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059A -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059A
KR20000029059A KR1019990044454A KR19990044454A KR20000029059A KR 20000029059 A KR20000029059 A KR 20000029059A KR 1019990044454 A KR1019990044454 A KR 1019990044454A KR 19990044454 A KR19990044454 A KR 19990044454A KR 20000029059 A KR20000029059 A KR 2000002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optical fiber
connector
connector housings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628B1 (ko
Inventor
첸웬종
그로이스이고르
언스트스코트에이.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0002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moulding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는 시스템(10)과, 이러한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커넥터 하우징(12)은 제1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고,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제1 래치(18)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14)은 제2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고, 제2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 제2 래치(2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래치(18, 24)는 커넥터 하우징(12, 14)들을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느슨한 결합 상태로 영구적으로 해제 불가능하게 성형된다.

Description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DUPLEX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섬유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개별 광섬유 커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소자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원주 방향 피복으로 피복된 내부 원형 유리 코어를 각각 갖는 단일 또는 다중 섬유를 사용한다. 광선은 코어를 따라 전송되고 코어와 피복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반사된다. 이러한 장치는 빛에너지에 실린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선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송 선로는 단일 섬유로부터 형성되거나, 서로 묶여진 복수개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 선로를 따라 정보의 동시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전송 선로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원래, 광섬유 시스템은 단일 광섬유 케이블에서 종단하는 단일 커넥터 플러그를 구비한 심플렉스(simplex) 상호 연결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심플렉스 시스템에서, 한 번에 정보의 전송 또는 수신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심플렉스 시스템은 소정의 시간 동안에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제한된다.
광섬유 시스템을 걸쳐 통신될 수 있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중 채널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다중 채널 시스템은 예컨대 동시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듀플렉스 커넥터 플러그 및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듀플렉스 시스템의 사용에 의해 정보는 훨씬 고속으로 전송된다.
듀플렉스 커넥터 플러그 및 케이블을 취급하기 위해, 2개의 광섬유 커넥터를 나란한 관계로 상호 연결하여 듀플렉스 커넥터를 형성하는 구조가 설계되었다. 예컨대, 어댑터 구조는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나란한 배열로 수용하는 한 쌍의 나란한 관통 리셉터클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러한 듀플렉스 어댑터는 추가적이고 어느 정도 부피가 큰 구성 요소를 필요로 함으로써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최적의 신호 전송을 위해 필수적인 적절한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듀플렉스 커넥터 또는 어댑터의 오정렬은 제조 부정확성 또는 공차에 의해 유발된다. 결국, 상호 연결 시스템 또는 어댑터 등은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한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해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 사이의 측방향 부유 상태가 그 종방향 축에 대체로 수직하게 되도록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나란한 정렬 상태로 장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에 직접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이러한 부유 시스템을 한 쌍의 나란한 광섬유 커넥터들 사이에 직접 제공하고자 하며, 상호 연결 어댑터 등에서의 개별 부유 기구의 필요성을 제거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의 사이가 부유 상태(float)가 되도록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시스템과, 이러한 커넥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듀플렉스 상호 연결 시스템에 의해 영구적으로 상호 결합된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2는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이러한 분리된 하우징은 실제로 사용될 수 없음)의 사시도.
도3은 커넥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이러한 분리된 하우징은 실제로 사용될 수 없음)의 사시도.
도4 및 도5는 커넥터 하우징을 영구적인 상호 결합 상태로 성형하는 주형 조립체로써, 주형 조립체의 양단부에서 본 사시도.
