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937A - 수중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937A
KR20000028937A KR1019990043455A KR19990043455A KR20000028937A KR 20000028937 A KR20000028937 A KR 20000028937A KR 1019990043455 A KR1019990043455 A KR 1019990043455A KR 19990043455 A KR19990043455 A KR 19990043455A KR 20000028937 A KR20000028937 A KR 2000002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signal line
underwater
fish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네도시히데
하시모토스스무
모리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Abstract

수중촬영장치는 수중에 배치되어 수중을 촬영하는 촬상장치와,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어 전원을 갖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가 촬영한 수중의 영상을 표시하는 수상장치와, 촬상장치와 수상장치를 접속하고 있고 수상장치의 전원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촬상장치에 공급하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로부터 수상장치에 영상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선을 구비하고 있다. 촬상장치는 투명판을 갖는 방수성의 수납케이스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투명판을 통해 보이는 수중의 광학상을 만드는 광학부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학부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상과 대응하는 신호전하를 작성하는 것과 아울러, 신호전하에 기초하여 전기신호를 작성하는 광전변환부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전변환부에 의해 작성된 전기신호를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기신호선에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수중촬영장치{UNDERWATER IMAGE SYSTEM}
본 발명은 수중 또는 수저(水底)의 모양 또는 거기에 생식하는 어류 등의 수생생물을 관찰하기 위한 수중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다, 호수 또는 연못 등의 수중 또는 수저에 생식하는 어류 등의 수생생물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은 즐겁지만, 종래 수생생물의 관찰은 다이버가 수중 카메라를 수중에 가지고 들어가 촬영한 영상을 감상함으로써 행하는 수가 많다.
그런데 다이버가 아닌 보통 사람이 수생생물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수중카메라를 수중에 가라앉혀 촬영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제약이 너무 많아 수생생물의 관찰이 매우 곤란하다.
또 낚시를 하는 경우에, 낚시바늘에 꿴 미끼를 물고기가 무는 것을 보는 것은 낚시인이 바라는 일이지만, 종래의 낚시도구는 낚시실과 낚시실 선단에 부착된 낚시바늘 및 추로 구성되므로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것을 볼 수는 없었다.
무엇보다도 방수처치가 강구된 수중카메라를 낚시실과는 별도로 수중에 가라앉혀두고 미끼를 먹으러 오는 물고기를 촬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수중카메라를 매다는 와이어를 수중카메라가 수생생물쪽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낚시실 및 촬상카메라를 모두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일본국 특개평 10-113109호 공보에 있어서, 수생생물을 촬영하는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촬상장치)와, 이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지상에서 표시하는 모니터 텔레비전(수상장치)과, 이 모니터 텔레비전에 입력된 제어용 정보를 광신호로서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에 전송하는 것과 아울러,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정보를 광신호로서 모니터 텔레비전에 전송하는 광섬유(신호선)로 된 낚시실을 구비한 수중촬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광섬유는 유연성이 없으므로 광섬유로 된 낚시실은 취급이 불편한 것과 아울러 꺾이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모니터 텔레비전과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 사이에서 광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므로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에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장치 및 이 변환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내장시켜야 하므로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가 대형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를 부유물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와 낚시바늘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낚시바늘에 걸리는 물고기를 볼 수 없는 것과 아울러, 소형카메라를 가짜미끼에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소형 텔레비전 카메라와 낚시바늘의 거리가 너무 짧으므로 역시 낚시바늘에 걸리는 물고기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수중에 배치되는 촬상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와 지상에 배치되는 수상장치를 접속하는 신호선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각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이용되는 전기신호선의 커플링의 상세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 3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 5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6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7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장치 및 전기신호선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 8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 9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의 (a)는 제 9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커플러의 상세도
도 11의 (b)는 제 9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커플러의 상세도로서, 도 11의 (a)에서의 B-B'선의 단면도
도 12는 제 10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장치 및 전기신호선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 11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장치 및 전기신호선을 도시한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는 수중에 배치되고 수중을 촬영하는 촬상장치와,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고 전원을 갖는 것과 아울러,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한 수중의 영상을 표시하는 수상(受像)장치와, 촬상장치와 수상장치를 접속하고 있고, 수상장치의 전원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촬상장치에 공급하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로부터 수상장치에 영상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선을 구비하고, 촬상장치는 투명판을 갖는 방수성의 수납케이스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투명판을 통해 보이는 수중의 광학상을 만드는 광학부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학부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상과 대응하는 신호전하를 작성하는 것과 