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475A -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475A
KR20000024475A KR1020000007212A KR20000007212A KR20000024475A KR 20000024475 A KR20000024475 A KR 20000024475A KR 1020000007212 A KR1020000007212 A KR 1020000007212A KR 20000007212 A KR20000007212 A KR 20000007212A KR 20000024475 A KR20000024475 A KR 2000002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alogy
internet
page
cla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요훈
Original Assignee
최요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요훈 filed Critical 최요훈
Priority to KR102000000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4475A/ko
Publication of KR2000002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5Finger operated miniaturized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보를 인터넷(140)을 이용하여 족보데이터를 관리하는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와 족보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관리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 사용자 컴퓨터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을 운영하는 족보운영서버(120); 사진, 음성, 동영상 자료를 포함한 개인별홈페이지를 관리하는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 및 외부홈페이지컴퓨터(150); 인터넷을 통해 족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컴퓨터(160); 인터넷을 이용하여 족보를 관리하는 종친회 및 단체 등의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족보운영서버(120)의 족보관리엔진(130)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의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로서 소정의 족보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및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메뉴가 선택되면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페이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하여 족보를 관리하고 족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대한 족보를 체계적으로 관리가 가능하고, 족보를 각 개인별로 소장할 필요가 없이 누구나 쉽게 인터넷을 통하여 족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시간적·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Internet Famliy-tre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관리 및 족보정보제공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보는 각 성씨의 종친회에서 관리하고 일정시점에서 새로운 족보를 문서로 제작하여 회원들에게 배포한다. 또한 일반인들은 족보를 보기 위해서 제작된 족보를 구입해서 보아야 하며, 구입이 어려운 경우 각 종친회 사무실이나 족보가 비치된 도서관등을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족보는 인물의 출생과 사망에 따라 수시로 갱신되어야 하는데 문서로 제작되는 족보는 족보의 제작 및 배포에 엄청난 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시점이 되서야 수정된 족보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문서로 제작된 족보는 족보제작에 있어 음성 및 동영상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족보는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 족보정보제공의 한계와 수시로 변하는 족보내용을 정확하게 제공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족보의 수정판을 제작, 배포하기 위한 막대한 경제적 비용과, 족보를 소장하여야 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수시로 변경된 족보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의 부담을 안겨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시로 변경이 되는 족보를 인터넷을 이용해서 각 종친회를 연결하여 정확히 족보를 관리하게 하고, 문서로 제작된 족보의 한계를 극복하여 인물에 대한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족보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하여, 이러한 족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고 정확한 족보의 상시 제공과, 족보제작과 배포에 따른 사회 · 경제적인 비용을 줄이 고자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족보운영서버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족보서비스시스템의 개괄적인 처리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족보관리엔진의 기능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족보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저장된 족보테이블에서 직계가족과 형제를 찾아가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은, 족보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족보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 족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 사용자 컴퓨터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을 운영하는 족보운영서버(120);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자료를 포함한 개인별홈페이지를 관리하는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와 외부홈페이지컴퓨터(150); 인터넷을 통해 족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일반사용자컴퓨터(160); 인터넷을 이용하여 족보를 관리하는 종친회 및 단체 등의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족보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는 각 종친회 관리자 및 개인족보관리자가 작성한 족보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컴퓨터다.
상기의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란 각 성씨마다 족보를 관장하는 단체에서 족보를 관리하는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를 말하며, 일반사용자컴퓨터(160)는 인터넷을 통해 족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일반사용자 중에는 종친회 등의 단체에 가입되지 않은 개인이 직접 족보를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족보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를 포함한다.
상기 족보관리엔진(130)은 인터넷 족보서비스를 위한 각종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를 말하며, 족보를 검색하고 종친회 등의 단체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가 직접 족보를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반사용자메뉴(410)와 종친회 등의 단체에서 족보관리를 하기 위한 종친회관리자메뉴(420)및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원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자메뉴(430)를 구비한다.
