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459A - 액체연료용연소기구 - Google Patents

액체연료용연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459A
KR20000029459A KR1019997000436A KR19997000436A KR20000029459A KR 20000029459 A KR20000029459 A KR 20000029459A KR 1019997000436 A KR1019997000436 A KR 1019997000436A KR 19997000436 A KR19997000436 A KR 19997000436A KR 20000029459 A KR20000029459 A KR 2000002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mbustion
fuel
fuel tank
liqui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후네히데오
나까무라야스아끼
쯔까모또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
Publication of KR2000002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5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44Wicks; Wick guides o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02Lighters with liquid fuel fuel which is fluid at 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Wick-Type Burners And Burners With Porous Materials (AREA)

Abstract

연료 탱크에 수용한 액체 연료를 모세관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하고, 이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의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LIQUID FUEL BURNING DEVICE}
일반적으로 끽연 기구용 라이터, 점화기, 토치, 조명 기구 등의 연소 기구에 있어서의 연료로서는 에틸 알코올 등의 알코올 연료, 석유 벤진계 벤진 연료, 부탄 가스, 프로판 가스 등의 액화 가스 연료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 연료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연소 기구의 성능, 사용 자율성, 설계 구조가 다르며, 각각의 특징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액화 가스 연료인 경우에는 연소 기구의 사용 온도 범위에서 가스압이 높아 연료를 저장하는 용기는 내압 구조가 필요해진다. 또, 상기 가스압의 변동에 따라 불꽃 길이가 변화하고, 특히 그 가스압은 온도에 대하여 대수적으로 크게 변동하는 특성이 있어 온도에 대한 불꽃 길이의 변화가 큰 문제를 지닌다. 이 불꽃 길이의 변화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연소 기구의 연료 공급 기구에 온도 보정을 행하는 특별한 설계 대책을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비용면에서 불리해진다.
이에 반해 알코올 연료 등의 액체 연료는 상온에서 액체이고, 증기압도 비교적 낮아 연료 저장부의 내압 용기가 불필요하여 연소 기구 구조의 간소화 및 비용면에서 유리해진다. 또, 이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에서는 액체 연료를 연료 저장부로부터 연소부로의 연료 공급을 행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액체 연료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고, 연속되는 가는 구멍 또는 가는 섬유를 다발로 한 가는 간극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선단부에서 연소시키는 심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심은, 연료의 흡상을 위해 섬유를 꼰 끈 형상의 것, 유리 섬유를 다발로 한 것, 또는 이 양자를 사용하여 유리 섬유를 면사로 둘러싸서 이것이 풀어지지 않도록 금속의 가는 선을 짜 넣은 것 등을 이용하고, 하단 흡상 부분이 연료 흡상 기능을 하고, 상단 연소 부분에서 연소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심을 사용하는 연소 기구에 있어서는 액체 연료를 수용한 연료 탱크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에 의해 액체 연료가 심을 통과하여 누출되거나 또는 외기의 흡입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코올 등의 액체 연료를 연료 탱크로부터 연소심으로 흡상하여 이를 연소시키는 경우, 액체 연료가 연소심에서 착화되어 연소되면 액체 연료는 연소심의 선단 연소부에서 소비되고, 연소 유지를 위해 액체 연료는 연료 탱크로부터 흡상되어 연소부에 공급된다. 이 액체 연료의 연소 부분에서의 소비량과 연료 탱크로부터의 흡상 공급량이 균형을 이루기까지 동안은 연소염의 불꽃 길이는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연소 기구가 라이터 등의 착화기인 경우에는 착화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설정된 불꽃 길이로 안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소심의 흡상 부분으로서는 가능한 한 액체 연료의 흡상 능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한 것과 동시에, 연료 탱크 내부는 액체 연료의 유출에 수반하여 감압 상태가 되어 연소심의 흡상 부분을 통한 흡상이 상기 감압에 의해 지장을 받지 않도록 연료 탱크와 외기의 압력차를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연료 탱크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서 저장되어 있는 액체 연료가 연소심에 의한 연료 통로를 거쳐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특히 휴대용 착화기 등에 있어서 이와 같은 액체 연료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에 수반되는 연료 감소에 의해, 또는 주위 온도 또는 외부 기압이 변화함으로써 연료 탱크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연료 탱크의 내부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연소심을 통과하여 액체 연료가 누출되게 되고, 또는 연료 탱크의 내부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연소심을 통과해서 외기를 흡입하여 착화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상의 결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연소심을 사용하는 연소 기구에 있어서는 연소심으로부터의 액체 연료의 증발 휘산의 억제를 꾀하는 것이 사용 시간(사용 횟수)을 증대시키는 면에서 중요하고, 또 전체를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소심으로부터의 휘발 방지는 이 연소심 부분 또는 이 연소심이 설치된 상면 부분 전체에 캡을 씌워서 밀폐함으로써 불사용시의 휘발 억제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확실한 밀봉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고, 특히 캡을 기복 회전하도록 해서 씌우는 것에서는 그 회전 궤적에 대응하여 밀봉 부분을 형성해야 하고, 연소심과 착화 기구 등의 부품의 설치 간극이 커져서 밀봉성의 확보와 소형화의 장해가 된다.
특히, 착화 기구에 줄 휠을 사용한 것에서는 연소심에서 줄 휠이 이격되면 불꽃의 착화 능력이 저하하여 상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연료 탱크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차이를 신속하게 해소하도록 한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코올 연료 등을 사용하고, 액체 연료를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한 라이터 등의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끽연 기구용 라이터, 토치, 랜턴 등의 점화기, 조명 기구 등의 연소 기구에 있어서, 알코올류, 벤진계 탄화 수소, 석유계 탄화 수소 등의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소망하는 연소 상태를 얻기 위한 심 주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의 일예로서의 라이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A-A 단면도이다.
도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B-B 단면도이다.
도8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의 C-C 단면도이다.
도10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D-D 단면도이다.
