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774A -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774A
KR20000028774A KR19990042258A KR19990042258A KR20000028774A KR 20000028774 A KR20000028774 A KR 20000028774A KR 19990042258 A KR19990042258 A KR 19990042258A KR 19990042258 A KR19990042258 A KR 19990042258A KR 20000028774 A KR20000028774 A KR 2000002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base station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4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211B1 (ko
Inventor
베라사미제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0002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211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과 이동국을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호를 전환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술은 호에 관련된 확인정보를 수신기가 이동국에서 수신케 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러면, 송신기는 호 확인정보에 근거하여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요청을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TECHNIQUE FOR REDIRECTING A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호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전화기는 이동전화서비스의 효용성 및 공급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사용에 관련된 편리함 및 이득들 때문에 사용이 놀랍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이동전화기의 사용 급증으로 인해 이러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들 중 일부는 부담이 과하게 되었다. 일례로, 이동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경우 임의의 특정 기지국과 이동전화들, 또는 이동국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의 개수에 제한이 있게 된다. 그 결과, 이와 같이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을 통해 매번 발생될 수 있는 전화 호의 개수 또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최근과 같은 이동전화의 급증의 결과로 상기의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이 모두 제3자에 의해 이미 사용되고 있다면, 잠재적인 이동전화 서비스 사용자, 또는 가입자들에 있어서는 통신 서비스의 거부가 발생될 것이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가입자에 대한 통신 서비스의 거부는 곧 수입의 손실을 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동전화기 서비스 공급자는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의 거부가 발생하는 것을 원치 않게 된다. 또한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의 거부는 가입자들 자체에도 서비스 불가에 따른 보이지 않은 심리적 손실을 야기할 것이며, 이 또한 결국은 수입의 손실을 야기하는 것이 되므로, 이동 전화기 서비스 공급자는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의 거부 발생을 원하지 않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동전화 서비스 공급자들은 작금의 또는 미래의 수입 손실을 피할 수 있도록 가입자들에 대한 서비스 거부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항상 찾고 있다.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 거부를 피할 수 있는 한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국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통상 기지국 시스템에 전자적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시키는 방법을 택하게 되나, 이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설치비용을 증가를 이루며, 그러한 설비에 대한 충분한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오히려 동작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즉,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하도록 하면, 가입자들은 상기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당연히 보다 자주 이용하게 될 것이고, 그 결과 가입자들에 대한 서비스 거부가 발생되는 회수가 감소하거나, 그러한 가입자들에 대한 서비스 거부 자체가 발생되지 않게 될 것이다.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하는 방법에서 추가되는 이점으로는 그러한 방법을 종종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전자적인 하드웨어의 추가방법의 경우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따라서, 이동전화 서비스 공급자들에게는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 가능케 하는 것이 보다 이득일 것이다.
또한, 이동전화 서비스 공급자들에게는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주목할 만한 이득이 있다는 것을 가입자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보다 이득일 것이다. 즉, 만일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되는 결과로 가입자들에게 그들의 이동전화 서비스에 관련하여 소정이 주목할 만한 이득이 제공된다면, 그 가입자들은 필연적으로 그러한 이득이 그들의 이동전화서비스 공급자 덕분이라고 생각할 것이고, 그 결과 가입자들은 그들의 이동전화서비스 공급자에게 소정의 신뢰성을 갖게 될 것이다.
가입자들이 그들의 이동전화서비스에 관련하여 소정의 주목할만한 이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특정 범위들 중 하나로는 음성메일로서 잘 알려져 있는 소정 종류의 음성메시지 기록시스템으로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수신 호들의 취급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이동전화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전화서비스는 수신 호를 소정 기간 후 또는 소정 횟수의 경보음 발생 후(즉, 20초 또는 10회의 경보음발생 후) 음성메일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은 종종 가입자에게 불편한 딜레마를 야기 시킨다. 즉, 가입자는 (일례로, 중요한 회합중에 있거나 전화통화를 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에 있는 경우) 수신 호에 대해 응답하지 않는 것이 좋긴 하지만, 그러한 수신 호를 음성메일로 전송하기에 앞서 성가신 경보음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신 호에 대해 응답을 하여야만 한다.
