있다. 상기 회로(40)를 형성하고 있는 나머지 구성 요소는 회로(10)에 사용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기(15a)는 인덕터(34)의 값(즉, 구성) 및 원하는 개선에 따라 상기 저항기(15)의 값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기(15,15a)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면, 상기 회로(10,40)는 인덕터(34)를 수정함으로써(예컨대, 턴수(number of turns), 와이어(wire) 크기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동일한, 개선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10)를 사용하여 얻어진 출력 신호와 동일하게 개선된 출력 신호를 얻기 위해서 회로(40)의 하나 이상의 여러 저항기 및 커패시터의 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커패시터(16) 대 인덕터(34)의 통상으로 낮은 가격과 작은 크기로 인해 상기 회로(10)의 RC 회로망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
도 3a, 도 3b 및 도 3c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8)의 또 다른 실시예(48)는 좌측 채널 회로(42), 우측 채널 회로(44) 및 전원 회로(46)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표 1에 열거된 특정 구성 요소 및 값을 대응 참조 부호에 따라 이용하여 이중 채널 회로(48)를 구성한 경우에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졌다. 도 3a 내지 도 3c의 회로(48)는 기본적으로 도 1의 회로(10)를 이중 채널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회로(48)를 분석할 때 도 1에 대해 위에서 다룬 것을 참조해야 한다. 채널 회로(42, 44)와 도 1의 회로(10)간의 차이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의 회로(10)의 전원 전압(Vs)은 저항기(11, 22)의 분할기 회로망에 의해 1/2로 되고, 상기 회로(10)는 저항기(15)와 커패시터(18)를 통해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반해, 회로(48)에서는 각각의 채널 회로(42, 44)가 대응하는 저항기(70)와 커패시터(66)를 통해 D.C. 접지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전원 회로(46)(도 3c 참조)는 각각의 채널 회로(42, 44)의 증폭기(50, 52)에 +6 볼트의 기준 전압(VR)과 + 12 VDC의 전원 전압(Vs)을 공급한다. 이 12 볼트 전원 전압(Vs)은 입력(55)에 접속된 14 내지 24 볼트의 전원으로부터 전압 레귤레이터(62)에 의해 레귤레이팅된다. 상기 전원 회로(46)는 저항기(83, 84) 및 커패시터(81)를 구비한 좌측 채널 회로망, 및 저항기(85,86) 및 커패시터(82)를 구비한 우측 채널 회로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좌측 채널 회로(42) 및 우측 채널 회로(44)에 기준 전압(VR)을 공급한다. 이들 좌측 및 우측 채널 기준 전압망은 동일하다. 상기 전원 회로(46)는 또한 입력 신호가 채널 회로(42, 44)를 통해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스위치(54)의 작용으로 점멸되는 LED 라이트(light)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로(10)의 커플링 커패시터(12)의 경우와 같이, 커플링 커패시터(63)는 각각의 채널 회로(42,44)의 밸런스를 전자 오디오 신호원(도시되지 않은)에 접속하고, 상기 신호원으로부터 수신된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있을 수 있는 DC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디커플링을 제공한다. 상기 회로(10)와는 달리, 각각의 채널 회로(42, 44)는 또한 3극 이중편 바이패스/이펙트 스위치(triple pole, double throw Bypass/Effect switch)(54) 앞에 일렬로 접속된 커플링 커패시터(68)와 저항기(7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패시터(68)는 상기 증폭기(52)의 출력에 존재하는 DC 성분을 제거하며, 저항기(77)는 출력(58)으로부터 입력되는 D.C. 성분에 방전 경로를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상기 커패시터(68)와 커패시터(77)는 대응하는 스위치(54)가 작동될 때마다 들릴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는 클릭킹 잡음(clicking noise)을 제거할 수 있다. 표 1에 공개된 특정 회로(48)에 사용되는 각 쌍의 증폭기(50, 52)는 선형 동특성을 나타내는 단일의 이중 연산 증폭기의 형태이다.