도12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3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6은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7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8은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19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9의 라이터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21은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라이터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23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24A 및 도24B는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25A 및 도25B는 제18 실시 형태에 관한 2종류의 라이터의 캡을 분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26은 제19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27은 제20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28은 도27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29는 제21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30A 및 도30B는 제22 실시 형태에 관한 라이터의 캡의 착탈 상태를 각각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31A 내지 도31D는 착화후의 연소 시간과 불꽃 길이의 관계를 통기로의 직경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2는 착화 직후의 불꽃 길이와 통기로 직경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3은 불꽃 길이가 25 ㎜에 도달하는 시간과 통기로 직경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4는 불꽃 길이가 안정된 상태에서의 불꽃 길이와 통기로 직경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는 연료 탱크에 수용한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하고, 이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액체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내압 구조 및 밸브 기구가 불필요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고, 게다가 온도 변화에 대한 불꽃 길이의 변화가 적은 안정된 연소 특성을 지닌 연소 기구를 저비용으로 양산 가능하게 얻을 수 있다. 또,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함으로써 연료 탱크내의 액체 연료의 감소에 따른 연료 탱크 내부 압력의 저하를 상기 통기로를 통해서 외기가 유입되어 외부 압력과의 압력차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심의 연소 부분에 착화된 후 심에 함유되어 있던 액체 연료가 연소에 의해 소비된 만큼을 연료 탱크내의 액체 연료를 감압 상태에 있지 않은 흡상부로부터 심 내부의 연료 통로에 의해 신속하게 보급할 수 있고, 연료 공급의 응답성이 향상하여 착화후 조기에 안정된 연소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는 연료 탱크에 수용한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하고, 이 심을 분할하여 분할 부분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접촉 분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접촉시에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분리에 수반하여 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 시간을 제한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분리에 수반하여 연료 공급이 차단되므로 소정 시간의 연소후에는 자동적으로 소화되는 기능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고,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함으로써 연료 탱크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압력차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고, 그리고 그 연소 시간의 제한 기능이 확실하게 안정된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연소심 및 통기로로부터의 액체 연료의 증발 휘산을 억제하여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을 구비한 것에서는 상기 통기로의 외기에 대한 개구부는 폐색 상태인 상기 폐색 캡의 밀폐 공간내에 연통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폐색 상태인 상기 폐색 캡의 밀폐 단부에 의해 폐색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폐색 캡에 부설 또는 연동하는 통기로 폐색부를 형성하여 폐색 캡의 작동으로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할 때에 동시에 상기 통기로의 외기에 대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폐색 캡을 폐색한 상태에서는 통기로도 밀폐 상태로서 액체 연료의 휘발 방지를 행하는 동시에, 폐색 캡을 개방한 사용시에는 통기로도 개구하여 연료 탱크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의 균형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통기로는 상기 심의 외주부에 배설한 심 홀더와의 사이의 간극 또는 심 홀더 내주에 형성한 홈으로 구성 가능하고, 또 심을 따라 배설한 가는 구멍 파이프에 의해 구성 가능하고, 그리고 심에 형성한 홈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이에 의해, 연소 기구의 외부 온도의 변화 또는 외부 기압의 변화에 대하여 연료 탱크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심 근방의 상기 통기로에 의해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고, 심 내부의 연료 통로를 통한 액체 연료의 누출 및 외기의 흡입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결점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는 액체 연료를 수용한 연료 탱크의 상벽부에 상기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부설하는 동시에 상기 심에 착화하는 착화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 탱크에 대하여 그 심, 착화 기구가 돌출한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끼워 맞춰 씌워서 폐색하는 캡을 배치하고, 상기 캡의 밀폐 부분에 O링, 패킹 등의 밀봉 부재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캡은 상기 연료 탱크에 대하여 그 심, 착화 부재가 돌출한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끼워 맞춰 씌워서 폐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그 밀봉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설치 간극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소형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캡 내부에 이 캡의 연료 탱크로의 착탈 조작에 연계하여 상기 심을 밀봉 부재를 거쳐 폐색하는 내부 캡을 구비하여 밀봉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밀폐 용적이 좁아 액체 연료의 휘발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또, 상기 캡 내부에 내부 캡을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 그 내부 캡이 캡의 연료 탱크로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와 캡의 외주측 끼워 맞춤 부분으로 안내되어 심을 폐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부의 끼워 맞춤 부분에 대한 착탈 조작이 양호하므로 밀봉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경우 내부 캡을 캡에 대하여 탄성체를 거쳐 부착하고, 밀봉 부재로 가압 상태에서 심을 폐색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작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 때, 상기 내부 캡을 캡의 편심 위치에 배설하고, 캡과 연료 탱크의 외주측 끼워 맞춤 부분에 있어서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을 비점대칭인 방향성을 지니는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캡을 캡의 중심 위치에 배설하고, 캡과 연료 탱크의 외주측 끼워 맞춤 부분에 있어서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을 점대칭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부 캡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캡의 형상에 대응한 장착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취급성이 향상된다.
또, 캡의 낙하, 분실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 탱크와 이것으로부터 분리한 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캡을 착탈하는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그 외주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주위벽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주위벽은 상단부를 비스듬하게 형성하거나 공기 구멍을 개구하여 방풍용으로서의 기능 또는 캡의 가이드 부재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한편, 상기 캡을 연료 탱크에 대하여 착탈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캡이 연료 탱크와의 끼워 맞춤이 분리된 위치 이상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캡을 심 및 착화 부재의 상방에서 회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밀봉성 및 소형화를 얻는 동시에 캡의 개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기 캡의 하단부가 상기 심 및 착화 부재의 선단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캡을 연료 탱크에 대한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는 축 부재로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캡의 편심한 위치에 연결한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캡을 상기 회피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구조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를 도중의 지점에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하고, 캡을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 해서 기복 회전시켜 회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특히 착화 사용시에 캡이 방해가 되지 않는 점에서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캡을 가이드 부재에 대한 미끄럼 이동 위치로부터 회피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이 상기 연료 탱크에 대하여 그 심, 착화 부재가 돌출한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끼워 맞춰 씌워서 폐색하는 경우에 상기 심을 분할하여 분할 부분의 적어도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접촉 분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그 접촉시에 한 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분리에 수반하여 연료 공급을 차단해도 된다.
액체 연료로서는 알코올계 연료, 예를 들어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에 의한 저급 1가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불꽃에 착색하기 위한 헥산 또는 헵탄 등의 포화 탄화 수소를 혼합한 것, 그 이외에 벤진계 탄화 수소, 석유계 탄화 수소 등이 사용된다.
또, 상기 심으로서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와 같이 연소 부분과 흡상 부분을 다른 소재로 형성한 것 이외에 연소 부분과 흡상 부분을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에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의 일예로서의 일회용 끽연용 라이터의 개략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라이터(1)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연료 탱크(2)를 구비하고, 이 연료 탱크(2)의 내부에는 섬유재(3)(안솜)가 삽입되고, 연료 탱크(2)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4)가 고착되고, 액체 연료를 재주입 불가능하게 저장하도록 밀폐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 탱크(2)는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성형품으로서 내부 용적이 5 ㎤로 설정되어 있다. 섬유재(3)는 굵기가 1 내지 2 데니어인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연료 탱크(2)내에 밀도 0.1 g/㎤로 압입하여 이루어지고, 이 섬유재(3)에 에틸 알코올 95 wt%, n-헥산 5 wt%를 혼합한 액체 연료가 4 g 주입 함침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덮개(4)를 연료 탱크(2)내로 수직으로 관통하여 심 홀더(7)에 의해 고정된 심(6)(연소심)이 배설되어 있다. 이 연소심(6)은 상부의 연소부(61)와 하부의 흡상부(62)가 다른 소재로 분리 형성되고, 연소부(61)의 하단부와 흡상부(62)의 상단부가 접촉된 상태이며, 양자가 금속으로 된 원통 형상의 심 홀더(7)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심 홀더(7)의 외주부에는 접합 나사(7a)가 배치되고,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의 나사 구멍(4a)에 바닥부의 밀봉 링(8)을 거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 상부 덮개(4)의 상면에는 외측판(9)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소심(6)의 흡상부(62)의 하단부는 상기 연료 탱크(2)내의 섬유재(3)에 접촉하여 상기 섬유재(3)에 함침된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상한다. 그리고, 이 연소심(6)의 연소부(61)는 착화되어 불꽃을 일으켜서 연소되는 것이다.