상기한 딜레마에 대한 해결책은 모든 수신 호를 직접적으로 음성메일로 전송하는 옵션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해결책에 따라 수신 호가 음성메일로 전송되기에 앞서 성가신 경보음의 연속 발생을 방지시킴으로써 상기한 딜레마를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해결책은 가입자에게 주목할만한 이득을 제공하고 있다. 이 해결책은 또한 무선 채널들을 할당 또는 이용할 필요성을 배제시켜 주는데, 그 이유는 수신 호가 이동국 사용자에게 통고됨이 없이 직접적으로 해당 음성메일로 전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의 해결책은 또한 가입자들이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 채널들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다 크게 해주고, 그 결과 가입자들에 대한 서비스 거부 발생 횟수를 감소 또는 발생 자체를 배제시켜 주어 수입의 손실을 감소 또는 배제시켜준다.
그러나, 상기한 해결책에서는 수신 호가 발생되었다는 사실 및 그 수신 호가 음성메일로 전송되었다는 사실에 대한 표시를 가입자에게 제공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표시는 가입자가 음성메일에 메시지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반복된 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상기 해결책은 또한 어떠한 수신 호에 대해서도 가입자에게 응답할 기회를 부여하지 않는다. 즉, 상기 해결책은 가입자가 누구로부터의 호출인지를 확인하여 소정의 선택된 호(일례로, 우선/비상 호)에 대해서만 응답할 수 있게 해주는 여하한 형태의 호 스크리닝(screening) 기능도 가입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상기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한 딜레마를 피할 수 있도록 이동전화서비스 가입자들이 수신 호의 취급과 관련하여 소정 형태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가입자들에게 수신 호 통고 및 호 스크리닝과 같은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호를, 유효한 트래픽 채널 자원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전환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기술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임의의 형태, 일례로 셀룰라 무선형 또는 마이크로웨이브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임의의 기준, 일례로, AMPS 또는 GSM 기준에 부합할 수 있을 것이다. 호 또한 임의의 형태, 일례로, 음성 호 또는 다른 형태의 오디오 또는 시각 데이터(일례로, 펙시밀리 호)를 동반하는 호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국을 포함하며, 호는 상기 기지국을 통해 이동국으로 전송되게 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각기 특정 서비스 영역, 일례로 무선 셀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과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 중 하나이다. 상기 이동국은 일반적으로 무선전화이고, 따라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일례로 무선 수신기인 수신장치에 의해 이동국에서 호확인정보를 수신케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호 확인정보는 일례로 호출자의 성명 및/또는 전화번호와 같은 여하한 형태의 호 확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 확인정보는 일반적으로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일례로, 호 확인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페이지요청 메시지 또는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에 포함시켜 수신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호 확인정보는 무선통신시스템내의 다른 소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국에서 호 확인정보를 수신하면, 일례로 무선 송신기인 송신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호 전환요청이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전송된 상기 요청에 의해 호는 음성메일시스템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호를 다른 이동국으로 전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상기 요청은 호 확인정보에 근거하여 전송된다. 즉, 호 확인정보는 일반적으로 일례로 이동국의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알려짐으로써 그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그 결과 상기 사용자는 호 전환요청이 전송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그리고 그에 따라 호가 음성메일로 또는 소정의 다른 착신지로 전환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의도한 바대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호 전환요청은 일반적으로 호 확인정보의 수신과 유사하게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호 전환요청은 또한 트래픽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상기 요청이 전송되는 시점(즉, 트래픽 채널의 확립 전, 후)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주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완벽한 이해를 위해 이하 첨부 도면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인용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전화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일반적인 이동전화서비스 시스템의 소자들간의 통신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도 1의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일반적인 이동전화서비스 시스템의 소자들간의 통신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도 1의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전화서비스 시스템 12: 공중전화교환망
14: 고정국 16: 이동교환국
18: 홈위치 레지스터 20: 기지국
21: 무선통신로 22: 이동국
28: 무선 셀
도 1에는 전형적인 이동전화서비스 시스템(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10)은 일례로 임의 개수의 NAWCS(North America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셀룰라 무선통신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상기 시스템(10)은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2)과, 통상적인 고정 전화, 즉, 고정국(14)과,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16)과,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HLR)(18)와, 기지국(Base Station; BS)(20)과, 이동전화, 즉, 이동국(22)을 포함한다. 기지국(20)은 무선통신 데이터를 이동국(22)에 송신하고 이동국(22)으로부터 수신하는 안테나(24)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국(22)도 무선통신 데이터를 기지국(20)에 송신하고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하는 안테나(26)를 포함하고 있다.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무선통신 데이터는 무선통신로(21)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무선통신로(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무선통신로(21)는 서비스영역, 즉, 무선 셀(28)내에 위치되는데, 상기 무선 셀(28)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국(22)의 출력전송능력과 기지국(20)의 출력수신능력의 조합에 의해 정해진다.