아울러, 신호전하에 기초하는 전기신호를 작성하는 광전변환부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전변환부에 의해 작성된 전기신호를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전기신호선에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의하면,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는 수상장치는 전원을 갖고 있고, 전기신호선은 수상장치의 전원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촬상장치에 공급하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로부터 수상장치에 영상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수중에 배치되는 촬상장치에는 전원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촬상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와 수상장치 사이에 광신호를 전송하는 광섬유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신호선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는 수저방향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투명판이 수저방향을 향하도록 촬상장치의 중심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저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전기신호선의 촬상장치측 단부는 수납케이스의 정상부로부터 내부로 이어져 신호처리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저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수중촬영장치가 미끼를 수납하는 미끼수납구와 수납케이스에서의 수저측 하부에 부착되어 있고, 미끼수납구를 투명판의 중앙부의 수저방향의 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저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수중촬영장치는 수납케이스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고, 낚시바늘을 갖는 낚시실과, 낚시실을 투명판 중앙부의 수저방향의 위치에 유지하는 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중촬영장치는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과 전기신호선 및 메인 낚시실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 및 메인 낚시실이 위쪽으로 이동할때에는 이들 양자를 분리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는 수면방향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투명판이 수면방향을 향하도록 촬상장치의 중심을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면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전기신호선의 촬상장치측의 단부는 수납케이스에서의 수면방향의 정상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신호처리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면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전기신호선의 촬상장치측의 단부는 수납케이스의 저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신호처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신호선에는 수납케이스를 유지하는 유지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판이 수면방향을 향하는 경우에는 수중촬영장치가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과, 메인 낚시실에 투명판 중앙부의 수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유지되어 있고, 낚시바늘을 갖는 낚시실과 메인 낚시실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전기신호선이 낚시바늘의 옆쪽을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신호선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중촬영장치는 전기신호선 및 메인 낚시실이 아래쪽으로 이동할때에는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 및 메인 낚시실이 위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들 양자를 분리하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전기신호선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표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는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을 구비하며, 전기신호선은 메인 낚시실을 수납할 수 있는 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상장치는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투명판의 전방을 비추는 발광부와,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발광부와 광학부 사이를 차폐하는 광차폐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상장치는 수납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투명판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상장치는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건조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촬상장치는 수납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고, 촬상장치가 촬영하는 영상의 상하방향을 나타내는 표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수납케이스의 둘레부에는 후크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 제 1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수중 또는 수저의 모양 또는 거기에 생식하는 어류 등의 수생생물을 수저방향을 향하여 관찰하는데 적합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방수성을 갖는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는 금속제의 링(11)이 고정되어 있고, 이 금속제 링(11)은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로 된 투명판(12)을 보유하고 있다.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금속제 링(11)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납케이스(10)의 투명판(12)이 수저방향을 향하는 자세가 유지된다.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 있어서의 투명판(12)의 위쪽에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광학상을 만드는(결상시키는) 집광렌즈로 된 광학부(13)가 렌즈홀더(14)를 통해 유지되어 있고, 광학부(13)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상은 CCD 등의 광전변환부(15)에 의해 신호전하로 변환된 후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 있어서의 광전변환부(15)의 위쪽에는 프린트기판에 형성된 신호처리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신호처리부(16)는 광전변환부(15)에 의해 작성된 전기신호를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수납케이스(10), 광학부(13), 광전변환부(15) 및 신호처리부 (16)에 의해 촬상장치(17)가 구성된다.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는 촬상장치(17)의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신호처리부(16)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 (18)의 타단부(18b)는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는 수상장치(19)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신호처리부(16)로부터 출력된 영상의 전기신호는 전기신호선(18)을 경유하여 수상 또는 지상으로 전송된 후 수상장치(19)에 입력된다. 수상장치(19)는 전기신호선(18)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의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작성하고, 작성한 영상을 표시부(19a)에 표시한다.