상기 회로(10)에 대해서 위에서 유사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48)의 가변 1 Kohm 저항기(73) 및 고정된 1%, 1.80 Kohm 저항기(74)는 1%, 2.74 Kohm 저항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에는, 전압 레귤레이터(62)를 제거하고 전원입력(55)을 자동차의 12볼트 배터리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 도 3c의 회로의 구성 요소
구성요소 설 명 값/부품 번호
50/52 모토로라 이중 연산 증폭기 LM1458N
54 3PDT 바이패스/이펙트 스위치 -
55 전원 입력 -
56 RCA 포노(phono) 입력 잭(Jack) -
58 RCA 포노 출력 잭 -
60 온/오프 LED 라이트 -
62 내셔널 세미컨덕터 전압 레귤레이터 LM 7812 또는 LM 340T-12
63 5% MYLAR, CAPN 0.47 ㎌, 50V
64 5% MYLAR, CAPN 0.01 ㎌, 50V
65 5% MYLAR, CAPN 0.047 ㎌, 50V
66 5% MYLAR, CAPN 0.033 ㎌, 50V
67 5% MYLAR, CAPN 0.015 ㎌, 50V
68 POLCAP, Radial Alum. 1 ㎌, 50V
69 1% 저항기 100 Kohm
70 1% 저항기 249 ohm
71 1% 저항기 20 Kohm
72 1% 저항기 1.1 Kohm
73 가변 저항기 1 Kohm
74 1% 저항기 1.8 Kohm
75 1% 저항기 24.9 Kohm
76 1% 저항기 49.9 Kohm
77 1% 저항기 100 Kohm
79, 81, 82 POLCAP, Radial Alum. 100 ㎌, 50V
80 POLCAP, Radial Alum. 1 ㎌, 50V
83-86 1% 저항기 1 Kohm
87 1% 저항기 2 Kohm
전자 오디오 신호는 하한 및 상한을 가진 주파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한 및 하한을 가진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 대칭 정방형파 형태의 전자 오디오 신호가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를 통해 전송될 때, 결과적으로 얻어진 출력 오디오 신호가 비선형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적으로 얻어진 출력 신호는 원하는 기준 주파수에서부터 상기 신호의 상한쪽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한 피크 주파수의 피크 진폭까지 진폭이 증가하는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결과적으로 얻어진 출력 신호는 또한 기준 주파수에서부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하한 피크 주파수의 피크 진폭까지 진폭이 증가하는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파수의 진폭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 대역의 폭에 따라 상한 피크 주파수 이상 및/또는 하한 피크 주파수 이하로 감소되기 시작할 수 있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른 진폭 증가와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른 진폭 증가는 각각 상기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폭의 적어도 일부 또는 대역에 걸쳐 일어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효과와 같은 동일한 형태의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표준 대칭 정방형파가 도 1 또는 도 3a 내지 도 3c의 실시예를 통해 각각 전송될 때, 저항기(15 내지 70)의 값이 변하면 상한 피크 주파수가 한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시프트될 수 있고, 상기 커패시터(16 또는 65)의 값이 변하면 주파수의 진폭의 증가의 첨예도(즉, 기울기)가 상한쪽으로 변할 수 있으며, 저항기(19 또는 72)의 값이 변하면 상한 피크 주파수의 크기(즉, 진폭)이 변할 수 있고, 커패시터(18 또는 66)의 값이 변하면 상한쪽으로 상한 피크 주파수 이상에서 하향하는 기울기가 상한쪽으로 변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저항기(27 또는 76)를 바꿈으로써, 하한 피크 주파수의 크기(즉, 진폭)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커패시터(20 또는 67)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의 진폭의 증가 기울기를 하한 피크 주파수쪽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저항기(25 또는 75)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한 주파수에서 다른 주파수로 하한 피크 주파수가 시프트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각각이 단일 주파수인 대신에, 상한 주파수, 하한 주파수 또는 거의 동일 진폭을 가지고 있는 비교적 좁은 범위의 주파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 사용된 바와 같이, 기준 주파수라는 용어는 이 주파수 다음에 고주파 및/또는 저주파의 비선형 증폭(즉, 개선)이 나타나기 시작할 수 있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를 말한다. 기준 주파수는 특정 회로(8)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회로(10)에 있어서, 기준 주파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15, 16, 18 - 20, 25, 27)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변할 수 있다. 기준 주파수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얻어진 개선을 인식하고자 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및 표 1에 상세히 공개된 특정 회로(48)에 있어서, 선택된 기준 주파수는 약 400 Hz에서 약 1KHz까지의 범위이다. 이 기준 주파수의 진폭은 정방형파 입력 신호의 기본 주파수의 진폭(즉, 약 1볼트)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회로(48)는 약 1 kHz에 가까운 기준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주파수는 최고 대략 3.5 KHz(예컨대, 약 3.2 내지 약 3.8 KHz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회로는 입력 오디오 신호(예컨대, 오디오 정방형파)로부터, (1) 원하는 기준 주파수로부터 상기 신호의 상한쪽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진폭이 증가하거나, (2) 기준 주파수로부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진폭이 증가하는 주파수, 및 이들 모두가 행해지는 주파수에서 비선형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상기 신호의 고주파 대역 및 저주파 대역 모두를 개선하기보다는 오디오 신호의 고주파 대역만을 개선하거나, 아니면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만을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8)의 일실시예의 전반적인 주파수 응답이 2 개의 둥근 곡선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고, FR은 단위가 헤르쯔(Hz)인 기준 주파수, FLP는 하한 피크 주파수, FHP는 상한 피크 주파수, ALP는 하한 피크 주파수의 단위가 볼트인 진폭, AHP는 상한 피크 주파수의 진폭이다.
