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973A -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973A
KR20000026973A KR1019980044749A KR19980044749A KR20000026973A KR 20000026973 A KR20000026973 A KR 20000026973A KR 1019980044749 A KR1019980044749 A KR 1019980044749A KR 19980044749 A KR19980044749 A KR 19980044749A KR 20000026973 A KR20000026973 A KR 2000002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frame relay
atm
transf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6973A/ko
Publication of KR2000002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60Software-defined switches
    • H04L49/606Hybrid ATM switches, e.g. ATM&STM, ATM&Frame Relay or AT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프레임 릴레이와 연동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포트의 확장이 용이하며 Arbitration이 간단하게 구현되는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를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프레임 릴레이와 연동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릴레이로부터 각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ATM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ATM교환기로부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ATM셀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 형식에 맞춰 상기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되는 ATM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ATM교환기로 출력하고, 상기 ATM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ATM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 각각 분산하여 출력시키는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
본 발명은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와 연동되는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이하 "ATM"이라 함)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북미 및 유럽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는 프레임 릴레이 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를 활발히 제공하고 있다. ATM망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는 이 시점에서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가 ATM서비스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 중간 단계로 ATM교환기에서의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의 지원이 필요하다.
ATM교환기에서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때, ATM셀을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프레임 데이터를 ATM셀로 변환하며, ATM VPI(Virtual Path Identifier)/VCI(Virtual Channel Identifier)를 프레임 릴레이의 주소로 변경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전송로 T1/E1으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셀로 분해하여 1.544 Mbps속도로 ATM교환기로 전송하거나 ATM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셀들을 조립하여 프레임 데이터로 만든 후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게 내보내는 기능도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ATM교환기에 구비되는 공통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와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제어기(102)와 AAL5처리부(104)와 로컬 메모리(Local Memory)(106)와 HDLC 제어 메모리(108)와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부(110)와 AAL5 제어 메모리(112)와 송신측 패킷(Packet) 메모리(114)와 수신측 패킷 메모리(116)가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HDLC제어기(102)는 T1/E1 트렁크(118)를 통해 T1/E1에 접속되고, IPC통신부(110)는 제어버스를 통해 FMDA(Frame Multiplexer/Demultiplexer board Assembly)(도시하지 않았슴)와 연결되며, AAL5처리부(104)는 수신 FIFO(First In- First Out)(120) 및 송신 FIFO(122)와 접속되어 병렬버스를 통해 FMDA에 접속된다. 상기 HDLC제어기(102)는 T1/E1 트렁크(118)를 통해 T1/E1으로부터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측 패킷 메모리(114)에 저장하고, 수신측 패킷 메모리(116)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레임 데이터로 만들어 T1/E1 트렁크(118)를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AAL5처리부(104)는 송신측 패킷 메모리(114)에 저장된 데이터를 셀로 분할하여 송신 FIFO(122)를 통해 ATM교환기로 전송하고, 수신 FIFO(120)를 통해 ATM교환기로부터 가입자측으로 수신되는 ATM셀을 조립하여 수신측 패킷 메모리(116)에 저장한다. CPU(100)는 HDLC 제어기(102)와 AAL5처리부(10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는 하나의 CPU와 IPC 제어를 위한 DPRAM(Dual Port RAM), 패킷을 분할/조립(Segmentation/Reassembly)하는 AAL5처리부, 그리고 AAL5처리부와 HDLC제어기의 패킷 메모리, 또한 모든 중재(Arbitration)를 하는 EPLD 등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모듈화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포트확장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블록이 공통이므로 복잡한 중재가 필요하며, 기존의 구조를 이용한 포트확장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CPU와 큰 메모리용량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는 하나의 CPU와 IPC 제어를 위한 DPRAM, 패킷을 분할/조립(Segmentation/Reassembly)하는 AAL5처리부, 그리고 AAL5처리부와 HDLC제어기의 패킷 메모리, 또한 모든 중재를 수행하는 EPLD 