도6 및 도7은 상호 결합된 커넥터 하우징을 둘러싸는 주형 조립체의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스템
12 : 제1 커넥터 하우징
14 : 제2 커넥터 하우징
16 : 리셉터클
18 : 제1 래치
20, 26 : 대향면
22 : 리브
24 : 제2 래치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제1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이와 일체로 성형된 제1 래치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제2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 커넥터 하우징은 이와 일체로 성형된 제2 래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래치는 커넥터 하우징들을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느슨하게 결합하여 영구적으로 해제 불가능하게 성형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래치는 상호 보완적으로 느슨하게 결합된 보유 아암을 포함한다. 보유 아암은 영구적으로 상호 결합된 후크형 아암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쌍의 제1 및 제2 보유 아암은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영구적으로 성형된 상호 결합 래치 및 보유 아암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이 상호 연결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상세하게 참조하기로 한다. 우선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부유 관계를 제1 및 제2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12 및 14)들 사이에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을 느슨한 결합 상태로 영구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듀플렉스 상호 연결 시스템(10)으로 구현된다. 하우징은 적절한 광섬유 플러그를 리셉터클(16)을 통해 내부에 수용하는 주지된 "SC"형이다. "SC"형 광섬유 커넥터는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고, 광섬유 플러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의 듀플렉스 상호 연결 시스템은 "SC"형 커넥터에 제한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과 연계하여 도2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 하우징(12)은 플라스틱 등의 유전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일편 구조체이다. 제1 커넥터 하우징은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면(20)으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후크형 보유 아암(18)의 형태로 된 4개의 래치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후크형 보유 아암은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길이가 긴 사각형 계면의 코너에 위치된다. 후크형 보유 아암은 커넥터 하우징의 종방향 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향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쌍의 길이가 긴 리브(22)는 대향 쌍의 후크형 보유 아암들 사이에서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면(20)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내향 돌출한다. 이러한 리브는 시각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지만, 작업자의 손가락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도1과 연계하여 도3을 참조하면, 제2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14)은 그 내부면(26)으로부터 내향 돌출하고 대체로 "사각형으로" 이격된 후크형 보유 아암(24)의 형태로 된 4개의 래치를 갖는다. 제2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유전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일편 구조체이고, 보유 아암(24)은 제2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된다. 후크형 래치 아암은 길이가 긴 커넥터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향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12 및 14)은 도2 및 도3의 분리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없다. 본 명세서의 이러한 도면들은 단순히 2개의 하우징들 사이에 있는 래치 또는 후크형 보유 아암(18)의 구성 및 간격에 대한 양호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으로 사용된다. 후크형 래치 아암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느슨한 결합 상태로 영구적으로 해제 불가능하게 성형되고, 하우징들은 성형 후에 결합 해제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커넥터 하우징(12)의 횡방향으로 향한 후크형 보유 아암(18)은 제2 커넥터 하우징(14)의 종방향으로 향한 후크형 보유 아암(24)의 뒤에서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후크형 보유 아암의 길이와 보유 아암의 단부 상의 후크 두께는 상호 결합된 보유 아암들 사이와 그에 따라 2개의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에 상당량의 로스트 모션(lost motion) 또는 부유 상태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2개의 하우징이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2개의 하우징이 영구적인 상호 결합 상태이기 때문에, 후속의 조립 단계는 완전히 제거된다. 이는 개별적인 부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도4 내지 도7은 영구적이지만 느슨한 상호 결합 상태로 된 후크형 보유 아암(18 및 24)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하우징(12 및 14)을 성형하는 주형 조립체(30, 도4 및 도5 참조)를 도시하고 있다. 주형 조립체는 한 쌍의 주 측면 주형(50), 한 쌍의 보조 측면 주형(52), 단부 주형(54) 및 코어 주형(56)을 포함한다. 주 측면 주형(50)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향해 그리고 조립된 상태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다. 보조 측면 주형(52)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향해 그리고 조립된 상태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다. 단부 주형(54)은 화살표 "C" 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향해 그리고 조립된 상태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다. 코어 주형(56)은 화살표 "D" 방향으로 조립된 상태를 향해 그리고 조립된 상태로부터 멀리 이동 가능하다.
코어 주형(56)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 관통 리셉터클(16)들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인 한 쌍의 플러그 부분(58)을 포함한다. 코어 주형의 중심 구획부(60)는 길이가 긴 리브(22)와 측면 쌍의 상호 결합된 후크형 보유 아암(18 및 24)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커넥터 하우징(12 및 14)들 사이의 간극 또는 간격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단부 주형(54)의 플러그 부분(62)과 협력한다. 주 측면 주형(50)들은 구성면에서 동일하고, 커넥터 하우징(12 및 14)의 외부 구성을 형성하는 길이가 긴 주 공동(64)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보조 측면 주형(52)들은 구성면에서 동일하고, 측면 리브(22)를 제1 커넥터 하우징(12) 상에 형성하는 데 효과적인 리브(66)를 포함한다. 보조 측면 주형은 상호 연결된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 후크형 보유 아암(18 및 24)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인 여러 개의 보스 배열(68, 도6의 좌측 끝부분)을 갖는다. 보조 측면 주형은 상호 결합된 하우징의 중심에 위치된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 후크형 보유 아암(18 및 24)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인 보스 배열(70)을 갖기도 한다. 