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621A - 발신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621A
KR20000025621A KR1019980042774A KR19980042774A KR20000025621A KR 20000025621 A KR20000025621 A KR 20000025621A KR 1019980042774 A KR1019980042774 A KR 1019980042774A KR 19980042774 A KR19980042774 A KR 19980042774A KR 20000025621 A KR20000025621 A KR 20000025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pecific
password
user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5621A/ko
Publication of KR2000002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6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개인에게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함으로써 특정 전화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임의의 단말기에서도 특정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각 개인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등록하고 각 개인마다 특정 전화의 발신 가능 여부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발신 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특정 전화의 발신이면 사용자의 비밀 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된 경우 그 특정 전화 번호를 발신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발신 제한 방법
본 발명은 통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폰에 있어서 발신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키폰 시스템에는 발신 제한 기능이 있다.
즉, 각 단말기마다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하여 특정 단말기만이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를 발신하도록 한다.
발신 가능 여부는 시스템 관리자가 프로그래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전화기에 시외 또는 국제 전화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함으로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무단으로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잇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시외 전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다른 전화기에서는 시외 또는 국제 전화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화기에만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하므로 개인별 통화량 분석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개인에게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함으로써 특정 전화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임의의 단말기에서도 특정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창안한 발신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발신 등급을 보인 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개인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등록하고 각 개인에 대해 발신 가능 등급을 등록하는 단계와, 발신 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특정 전화의 발신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전화의 발신이면 사용자의 비밀 번호와 그 사용자에 대해 미리 저장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되었으면 특정 전화 번호를 발신하여 통화를 개통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2 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개인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등록하고 각 개인마다 특정 전화의 발신 가능 여부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발신 번호가 특정 전화의 번호이면 사용자의 비밀 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특정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된 경우 그 특정 전화 번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 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개인마다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등록하고 그 개인에 대하여 전화 발신 등급을 지정한다.
예로, 홍길동은 인식명(ID)을 '12345', 비밀번호를 '7272'로 등록하고 전화 발신 등급을 '1'로 지정하며
다른 사람들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식명(ID), 비밀 번호를 등록한 후 전화 발신 등급을 지정하게 된다.
여기서, 전화 발신 등급 '1'은 국제, 시외 전화 가능, '2'는 시외 전화 가능, '3'은 시내전화만 가능이라고 가정한다.
도1 과 같이 각 개인에 대한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하는 정보를 시스템에 프로그래밍하면 홍길동은 어느 위치의 전화로도 시외 및 국제 전화를 할 수 있고 한석규는 어느 위치에 이동하더라도 시내 전화만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외 또는 국제 전화에 대한 통화 기록은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입력한 후 전화를 함으로 각 개인에 대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도2 의 신호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자는 교환기에서 도1 의 예시도와 같이 각 개인에 대해 특정 전화의 발신 가능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를 등록한다.
이 후, 임의의 사용자가 임의의 전화기에서 발신 번호를 입력하면 교환기에 내장된 씨피유(CPU)에서 시내 전화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입력된 발신 번호가 시내 전화이면 교환기에 내장된 씨피유(CPU)는 발신을 허용하여 그 전화 번호를 발신한다.
이에 따라, 통화가 개통되면 임의의 사용자는 상대측과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나 송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교환기는 호 종료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전화에 대한 발신 내역을 기록한다.
만일, 발신 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교환기에 내장된 씨피유(CPU)는 시내 전화가 아닌 시외 또는 국제 전화와 같은 특정 전화로 판별한 경우 음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식명(ID) 및 비밀 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인식명(ID)과 비밀 번호를 입력시키면 씨피유(CPU)는 그 입력된 비밀 번호와 그 사용자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 비교 횟수를 '1'증가시키고 다시 사용자의 인식명(ID)과 비밀 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 후, 비밀 번호의 비교 동작이 'n'회 예로, 2회이면 불법 사용으로 판단하여 씨피유(CPU)는 발신을 거부하고 호를 종료한다.
만일,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씨피유(CPU)는 입력된 발신 번호가 시외 전화인지 또는 국제 전화인지를 확인 한 후 그 사용자에게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에 대한 발신이 허용된 사용자라면 씨피유(CPU)는 발신을 허용하여 그 전화 번호를 발신한다.
이때, 시외 전화만 허용된 사용자가 국제 전화를 발신한 경우라면 발신을 거부하고 호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통화가 개통되면 사용자는 상대측과 통화를 하고 통화가 끝나 송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교환기에 내장된 씨피유(CPU)는 호 종료를 수행함과 아울러 그 사용자에 대한 통화 내역을 기록한다.