등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모듈화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포트확장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각 블록이 공통이므로 복잡한 중재가 필요하며, 기존의 구조를 이용한 포트확장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CPU와 큰 메모리용량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를 통해 포트확장이 용이하며, 포트내의 중재도 간단하게 구현되는 ATM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 구비되는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의 블록 구성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릴레이와 연동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릴레이로부터 각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ATM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ATM교환기로부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ATM셀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 형식에 맞춰 상기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되는 ATM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ATM교환기로 출력하고, 상기 ATM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ATM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 각각 분산하여 출력시키는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블록 구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200)는 각 포트당 하나의 분리된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이 포트수만큼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4개의 포트당 각각 분리 할당된 4개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220,222,224)을 구비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20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200)는 4개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220,222,224)로 구성되며, 각 처리모듈은 T1/E1트렁크, HDLC제어기, IPC통신부, 패킷메모리, Bus Arbitor(EPLD) 등이 단일 CPU 로컬버스상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도 2의 제1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를 참조하여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패킷메모리(212)는 AAL5 송수신 패킷메모리와 HDLC 송수신 패킷메모리롤 포함하며, 속도가 느린 SRAM 대신 DPRAM을 사용한다. CPU(208)는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1/E1트렁크(204)는 프레임 릴레이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T1/E1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및 클럭을 복구해내고, T1/E1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해서 HDLC 제어기(206)에 전달하거나 HDLC 제어기(20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T1/E1 전송프레임을 만들고 라인 부호화하여 프레임 릴레이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HDLC 제어기(206)는 T1/E1트렁크(204)로부터 수신된 T1/E1 PCM데이터로부터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 데이터를 추출하여 HDLC송수신 패킷메모리에 저장하며, 하나의 프레임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면 CPU(208)에 이를 통보한다. 그러면 CPU(208)는 수신완료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해서 ATM프로토콜로의 변환을 위한 데이터 수정을 한 후, AAL5처리부(210)에 ATM셀로 분절을 지시한다. 또한 프레임 릴레이측으로 전송할 프레임 데이터가 AAL5처리부(210)에서 재합성되면 이를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 형식에 맞춰 T1/E1트렁크(204)로 출력한다. AAL5처리부(210)는 상기 HDLC 제어기(206)에서 수신 완료된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ATM셀로 분절하여 셀버스를 통해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218)로 출력시킨다. 또한 AAL5처리부(210)는 ATM교환기측과 연결된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218)로부터 ATM셀을 수신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재합성하여 패킷메모리(212)에 저장하고, 이를 CPU(208)에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재합성 완료를 통보받은 CPU(208)는 상기 재합성된 프레임 데이터를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로의 변환을 위한 데이터 수정을 한 후, HDLC 제어기(206)에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로 처리를 지시한다. IPC통신부(214)는 ATM교환기의 상위 프로세서와의 통신을 위한 포트로서 연결의 설정/해제, 연결의 관리정보, 연결의 상태정보, 시스템의 상태정보 등을 송수신하는 포트기능을 수행한다.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218)는 AAL5처리부(210)로부터 전송되는 ATM셀 데이터를 셀다중시켜서 ATM교환기로 전송하고, ATM교환기로부터 셀다중되어 전송되는 ATM셀 데이터를 분리하여 AAL5처리부(210)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200)의 제1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에서의 동작을 ATM셀 송신시와 수신시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ATM셀로 변환 후 송신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로부터 T1/E1트렁크(204)로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면 HDLC제어기(206)는 프레임 데이터를 송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러면 CPU(208)는 송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데이터에 대해 주소변환과 파라미터 매핑 등을 실시하여 ATM셀로 변환할 수 있도록 수정한 후, AAL5처리부(210)로 송신측 패킷 메모리에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그러면 AAL5처리부(210)는 송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셀로 분해하여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218)를 통해 ATM교환기로 전송한다.