나머지 시스템 소자들의 대부분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채널뱅크들, T1 스팬(span)들, 및/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링크들을 사용하여 이동교환국(16)과 공중교환전화망(12)간의 통신로(15)와, 이동교환센터(16)와 홈 위치 레지스터(18)간의 통신로(17)와, 이동교환국(16)과 기지국(20)간의 통신로(19)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고정국(14)과 공중교환전화망(12)간의 통신은 당연히 유선접속(13)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시스템 소자들 개개간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된다.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기준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례로, NAWCS의 경우 이동교환국(16)과 홈 위치 레지스터(18)간의 통신은 "IS-41"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된다.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기준은 또한 이용되는 기술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일례로, 아날로그 기술을 이용하는 AMPS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통신은 "IS-91"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되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AMPS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통신은 "IS-54"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된다.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기준은 또한 수행되는 통신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이동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통신은 "IS-95"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되고, 개인통신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PCS)를 수행하는 CDMA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통신은 "J-STD-008"로 알려져 있는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수행된다.
두개 이상의 시스템 소자들간의 통신이 어떻게 발생될 것인지를 명시하는 여러 인터페이스 기준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기준들의 각각은 어느 정도의 융통성과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즉, 종종 기존의 인터페이스 기준을 특정 용도의 수용을 위해 수정하거나 달리 다루는 것이 허용되는데, 일단 하나의 인터페이스 기준에 의해 상기와 같은 용도 수용이 이루어지게 되면, 다른 인터페이스 기준들에서도 동일 용도 수용이 쉽게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점을 염두에 둔 것으로서, 기지국(20)과 이동국(22)간의 통신을 명시하는 모든 인터페이스 기준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 특정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들이 수신 호의 취급에 관하여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하여 그 가입자들에게 수신 호 통지 및 호 스크리닝과 같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선 셀내의 제한된 개수의 사용 가능한 무선채널들을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용케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시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이동국(22)에 착신되는 수신 호의 처리중에 "J-STD-008"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과정에 대한 변형인 것으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하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국(14)은 이동국(22)에 할당되어 있는 확인번호(일례로, 전화번호)를 공중교환전화망(12)에 전송하여 이동국(22)에 대한 호를 개시한다. 공중교환전화망(12)은 상기 확인번호(30)를 처리하여 상기 호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시스템 소자(즉, 이동교환국(16)를 결정하고, 이어 호개시 메시지(32)를 이동교환센터(16)로 전송한다. 이동교환국(16)는 상기 호개시 메시지(32)를 처리하여 상기 호의 착신지(즉, 이동국(22))를 인지한 후, 상기 이동국(22)의 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홈 위치 레지스터(18)에 위치요청 메시지(34)를 전송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18)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동국(22)과 기지국(20)간의 주기적인 신호교환(signaling interchange)을 통해 상기와 같은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18)는 상기 위치요청 메시지(34)에 응답하여 라우팅(routing)요청 메시지(36)를 이동교환국(16)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22)이 기지국(20)에 의해 서비스되는 무선 셀 내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동교환국(16)은 상기 라우팅요청 메시지(36)에 응답하여 페이지요청지시 메시지(38)를 기지국(20)으로 전송하고, 그 결과 기지국(20)은 페이지요청 메시지(40)를 제어채널을 통해 이동국(22)에 전송한다. 이동국(22)은 상기 페이지요청 메시지(40)에 응답하여 페이지요청응답 메시지(42)를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20)에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20)은 확인을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페이지요청응답 메시지(42)의 사본(44)을 이동교환센터(16)로 전송한다.
