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326A - 종이상자 - Google Patents

종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326A
KR20000028326A KR1019980046514A KR19980046514A KR20000028326A KR 20000028326 A KR20000028326 A KR 20000028326A KR 1019980046514 A KR1019980046514 A KR 1019980046514A KR 19980046514 A KR19980046514 A KR 19980046514A KR 20000028326 A KR20000028326 A KR 20000028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uide hole
outlet
guide
discharg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522B1 (ko
Inventor
김용률
Original Assignee
김용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률 filed Critical 김용률
Priority to KR101998004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52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 B65D5/722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having an alternating movement co-operating with incised or scored openings near the bottom-edges of the bodies of tubula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안내구를 설치한 종이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종이 상자를 개봉하여 그 내용물을 배출하려 할 경우 종래에는 상자를 파손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바, 상자의 일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키고 배출공 주연을 이형처리 한 후 배출공에 점착지로 된 덮개를 부착하므로서, 배출공에 부착한 덮개를 떼어냄으로써 배출공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자에 형성시키는 위와 같은 배출공은 상자의 내용물을 일정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없어 배출시 배출물을 흘리게 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이상자에 배출공을 형성시키고 배출공에 점착지로 된 덮개를 설치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배출공과 상기의 덮개 사이에 배출안내구를 설치하므로서 덮개를 제거한 후 배출안내구를 외방으로 꺼내어 배출안내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흘리지 아니하고 배출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임.

Description

종이 상자
본 발명은 배출안내구를 설치한 종이 상자에 관한 것이다.
분말 세제, 설탕, 밀가루 등을 담은 종이상자라던가 술 기타 음료를 넣은 종이 상자는 이를 개봉하여 사용하려 할 경우 상자를 파손하여야 하는 것이 보통인 바, 이러한 상자는 일반적으로 튼튼하여 상자의 파손이 용이치 아니하고, 또 개봉되는 형태가 일정치 아니하여 상자를 개봉하였다 하더라도 그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흘려지는 등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자의 일부에 배출공을 형성시키고 배출공 주연에 이형처리를 한 후 배출공에 점착지로 된 덮개를 부착하므로서, 배출공에 부착한 덮개를 떼어내기 용이하게 하고, 덮개를 떼어냄으로써 배출공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자에 형성시키는 위와 같은 배출공은 상자의 내용물을 일정 방향으로 안내하면서 배출시킬 수 없어 배출시 배출물을 흘리게 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이상자에 배출공을 형성시키고 배출공에 점착지로 된 덮개를 부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배출공과 상기의 덮개 사이에 배출안내구를 설치하므로서 덮개를 제거한 후 배출안내구를 외방으로 꺼내어 배출안내구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하여 내용물을 흘리지 아니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종이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배출안내구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이를 양측에 부채꼴형안내벽체를 가진 삼태기 모양으로 형성시키므로써, 종이나 합성수지 필름을 소기의 형태로 절단하고 절첩선을 형성시키므로서 배출안내구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적은 비용으로 배출안내구를 제조할 수 있게 하며, 배출안내구를 내측으로 밀어 그 외측에 덮개를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상자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부채꼴형안내벽체는 용이하게 절첩되게 하여 상자의 절첩(Knock down)에 장애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종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3)를 제거하고, 배출안내구(4)를 열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 는 배출안내구의 펼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11......벽체
2.......배출공 21......날개 22......안내홈 23......삽입홈
3.......덮개
4.......배출안내구 41......바닥판 42......부채꼴형안내벽체
43......절첩선
411.....결합홈 412.....걸림턱 421......저지턱
종이상자 본체(1)상의 임의 벽체(11)에 배출공(2)을 형성시키고, 배출공(2)에 덮개(3)를 부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배출공(2)과 상기의 덮개(3) 사이에 배출안내구(4)를 설치하므로서 덮개(3)를 제거한 후 배출안내구(4)를 외방으로 꺼내어 배출안내구(4)를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시킨다.
배출안내구(4)는, 바닥판(41)과 그 양측의 부채꼴형안내벽체(42)로 구성시키므로서 대략 삼태기 모양으로 형성시킨다. 바닥판(41)이나 부채꼴형안내벽체(42)는 그 두께가 두꺼울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나 합성수지 필름을 소기의 형태로 절단하고, 또 절첩선(43)을 형성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첩선으로 바닥판(41)과 부채꼴형안내벽체(42)를 형성시킨 배출안내구는 이를 상자 내측으로 밀어 넣고 빈 상자를 운반하기 좋게 절첩(Knock down)하더라도, 상자내부로 밀려 들어간 부채꼴형안내벽체는 용이하게 절첩되게 상자의 절첩에 장애를 제공하지 아니하게 한다.
배출안내구(4)의 바닥판(41)의 하부는 배출공(2)의 하부에 접하여 바닥판(41)의 상부가 회동하여 배출공(2)을 개폐시키는 축의 기능을 하게 된다. 바닥판(41)의 하부와 배출공(2)의 하부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임의의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수단으로서는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의 저부 중앙에 날개(21)를 설치하고 날개(21)와 덮개(4)를 접착부(24)로 접착시키는 수단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접착제로 바닥판(41)과 배출공(2)의 하부를 결합하는 외에, 배출공(2)의 하부 양측에 삽입홈(21)을 형성시키고, 삽입홈(21)에 바닥판(41)의 양하단을 끼워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한 것은 배출안내구(4)의 바닥판(41) 양하단에 결합홈(411)을 형성시키고, 이 결합홈(411) 부위에 배출공(2)의 양하단부가 끼워지게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안내구(4)의 부채꼴형안내벽체(42)는 그 양단상부에 저지턱(421)을 설치하여 배출안내구(4) 상단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므로서, 배출안내구(4)를 지나치게 열었다하더라도 부채꼴형안내벽체(42)가 빠져 나가지 아니하게 한다.
부채꼴형안내벽체(42)는 사용에 따라 내측으로 굽어져 상자의 내용물이 배출안내구(4)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부채꼴형안내벽체(42)의 외측으로 새어나가게 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멸은 배출공(2)의 상단 양측에 부채꼴형안내벽체(42)의 상변이 안내되는 안내홈(22)을 형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채꼴형안내벽체(42)가 배출공(2)의 안내홈(2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양측 부채꼴형안내벽체(42)의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일이 없어 내용물이 배출안내구(4)의 밖으로 누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배출안내구(4)를 사용하고 난 후, 배출안내구(4)를 닫는 경우, 배출안내구(4)의 상부가 배출공(4) 내부로 밀려들어가서는 아니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41)의 상부에 걸림턱(412)을 형성시켰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결합 작업이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시 배출안내구(4)의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후 배출안내구를 다시 몰입시켜 닫닫으므로서 상자의 밀폐가 가능하여, 설혹 상자가 쓰러지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는 일이 적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안내구(4)를 상자를 제조하는 종이와 동일한 재질의 종이로 형성시키게 되면 사용 후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설혹 배출안내구(4)를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한다 하덜도 사용후 본체(1)로 부터의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후의 상자 재활용에 장애를 초래하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상의 임의 벽체(11)에 배출공(2)을 형성시키고, 배출공(2)에 덮개(3)를 부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배출공(2)과 상기의 덮개(3) 사이에 배출안내구(4)를 설치하되, 배출안내구(4)는 바닥판(41)과 그 양측의 부채꼴형안내벽체(42)로 구성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상자.
KR1019980046514A 1998-10-31 1998-10-31 종이상자 KR10030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514A KR100301522B1 (ko) 1998-10-31 1998-10-31 종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514A KR100301522B1 (ko) 1998-10-31 1998-10-31 종이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326A true KR20000028326A (ko) 2000-05-25
KR100301522B1 KR100301522B1 (ko) 2001-12-01