상기 연소부(61)는 유리 섬유 다발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이 유리 섬유는 굵기가 6 ㎛, 섬유 밀도(겉보기량)가 150 mg/㎤, 외경이 3 ㎜, 길이가 10 ㎜로 된 것을 심 홀더(7)에 삽입하고, 심 홀더(7)의 선단부로부터 3 ㎜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흡상부(62)는 폴리에틸렌 분체를 성형 소결하여 직경이 큰 머리부를 구비한 봉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이 머리부를 상기 심 홀더(7)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연소부(61)의 하단부에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심 홀더(7)의 하단부를 코오킹하여 연소부(61)와 흡상부(62)를 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연소심(6)을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흡상부(62)는 평균 입자 크기가 140 메쉬이고, 70 내지 200 메쉬의 입자의 혼합물인 폴리에틸렌 분체를 성형틀에 넣고 170 ℃에서 10분간 소결하여 이루어지고, 머리부(62a)의 외경이 4.2 ㎜이고 길이가 3 ㎜, 하측 다리부는 외경이 4 ㎜, 길이가 37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심(6)은 연소부(61)의 유리 섬유의 굵기, 갯수, 길이에 따라 착화된 경우의 연료 소비량, 불꽃의 형상, 불꽃의 길이가 설정된다. 이에 대해, 상기 흡상부(62)는 그 굵기, 소결 폴리에틸렌 분체의 입경, 소결 밀도 등에 의해 내부 공극의 형성 상태가 다르며, 연료의 흡상, 공급 특성이 설정된다. 또, 흡상부(62)의 머리부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용적이 크고, 액체 연료를 보유 지지하는 연료 저장소를 구성하는 것이며, 이 연료 저장소에 의해 연소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4)에는 연소심(6)의 연소부(61)의 선단과 대향하여 착화 부재(10)가 배설되고, 이 착화 부재(10)는 상부 덮개(4)에 고정되는 브래킷(11)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발화석(12)이 삽입되고, 브래킷(11)의 상단부에는 회전 줄(13)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 줄(13)의 주위면에 발화석(12)의 선단이 돌 압박 스프링(14)의 압박력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회전 줄(1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소심(6)을 향해 불꽃이 비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심(6)의 연소부(61)를 심 홀더(7)의 돌출부와 함께 개폐 가능하게 피복하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16)이 배치되고, 이 폐색 캡(16)은 상기 연료 탱크(2)에 있어서의 상부 덮개(4)의 상면 일단부에 핀(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폐색 캡(16)의 내부에는 오목 형상의 밀폐 공간(S)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압접되는 밀폐 단부에는 밀봉 부재(1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라이터(1)의 구조에 있어서 그 상부 덮개(4) 및 외측판(9)을 관통하여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천공에 의한 통기로(20)가 개구되어 있다. 또, 상기 통기로(20)의 외기측 개구부는 폐색 상태에 있는 폐색 캡(16)의 밀봉 부재(18)로부터 내측으로 개구하고, 내부의 밀폐 공간(S)에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통기로(20)의 직경은 0.5 ㎜ 내지 2.0 ㎜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통기로(20)의 개구에 의해 폐색 캡(16)을 개방한 경우에는 연료 탱크(2)의 내부 공간과 외기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착화 부재(10)에 의해 연소심(6)의 선단에 착화하여 연소를 개시하면, 그 연소에 따르는 연소부(61)에서의 연료 소비에 대응하여 연소심(6)에 의한 연료 통로에 의해 흡상부(62)로부터 액체 연료가 연소부(61)에 공급되고, 순차적으로 연료 탱크(2)내의 액체 연료가 흡상된다. 이에 수반하여 연료 탱크(2)내의 액체 연료의 용적의 저감에 의해 내부 압력이 저하하여 연료 흡상을 저해하게 되는데, 상기 통기로(20)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압력차에 따라 이 통기로(2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그 압력차가 없어짐으로써 연소부(61)에 대한 연료의 공급이 저해받지 않고 신속하게 행하여져 연소 개시 초기부터 조기에 연소염의 불꽃 길이가 균형있게 안정된다.
또, 라이터(1)의 온도 상승 또는 외기 압력의 저하 등에 의해 연료 탱크(2)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에 있어서도 내부의 공기가 통기로(20)를 통해 방출되어 연소심(6)에 함침되어 있는 액체 연료가 연소부(61)로부터 누출되는 일이 없다. 반대로 라이터(1)의 온도 저하 또는 외기 압력의 상승 등에 의해 연료 탱크(2)의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낮아진 경우에 있어서도 외기가 통기로(20)를 통해 유입되고, 연소심(6)에 함침되어 있는 액체 연료가 외기의 유입에 의해 되돌려 보내져 연소부(61)에서의 연료 부족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폐색 캡(16)을 폐색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통기로(20)의 외측 개구부는 그 밀폐 공간(S)내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이 통기로(20)를 통한 액체 연료의 휘발은 억제된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라이터(1)를 사용하여 그 통기로(20)의 형성 효과를 확인한 실험 결과를 후술한다.
<제2 실시 형태>
이 예의 라이터(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심(6)은 전례와 동일한 형태이며, 통기로(20)와 폐색 캡(16)의 관계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예의 폐색 캡(16)은 밀폐 단부의 밀봉 부재(19)에 의한 밀봉면이 넓게 형성되고, 이 밀봉 부재(19)에 대향하여 천공에 의한 통기로(20)의 외측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연료 탱크(20)의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20)는 폐색 캡(16)의 개폐 작동에 수반하여 직접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예의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폐색 캡(16)의 폐색시에 있어서의 통기로(20)를 통한 휘발 방지 및 액체 연료 누출 방지가 한층 더 확실해지는 것이며, 연소 안정 특성에 대해서는 전례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이 예의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3에 도시한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21)는 연소심(6)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는 심 홀더(7)를 연소심(6)과 평행하게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심 홀더(7)의 선단부 외주에는 밀봉용 O링(31)이 장착되고, 폐색 캡(16)의 폐색 단부(16a)의 내주면이 상기 O링(31)으로 압접되어 연소심(6)의 연소부(61) 및 통기로(21)의 개구부의 밀폐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폐색 캡(16)의 밀폐 단부(16a)는 사면으로 형성되어 O링(31)에 대한 삽입의 용이화를 꾀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4에, 그 A-A 단면을 도5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2)는 연소심(6)을 절결하여 심 홀더(7) 사이에 홈형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예 연소심(6)의 연소부(63)는 글라스 섬유가 아닌 다공질 글라스 소결체 또는 다공 세라믹 소결체에 의해 둥근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연속 기포(모세관 통로)를 포함하고, 상단부 부분이 심 홀더(7)의 상단부로부터 소정량(예를 들어 3 ㎜) 돌출하여 장착되고, 이 돌출량, 직경 등의 설정에 의해 연소 불꽃의 크기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소부(63)는 외경 3.0 ㎜, 길이 10 ㎜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소부(63)의 하단부에 선단부가 접촉하는 흡상부(63)는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 가루 부재의 소결체에 의한 다공질 부재로 둥근 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63)의 선단부로부터 심 홀더(7)보다 하방 위치의 흡상부(62)의 측 모서리부가 단면 결원형으로 제거되고, 통형 심 홀더(7)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통기로(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특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다.
<제5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6에, 그 B-B 단면을 도7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3)는 연소심(6)과 심 홀더(7)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심(6)의 연소부(61) 및 흡상부(62)의 상부는 단면 원형상으로 설치되고, 이에 대해 심 홀더(7)의 내부 구멍(7b)은 단면 짧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자 사이에는 네 귀퉁이에 대략 삼각형 위의 공간이 상하 방형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 공간에 의해 연료 탱크(2)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3)가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제6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8에, 그 C-C 단면을 도9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4)는 심 홀더(71)의 내부 구멍(71a)에 설치한 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심(6)을 보유 지지하는 심 홀더(71)의 내부 구멍(71a) 내주부의 일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심 홀더(71)를 상하로 관통하는 세로 홈이 형성되고, 이 내부 구멍(71a)에 연소심(6)이 삽입된 때, 연소심(6)의 외주부를 따라서 평행하게 통기로(24)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심 홀더(71)는 연소심(6)을 보유 지지하는 내부 구멍(71a)이 편심되어 형성되고, 두꺼운 부분에 통기로(24)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제7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0에, 그 D-D 단면을 도11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5)는 심 홀더(7)와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 사이에 설치한 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심(6)을 내부에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심 홀더(7)의 외주 하부에 형성된 접합 나사(7a)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4a)이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 나사 구멍(4a) 내주의 일부에 세로 홈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이 세로 홈에 의해 연료 탱크(2)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5)가 구성되어 있다. 그 밖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8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2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6)는 심 홀더(7)의 외주부에 설치한 세로 홈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심 홀더(7)의 외주 하부에 형성된 접합 나사(7a)의 일부에 세로 홈이 형성되고, 이 세로 홈은 연료 탱크(2) 상부 덮개(4)의 두께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덮개(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6)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는 제7 실시 형태와 같다.