한편, 상기에서 시외 전화 또는 국제 전화를 특정 전화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시내 전화도 특정 전화로 등록하면 전화 번호를 입력시키면 사용자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요구하고 그 입력된 비밀 번호와 미리 등록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에서 입력된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허용된 발신 번호인지를 판단한 후 발신이 가능한 경우에만 전화 번호를 발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전화 번호 입력후 비밀 번호의 비교 동작과 발신 가능한 전화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외 또는 국제 전화와 같은 특정 전화 발신시 사용자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필요로 함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사용자의 전화 번호가 바뀌거나 또는 전화 하는 위치가 바뀌어도 발신 허용 등급을 다시 지정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해지다.
2. 각 개인별 통화량 관리가 정확하다.
3. 타인 전화의 무단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특정 전화 번호에 대해 발신 제한 기능을 구비한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각 개인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등록하고 각 개인마다 발신 가능 전화를 등록하는 제1 단계와, 발신 번호가 입력되면 특정 전화의 발신인지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전화의 발신이면 사용자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를 요구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입력된 비밀 번호와 미리 등록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에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면 특정 전화의 발신이 허용되었는지 판단하는 제5 단계와, 상기에서 특정 전화의 발신이 허용되었으면 특정 전화 번호를 발신하는 제6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발신 제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정 횟수내에서 사용자의 인식명과 비밀 번호의 재입력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제한 방법.
KR1019980042774A 1998-10-13 1998-10-13 발신 제한 방법 KR20000025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74A KR20000025621A (ko) 1998-10-13 1998-10-13 발신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774A KR20000025621A (ko) 1998-10-13 1998-10-13 발신 제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621A true KR20000025621A (ko) 2000-05-06

Family

ID=1955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774A KR20000025621A (ko) 1998-10-13 1998-10-13 발신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562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917A (ko) * 1988-05-31 1989-12-18 강진구 시외 자동전화 록킹방법
KR920001991Y1 (ko) * 1989-10-13 1992-03-26 국제전자 주식회사 비밀번호에 의한 전화 수신장치
KR930009309A (ko) * 1991-10-30 1993-05-22 이헌조 시외 및 국제통화 선별 제어방법
KR0161129B1 (ko) * 1995-11-30 1998-12-0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KR19990061170A (ko) * 1997-12-31 1999-07-26 유기범 비밀번호를 통한 개인통신가입자 호 허용방법
KR100239826B1 (ko) * 1997-10-27 2000-01-1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가입자에 의한 발신번 제한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917A (ko) * 1988-05-31 1989-12-18 강진구 시외 자동전화 록킹방법
KR920001991Y1 (ko) * 1989-10-13 1992-03-26 국제전자 주식회사 비밀번호에 의한 전화 수신장치
KR930009309A (ko) * 1991-10-30 1993-05-22 이헌조 시외 및 국제통화 선별 제어방법
KR0161129B1 (ko) * 1995-11-30 1998-12-01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KR100239826B1 (ko) * 1997-10-27 2000-01-1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가입자에 의한 발신번 제한 서비스방법
KR19990061170A (ko) * 1997-12-31 1999-07-26 유기범 비밀번호를 통한 개인통신가입자 호 허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0281B2 (ja) 無許可のユーザへのアクセスまたはサービスを拒絶するためのユーザ識別装置及び方法
US9088645B2 (en) Intermediary device initiated caller identification
US5666405A (en) True family telecommunication service
US7486779B2 (en) Origin device based callee identification
US5806040A (en) Speed controlled telephone credit card verification system
US7003466B2 (en) Destination device initiated caller identification
US7167551B2 (en) Intermediary device based callee identification
US8406383B2 (en) Voice authentication for call control
JP2001502479A (ja) 通信アクセス制限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30108159A1 (en) Destination device based callee identification
JPH05284228A (ja) 電話通信サービスへのアクセスを認可する方法
US20030108163A1 (en) Origin device based caller identification
KR101127011B1 (ko) 발신단말사용자 식별을 위한 프리픽스 서픽스 운용방법
JPH05284221A (ja) 遠隔通信サービスへのアクセスの認可方法
US7688959B2 (en) Method for remotely connecting to a secure telephone network
US20050190904A1 (en)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based telephone user identification
KR20000025621A (ko) 발신 제한 방법
KR100600359B1 (ko) 불법 단말기 검출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11178022A (ja) 音声網アクセス方式
KR100351734B1 (ko) 아이디를 이용한 전화통화 방법.
JP2692826B2 (ja) 構内交換機
JPH0420055A (ja) 電話端末装置
JP2002163030A (ja) コンピュータ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装置管理方法
JP2000270052A (ja) Isdn通信端末装置
JPH05235932A (ja) 公衆電話網における加入者識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