Family

ID=1955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514A KR100301522B1 (ko) 1998-10-31 1998-10-31 종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89B1 (ko) * 2013-03-26 2014-10-27 노태훈 개폐도어가 구비된 포장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6399B (zh) * 2020-07-01 2022-07-08 浙江理工大学 一种带有收纳功能的包装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689B1 (ko) * 2013-03-26 2014-10-27 노태훈 개폐도어가 구비된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522B1 (ko)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828A (en) Container and closure
KR100862628B1 (ko) 측부 개방형 강성 힌지식 뚜껑을 구비한 패킷
EP1818266A1 (en) Plastic box
JPS6121358A (ja) 容器の取出口の閉鎖装置および関連の容器
KR200417212Y1 (ko) 케이크 포장상자
ES2024409B3 (es) Paquete para vertido de liquido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KR0128979B1 (ko) 세제 포장용 종이상자
KR100301522B1 (ko) 종이상자
KR0133823B1 (ko) 띠형 인렛을 이용한 포장용 종이상자
JP4105283B2 (ja) 引き出しと底緩衝機能付組箱
FI62503B (fi) Aoterfoerslutbar korsbottensaeck
KR102164257B1 (ko) 물티슈 용기 개폐커버
US4085884A (en) Paper supply box
KR102293913B1 (ko) 포장팩 커버 및 그 제조금형
JPS5834038Y2 (ja) バツグインボツクスの開封構造
KR200149175Y1 (ko) 물티슈케이스
KR200212606Y1 (ko) 분말용기 뚜껑
JPS6242941Y2 (ko)
FI90519B (fi) Pakkaus
KR890008069Y1 (ko) 세제용기의 유출개폐장치
KR200369223Y1 (ko) 용지커팅기
FR2803579B1 (fr) Etui pour le conditionnement de lingettes
KR200182831Y1 (ko) 원터치 개폐형 용기
KR20200127817A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0298264Y1 (ko) 조립식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