상기 일반사용자메뉴(410)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일반사용자들을 위한 메뉴로 게시판페이지(411)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사용을 위한 회원등록페이지(412), 족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족보를 보기 위한 족보검색페이지(413), 비종친회 가입자의 경우 개인이 족보를 작성하고 관리하기 위한 족보관리페이지(414), 조상 및 자신을 소개하기 위하여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홈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한 홈페이지작성페이지(415), 홈페이지를 개인이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 홈페이지 제작을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홈페이지제작신청페이지(416), 종친회 가입을 원하는 개인이 해당 종친회에 족보등록을 신청하기 위한 족보등록신청페이지(417),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사용자가 각종 이용문의를 위한 이용문의페이지(418) 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종친회관리자메뉴(420)는 종친회 소속회원에게 종친회 소식을 전하기 위한 게시판페이지(421)와 족보를 갱신하기 위한 족보관리페이지(422), 신규등록 신청을 관리하기 위한 신규가입자관리페이지(423), 이용문의관리를 위한 이용문의관리페이지(424)를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관리자메뉴(430)는 인터넷 족보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소식을 전달하는 게시판페이지(431)와, 회원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페이지(432), 홈페이지 제작신청서를 관리하기 위한 홈페이지제작신청관리페이지(433),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사용자가 문의한 답변과 관리를 위한 이용문의관리페이지(434).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사용방법을 제시하는 도움말페이지(435) 등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은 인터넷(140)을 통해 인터넷(140)과 연결되는 족보운영서버(120)와 족보정보를 검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 족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개인별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 및 외부홈페이지컴퓨터(150),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140)을 통해 상기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은 일반사용자컴퓨터(160) 및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반사용자컴퓨터(160)와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는 통상의 인터넷접속장치, 예를 들어 모뎀, 전용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140)에 접속이 가능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하여 필요한 족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PC를 가진 사용자들이다.
도2는 상기 족보운영서버(120)와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 외부홈페이지컴퓨터(150) 등의 컴퓨터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를 서버(SERVER)로 사용하며, 족보운영서버(120)는 PC에 대한 족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족보관리엔진(130)을 구비하고,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는 족보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족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와 외부홈페이지컴퓨터(150)는 족보에 입력된 인물들의 상세한 정보를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홈페이지를 구비한다.
도3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의 개괄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사용자(160,170)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홈페이지(300)에 접속하면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사용을 위한 사용자등록을 마친 기존회원과 비회원의 회원구분(310)을 하고 비회원(320)인 경우 회원등록(330)을 하게 한다.
기존회원(340)인 경우 개인관리자(360)와, 개인사용자(370)와, 종친회관리자(380)로 사용자구분(350)을 한다.
상기의 개인관리자(360)는 해당 성씨를 관리하는 종친회 등의 단체에 등록이 되지 않은 사용자가 자신의 족보를 직접작성하고 관리를 하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가입(330)시 개인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개인관리자로 등록된 회원은 자신의 족보를 입력, 수정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종친회관리자(380)는 각 성씨의 종친회에서 해당 성씨의 족보를 관리하는 사용자로 소속된 회원들의 족보를 입력, 수정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말하며, 회원관리페이지(432)에서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의 개인사용자(370)는 족보정보를 보기 원하는 일반사용자로 회원가입(330)시 종친회에 등록된 사용자인경우 종친회에서 작성한 족보를 볼 수 있게 종친회 회원으로 등록하고 종친회에 가입이 되어있지 않은 사용자는 개인이 직접 개인족보관리자(350) 권한을 부여받아 족보를 작성하거나 가족 중에 개인족보관리자가 있는 경우 그 관리자가 작성한 족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등록하고, 족보 검색 시 자동으로 족보선택(371)이 되어 개인족보검색(362)과 종친회족보검색(382)을 구분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상기 족보관리엔진(130)의 기능블록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족보관리엔진(130)은 족보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및 웹페이지를 말하며, 초기 접속페이지에 해당하는 족보서비스 홈페이지(homepage)(400), 일반사용자메뉴페이지(410), 종친회관리자메뉴페이지(420), 회원관리자메뉴페이지(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족보서비스 홈페이지(400)는 상기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의 홈페이지로써, 각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성격에 따라 일반사용자메뉴페이지(410), 종친회관리자메뉴페이지(420), 회원관리자메뉴페이지(430)로 구성된다.