수상장치(19)는 밝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으므로 표시부(19a)로서는 브라운관 또는 반사형 액정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상장치(19)가 선상에서 사용될 때에는 배멀미 방지를 위해 사람의 시선이 수평보다 위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상장치(19)로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HMD)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케이스(10)의 정상부에는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를 0링을 통해 유지하는 클램프(20)가 고정되어 있고, 이 클램프(20)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21)의 수나사부(21a)를 유지하고 있다. 커넥터(21)의 암나사부(21b)는 전기신호선 (18)의 일단부(18a)와 일체화되어 있고, 커넥터(21)의 수나사부(21a)와 암나사부 (21b)가 나사결합함으로써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는 클램프(20)를 통해 신호처리부(16)에 접속된다. 또 전기신호선(18)의 타단부(18b)와 수상장치(19)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21)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20)에 의해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에 가해지는 힘이 흡수되는 것과 아울러, 방수케이스(10)에 물이 침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방수케이스(10)측 및 수상장치(19)측의 각 커넥터(21)를 각각 수나사부(21a)와 암나사부(21b)로 분리함으로써 수중촬영장치는 촬상장치(17)와 전기신호선(18)과 수상장치(19)로 분리된다. 이로 인하여 전기신호선(18)을 여러가지 길이로 교체할 수 있다.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광전변환부(15) 상에는 실리카겔 등으로 된 건조제(22)가 수납되어 있고, 이 건조제(22)는 수중에서 냉각된 수납케이스(10) 내부의 공기중의 수분이 결로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수납케이스(1O)의 외부둘레면에서의 소정 부위에는 돌기부(1Oa)가 설정되어 있고, 이 돌기부(10a)의 위치에 따라 촬상장치(17)가 수면상 또는 지상으로 끌어올려졌을 때 촬상장치(17)가 촬상하는 피사체의 상하방향(천지방향)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수납케이스(10)의 내부는 원형단면을 갖는 것과 아울러, 프린트기판에 형성된 신호처리부(16)가 상하방향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는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촬상장치(17)의 비중은 통상 1보다 작아지지만,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금속제 링(11)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17)의 비중은 1보다 크게 되어있다. 따라서 수면상에 던져진 촬상장치 (17)는 자체 무게에 의해 물속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또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금속제 링(11)이 고정되어 있고, 수납케이스 (10)의 투명판(12)은 항상 수저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촬상장치(17)가 조수에 흐르거나 또는 전기신호선(18)이 비틀리거나 해도 촬상장치(17)의 광학부(13)는 항상 수저방향의 피사체를 포착할 수 있으므로 수상장치(19)에는 안정된 영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는 수중 또는 수저에 생식하는 어류 등의 수생생물을 수저방향을 향해 관찰하는 데 적합하다.