기준 주파수(FR)는 약 300 Hz 내지 약 6 KHz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주파수(FR)는 약 500 Hz 내지 약 4.5 KHz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주파수(FR)는 약 3.5 KHz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하한 피크 주파수(FLP)는 약 60 Hz에서 약 150 Hz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하한 피크 주파수(FLP)는 약 100 Hz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한 피크 주파수(FHP)는 약 6 KHz 내지 약 30 KHz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 피크 주파수(FHP)는 약 7 KHz 내지 약 20 KHz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 피크 주파수(FHP)는 약 16 KHz이 것이 더 바람직할 수도 있다. 1볼트 기준(즉, 기준 주파수(FR)의 전압 또는 진폭)을 사용하면, 하한 피크 주파수(FLP)의 진폭은 약 1.5 볼트 내지 약 2.0 볼트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 주파수(FLP)의 진폭은 약 1.75 볼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 피크 주파수(FHP)의 진폭은 약 1.75 볼트 내지 약 2.5 볼트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 주파수(FHP)의 진폭은 약 2.0 볼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에는 1볼트 입력 전압을 기초로, 3개의 상이한 기준 주파수(FR)에 대해 최소 및 최대 주파수 응답 곡선예(즉, 주파수 응답 범위예)의 테스트 데이타가 제공되어 있다.
주파수 출력 전압(진폭)최소-최대 출력 전압(진폭)최소-최대 출력 전압(진폭)최소-최대
20 Hz 1.3-1.825 1.25-1.75 1.175-1.55
40 Hz 1.45-1.9 1.4-1.875 1.3-1.75
60 Hz 1.4875-1.9875 1.45-1.95 1.35-1.85
65 Hz 1.5-2.0(FLP) - -
80 Hz 1.475-1.975 1.475-1.975 1.4-1.9
100 Hz 1.4-1.9 1.5-2.0(FLP) 1.425-1.925
200 Hz 1.1-1.35 1.45-1.95 1.5-2.0(FHP)
300 Hz 1.0(FR) - -
400 Hz 1.025-1.075 1.325-1.725 1.4-1.85
600 Hz - 1.25-1.6 -
800 Hz 1.125-1.45 1.2-1.5 1.35-1.7
1 KHz 1.15-1.5 1.175-1.4 1.275-1.6
2 KHz 1.275-1.95 1.05-1.125 1.15-1.3
3.5 KHz - 1.0(FR) -
4 KHz 1.45-2.375 - 1.05-1.1
6 KHz 1.5-2.5(FHP) 1.1-1.35 1.0(FR)
8 KHz 1.475-2.475 1.2-1.75 1.1-1.25
10 KHz 1.45-2.45 1.3-1.95 1.15-1.45
18 KHz - 1.5-2.5(FHP) -
20 KHz 1.425-2.3 1.45-2.45 1.45-2.25
30 KHz - - 1.5-2.5(FHP)
40 KHz - - 1.45-2.35
주파수 응답의 변화(즉, FR, FLP및/또는 FHP의 변화) 또는 피크 주파수의 진폭(즉, ALP및/또는 AHP)의 변화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생긴 고조파 개선이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FR이 6 KHz에 도달할 때, 저주파 개선과 고주파 개선을 균형잡기 위해서, 저주파의 진폭 보다 고주파의 진폭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즉, ALP보다 AHP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FR이 300 KHz에 도달할 때, 저주파 개선 및 고주파 개선을 균형잡기 위해서, 고주파의 진폭보다 저주파의 진폭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즉, AHP보다 크게 ALP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HP와 ALP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FR값은 FLP및 FHP의 값, 및 FR및 FLP과 FR및 FHP간의 곡선 기울기(즉, 주파수 응답)를 결정할 수 있다. FR, FLP및 FHP의 값은 ALP및 AHP의 값보다 본 발명의 고조파 개선 특성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FR과 FLP간의 곡선의 기울기(즉, 주파수 응답)는 ALP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FLP를 변화시키거나, ALP를 변화시키고 FR및 FLP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이 2 가지를 조합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FR과 FHP간의 곡선의 기울기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FR, FHP및 FLP의 변화는 AHP또는 ALP를 변화시키는 것보다 고조파 개선 특성에 인식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게 된다.