상기 일반사용자메뉴페이지(410)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관리자가 공지하는 안내문과 해당 종친회에서 공지하는 각종 소식을 조회하는 게시판페이지(411)와 신규회원인 경우 회원등록을 하기 위한 회원등록페이지(412), 족보를 검색하기 위한 족보검색페이지(413), 개인족보관리를 위한 족보관리페이지(414), 인물에 대한 상세내용을 기술한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홈페이지작성페이지(415), 별도의 홈페이지 제작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한 홈페이지제작신청페이지(416), 종친회가입을 원하는 가입신청서를 제출하는 족보등록신청페이지(417)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이용에 관하여 궁금한 사항과 각 종친회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을 질문하는 이용문의페이지(418) 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게시판페이지(411)는 공지된 내용을 열람하고 작성하는 화면을 구비하여 이용자 누구나 게시판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등록페이지(412)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입력하는 화면과 사용자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개인족보관리자 권한부여와 종친회관리자 권한신청을 할 수 있는 항목과 종친회 회원인 경우 종친회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항목 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족보검색페이지(413)는 사용자의 족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으로 직계조상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과 인명으로 검색하여 해당 인물에 대한 족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다. 족보검색페이지(413)를 이용하여 검색된 족보검색결과페이지는 해당인물에 대한 사진과 서열, 한글성명 및 한자성명을 포함하며, 사진을 누르면 해당인물에 대한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상세한 정보를 기록한 홈페이지를 보여 주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족보관리페이지(414)는 종친회에 가입되지 않은 개인이 가족의 족보를 직접 만드는 화면으로 개인족보관리자 권한을 부여받아 족보를 만들고 관리하는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족보관리페이지(414)에서 인물을 등록할 때 서열, 한글성명, 한자성명, 출생일자, 사망일자와 인물들이 중복되지 않게 구별할 수 있는 키(key)값, 인물에 대한 홈페이지가 있는 경우 이를 연결하는 항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홈페이지작성페이지(415)는 족보검색페이지(413)에서 검색한 족보검색결과페이지에서 인물의 사진을 누르면 연결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하고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의 홈페이지제작신청페이지(416)는 이용자가 인물에 대한 홈페이지작성을 전문가에게 원할 경우 별도의 홈페이지 제작을 의뢰하는 화면으로 의뢰자의 의뢰내용과 연락처 등을 입력하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족보등록신청페이지(417)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이용자가 해당 종친회에 가입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종친회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하는 화면으로 종친회 회원가입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가입신청을 하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이용문의페이지(418)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이용자가 시스템 이용에 관한 문의나 각 종친회에 여러 가지 궁금한 사항을 입력하여 질문할 수 있는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종친회관리자메뉴페이지(420)는 종친회의 소식을 전달하는 게시판페이지(421)와 족보를 입력하고 수정하는 족보관리페이지(422), 종친회 족보에 신규등록을 위해 상기의 족보등록신청페이지(417)에서 신청한 신청서를 관리하기 위한 신규가입자관리페이지(423)와 상기 이용문의페이지(418)에서 이용자가 종친회와 관련된 문의사항을 요청한 내용에 대한 답변과 관리를 위한 이용문의관리페이지(424)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게시판페이지(421)는 각 종친회에서 종친회 회원에게 공지할 소식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족보관리페이지(422)는 종친회 회원의 족보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종친회사용자가 해당종친회 족보에 대한 입력, 수정을 할 수 있는 페이지를 구비하며, 인물을 등록할 때 서열, 한글성명, 한자성명, 출생일자, 사망일자, 인물들을 중복되지 않게 구별할 수 있는 키(key)값, 인물에 대한 홈페이지가 있는 경우 이를 연결하는 항목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구비한다.