또 수납케이스(10)에 금속제 링(11)을 설치하는 대신 수납케이스(10)를 금속 등의 비중이 1보다 큰 재료로 형성하는 것과 아울러,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 공간부가 조금밖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촬상장치(17)의 비중을 1보다 크게 해도 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수중촬상장치(17)의 광학부(13)가 수저측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작성하고, 작성된 광학상과 대응하는 영상의 전기신호가 전기신호선(18)을 통해 수상 또는 지상의 수상장치(19)에 보내지기 때문에, 즉 작성된 광학상을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유연성을 갖는 전기신호선(18)을 통해 수상장치 (19)에 보내기 때문에 수중에 위치하는 촬상장치(17)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으로서는 광섬유가 아니고 전기신호선(18)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17)에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내장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촬상장치(17)의 회로가 용이하게 되는 것과 아울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금속제 링(11)의 하부에는 후크구멍(11a)이 설치된다. 후크구멍(11a)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전이 자유로운 연결구(swivel)를 통해 서로 길이가 같은 복수의 제 1 낚시실(23)이 부착되어 있고, 각 제 1 낚시실(23)의 하단부는 한 점에 모여 있다. 제 1 낚시실(23)의 하단부로부터는 1개의 제 2 낚시실(24)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낚시실(24)의 하단부에는 미끼바구니(25)가 매달려 있다. 또 미끼바구니(25)의 아래쪽에는 추(26)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미끼바구니(25)는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의 중심부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케이스(10)의 투명판(12) 아래쪽으로 미끼바구니 (25)가 설치되기 때문에 미끼바구니(25)에 들어 있는 미끼를 구하기 위해 모여 드는 물고기 또는 물고기가 미끼를 먹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또 미끼바구니(25)의 아래쪽에 추(26)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류가 빠를 때에도 촬상장치(17)와 미끼바구니(25)가 같이 유동하므로 미끼바구니(25)에 저장된 미끼를 구하기 위해 모여 드는 물고기 또는 물고기가 미끼를 먹는 모습을 항상 관찰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수중에 생식하는 어류 등의 수생생물을 수면방향을 향해 관찰하는 데 적합한 수중촬영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원통형의 수지로 이루어져 방수성을 갖는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에 투명한 유리 또는 수지로 된 투명판(12)이 설치된다. 또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투명판(12)의 아래쪽에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광학상을 만드는 집광렌즈로 된 광학부(13)가 렌즈홀더(14)를 통해 유지되어 있고, 광학부(13)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상은 CCD 등의 광전변환부(15)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광전변환부(15)의 아래쪽에는 프린트기판에 형성된 신호처리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신호처리부(16)는 광전변환부(15)에 의해 작성된 전기신호를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수납케이스(10), 광학부(13), 광전변환부(15) 및 신호처리부 (16)에 의해 촬상장치(17)가 구성되어 있다.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는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 신호처리부(16)에 접속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18)의 타단부(18b)는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는 수상장치(19)에 커넥터(2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신호선 (18)은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는 수납케이스(10)와 광전변환부(15) 사이, 수납케이스(10)의 측벽에 형성된 오목형 홈 및 수납케이스(10)와 투명판(12)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투명판(12)측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수납케이스(10)의 하부에서의 전기신호선(18)이 고정되어 있는 쪽의 아래쪽 영역에 금속제의 추(27)가 설치된다.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판(12) 및 광학부(13)가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에 설치되는 것과 아울러, 금속제의 추(27)가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도 수면방향을 향한다.
또 전기신호선(18)이 수납케이스(10)의 측벽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금속제의 추(27)가 수납케이스(10)에서의 전기신호선(18)이 고정되어 있는 쪽의 아래쪽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촬상장치(17)가 수중에서 전기신호선(18)에 지지되면 전기신호선(18)과 금속제의 추(27)를 연결하는 선이 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므로 촬상장치(17)의 축심 나아가서는 광학부(13)의 광축이 수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장치(17)의 위쪽에 위치하는 물고기 등의 수생동물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런데 저녁이 되어 수중이 어둡게 되면 광학부(13)가 수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량이 부족하여 물고기를 볼 수 없게 되지만, 제 3 실시예와 같이 광학부(13)가 수면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저녁이 되어도 물고기 등의 수생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또 낮에 수면이 밝은 경우에도 광학부(13)가 수면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수생생물을 역광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환상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제 4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투명판(12) 및 광학부(13)는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에 설치된다.
제 4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전기신호선(18)은 수납케이스(10)의 저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전기신호선(18)의 중간부에 유지구(28)가 부착되고, 이 유지구 (28)로부터 복수의 지지끈(29)이 수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끈(29)의 하단부는 수납케이스(10)의 둘레부를 유지하고 있다.
또 금속제의 추(26)는 수납케이스(10)의 저부중앙에 매달려 있다.