<제9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3에, 그 E-E 단면을 도14에 도시하고 있다.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7)는 연소심(6)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는 구멍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심(6)을 보유 지지하는 심 홀더(71)의 내부 구멍(71a)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는 구멍 파이프(32)가 끼워지고, 그 가는 구멍 파이프(32)의 내부 통로에 의해 통기로(27)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심 홀더(71)는 연소심(6)을 보유 지지하는 내부 구멍(71a)이 편심되어 형성되고, 두꺼운 부분에 통기로(27)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는 제3 실시 형태와 같다.
<제10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5에 도시하고, 연소심(6)을 분할하여 정량 연소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연소심(6)은 흡상부(62)의 일부가 분할되고, 상부 흡상부(62a)가 글라스 섬유에 의한 연소부(6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흡상부(62a)의 하단부가 하부 흡상부(62b)의 상단부에 대해 접촉 분리하여 이동된다. 즉, 연소부(61)와 상부 흡상부(62a)가 원통형의 심 홀더(72)로 보유 지지되고, 이 심 홀더(72)가 연료 탱크(2) 상부 덮개(4)의 미끄럼 이동 구멍(4)에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하부 흡상부(62b)는 상단부가 상부 덮개(4)에 고정 부착되고, 하부가 연료 탱크(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상부 흡상부(62a)는 연소부(61)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의 연소를 얻는 데 필요한 연료량을 보유 지지하는 용적의 연료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28)는 상기 심 홀더(72)를 상하로 관통하는 제1 통기로(28a)와, 상부 덮개(4)의 미끄럼 이동 구멍(4b)의 바닥부에 제1 통기로(28a)와 연통하여 관통 형성된 제2 통기로(28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심 홀더(72)는 미끄럼 이동 구멍(4b)에 대해 밀봉 링(33)을 거쳐서 삽입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분리 방향(상방)으로 압박되고 있다. 이 코일 스프링(34)은 상부 덮개(4)의 상면과 심 홀더(72)의 상단부 사이에 축소 장착되고, 이 스프링(34)의 압박력에 의해 연소부(61) 및 상부 흡상부(62a)가 상승 이동한 때에는 그 하단부는 하부 흡상부(62b)의 상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양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심(6)의 연소부(61)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폐색 캡(16)의 밀폐 단부의 밀봉 부재(18)는 상기 심 홀더(72)의 상단부에 제1 통기로(28a)의 개구부보다 외측 부분에 접촉하여 이를 압박한다. 그리고, 이 폐색 캡(16)의 폐색시에는 상기 심 홀더(72)에 접촉하여 이를 스프링(34)에 대항하여 압박하고, 상부 흡상부(62a)의 하단부를 하부 흡상부(62b)의 상단부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연소부(61) 및 통기로(28)를 덮어서 밀폐하고, 액체 연료의 휘발을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폐색 캡(16)을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는 연소심(6)의 상부 흡상부(62a)와 하부 흡상부(62b)는 접촉하고 있으므로, 액체 연료는 연소부(61)에 공급되어 소정량의 연료가 보유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폐색 캡(16)이 개방 작동되면, 심 홀더(72)의 압박력이 해방되어 스프링(3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흡상부(62b)와의 접촉이 분리되고,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연소부(61)에 착화하여 연소가 행해지면, 연소부(61) 및 상부 흡상부(62a)에 보유 지지되어 있던 연료가 연소에 의해 소비되고, 연소가 다된 상태에서 연소 불꽃이 자동적으로 소화되는 정량 연소 기구(자동 소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통기로(28)의 형성에 수반하는 특성은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예에 있어서는 상부 흡상부(62a)와 하부 흡상부(62b)는 경사면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여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단위 시간당의 액체 연료의 공급량을 증대하도록 하고 있다.
<제11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6에 도시하고, 연소심(6)을 분할하여 제10 실시 형태와 같이 정량 연소를 행하도록 한 예이며, 연료 탱크(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로(29)는 연소심(6)을 절결하여 심 홀더(72) 사이에 홈형의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연소심(6)의 연소부(63) 및 흡상부(62) 및 통기로(29)의 구조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연소심(6)은 다공 세라믹 소결체에 의한 연소부(63) 및 폴리에틸렌 가루 부재의 소결체에 의한 상부 흡상부(62a) 및 하부 흡상부(62b)가 둥근 봉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63)의 선단부로부터 상부 흡상부(62a) 및 하부 흡상부(62b)의 측 모서리부가 단면 결원 상태(도5 참조)로 제거되고, 통형 심 홀더(7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통기로(29)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특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다.
<제12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7에 도시하고, 연소심(6) 및 통기로(20)의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예의 폐색 캡(16)은 연소심(6)의 연소부(61)를 심 홀더(7)의 돌출부와 함께 개폐 가능하게 덮는 밀폐 공간(S)을 형성하는 밀폐 단부에 밀봉 부재(18)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페색 캡(16)에는 별도로 상기 통기로(20)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통기로 폐색부(35)가 부설되고, 이 폐색부(35)의 선단부에는 밀봉 부재(35a)가 설치되고, 통기로(20)의 외측 개구부가 폐색 캡(1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직접 개폐된다. 그 밖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제13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18에 도시하고, 폐색 캡(1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는 통기로(20)의 연동 개폐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덮개(4)에 관통 형성된 통기로(20)의 외측 개구부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 부재에 의한 통기로 폐색부(37)가 설치되고, 이 통기로 폐색부(37)는 스프링(38)에 의해 폐색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한편, 폐색 캡(16)에는 상기 통기로 폐색부(37)를 압박 가능한 압박 돌기(36)가 형성되고, 폐색 캡(16)의 폐쇄 작동시에 통기로 폐색부(37)를 연동 폐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4 실시 형태>
도19에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의 일예로서 일회용 흡연용 라이터의 개략 단면 구조를, 도20에 캡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심(6)은, 예를 들어 다공질 글라스 소결체 또는 다공 세라믹 소결체, 혹은 글라스 섬유를 봉형으로 묶은 다공질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의 연소부와 하부의 흡상부를 다른 소재로 분리 형성해도 좋다.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에 대해, 그 연소심(6), 착화 부재(10)가 돌출한 상단부를 휘발 방지용 캡(16)으로 착탈 가능하게 밀폐한다. 이 캡(16)은 상벽부(4)의 외주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6)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즉 연료 탱크(2)의 길이 방향 및 심(6)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착탈 방향으로부터 결합 피복하여 폐색하는 것이다.