FR과 FLP과 FHP간의 관계는 주파수 응답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회로의 구성에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회로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인 경우에는 FR은 FLP나 FHP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변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오디오 신호는 원래의 입력 오디오 신호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낸다. 부가적인 이점 및 수정은 이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쉽게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회로를 2개 이상 직렬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기술 및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하이브리드 I.C., 모노리식 칩(monolithic chip) 등의 형태로 집적 회로(I.C.)로 재현될 수 있다. 이러한 I.C.는 예컨대, 보청기, 셀룰라 및 기타 다른 휴대용 전화 등과 같이 크기가 중요한 제품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비추어,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동작(즉, 본 개선 효과)은 공지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쉽게 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주파수 응답을 생성하도록 요구 및 조정된 주파수의 전 대역폭을 포괄하는 무한 대역 등화기(infinite band equalizer)로서 특징지어 질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대역은 거의 1주파수 대역폭이다. 각각의 대역이 비교적 적은 수의 주파수를 포함하고 있는 유한한 개수의 대역을 가지고 있는 등화기는 개개의 대역의 진폭이 본 주파수 응답에 가깝도록 조정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음악 및 음성 컴팩트 디스크로부터 전자 오디오 신호가 본 발명의 회로를 통해 전송되어, 결과적으로 얻어진 개선된 전자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 카세트 재생기/기록기를 사용하여 카세트 테이프에 재기록하였을 때, 기록된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 음성의 음질은 컴팩트 디스크로부터 직접 출력된 동일 음악 및 음성보다 인식 측면에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것은 카세트 테이프 포맷에 비해 컴팩트 디스크 포맷이 우수한 음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널리 인식된 경우에도 가능하다. 전문적인 사운드 기록에 있어서, 24V DC 200mA 전원, 내셔널 세미컨덕터 LM 7824 전압 레귤레이터(62), 버어/브라운(Burr/Brown) OPA 2134 PA 연산 증폭기(50/52)를 사용하여, 커패시터(63-67)를 2% 폴리프로필렌 캐피시터로 바꾸고, 커패시터(65-68)의 값을 0.33㎌, 0.22㎌, 0.01㎌ 및 0.47㎌로 바꾸고, 가변 저항기(73)를 제거하고, 저항기(71, 72, 74, 76)의 값을 30.1 KOHM, 1.5 KOHM, 2.43 KOHM, 45.3 KOHM으로 바꾸어 수정하는 것이 도 3a 내지 도 3c의 회로를 바람직함을 알았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예컨대, 자기 테이프나 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음향 사운드 또는 기타 다른 사운드 임펄스(impulses)로 직접 변환되기 전에, 보청기, 마이크 등과 같은 사운드 변환 장비로부터 전자 오디오 신호를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오디오 신호는 예컨대, 텔레비젼, 라디오, 수중 음파 탐지기(sonar), 컴퓨터 또는 셀룰라 전화에 사용하기 위해서 공중 또는 어떤 다른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화기, 케이블 TV 또는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해서 전송선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예컨대 음식점이나 주점(bar)에서 콘서트 및 공연에 사용하기 위해서 가청 사운드로부터 직접 변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중 음파 탐지기 이미지 등을 구별할 때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 기타 다른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넓은 측면의 본 발명은 여기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의 상세한 사항, 대표적인 장치 및 방법 및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반적인 발명 개념의 취지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이러한 상세한 사항으로부터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상한과 하한을 가진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전송될 때, 기준 주파수로부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 진폭이 상한 피크 주파수에 있어서의 피크 진폭까지 증가하도록, 미약한 자기적 커플링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개선된 오디오 신호로 왜곡시키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생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상한 피크 주파수 이상에서, 상기 상한쪽으로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회로에 전송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피크 주파수가 약 6 KHz 내지 약 30 KHz의 범위에 있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피크 주파수의 진폭이 1 볼트의 기준을 이용하여 약 1.75볼트 내지 약 2.5볼트의 범위에 있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이 회로를 통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기준 주파수로부터 상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다른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하한 피크 주파수에 있어서의 피크 진폭까지 증가하도록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고,