따라서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는 수면방향을 향하는 것과 아울러, 유지구(28)와 금속제의 추(26)를 연결하는 선이 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므로 촬상장치(17)의 축심 나아가서는 광학부(13)의 광축이 수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장치(17)의 위쪽에 위치하는 물고기 등의 수생동물을 확실히 관찰할 수 있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는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는 수납케이스(10)의 저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신호처리부(16)에 접속되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 (18)에 있어서의 유지구(28)로부터 아래쪽 부분은 수납케이스(10)의 바깥면으로 이완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수납케이스(10)에 클램프(2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기신호선(18)이 수납케이스(10)와 투명판(12) 사이에서 수납케이스 (10)의 내부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하여 수납케이스(10)에서의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 근방의 방수성이 향상된다.
( 제 5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5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5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전기신호선(18) 및 수상장치(19)에 대하여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 5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의 저부에는 원통형의 광차폐판(30)이 설치되고, 수납케이스(10)의 측벽과 광차폐판(30) 사이에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램프로 된 발광부(31)가 설치된다.
발광부(31)는 투명판(12)의 아래쪽 영역을 비출 수 있으므로 야간 또는 깊은 수중에서도 수생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또 광학부(13)와 발광부(31) 사이에 차폐판(30)이 설치되기 때문에 발광부 (31)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광학부(13)를 통해 광전변환부(15)로 입사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 제 6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6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전기신호선(18) 및 수상장치(19)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수납케이스(10) 측벽의 바깥면에는 스프링 캐치로 된 복수개의 유지구(32)가 설치되고, 각 유지구(32)에는 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부(31)를 갖는 조명기구(33)(예를 들면, 방수성의 회중전등)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명기구(33)는 투명판(12)의 아래쪽 영역을 비출 수 있으므로 야간 또는 깊은 수중에서도 수생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유지구(32)는 조명기구(33)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조명이 필요할 때에만 조명기구(33)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조명이 불필요할 때에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수중의 밝기에 따라 조명기구(33)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 제 7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7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7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같으므로 수상장치(19)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제 7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전기신호선(18)에는 소정거리, 예를 들면 1미터마다 표적(34)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적(34)의 수를 세거나 또는 표적에 새겨진 숫자를 봄으로써 촬상장치(17)의 수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17)를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위치에 정확히 내릴 수 있다.
또 표적(34)을 1미터마다 2자리수의 컬러코드(예를 들면 0 = 흑색, 1 = 갈색, 2 = 적색, ···)로 나타내면 수면 근방의 표적(34)의 컬러코드에 의해 촬상장치(17)의 수면으로부터의 거리를 간단히 알 수 있다.
( 제 8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8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8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금속제 링(11)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도 항상 수저방향을 향한다.
제 8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금속제 링(11)의 하부에는 후크구멍(11a)이 설치된다. 후크구멍(11a)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후크(도시생략)를 통해 서로 길이가 같은 복수의 제 1 낚시실(23)이 부착되어 있고, 각 제 1 낚시실(23)의 하단부는 한 점에 모여 있다. 제 1 낚시실(23)의 하단부로부터는 1개의 제 2 낚시실(24)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낚시실(24)의 단부에는 추(26)가 부착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제 2 낚시실(24)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목줄 (leader)(35)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각 목줄(35)의 끝에는 낚시바늘(36)이 고정되어 있다.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장치(17)가 조수에 유동되거나 또는 전기신호선 (18)이 비틀려도 촬상장치(17)의 광학부(13)는 항상 수저방향의 피사체, 즉 낚시바늘 (36)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낚시바늘(36)에 붙여진 미끼를 물고기가 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 제 9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9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 및 도 9에 도시된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9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케이스(10)의 저부에 금속제 링(11)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도 항상 수저방향을 향한다.
또 제 8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1 낚시실(23)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는 1개의 제 2 낚시실(24)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제 2 낚시실(24)의 단부에는 추(26)가 부착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제 2 낚시실(24)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목줄(35)이 부착되어 있고, 각 목줄(35)의 선단부에는 낚시바늘(36)이 고정되어 있다.
제 9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릴(37)을 갖는 낚싯대(38)를 구비하고 있고, 낚싯대(38)의 선단부에는 릴(37)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낚시실(39)과 전기신호선 (18)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커플러(coupler)(40)가 설치된다.