보스 배열(68)은 코어 주형(56) 상에서 차단면 배열(100) 상으로 폐쇄되고, 보스 배열(70)은 단부 주형(54) 상에서 표면 배열(102) 상으로 폐쇄된다. 기본적으로, 2개의 하우징을 위해 2개의 별개의 공동이 형성된다. 보조 측면 주형(52)의 양측 단부 상의 보스(72) 등의 다른 부분은 노치(76) 등의 커넥터 하우징의 노우즈(74)의 특정한 구성을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면 주형(50 및 52), 단부 주형(54) 및 코어 주형(56)이 도4 및 도5에 도시된 주형 조립체(30)를 형성하기 위해 폐쇄될 때, 용융된 유전성 또는 플라스틱 재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구적이지만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 상태에 있는 후크형 보유 아암(18 및 24)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12 및 14)을 성형하기 위해 각종의 주형 구성 요소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공동 내로 2개의 별개로 된 입구(distinct gate)를 통해 주입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과 성형 장치 또는 그 등가물에 의한 듀플렉스 상호 연결 시스템의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부유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고, 제1 래치가 일체로 성형된 제1 커넥터 하우징과,
    제2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고, 제2 래치가 일체로 성형된 제2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래치는 커넥터 하우징들을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기 위해 제1 래치와 느슨하게 결합하여 영구적으로 해제 불가능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래치는 서로 보완적으로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 보유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아암은 영구적으로 상호 결합된 후크형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개의 쌍의 상호 결합된 보유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아암은 영구적으로 상호 결합된 후크형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의 대체로 사각형인 대향면들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된 4쌍의 제1 및 제2 보유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한 쌍의 광섬유 커넥터를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제1 래치가 일체로 성형된 제1 커넥터 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와,
    제2 광섬유 플러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제2 래치가 일체로 성형된 제2 커넥터 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래치는 커넥터 하우징들을 서로 간에 부유 상태로 나란한 관계로 유지하도록 제1 래치와 느슨하게 결합하여 영구적으로 해제 불가능하게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래치를 서로 보완적으로 느슨하게 상호 결합된 보유 아암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아암을 영구적으로 서로 결합된 후크형 아암으로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들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개의 쌍의 상호 결합된 보유 아암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래치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하우징은 단일 주형 조립체로 동시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44454A 1998-10-15 1999-10-14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100308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73,504 1998-10-15
US09/173,504 1998-10-15
US09/173,504 US6240228B1 (en) 1998-10-15 1998-10-15 Duplex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059A true KR20000029059A (ko) 2000-05-25
KR100308628B1 KR100308628B1 (ko) 2001-11-02

Family

ID=2263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454A KR100308628B1 (ko) 1998-10-15 1999-10-14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40228B1 (ko)
EP (1) EP0996012B1 (ko)
JP (1) JP3166083B2 (ko)
KR (1) KR100308628B1 (ko)
CN (1) CN1218202C (ko)
CA (1) CA2282981A1 (ko)
DE (1) DE69919293T2 (ko)
SG (1) SG92653A1 (ko)
TW (1) TW41333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3953B2 (en) 2001-08-31 2006-07-11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DE10228008A1 (de) * 2002-06-22 2004-01-15 Leopold Kostal Gmbh & Co Kg Zweipoliger optischer Steckverbinder
TW563822U (en) * 2002-08-16 2003-11-21 Hon Hai Prec Ind Co Ltd Duplex fiber optical connector system
DE102006046777B4 (de) * 2006-09-29 2010-04-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cksystem zum Ankoppeln mindestens einer optischen Faser
US7481585B2 (en) 2006-11-29 2009-01-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ybrid fiber/copp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WO2008067456A2 (en) * 2006-11-29 2008-06-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7490994B2 (en) 2006-11-29 2009-02-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ybrid fiber/copp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WO2009073500A1 (en) 2007-11-30 2009-06-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Hybrid fiber/copp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US9291782B2 (en) * 2011-07-01 2016-03-22 Methode Electronics, Inc. Multi-channel tranceiver module
CN102967904A (zh) * 2012-12-06 2013-03-13 江苏宇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适配器
EP2759859B1 (en) * 2013-01-29 2018-05-16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Guiding support and kit for terminating a transmission cable
US9726830B1 (en) 2016-06-28 2017-08-08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Connector and adapter system for two-fiber mechanical transfer type ferrule
US10718911B2 (en) * 2017-08-24 2020-07-2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ing a push-pull boot receptacle release
US10838152B2 (en) 2017-11-17 2020-11-1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having dual alignment keys
US10705300B2 (en) 2017-07-14 2020-07-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assembly