    상기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더욱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하한 피크 주파수 이하에서, 상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감소되도록 상기 회로를 통해 전송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 피크 주파수가 약 50 Hz에서 약 800 Hz의 범위에 있는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 피크 주파수의 진폭이 1볼트 기준을 이용하여 약 1.5 볼트에서 약 2.0 볼트의 범위에 있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주파수가 약 300 Hz 내지 약 6 KHz의 범위 내에 있는 장치.
  10. 전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한 및 하한을 가진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준 주파수로부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상한 피크 주파수에 있어서의 피크 진폭까지 증가하도록, 미약한 자기적 커플링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한 피크 주파수 이상에서, 상기 상한쪽으로 주파수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준 주파수로부터 상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다른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하한 피크 주파수에 있어서의 피크 진폭까지 증가하도록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개선된 오디오 신호가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고조파 음질에 비해 더욱 개선된 고조파 음질을 나타내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시키는 단계는 상기 하한 피크 주파수 이하에서, 상기 하한쪽으로 주파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진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왜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방법.
  17. 제 16 항의 방법에 의해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개선된 오디오 신호를 가지고 있는 기록 매체.
KR1019997001179A 1996-08-13 1997-08-12 전자오디오신호의고조파개선장치및방법 KR20000029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00,728 1996-08-13
US08/700,728 US6275593B1 (en) 1996-05-10 1996-08-13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950A true KR20000029950A (ko) 2000-05-25

Family

ID=2481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79A KR20000029950A (ko) 1996-08-13 1997-08-12 전자오디오신호의고조파개선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75593B1 (ko)
EP (1) EP0966790A4 (ko)
JP (1) JP2000517490A (ko)
KR (1) KR20000029950A (ko)
CN (1) CN1228205A (ko)
AU (1) AU4055997A (ko)
BR (1) BR9711076A (ko)
CA (1) CA2262736A1 (ko)
WO (1) WO1998007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9833A1 (en) * 1993-02-23 2005-11-24 Scarpino Frank A Frequency responses,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audio signals
GB2330747B (en) * 1997-10-24 2002-10-16 Sony Uk Ltd Audio signal processors
FR2782595B1 (fr) * 1998-08-18 2001-04-20 Marc Charbonneaux Amplificateur harmonique transducteur electroacoustique
DE19955696A1 (de) * 1999-11-18 2001-06-13 Micronas Gmbh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Oberwellen in einem Audiosignal
US6728721B1 (en) * 2000-06-23 2004-04-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ser's state within a database table
WO2002073792A2 (en) * 2001-03-09 2002-09-19 Techtronic A/S An electret condensor microphone preamplifier that is insensitive to leakage currents at the input
FI118368B (fi) * 2001-11-15 2007-10-15 Pekka Saastamoinen Menetelmä ja laitejärjestely audiojärjestelmän äänenlaadun parantamiseksi
AU2003210111A1 (en) * 2002-01-07 2003-07-24 Ronald L. Meyer Microphone support system
US7248702B2 (en) * 2003-01-06 2007-07-24 Thomas Nelson Packard Sound enhancement system
US7388959B2 (en) * 2003-08-22 2008-06-17 Bbe Sound, Inc. Harmonic generator and pre-amp
CN101998206A (zh) * 2009-08-20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补偿装置
CN106331947B (zh) * 2015-06-30 2019-09-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去除麦克风直流电平的编解码芯片及其方法