도 11의 (a)는 커플러(40) 및 전기신호선(18)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b)는 전기신호선(18)의 단면구조를 도시하며, 도 11의 (a)에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40)의 내부에는 커플러(40)의 좌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1 가이드구멍(40a)과, 커플러 (40)의 우상부로부터 곡선을 이루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제 1 가이드구멍(40a)에 합류하는 제 2 가이드구멍(40b)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가이드구멍(40a)에는 전기신호선(18)이 삽입통과되는 것과 아울러, 제 2 가이드구멍(40b)에는 메인 낚시실 (39)이 삽입통과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신호선(18)에는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1쌍의 전원선(18c)과 전기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1쌍의 신호선(18d)이 내장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메인 낚시실(39)을 수납할 수 있는 홈(18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신호선(18)을 제 1 가이드구멍(40a) 내부의 아래쪽으로 보내는 것과 아울러, 메인 낚시실(39)을 제 2 가이드구멍(40b) 내부의 아래쪽으로 보내면 메인 낚시실(39)은 전기신호선(18)의 홈(18e)에 수납되므로 전기신호선(18)과 메인 낚시실(39)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서 아래쪽으로 보내진다. 반대로 릴(37)을 감아 올리면 전기신호선(18) 및 메인 낚시실(39)은 위쪽으로 이동하고, 커플러(40)를 통과할 때 전기신호선(18)과 메인 낚시실(39)이 서로 분리되어 메인 낚시실(39)은 릴 (37)에 수납된다.
제 8 실시예에서는 굵은 전기신호선(18)에 의해 촬상장치(17)를 매다는 구조이므로 낚시바늘(36)에 물고기가 걸려도 물고기의 반응을 느끼기 어려운 것과 아울러,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제 9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17) 나아가서는 제 1 및 제 2 낚시실(23, 24)도 메인 낚시실(39)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반응을 느끼기 쉬운 것과 아울러,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작업이 쉬워진다. 따라서 낚시바늘(36)에 물고기가 걸리는 상태를 영상으로 인식하는 것과 아울러, 반응으로도 느낄 수 있으므로 물고기를 낚는 즐거움이 배가되리라고 생각된다.
( 제 10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0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 및 도 9에 도시된 제 8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2에 있어서 파단선 위쪽부분은 도 10의 파단선 위쪽부분과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제 10 실시예에서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명판(12) 및 광학부(13)가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수납케이스(10)의 저부 전면에 걸쳐 금속제의 추(27)가 설치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제 9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릴(37)을 갖는 낚싯대(38)를 구비하고 있고, 낚싯대(38)의 선단부에는 릴(37)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낚시실(39)과 전기신호선(18)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커플러(40)가 설치된다.
제 10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메인 낚시실(39)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신호선 지지구(41) 및 결합구(42)가 고정되어 있다. 또 수납케이스(10)의 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제 1 낚시실(23)의 상단부는 한 점에 모여 있는 것과 아울러, 제 1 낚시실(23)의 상단부로부터는 1개의 제 2 낚시실(24)이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낚시실(24)에는 선단부에 낚시바늘(36)이 고정된 복수의 목줄 (35)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투명판(12) 나아가서는 광학부(13)도 항상 수면방향을 향하는 것과 아울러, 촬상장치(17)의 축심 나아가서는 광학부(13)의 광축이 수면에 대하여 수직인 자세가 유지된다.
또 전기신호선(18)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목줄(35)의 옆쪽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신호선 지지구(41)에 유지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수납케이스(10)의 내부에서는 수납케이스(10)와 투명판(12) 사이, 수납케이스(10) 측벽에 형성된 오목형 홈 및 수납케이스(10)와 광전변환부(15)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0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판(12) 근방의 위쪽에 전기신호선(18)이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물고기가 낚시바늘(36)에 부착된 미끼에 접근하기 쉽게 되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18)의 영상이 포착되지 않으므로 낚시바늘(36)에 물고기가 걸리는 상태를 더욱 즐길 수 있다.