상기 캡(16)은 원통형이며, 개방된 하단부 내주가 상기 상부 덮개(4)의 상단부의 외주에, 상기 상부 덮개(4)에 장착된 O링에 의한 밀봉 부재(30)를 거쳐서 끼워지는 것이다. 또, 상기 캡(16)의 하단부 내주면은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통기로(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2)에 대한 캡(16) 폐색 상태의 보유 지지는 상부 덮개(4)에 장착된 밀봉 부재(30)와 캡(16)의 끼움 내면과의 미끄럼 접촉 저항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본 보유 지지 구조로서는 상기 외에, 다른 밀봉 부재의 채용과 함께 적절히 설치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로서 링형 패킹을 사용하고, 이를 연료 탱크(2) 외주부의 캡(16)과의 축 방향 접촉부에 배치하고, 상부 덮개(4)의 외주와 캡(16) 내주와의 결합 부분에는 후술한 도2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요철 결합 구조를 설치하고, 캡(16) 선단부의 밀봉 부재(패킹)에 압박 접촉하여 밀봉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라이터(1)에서는 캡(16)을 착탈 가능하게 인장하여 연료 탱크(2)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연소심(6) 및 착화 부재(10)가 노출하고, 이 착화 부재(10)의 조작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켜 연소심(6)의 선단부에 착화하여 연소를 개시한다. 소화의 경우에는 불꽃을 불어 끈 다음에 상기 캡(16)을 연료 탱크(2)에 대해 축 방향으로 끼워서, 연소심(6)을 밀폐 상태로 하여 액체 연료의 휘발 억제를 행한다.
<제15 실시 형태>
본 예의 라이터(1)를 도21 및 도22에 도시한다.
본 예의 캡(115)은 원통형 캡(115)의 본체 부분의 내부에, 연소심(6)의 부분만을 밀폐하는 원통형의 내부 캡(1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탱크(2) 상부 덮개(4)의 중심 위치에는 심 홀더(7)에 보유 지지된 연소심(6)이 제14 실시 형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심 홀더(7)의 선단부 외주에는 O링에 의한 밀봉 부재(3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캡(116)은 캡(115)의 중심 부분에 외주 통부와 동심원상으로 배치되고, 캡(115)을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6)의 돌출 방향에 수반하는 착탈 방향으로부터 직선적으로 끼움 피복시에, 이 내부 캡(116)은 상기 심 홀더(7)의 외주에 상기 밀봉 부재(31)를 거쳐서 끼움 가능하다. 또, 상기 내부 캡(116)의 하단부 내주면은 끼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로(20)는 제6 실시 형태와 같은 상기 심 홀더(7)의 내주면에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는 폐색 상태에 있는 내부 캡(116) 내부의 밀폐 공간에 연통한다.
또한, 상기 착화 부재(10)는 기구적으로는 제14 실시 형태와 같지만, 캡(115)의 장착시에 이 캡(115)의 외주벽부와 내부 캡(116) 사이에 삽입 가능한 치수 및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연소심(6)의 심 홀더(7)와 착화 부재 사이에는 내부 캡(116)이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115)의 장착에 있어서는, 그 내부 캡(116)은 상기 심 홀더(7)와 결합하기 전에, 캡(115)의 외주벽부와 상부 덮개(4)의 외주부와의 외주측 결합 부분으로 안내되고, 그 결합 위치가 결정되어 용이하게 확실히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외주측 결합 부분에 대해서는 도19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30)는 개재 장착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배치해도 좋다. 그 밖에는 제14 실시 형태와 같다.
<제16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23에 도시한다. 캡(215)의 내부 캡(216)의 형태가 앞의 예와는 다르다.
본 예의 캡(215)은 원통형 캡(215)의 본체 부분의 내부에, 연소심(6) 부분만을 밀폐하는 원통형의 내부 캡(216)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내부 캡(216)이 탄성 부재(218)에 의해 압박되고 있다.
즉, 캡(215)의 내측 바닥면에는 안내통(217)이 설치되고, 이 안내통(217) 내에 소경 통형의 내부 캡(216)이 축 방향으로 출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또 안내통(217)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한 탄성체(218)가 축소 장착되어 내부 캡(216)이 돌출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또, 상기 내부 캡(216)이 안내통(217)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빠짐 방지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내부 캡(216)과 연소심(6) 사이의 밀봉 구조는 심 홀더(7)의 외주부에 링형의 패킹에 의한 밀봉 부재(39)가 상부 덮개(4)의 상면에 접하여 배치되고, 이 밀봉 부재(39)의 단부면에 대해 상기 내부 캡(216)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 부재(218)의 압박력으로 압박되어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덮개(4)의 외주와 캡(215)의 외측 통부의 내주와의 결합 부분에는 요철 결합 구조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218)의 압박력에 의해 캡이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있다. 그 밖에는, 제15 실시 형태와 같다.
<제17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를 도24A 및 도24B에 도시한다. 캡(315)의 장착에 방향성을 지닌 예이다. 도24A는 캡(315)을 제거한 상태의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의 평면 구조를 나타내고, 그 외주 결합부의 형상은 타원(계란형) 형상으로, 점대칭인 형상이 아닌 캡(315)의 장착에는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반해 전술한 제14 내지 제1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결합 부분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점대칭이며, 캡의 장착에는 방향성이 없다.
또한, 상기 타원 형상의 상부 덮개(4)에 대해, 연소심(6)은 연료 탱크(2) 상부 덮개(4)의 중심 위치로부터 한 쪽으로 치우친 편심 위치에 배치되고, 착화 부재(10)의 배치 공간이 넓어지며, 그 회전 줄(13) 등의 형상이 크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캡(315) 내부의 내부 캡(316)에 대해서도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밖에는 제15 실시 형태와 같다.
<제18 실시 형태>
본 예의 라이터에 있어서의 캡을 제거한 상태의 연료 탱크(2) 상부 덮개(4)의 평면 구조를 도25A 및 도25B에 도시한다. 캡의 장착에 방향성을 지니지 않은 예이다.
도25A는 그 외주측 결합 부분의 형상(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은 점대칭인 삼각 형상이며, 도25B는 그 외주 결합부의 형상은 점대칭인 사각 형상이며, 이 연료 탱크(2)의 형상과 같은 삼각 또는 사각 형상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캡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삼각 또는 사각 형상의 상부 덮개(4)에 대해, 연소심(6)은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 외형의 점대칭 형상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캡 내부의 내부 캡은 상기 도21의 내부 캡(116)과 마찬가지로 중심 위치에 통형으로 배치되고, 이 캡 결합 부분의 점대칭 형상이 되는 위치에서 장착 가능하며, 원형상 정도의 자유도는 없지만, 캡의 장착에는 방향성이 없다. 그 밖에는 도15의 실시 형태와 같다.
<제19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26에 도시한다. 라이터(1)의 기본 구조는 상기 제15 실시 형태와 같으며, 캡(115)의 분실 방지 구조를 부설한 예이다.
즉, 상기 캡(115)에는 제1 걸림부(41)를, 연료 탱크(2)에는 제2 걸림부(42)를 설치하고, 양 걸림부(41, 42)를 끈, 쇄사슬 등의 연결 부재(43)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밖에는 제15 실시 형태와 같다.
<제20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사시 구조를 도27에, 그 단면 구조를 도28에 도시한다. 제거된 캡(115)이 회피 위치로 회전하도록 한 예이다.
연료 탱크(2)의 중심부에는 연소심(6)이 배치되고, 그 측방에는 착화 부재(10)가 설치되고, 캡(115)에는 중심부에 내부 캡(116)이 제15 실시 형태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캡(115)에는 그 내부의 외주벽부 근방의 편심된 위치에 축 부재에 의한 가이드 부재(45)가 고정 부착되고, 이 가이드 부재(45)의 하부는 상기 연료 탱크(2)의 모서리부에 착탈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캡(115)은 가이드 부재(45)를 따라서 착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4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부재(45)의 외주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한 압박 수단(46)이 장착되고,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6)의 일단부는 캡(25)의 내면에 타단부는 연료 탱크(2)의 모서리부에 결합되고, 캡(25)에 대해 회전 방향의 압박력이 부여되는 동시에, 상승 방향의 압박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탱크(2) 상단부의 외주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주위벽(47)이 설치되고, 이 주위벽(47)은 착화 부재(10)의 부분에서는 낮고, 연소심(6)의 근방에서는 높게 형성되는 동시에, 공기 구멍(47a)이 개구되고, 바람막이로서의 기능을 겸하는 동시에, 캡(115) 착탈시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캡(115)을 연료 탱크(2)에 장착하여 내부 캡(116)에 의해 연소심(6)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압박 수단(46)은 비틀림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동시에 축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있다.