이동교환국(16)이 상기 페이지요청응답 메시지 사본(44)을 확인하여 이동국(22)이 여전히 기지국(20)에 의해 서비스되는 무선 셀(28)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면, 그 이동교환국(16)은 고정국(14)과 이동국(22)간의 호를 지원하기 위한 트래픽채널에 대한 할당을 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국(22)은 수신 호 접속에 대한 경보 신호(경보음)를 수신하게 되고, 이동국(22)이 이에 응답하면 고정국(14)과 이동국(22)사이에 상기 할당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통화접속이 확립되게 된다.
이에 관련하여 주지할 점은 종래에는 페이지요청 메시지(40)에 호출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정보가 포함된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요청 메시지(40)는 일례로 호출자의 전화번호 및/또는 성명과 같은 호출자에 관한 확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호출자확인 정보는 일례로 이동국(22)의 액정표시(LCD) 스크린 상에 표시하거나 이동국(22)의 오디오 스피커를 통해 알림으로써 이동국(22)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22)은 페이지요청 메시지(40)를 수신하면 이동국(22)의 사용자에게 호출자확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22)의 사용자는 호출자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호를 스크리닝 할 수 있고, 그런 후에 상기 수신 호를 음성 메일로 전환해야 하는지의 여부에 관해 의도한바 대로 결정을 할 수 있다.
수신 호 접속 변경에 대한 사용자의 결정에 응답하여 이동국(22)은 제어채널을 통해 즉시전환 메시지(46)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이동교환국(16)이 수신 호에 대한 전환을 행하도록 지시가 이루어진다. 기지국(20)은 상기 수신 호가 이동교환센터(16) 또는 다른 시스템 소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음성메일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게 상기 즉시 전환 메시지(46)의 사본을 처리한다. 이러한 통신에는 트래픽 채널이 필요 없는데, 그 이유는 호출자확인 정보가 제어채널에 포함되어 있었고, 사용자는 서비스 중인 기지국(20)에 의해 트래픽 채널이 할당되거나 점유되기에 앞서 호를 음성메일로 직접 전송되도록 결정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메일 옵션을 이용하여 요금을 절약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트래픽 채널이 사용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음성통화시간(talk time)"에 대한 요금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어디서 음성메일 기능을 취급하던지 간에 그 취급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단 수신 호가 음성메일 기능으로 즉시 전환되게 되면, 그 음성메일 기능은 수신 호가 음성메일 기능으로 즉시 전환되지 않았던 경우 또는 수신 호가 기존과 같이 음성메일 기능으로 전송되었던 경우(즉, 소정의 기간 후 또는 소정 수의 링신호 발생 후)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즉시 전환 개념을 수용하기 위해 이루어져야 하는 기존의 음성메일 기능에 대한 변경이 최소화되거나 아니면 전혀 필요 없다.