( 제 11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관한 수중촬영장치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1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제 4 실시예, 도 9에 도시된 제 8 실시예 및 도 12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3에 있어서 파단선 위쪽부분은 도 10의 파단선 위쪽부분과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제 11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제 9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릴(37)을 갖는 낚싯대(38)를 구비하고 있고, 낚싯대(38)의 선단부에는 릴(37)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낚시실(39)과 전기신호선(18)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커플러(40)가 설치된다.
또 도 12에 도시된 제 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낚시실(39)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신호선 지지구(41)가 고정되어 있고, 전기신호선(18)은 이완된 상태로 신호선 지지구(41)가 유지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는 수납케이스(10)의 저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신호처리부(16)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1 실시예에 의하면 제 4 실시예와 같이 클램프(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납케이스(10)에서의 전기신호선(18)의 일단부(18a) 근방의 방수성이 향상되는 것과 아울러, 제 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낚시바늘(36)에 부착된 미끼에 접근하기 쉽게 되는 것과 아울러, 전기신호선(18)의 영상이 포착되지 않으므로 낚시바늘(36)에 물고기가 걸리는 상태를 더욱 즐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에 배치되는 촬상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촬상장치와 지상에 배치되는 수상장치를 접속하는 신호선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수중에 배치되어 수중을 촬영하는 촬상장치와,
    수상 또는 지상에 배치되고 전원을 갖는 것과 아울러,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한 수중의 영상을 표시하는 수상(受像)장치와,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수상장치를 접속하고, 상기 수상장치의 전원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상기 촬상장치에 공급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수상장치에 영상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전기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촬상장치는,
    투명판을 갖는 방수성의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판을 통해 보이는 수중의 광학상을 만드는 광학부와,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학부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상과 대응하는 신호전하를 작성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신호전하에 기초하여 전기신호를 작성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변환부에 의해 작성된 전기신호를 영상의 전기신호로 바꾸어 상기 전기신호선에 출력하는 신호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이 수저(水底)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촬상장치의 중심을 조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선의 상기 촬상장치측의 단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정상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신호처리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미끼를 수납하는 미끼수납구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미끼수납구를 상기 투명판의 중앙부의 수저방향의 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고, 낚시바늘을 갖는 낚시실과,
    상기 낚시실을 상기 투명판 중앙부의 수저방향의 위치에 유지하는 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과,
    상기 전기신호선 및 상기 메인 낚시실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과 아울러, 상기 전기신호선 및 상기 메인 낚시실이 위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들 양자를 분리하는 커플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이 수면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촬상장치의 중심을 조정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선의 상기 촬상장치측의 단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정상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신호처리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선의 상기 촬상장치측의 단부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저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신호처리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기신호선에는 상기 수납케이스를 유지하는 유지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과,
    상기 메인 낚시실에 상기 투명판 중앙부의 수면방향에 위치하도록 유지되어 있고, 낚시바늘을 갖는 낚시실과,
    상기 메인 낚시실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기신호선이 상기 낚시바늘의 옆쪽을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신호선 지지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선 및 상기 메인 낚시실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들 양자를 결합시키는 것과 아울러, 상기 전기신호선 및 상기 메인 낚시실이 위쪽으로 이동할때에는 이들 양자를 분리하는 커플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선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표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를 매달아 수중에 유지하는 메인 낚시실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신호선은 상기 메인 낚시실을 수납할 수 있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판의 전방을 비추는 발광부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광학부 사이를 차폐하는 광차폐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판의 전방을 비추는 조명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건조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장치가 촬영하는 화상의 상하방향을 나타내는 표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둘레부에는 후크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촬영장치.