이 라이터를 사용하가 위해 캡(115)을 분리하도록 조작하면, 내부 캡(116)의 하단부가 심 홀더(7)의 밀봉 부재(31)와의 결합이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는 캡(115)이 회전하면 연소심(6)의 선단부 및 착화 부재(10)와 간섭하는 위치이며, 이 간섭이 사라질 때까지는 상기 주위벽(47)을 따라서 캡(115)이 압박 수단(46)의 상방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상승한다. 이 캡(115)이 하단부가 연소심(6) 선단부 및 착화 부재(10) 선단부보다 상승하면, 압박 수단(46)의 비틀림력에 의해 캡(115)은 가이드 부재(45)를 중심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연료 탱크(2)의 상방으로부터 회피 위치로 회전한다. 사용 후에, 상기 캡(115)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연료 탱크(2) 위로 회전시키고나서 가이드 부재(45)를 따라서 하강시켜 끼우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 개시시의 캡(115)의 개방 동작이 용이한 동시에 캡(115)을 분실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한 압박 수단(46)을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회피 위치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있지만, 이 압박 수단은 설치하지 않은 채 수동 조작에 의해 캡(115)을 회피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45)에 대해서는 이 가이드 부재(45)를 캡(115)과 함께 착탈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있지만, 고정된 가이드 부재(45)에 대해 캡(115)이 미끄럼 이동하도록 해도 좋으며, 또한, 가이드 부재(45)를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미끄럼 이동 지지부가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21 실시 형태>
본 예 라이터의 요부 구조를 도29에 도시한다. 앞의 예에 있어서는 캡(115)을 회전시켜 회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49)를 굴곡시킴으로써 캡(115)을 경동시켜 회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캡(115)을 연료 탱크(2)의 상부 덮개(4)와의 결합 위치 근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49)는 도중에 굴곡 지지점(49a)을 갖는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이 가이드 부재(49)의 지지점(49a)보다 상방에 캡(25)이 고정 부착되고, 또한 지지점(49a)보다 하방은 연료 탱크(2)에 대해 부착 부재(50)의 적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부재(49)는 상기 지지점(49a)에서의 기복 회전에 있어서, 캡(25)을 굴곡 방향으로 넘어지도록 압박하는 구조의 압박 수단을 겸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는 상기 제20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캡(115)을 폐색 상태로부터 인상하면, 연료 탱크(2)와의 결합이 분리된 후에, 어느 정도 상승하여 착화 부재(10) 등과의 간섭이 해소된 위치에서, 캡(115)은 가이드 부재(49)의 지지점(49a)을 중심으로 한 경동 방향의 압박에 의해 자동적으로 경동하여 회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수동으로 기복 회전시키도록 압박 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구조로 해도 좋다.
<제22 실시 형태>
이 예의 라이터 요부 구조를 도30A 및 도30B에 도시하기로 한다. 연소심(6)을 분할하여 정량 연소를 행하도록 한 예이다.
통기로의 구조는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심 홀더(65)의 내공에 설치한 홈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연소심(6)의 연소부(63) 및 흡상부(62)의 재질은 제1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그 밖의 것이라도 좋고, 예컨대 연소부(63)는 유리 섬유, 다공질 유리 소결체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심 홀더(65)는 밀봉 링(66)을 거쳐서 상부 덮개(4)에 삽입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는 보유 부재(64) 상면과의 사이에 접시 스프링에 의한 탄성 부재(67)가 개재 장착되어, 분리 방향(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67)의 가압력에 의해 연소부(61)가 상승 이동한 때에는 그 하단부는 흡상부(62)의 상단부로부터 분리하여 양자간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연소심(6)의 연소부(63)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캡(68)의 내부 캡(69) 선단부에는 링형의 밀봉 부재(70)가 고정 부착되고, 이 밀봉 부재(70)의 하단면이 심 홀더(65)의 상단면에 맞닿아 이를 압박한다. 그리고, 이 캡(68)의 폐색시에는 상기 심 홀더(65)에 맞닿아 이를 탄성 부재(67)에 맞서 압박하여, 연소부(63)의 하단부를 흡상부(62)의 상단부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연소부(63)를 덮어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캡(68)의 외주 부분에는 상부 덮개(4)의 외주 끼워 맞춤용 요철 결합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연소부(63)와 흡상부(62) 분리시의 공간으로서는 접촉하지 않으면 좋으므로, 1 ㎜정도 또는 그 이하라도 충분하다. 탄성 부재(67)로서는 접시 스프링 외에 고무 등의 소재, 소경 복수의 코일 스프링,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대경의 코일 스프링 등도 사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소부(63)를 캡(68)의 착탈에 따라 접촉 분리 이동하도록 하고 있지만, 연료 탱크(2)에 상기 연소부(63)를 승강 이동시키는 나사 기구, 캠 기구 등을 설치하고, 이 기구를 동작시키는 조작 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소부(61)를 접촉 분리 이동시켜서 자동 소화 기능을 얻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의 착탈에 있어서의 조작 방향이 연료 탱크의 연소심 돌출 방향에 일치한 직선적이고, 그 움직임에 대응하여 밀폐 부분의 밀봉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또 캡의 직선적 이동에 대응하여 그 궤적도 직선적으로 상품과의 간섭이 저감하고, 부품의 설치를 소형화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설치가 용이해진다.
〈실험예〉
여기에서 상기 제1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품으로서의 라이터와, 비교용으로 통기로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이외에는 같게 구성된 라이터를 이용하여 통기로의 형성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를 나타내기로 한다.
(1) 연속 연소시의 화염 길이 변화 측정 시험
통기로의 직경을 여러가지로 형성한 라이터의 연소심에 착화 후, 120초간 연속 연소시킨 동안의 화염 길이 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31A 내지 도31D에 도시하기로 한다. 도31A는 통기로 직경이 0 ㎜ 즉 통기로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라이터이며, 도31B가 통기로 직경이 0.5 ㎜, 도31C가 통기로 직경이 1.0 ㎜, 도31D가 통기로 직경이 2.0 ㎜의 본 발명 라이터에 의한 측정 결과이다.
도31A 내지 도31D의 측정에서, 착화 직후의 화염 길이의 값을 통기로 직경과의 관계로 도시한 것이 도32이다. 이에 따르면, 착화 직후의 화염 길이는 통기로가 없는 비교예 라이터에서는 15 ㎜인 데에 비해, 통기로를 가지는 본 발명 라이터에서는 20 ㎜의 화염 길이였다.
또, 마찬가지로 화염 길이가 25 ㎜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통기로 직경과의 관계로 도시한 것이 도33이다. 이에 따르면, 화염 길이가 25 ㎜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비교예 라이터에서는 20초 걸리는 데에 비해, 본 발명 라이터에서는 5초이다.