도 2에 있어서, 만일 이동국(22)의 사용자가 호출자 확인 정보에 대한 경보 신호를 검출하여 그 호출자 확인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 호에 대해 응답할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그 이동국(22)의 사용자는 기지국(20)과 이동국(22)사이에 트래픽 채널이 확립될 때까지 그리고 이동국(22)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경보음을 발생하기 시작할 때까지 단순히 대기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즉시 전환 개념은 또한 기지국(20)과 이동국(22)사이에서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라도 수신 호를 즉시 전환시키는데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이동국(22)의 사용자는 기지국(20)과 이동국(22)사이에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어 이동국(22)이 경보음의 발생을 시작하기에 앞서 즉시전환 메시지(46)를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20)으로(그에 이에 이동교환센터(16)로) 전송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이동국(22)의 사용자가 소정의 이유로 경보신호를 검출하지 않거나 호출자 확인 정보를 즉시 점검할 수 없는 경우(일례로 통화 도중)에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즉시전환 개념은 또한 기지국(20)과 이동국(22)사이에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어 이동국(22)이 경보음의 발생을 시작한 후라도 즉시 수신 호를 전환시키는데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국(14)에 의해 개시된 호와 관련된 메시지 전송에 이어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교환센터(16)가 페이지요청응답 메시지 사본(44)을 확인하여 이동국(22)이 기지국(20)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는 무선 셀(28)내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과정이 행해진다. 그 뒤에, 이동교환국(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국(14)과 이동국(22)사이에 호를 지원하기 위한 트랙픽 채널을 할당하도록 동작한다. 즉, 이동교환국(16)은 기지국(20)에 트래픽채널 할당 지시 메시지(50)를 전송하여 기지국(20)이 이동국(22)에 제어채널을 통해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52)를 전송케 하는 것에 의해 트래픽 채널의 할당을 행한다. 이동국(22)은 상기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52)에 응답하여 그의 전자 소자들을 상기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52)에 지정되어 있는 트래픽채널 주파수에 재 동조시키고, 그런 후에 트래픽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20)으로 트래픽채널할당확인 메시지(54)를 전송한다. 기지국(20)은 상기 트래픽채널할당확인 메시지(54)에 응답하여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국(22)으로 경보명령 메시지(56)를 전송하여, 이동국(22)에 경보음이 발생되게 한다. 이동국(22)은 상기 경보 명령 메시지(56)에 응답하여 트래픽 채널을 통해 기지국(20)에 경보명령확인 메시지(58)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20)이 이동국(22)의 경보상태를 확인케 한다. 그러면 기지국(20)은 이동국(22)의 경보상태를 이동교환센터(16)에 통고할 수 있도록 이동교환국(16)에 이동국경보 메세지(59)를 전송한다. 이 때, 이동국(22)의 사용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수신 호에 응답할 수도 있고, 아니면 수신 호가 최종적으로 음성메일로 전송될 때까지 이동국(22)이 계속 경고음을 발생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22)의 사용자는 상기 시점에서 또는 기지국(20)과 이동국(22)사이에 트래픽 채널이 확립된 후 임의의 시점에서 즉시전환 메시지(46)를 트래픽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20)으로 전송케 함으로써 수신 호를 음성메일로 전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기지국(20)은 상기 즉시전환 메시지(46)의 사본(48)을 처리를 위해 이동교환센터(16)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22)은 상기 즉시전환 메세지 사본(48)을 처리하여, 수신 호가 이동교환국(16) 또는 다른 시스템 소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음성메일 기능으로 전환되게 한다.
이 때 주지해야 할 점은 다른 실시 예로서 호출자확인 정보를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52)(또는 트래픽 채널과 제어 채널 모두)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호출자확인 정보를 트래픽채널할당 메시지(52)에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실용적이고 개발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등의 효과가 있다면 상기와 같이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나, 이동국(22)의 사용자는 경보신호를 검출하여 호출자확인 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수신 호를 음성메일로 즉시 전환시킬 수 있는 기회는 여전히 주어진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22)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이동국(22)은 이동국(22)의 사용자가 호출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하는 제 1 스피커(60)와, 이동국(22)의 사용자가 호출자에게 말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62)와, 이동국(22)의 사용자가 호출자 확인 정보(일반적으로 표시되는 기타 정보와 함께)를 볼 수 있게 하는 LCD 스크린(64)과, 호출자확인 정보(일반적으로 알려 주는 기타 정보와 함께)를 들을 수 있게 하는 제 2 스피커(65)와, 이동국(22)의 사용자가 이동국(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버튼(66)들과, 이동국(22)의 사용자가 이동국(22)을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문자 및 숫자 버튼(68)들과, 이동국(22)의 사용자가 수신 호를 음성메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독특한 음성메일(V-MAIL) 버튼(70)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국(22)의 사용자가 경보신호를 검출하여 호출자 확인 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V-MAIL 버튼(70)을 누르게 되면 수신 호가 음성메일로 전환되게 될 것이다. 물론, 이동국(20)은 V-MAIL 버튼(70)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고 즉시전환 메시지(46)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회로 및 가능한 해당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호출자 확인 정보를 페이지요청 메시지(40)와 트래픽채널 할당 메시지(52) 중 어느 것에도 포함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즉시 전환 메시지(46)를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 중 어느 것을 통해서도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어쨌든, 이동국(22)의 사용자는 경보신호를 검출하여 호출자 확인 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수신 호를 음성메일로 즉시 전환시킬 수 있는 기회를 여전히 제공받는다.