US11617046B2 (en) 2021-07-02 2023-03-28 Tenor Inc. Audio signal re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5054A (en) 1931-02-13 1932-04-19 Hazeltine Corp High-frequency coupling system
US3243511A (en) 1962-10-01 1966-03-29 Douglas Aircraft Co Inc Amplifier circuit
US3370125A (en) 1964-05-26 1968-02-20 Sound Craft Systems Inc Auxiliary loud-speaker system
US3499988A (en) 1965-10-08 1970-03-10 Sanyo Electric Co Loudspeaker apparatus with audio frequency amplifier mounted thereon
US3659056A (en) 1969-11-13 1972-04-25 William B Morrison Hearing aid systems
US3985977A (en) 1975-04-21 1976-10-12 Motorola, Inc. Receiver system for receiving audio electrical signals
GB1551013A (en) 1975-11-07 1979-08-22 Rca Corp Power supply arrangement with minimum interaction between plural loads
DE2923307A1 (de) * 1979-06-08 1980-12-18 Bose Corp Verstaerkeranlage
KR830002126B1 (ko) 1982-04-10 1983-10-14 손동훈 저주파 트랜스
US4561707A (en) 1983-03-28 1985-12-31 Mcculloch Corporation Current-sheet inductor network and pulse-forming systems
US4621203A (en) 1984-09-10 1986-11-04 Sperry Corporation Transformer built of coupled flux shuttles
NL8501834A (nl) 1985-06-26 1987-01-16 Philips Nv Egalisatie-inrichting met verschuifbare bandfilters en een digitaal filter eventueel te gebruiken in de egalisatie-inrichting.
US4734897A (en) 1985-11-13 1988-03-29 Recoton Corporation Cassette adapter for playback device, such as a compact disk player
US4748669A (en) * 1986-03-27 1988-05-31 Hughes Aircraft Company Stereo enhancement system
US4692852A (en) 1986-06-25 1987-09-08 Rca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aster width stabilization
US4866774A (en) * 1988-11-02 1989-09-12 Hughes Aircraft Company Ster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
US5161131A (en) 1991-05-17 1992-11-03 Recoton, Inc. In line switchable audio enhancement device for CD adapter
US5515446A (en) 1992-10-02 1996-05-07 Velmer; George Electronic audio accurate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5361306A (en) 1993-02-23 1994-11-01 True Dimensional Soun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ing an electronic audio signal
US5537477A (en) 1994-02-07 1996-07-16 Ensoniq Corporation Frequency characteristic shaping circuitry and method
US5661808A (en) * 1995-04-27 1997-08-26 Srs Labs, Inc. Stereo enhancement system
JPH1186008A (ja) 1997-09-05 1999-03-30 Sony Corp 描画処理方法および描画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6790A4 (en) 2002-05-08
CN1228205A (zh) 1999-09-08
CA2262736A1 (en) 1998-02-19
WO1998007234A1 (en) 1998-02-19
BR9711076A (pt) 2000-01-11
US6275593B1 (en) 2001-08-14
AU4055997A (en) 1998-03-06
JP2000517490A (ja) 2000-12-26
EP0966790A1 (en) 199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642B1 (ko) 스테레오증강시스템
US4748669A (en) Stereo enhancement system
CA233548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udio equipment in acoustic environments
JP4243021B2 (ja) 電気音響スピーカ用コンデンサの無いクロスオーバ・ネットワーク
KR20000029950A (ko) 전자오디오신호의고조파개선장치및방법
AU667007B2 (en) Sound system gain and equalization circuit
US5717773A (en) Sound system gain and equalization circuit
US6775385B1 (en) Loudspeaker frequency distribution and adjusting circuit
Scott The Amplifier and Its Place in the High-Fidelity System
JPH0936685A (ja) 音響信号再生方法及び装置
US4306201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6560341B1 (en) System for transcription and playback of sonic signals
MXPA99001506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KR102172489B1 (ko)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이를 이용한 멀티웨이 스피커 시스템 및 오디오 시스템과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주파수 분할방법
Werner Loudspeakers and negative impedances
EP1096829B1 (en) System for transcription and playback of sonic signals
WO2001022576A9 (en) Loudspeaker frequency distribution and adjus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