또, 마찬가지로 화염이 안정한 때의 화염 길이의 값을 통기로와의 관계로 도시한 것이 도34이다. 이에 따르면, 착화부터 약 20 내지 30초간 연소시키면 화염 길이는 평형되지만, 이 때의 화염 길이는 통기로가 없는 비교예 라이터에서는 25 ㎜이지만, 통기로를 설치한 본 발명 라이터에서는 40 ㎜의 화염 길이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설명하면, 도31A 내지 도31D에서는 120초까지의 연속 연소에서의 화염 길이 변화를 측정하고 있지만, 라이터로서는 착화 직후 혹은 착화후 10 내지 20초 정도의 시간 내에 있어서의 화염 길이가 실제 사용상 중요하며, 이 점으로부터 도32 및 도33을 보면 통기로가 없는 것에서는 착화 직후의 화염 길이는 짧고, 통기로를 설치함으로써 화염 길이는 이보다 길어지며, 또 통기로 직경을 0.5 내지 2.0 ㎜로 변화시켜도 같은 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착화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화염 길이는 신장되고, 어느 정도의 화염 길이로 평형 상태가 되지만, 이 화염 길이의 신장 정도에 대해서도 통기로를 설치함으로써 조기에 화염 길이가 길어져 사용상 적합한 상태가 된다.
또, 도33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연소 시간이 경과한 후의 평형 상태의 화염 길이가 통기로를 가지는 것에서는 가지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해 대폭 길어진다. 바꿔 말하면, 연소심의 연소부 돌출량이 같더라도 통기로의 형성에 의해 최대 화염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연소심의 돌출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은 이 연소심의 휘발 방지용 캡에 있어서의 밀폐 부분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2) 액체 연료 누출 시험
이 시험은 외기 온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연소심 부분으로부터의 액체 연료 누출의 유무를 관찰한 것으로,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기로 한다. 또, 마찬가지로 외부 압력을 대기압보다 ±20% 변화시킨 경우의 연소심 부분으로부터의 액체 연료 누출의 유무를 관찰한 것으로,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기로 한다.
이 결과에서는 외기 온도가 상승한 경우, 및 외기압이 감소한 경우, 통기로가 없는 비교예 라이터에서는 상대적으로 연료 탱크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보다 높아져, 액체 연료가 연소심으로부터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통기로를 가지는 본 발명 라이터에서는 압력차의 해소에 의해 이와 같은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온도 변화량(23℃ 기준) 통기로 직경(㎜)
0 0.5 1.0 2.0
-20℃
0℃
+20℃ ×
+30℃ ×
(○ : 누출 없음, × : 누출 있음)
기압 변화량(대기압 기준) 통기로 직경(㎜)
0 0.5 1.0 2.0
-20% ×
+20%
(○ : 누출 없음, × : 누출 있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체 연료를 이용한 연소 기구에서 특히 착화를 목적으로 하는 라이터 등의 착화기에 있어서는 착화후 가능한한 화염 길이를 길게 또 착화후의 화염 길이 신장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연소심에 의한 연료 통로에 맞추어 액체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함으로써, 통기로가 없는 것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같은 화염 길이를 얻기 위한 연소심의 길이도 짧게 할 수 있고, 연소심으로부터의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연료 휘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용 캡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기기 설계가 용이해지고, 동시에 통기로를 이 밀폐부 내에 설치함으로써 통기로부터의 액체 연료 휘발을 방지하는 동시에, 외주 온도 혹은 외주 기압의 변화에 대해 액체 연료의 흡출을 방지할 수 있었다.

Claims (23)

  1. 연료 탱크에 수용한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하고,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2. 연료 탱크에 수용한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구비하고,
    상기 심을 분할하여, 분할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접촉 분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그 접촉시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분리에 따라 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 시간을 제한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로의 외기에의 개구부를 폐쇄 상태의 상기 폐색 캡의 밀폐 공간 내에 연통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로의 외기에의 개구부를 폐쇄 상태의 상기 폐색 캡의 밀폐 단부에서 밀폐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휘발 방지용 폐색 캡에 부설 또는 연동하는 통기로 폐색부를 설치하고, 폐색 캡의 작동으로 심의 연소 부분을 개폐할 때에 동시에 상기 통기로의 외기에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를 상기 심의 외주부에 배치한 심 홀더 사이의 간극 또는 심 홀더 내주에 형성한 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를 심에 따라 배치한 세공 파이프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로를 심에 형성한 홈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9. 섬유재를 수납하여 액체 연료를 재주입 불가능하게 함침 저장한 밀폐 구조의 연료 탱크와,
    한쪽단 흡상 부분이 연료 탱크 내에 삽입되어 상기 섬유재와 접촉하여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고, 다른쪽 연소 부분이 심 홀더에 보유되어 연료 탱크상에 돌출하는 심과,
    적어도 상기 심의 연소 부분을 밀봉 부재를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폐색 캡과,
    상기 심의 연소 부분에 접촉 분리하여 배치되어 그 연소 부분에 착화하는 착화 부재와,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을 통해 연료 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 가능하게 연통하는 통기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0. 액체 연료를 수용한 연료 탱크의 상벽부에 상기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부설하는 동시에, 그 심에 착화하는 착화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하고,
    상기 연료 탱크에 대해 그 연소심, 착화 기구가 돌출한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의 돌출 방향에 따라 직선적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끼워 맞춤 피관하여 폐색하는 캡을 설치하고,
    그 캡의 밀폐 부분에 O링, 패킹 등의 밀봉 부재를 개재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외주부와 캡 사이에 밀봉 부재를 개재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부에 이 캡의 연료 탱크로의 착탈 조작에 연계하여 상기 심을 밀봉 부재를 거쳐서 폐색하는 내부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부 캡은 캡의 연료 탱크로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와 캡의 외주쪽 끼워 맞춤 부분에 안내되어 심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을 캡에 대해 탄성 부재를 거쳐서 부착하고, 밀봉 부재의 압박 상태로 심을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을 캡의 편심 위치에 배치하고, 캡과 연료 탱크의 외주쪽 끼워 맞춤 부분에 있어서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을 비점 대칭한 방향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을 캡의 중심 위치에 배치하고, 캡과 연료 탱크의 외주쪽 끼워 맞춤 부분에 있어서의 착탈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형상을 점대칭한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7.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연료 탱크를 띠, 쇠사슬 등의 연결 부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8.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상단부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주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19.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연료 탱크에 대해 착탈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또 상기 캡이 연료 탱크와의 끼움 부착이 분리된 위치 이상으로 이동한 후에, 그 캡을 심 및 착화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회피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캡의 하단부가 상기 심 및 착화 부재의 선단부보다 높은 위치까지 캡을 연료 탱크에 대한 착탈 방향으로 안내하는 축 부재로 구성되고, 또 상기 캡이 편심한 위치에 연결된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그 캡이 상기 회피 위치에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도중의 지지점에서 굴곡 가능하게 설치되고, 캡을 상기 지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기복 회전하여 회피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가이드 부재에 대한 미끄럼 이동 위치로부터 회피 위치에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23.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연료를 수용한 연료 탱크의 상벽부에 상기 액체 연료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상하여 연소시키는 심을 부설하는 동시에, 그 심에 착화하는 착화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심에 의한 연료 통로 이외의 부분에 적어도 연소시에 연료 탱크 내부와 외기를 연통하는 통기로를 설치하고,