여기서 주지할 점은 비록 상술한 설명에서 이동국(22)에 대한 호가 고정국(14)에 의해 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차 무선 셀(28)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다른 이동국(또는 소정의 제3자)에 의해서도 쉽게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과 이동국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통과해 상기 이동국으로 전달되는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호에 관련된 호 확인정보를 상기 이동국에서 수신하도록 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된 호 확인정보에 따라 상기 호를 전환하도록 하는 호 전환 요청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호 확인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호 확인 정보를 페이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호 확인 정보를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호전환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호 전환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의 전송에 따라 상기 호가 음성메일시스템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8. 무선통신시스템은,
    호에 따른 초기 메시지를 처리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과의 통신 상태에서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호에 관련된 호 확인 정보를 이동국으로 전송하며, 소정의 위치로 호를 전환하도록 하는 호 전환 요청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호 확인 정보를 페이지요청 메시지로 포함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호 확인 정보를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로 포함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호 전환 요청을 제어채널을 통해서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호 전환 요청을 트래픽 채널 또는 제어채널에 있어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호가 음성메일시스템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4. 기지국과 이동국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통과해 상기 이동국으로 전달되는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방볍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호에 관련된 호 확인정보를 상기 이동국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 확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호를 전환하도록 하는 호 전환 요청을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호 확인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호 확인정보를 페이지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호 확인정보를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호전환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호 전환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요청의 전송에 따라 상기 호가 음성메일시스템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방법.
KR1019990042258A 1998-10-02 1999-10-01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330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69898A 1998-10-02 1998-10-02
US09/165,698 1998-10-02
US9/165,698 1998-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774A true KR20000028774A (ko) 2000-05-25
KR100330211B1 KR100330211B1 (ko) 2002-03-25

Family

ID=2260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258A KR100330211B1 (ko) 1998-10-02 1999-10-01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2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211B1 (ko) 200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239B1 (ko) 호출자 id에 기초하는 호출 자동 응답 방법
KR100721641B1 (ko) 콜 개시에 대한 무선 요구를 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253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rejection
KR100259381B1 (ko) 소스전화와 음성통신을 설정하지 않고 소스 전화로써 음성채널을개방하는 셀룰러 전화 및 관련된 방법
WO2001013671A1 (en) Network based muting of a cellular telephone
EP0604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oint to telepoint calling between pager equipped handsets
JPH05153255A (ja) 通信システム内で用いられる信号通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79577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o a wireless network the operational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or
US60442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KR100330211B1 (ko) 무선통신시스템의 호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166836A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aratus,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2000007467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화 연결 통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KR0148891B1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20040015848A (ko) 통화 연결 상태를 알려주는 이동 통신 단말 및 통신 방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JP356243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その携帯電話機への着信通知方法
KR100621679B1 (ko) 발신측 요구에 따른 착신측 음성 사서함 연결방법
KR20000074670A (ko) 통신단말기에서 팩스/비동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008259A (ja) コールバック通信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3225807B2 (ja) コードレス着信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JPS6242540B2 (ko)
KR19980043425A (ko) 이동통신기기의 메세지 대기 통보 방법
JPH05153256A (ja) 通信システム内で用いられる信号通報処理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