KR1019990043455A 1998-10-09 1999-10-08 수중촬영장치 KR20000028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65598 1998-10-09
JP???10-287655 1998-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937A true KR20000028937A (ko) 2000-05-25

Family

ID=1772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455A KR20000028937A (ko) 1998-10-09 1999-10-08 수중촬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93192A3 (ko)
KR (1) KR20000028937A (ko)
CN (1) CN1250885A (ko)
TW (1) TW4621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31B1 (ko) * 2005-12-27 2007-06-07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탐사 및 개발을 위한 전원, 전기 및 통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24560A (en) 2006-12-05 2008-06-16 Yuan Chi Invest Inc Intelligent fishing tackle
CN102014272A (zh) * 2010-04-27 2011-04-13 孙光斌 摄像钓鱼器其专用喷射式钓钩及捕鱼夹
CN102305598B (zh) * 2011-05-09 2013-08-21 中国人民解放军信息工程大学 半刚性自回弹反射器型面精度的水下摄影测量方法
CN107145027A (zh) * 2017-06-23 2017-09-08 成都阿普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浮台光电监控装置
GB2570748B (en) * 2018-09-04 2020-01-01 Rovco Ltd Subsea camera module and multi camera system
US10935783B1 (en) * 2019-09-17 2021-03-02 Aquabyte, Inc. Optical system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in an aquaculture environment in situ
CN116320359B (zh) * 2023-05-23 2023-08-15 北京睛像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可视化建筑用图像采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544A (en) * 1975-08-11 1977-06-21 Edo Western Corporation Sonar/television system for use in underwater exploration
US4485398A (en) * 1981-11-27 1984-11-27 Aquavision International Ltd. Underwater camera
JPH06197346A (ja) * 1992-12-24 1994-07-15 Toa Harbor Works Co Ltd 悪雰囲気条件下でのテレビカメラ等の設置使用方法
WO1995012285A1 (en) * 1993-10-26 1995-05-04 Dean & Adermann International Pty. Ltd. A hydrostatic capable camera lens and imaging device for deep underwater use
US5778259A (en) * 1996-01-17 1998-07-07 Rink; Philip A. Underwater video camera housing
JPH10113109A (ja) * 1996-10-14 1998-05-06 Hitachi Vlsi Eng Corp 漁 具
US6091443A (en) * 1997-03-06 2000-07-18 Walker Downriggers, Inc. Underwater view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31B1 (ko) * 2005-12-27 2007-06-07 한국해양연구원 수중 탐사 및 개발을 위한 전원, 전기 및 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3192A2 (en) 2000-04-12
EP0993192A3 (en) 2000-12-06
TW462188B (en) 2001-11-01
CN1250885A (zh) 200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7031A1 (en) Underwater Digital Video Camera Recorder for Fishing
EP2641013B1 (en) Underwater lights for divers
US5414951A (en) Fishing tackle having fiber optic image transmission
US20070242134A1 (en) Submersible video viewing system
CN201701297U (zh) 一种带数码摄像装置的外科手术内窥镜
KR20190022886A (ko) 수중 낚시 카메라, 스마트 낚시 카메라 시스템, 및 자동 화상 회전 및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449466B (en) Endoscopic auditory canal cleaning apparatus
KR20000028937A (ko) 수중촬영장치
CN105918268A (zh) 一种可视智能钓鱼装置
CN106454268A (zh) 一种水产养殖系统水下生境观察装置
US10321030B1 (en) Submersible video camera housing adapted for in-line connection with fishing rig
JP2001094851A (ja) 水中撮影装置
JP2005528774A (ja) 多機能ケーブルとこれを用いた映像システムを備える釣り装備及び水中映像撮影システム
WO2007043041A2 (en) A flotation device for under water observation
JP3120979B2 (ja) 水中撮影装置
US20110162252A1 (en) System & method for fishing
CN202949897U (zh) 无线可视渔具
US7106359B2 (en) Subsurface video observation system
KR10156951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수질측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팬틸트형 수중 카메라 장치
KR102437754B1 (ko) 루어 낚시용 인공지능 인조 미끼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JP2000147642A (ja) 水中撮像装置
CN110476871A (zh) 一种养殖鱼类生长监测系统
KR100426966B1 (ko) 무선 영상시스템을 구비한 낚시장비
KR102486451B1 (ko)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JP2001258445A (ja) 画像モニタ付き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