    상기 연료 탱크에 대해 그 연소심, 착화 기구가 돌출한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연소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단부에 끼워 맞춤 피관하여 폐색하는 캡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심을 분할하여, 분할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접촉 분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그 접촉시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연료를 공급하고, 분리에 따라 연료 공급을 차단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
KR1019997000436A 1997-05-20 1998-05-15 액체연료용연소기구 KR20000029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9400A JPH10318539A (ja) 1997-05-20 1997-05-20 液体燃料用燃焼器具
JP97-129400 1997-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59A true KR20000029459A (ko) 2000-05-25

Family

ID=1500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436A KR20000029459A (ko) 1997-05-20 1998-05-15 액체연료용연소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17315B1 (ko)
EP (1) EP0916896A4 (ko)
JP (1) JPH10318539A (ko)
KR (1) KR20000029459A (ko)
CN (1) CN1231027A (ko)
BR (1) BR9804922A (ko)
CA (1) CA2260942A1 (ko)
ID (1) ID21875A (ko)
RU (1) RU2157953C1 (ko)
TW (1) TW399137B (ko)
WO (1) WO19980532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8069B2 (ja) * 1999-09-21 2005-07-06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用液体燃料収容容器および燃料電池
US6598607B2 (en) * 2001-10-24 2003-07-29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Non-combustible smoking device and fuel element
US20040041285A1 (en) * 2002-06-20 2004-03-04 Jian Xiang Multi-component flow regulator wicks and methods of making multi-component flow regulator wicks
US7007863B2 (en) * 2002-10-08 2006-03-07 S.C. Johnson & Son, Inc. Wick-based delivery system with wick made of different composite materials
CA2566319C (en) * 2004-05-07 2010-02-16 S. C. Johnson & Son, Inc. Methods for reducing seepage from wick-based controlled release devices, and wick-based devices having reduced seepage
JP4699740B2 (ja) * 2004-11-02 2011-06-15 東京パイプ株式会社 ライタ
US20070065767A1 (en) * 2005-09-19 2007-03-22 Hollowick, Inc. Liquid fuel cell
JP4895679B2 (ja) * 2006-05-23 2012-03-14 株式会社東海 液体燃料用燃焼器具
US7726320B2 (en) 2006-10-18 2010-06-0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smoking article
JP2010517226A (ja) * 2007-01-22 2010-05-20 ロールス−ロイス・フューエル・セル・システムズ(ユーエ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段燃焼器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を始動するための方法
TWI492891B (zh) * 2010-01-22 2015-07-21 Nkk Co Ltd 噴霧罐製品及其製造方法
US8757147B2 (en) 2010-05-15 2014-06-24 Minusa Holdings Llc Personal vaporizing inhaler with internal light source
US11344683B2 (en) 2010-05-15 2022-05-31 Rai Strategic Holdings, Inc. Vaporizer rel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US9078473B2 (en) 2011-08-09 2015-07-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and use thereof for yielding inhalation materials
US9839238B2 (en) 2014-02-28 2017-12-12 Rai Strategic Holdings, Inc. Control body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FR3032884B1 (fr) * 2015-02-24 2017-03-03 Berger Produits Dispositif de diffusion de parfum par catalyse
US10034494B2 (en) 2015-09-15 2018-07-31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servoir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EP3497371A4 (en) * 2016-06-29 2020-05-27 Worthington Industries, Inc. BURNER WITH ROTATING SAFETY CAP
DE102016217926A1 (de) * 2016-09-19 2018-03-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üllstandsmessvorrichtung mit einem Messrohr und Abdeckvorrichtung für die Füllstandsmes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03A (en) * 1889-02-26 Lamp-burner
US1134314A (en) * 1913-02-03 1915-04-06 David J Canchester Igniter.
US2190928A (en) * 1936-03-09 1940-02-20 American Automatic Devices Co Flare torch
US2301453A (en) * 1938-05-20 1942-11-10 Reich Luise Lighter
US2451188A (en) * 1944-11-27 1948-10-12 Konrad Hermann Pyrophoric lighter
US2616161A (en) * 1948-01-27 1952-11-04 Evans Case Co Method of sealing snuffers
US2680962A (en) * 1949-10-12 1954-06-15 Ritepoint Inc Cigarette lighter
BE522521A (ko) * 1952-09-01
US2817226A (en) * 1954-06-02 1957-12-24 Thomas J Lynott Highway flare
CH309656A (de) * 1955-06-27 1955-09-15 Ruetz Theodor Feuerzeug
JPS3730986Y1 (ko) * 1961-12-05 1962-11-20
JPS392285B1 (ko) * 1962-08-17 1964-03-05
JPS417227Y1 (ko) * 1964-03-21 1966-04-13
US3316957A (en) * 1965-09-08 1967-05-02 Stockli Alfred Spirit burner
US3382028A (en) * 1965-12-16 1968-05-07 Yoshinaga Prince Kabushiki Kai Gas lighter
JPS5644508A (en) * 1979-09-19 1981-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ick for combusting liquid fuel
JPS5762310A (en) * 1980-10-02 1982-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il combustion wick
JPS5792620A (en) * 1980-11-28 1982-06-09 Fukuo Iwabori Liquid fuel lighter
DE3211834A1 (de) * 1982-03-31 1983-10-13 Hans-Ludwig 4773 Möhnesee Schirneker Brennelement fuer offene brennstellen und dafuer geeigneter kamin
US4477247A (en) * 1982-06-16 1984-10-16 Beck-Noma Illinois Inc. Liquid fuel burning torch
DE3239817A1 (de) * 1982-07-06 1984-01-12 Max Planck 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3400 Göttingen Neue glycerinderivate zur synthese von phospholipiden
US4526530A (en) * 1984-03-28 1985-07-02 Hollowick, Inc. Burner for liquid candle
JPS61202015A (ja) * 1985-03-01 1986-09-06 Toyotomi Kogyo Co Ltd 石油燃焼器の消火装置
FR2617941B1 (fr) * 1987-07-07 1989-10-27 Applic Gaz Sa Valve et recipient a valve
JPH0732356U (ja) * 1993-10-26 1995-06-16 モダンロイヤル株式会社 オイルライター
JP4001759B2 (ja) 2002-03-14 2007-10-31 株式会社リコー 表面の平滑な樹脂被覆ロー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57953C1 (ru) 2000-10-20
ID21875A (id) 1999-08-05
TW399137B (en) 2000-07-21
BR9804922A (pt) 2000-01-18
EP0916896A4 (en) 2001-05-02
CA2260942A1 (en) 1998-11-26
CN1231027A (zh) 1999-10-06
JPH10318539A (ja) 1998-12-04
EP0916896A1 (en) 1999-05-19
US6217315B1 (en) 2001-04-17
WO1998053253A1 (fr)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9459A (ko) 액체연료용연소기구
US3277674A (en) Burner-inlet valve for gas lighters
KR20010005639A (ko) 액체 연료 연소 기구의 연소심
US6010334A (en) Combustion appliance for liquid fuel
EP0758071A1 (en) Liquid fuel lantern
KR20000068305A (ko) 액체 연료용 연소 기구에 있어서의 연소심
JP2001093302A (ja) 携帯用ランタン
US6186774B1 (en) Modular butane lighter
US6113385A (en) Combustion wick for liquid fuel combustion appliances
EP0908680A1 (en) Combustion apparatus for liquid fuel and combustion wick
JP4895679B2 (ja) 液体燃料用燃焼器具
US6227844B1 (en) Combustor structure for igniters
MXPA98005378A (en) Combustion appliance for liquid fuel
JPH11270848A (ja) アルコールライター
JPS6335893B2 (ko)
JP3041467U (ja) 液体燃料ライター
JPS6311471Y2 (ko)
MXPA98008702A (es) Aparato de combustion para combustible liquido y mecha de combustion
WO1999067573A1 (fr) Dispositif de combustion de combustible liquide
JPH10232021A (ja) 液体燃料用燃焼器具
JPS58104426A (ja) ガスライ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