상기와 달리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218)를 통해 ATM교환기로부터 가입자측으로 ATM셀이 수신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러한 경우 ATM교환기로부터 AAL5처리부(210)로 수신되는 ATM셀은 AAL5처리부(210)에 의해 조립되어 수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러면 CPU(208)는 수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조립된 데이터에 대해 주소 변환과 파라미터 매핑 등을 실시하여 프레임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수정한 후, HDLC제어기(206)에게 수신측 패킷 메모리에 수신된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그러면 HDLC제어기(206)는 수신측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레임 데이터로 만들어 T1/E1트렁크(204)를 통해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프레임 릴레이로부터 각 포트를 통해 ATM교환기로 전송되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각 포트당 구비되는 독립적인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에서 처리함으로써 간단한 중재가 가능하게 되며 포트의 확장도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200)의 제1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의 각 부의 동작만을 설명하였으나 제2, 제3, 제4처리모듈(220,222,22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또한 포트의 확장으로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도 각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제1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20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 릴레이로부터 각 포트를 통해 ATM교환기로 전송되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의 각 포트당 구비되는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에서 독립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간단한 중재가 가능하게 되며 포트의 확장도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프레임 릴레이와 연동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릴레이로부터 각 포트를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를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ATM)교환기로부터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릴레이의 프레임 형식에 맞춰 상기 프레임 릴레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ATM)교환기로 출력하고,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ATM)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모듈로 각각 분산하여 출력시키는 셀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 릴레이 연동장치.
KR1019980044749A 1998-10-24 1998-10-24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KR20000026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49A KR20000026973A (ko) 1998-10-24 1998-10-24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749A KR20000026973A (ko) 1998-10-24 1998-10-24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973A true KR20000026973A (ko) 2000-05-15

Family

ID=1955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749A KR20000026973A (ko) 1998-10-24 1998-10-24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69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160A (ko) * 1998-11-27 2000-06-15 서평원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내의 프레임 릴레이 정합 장치
KR100540892B1 (ko) * 2000-01-24 2006-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환경에서 프레임 릴레이 망과 에이티엠 망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160A (ko) * 1998-11-27 2000-06-15 서평원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내의 프레임 릴레이 정합 장치
KR100540892B1 (ko) * 2000-01-24 2006-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환경에서 프레임 릴레이 망과 에이티엠 망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35666B2 (ja) 非同期式伝達モード適応層を用いる類似同期式ディジタル階層ユニットにおける信号伝送装置及び方法
US6424662B1 (en) Router apparatus using ATM switch
KR960706730A (ko) 협소대역 통신용 ATM 망(ATM network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US6944138B1 (en)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ATM-based switching and routing connecting scheme
KR100247837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트래픽 처리가 가능한 에이티엠 스위치장치 및 방법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EP1428355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 time-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 link of a signal transfer point, and a corresponding signal transfer point
KR100285322B1 (ko) 비동기전송모드를 이용한 아이엠티-2000망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KR100337648B1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에이티엠 적응층 트래픽 스위칭 방법
KR20000026973A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에서 분산구조방식을 이용한 프레임릴레이 연동장치
KR100198433B1 (ko) Atm 교환기에서 채널별로 처리하는 프레임 릴레이 망/서비스 연동장치
US6940860B2 (en) Network node for ATM transmission system
KR10028400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KR100393480B1 (ko) 제어국 시스템내 망 정합 장치
KR20000073138A (ko) 복합 비동기 전송 모드 가입자 정합 장치
EP1597936B1 (en) Network ele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ATM and TDM traffic
KR100299145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에서 스위치 대역 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314355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에 있어서 비동기 전송모드 셀 송수신 방법
KR100252499B1 (ko) Atm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보드에 있어서 버스 사이즈 제어회로
KR100252500B1 (ko) Atm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가입자 보드에 있어서 버스 중재회로
KR20030019835A (ko) 셀버스를 이용한 에이티엠 스위칭 장치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KR19980013933A (ko) 가변용량을 갖는 비 연결형 서버
KR20030049408A (ko) 비동기 전송 방식에서의 링크 정합 장치
KR19990075737A (ko) 이중헤더 변환을 수행하는 에이티엠 정합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