US11822133B2 (en) 2017-07-14 2023-11-2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US10281668B2 (en) 2017-07-14 2019-05-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CN109411943A (zh) * 2017-08-17 2019-03-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模组
US11002923B2 (en) 2017-11-21 2021-05-1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Fiber optic connector with cable boot release having a two-piece clip assembly
WO2019183070A2 (en) 2018-03-19 2019-09-26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Removal tool for removing a plural of micro optical connectors from an adapter interface
CN112088327A (zh) * 2018-07-15 2020-12-15 扇港元器件股份有限公司 超小型光学连接器和适配器
WO2020036992A1 (en) 2018-08-13 2020-02-20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A cable boot assembly for releasing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10921530B2 (en) 2018-09-12 2021-02-16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US10921531B2 (en) 2018-09-12 2021-02-16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LC type connector with push/pull assembly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US11086087B2 (en) 2018-09-12 2021-08-10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LC type connector with clip-on push/pull tab for releasing connector from a receptacle using a cable boot
US11806831B2 (en) 2018-11-21 2023-11-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Fixture and method for polishing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s
US11175464B2 (en) 2018-11-25 2021-11-16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Open ended spring body for use in an optical fiber connector
US11340406B2 (en) 2019-04-19 2022-05-24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resilient latching mechanism for securing within a hook-less receptacle
US11314024B2 (en) 2019-06-13 2022-04-26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Lever actuated latch arm for releasing a fiber optic connector from a receptacle port and method of use
USD933014S1 (en) 2020-03-16 2021-10-12 Traxxas Lp Electrical connector for a model vehicle
USD939442S1 (en) 2020-03-16 2021-12-28 Traxxas Lp Electrical connector for a model vehicle
US11569589B2 (en) 2020-04-07 2023-01-31 Traxxas, L.P. Electrical power tap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9957A (en) * 1950-06-30 1953-11-18 Hanus Ott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ains
US4155624A (en) * 1976-12-23 1979-05-22 Thomas & Betts Corporation Duplex optical fiber connector
US4797123A (en) * 1986-04-22 1989-01-10 Amp Incorporated Programmable modular connector assembly
US5325454A (en) 1992-11-13 1994-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housing
US5293581A (en) 1993-04-16 1994-03-08 Alcoa Fujikura Ltd. Flexible connector assembly for fiber optics
US5343547A (en) 1993-05-04 1994-08-30 Palecek Vincent J Overconnector assembly
US5386487A (en) * 1993-09-27 1995-01-31 The Whitaker Corporation Apparatus for maintaining plug assemblies of optical fiber connectors in a side by side relation with float therebetween
JPH0831499A (ja) * 1994-07-13 1996-02-02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コネクタ
US5475781A (en) 1994-09-15 1995-12-12 Chang; Peter C.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loop-back structure
CH690867A5 (de) * 1994-12-23 2001-02-15 Diamond Sa Steckergehäuse für ein optisches Steckerpaar.
JP3320988B2 (ja) * 1996-09-20 2002-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合体コネクタ
DE59801132D1 (de) * 1997-06-24 2001-09-06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Ferrulencontainer und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optische mehrfachf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0228B1 (en) 2001-05-29
DE69919293T2 (de) 2005-08-11
DE69919293D1 (de) 2004-09-16
EP0996012B1 (en) 2004-08-11
JP3166083B2 (ja) 2001-05-14
EP0996012A1 (en) 2000-04-26
JP2000121875A (ja) 2000-04-28
CA2282981A1 (en) 2000-04-15
SG92653A1 (en) 2002-11-19
TW413334U (en) 2000-11-21
CN1251908A (zh) 2000-05-03
CN1218202C (zh) 2005-09-07
KR100308628B1 (ko)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628B1 (ko)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US4645295A (en) Fiber optic connector
US4140366A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KR100195847B1 (ko) 이중 광섬유 커넥터 및 그와 함께 단말된 케이블
US4140367A (en) Multiple channel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KR100248970B1 (ko) 광 섬유 커넥터용 어댑터 조립체
US5748821A (en) Adapter assembly for fiber optic connectors
US5259052A (en) High precision optical fiber connectors
US5315679A (en) Optical fibers duplex connector assembly
CA2179833C (en) Anti-snag duplex connector
EP2035874B1 (en) An optical connector
US5325454A (en) Fiber optic connector housing
US4872736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latching mechanism
US20100266245A1 (en) Fiber termination fo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JPH0359503A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ためのアダプタ
US6267514B1 (en) Duplex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CA1090638A (en) Multiple channel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US5201018A (en) Optical connector with waveguides for device to fiber coupling
EP0453501B1 (en) Injection molded star-coupl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03076973A2 (en) Single piece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