상기의 신규가입자관리페이지(423)는 종친회 미가입자가 종친회에 가입하기 위해서 상기의 족보등록신청페이지(417)에서 신청한 신청서를 관리하는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이용문의관리페이지(424)는 종친회에 관련된 문의사항을 사용자가 상기의 이용문의페이지(418)에서 문의한 내용에 대하여 답변과 관리를 위한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관리자메뉴페이지(430)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회원들에게 각종 소식을 제공할 게시판페이지(431)와 회원관리를 위한 회원관리페이지(432), 상기의 별도 홈페이지 제작을 의뢰하기 위하여 홈페이지제작신청페이지(416)에서 신청한 신청서를 관리하기 위한 홈페이지제작신청관리페이지(433), 상기의 이용문의페이지(418)에서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이용에 관한 문의에 대한 답변과 관리를 위한 이용문의관리페이지(434),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쉽게 사용할 수있게 설명한 도움말페이지(435) 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게시판페이지(431)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공자사항을 작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관리페이지(432)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의 회원등록페이지(412)에서 등록한 회원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회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와, 개인족보관리를 위한 권한 및 종친회관리자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홈페이지제작신청관리페이지(433)는 이용자가 특정인물에 대하여 전문가에게 홈페이지 제작을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의 홈페이지제작신청페이지(416)에서 신청한 신청서를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이용문의관리페이지(434)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궁금한 사항을 상기의 이용문의페이지(418)에서 질문한 내용에 대한 답변과 관리를 위한 페이지를 구비한다.
상기의 도움말페이지(435)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페이지 및 작업 기능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기술한 도움말페이지를 구비한다.
도 5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중, 족보관련 테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회원관리테이블(510)과 개인족보테이블(520), 종친회족보테이블(530), 홈페이지관리테이블(540) 등을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관리테이블(510), 개인족보테이블(520), 종친회족보테이블(530), 홈페이지관리테이블(540)은 인물고유번호를 키(key)로 서로 관련된 자료를 연결한다.
상기의 회원관리테이블(510)은 회원ID(511), 비밀번호(512), 성명(513), 권한(514), 족보구분(515), 족보번호(516), 인물고유번호(517) 등의 항목을 구비한다.
상기의 회원ID(511)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번호를 말하며 회원등록페이지(412)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다.
상기의 비밀번호(512)는 회원ID(511)와 함께 사용되며 회원ID의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가 정한 비밀번호를 말한다.
상기의 성명(513)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명을 말하며, 상기의 권한(514)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 사용시 개인사용자(370), 개인관리자(360), 종친회관리자(380)를 구별하기 위한 권한을 말하며, 종친회관리자권한은 회원관리페이지(432)에서 부여하고, 개인관리자 권한은 회원이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의 족보구분(515)은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에서 개인이 작성한 족보와 종친회에서 관리하는 족보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족보를 가지고 족보관리 및 검색을 할 것인가를 구분하기 위한 항목이다.
상기의 족보번호(516)는 각 성씨마다 족보를 구별하기 위해서 작성하는 항목이다. 사용자가 속한 성씨에 대한 족보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각 성씨별 고유의 족보번호를 부여한 테이블을 구비한다. 개인관리자가 작성한 족보인 경우에는 별도의 분류 없이 개인관리자 회원ID(511)를 족보번호(516)로 사용한다.
상기의 인물고유번호(517)는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에 저장된 족보에서 본인의 족보를 검색하기 위한 항목이다.
상기의 개인족보테이블(520)은 개인족보번호(521), 인물고유번호(522), 한글성명(523), 한자성명(524), 서열(525), 부고유번호(526), 장남고유번호(527), 손위형제고유번호(528),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 등의 항목을 구비한다.
상기의 개인족보번호(521)는 개인족보를 구별하기 위한 코드로 회원관리테이블(510)의 족보번호(516)를 말한다. 개인족보관리자가 개인족보를 작성할 때 개인족보관리자의 회원번호(511)가 입력되게 한다.
상기의 인물고유번호(522)는 족보에 등록하는 인물을 중복되지 않게 구별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말하며, 상기의 한글성명(523)과 한자성명(524)은 인물의 성명을 한글과 한자로 구분하여 입력하고 서열(525)은 인물의 시조로부터 해당 인물이 몇 대손 인가를 입력한다.
상기의 부고유번호(526)는 아버지의 인물고유번호(522)를 말하며, 장남고유번호(527)는 장남의 인물고유번호(522)를 말한다. 상기의 손위형제고유번호(528)는 바로 손위형제의 인물고유번호(522)를 말하며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는 바로 손아래형제의 인물고유번호(522)를 말한다.
상기의 부고유번호(526)와 장남고유번호(527)는 인물의 직계를 추적하기 위함이며, 손위형제고유번호(528)와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는 인물의 형제, 자매를 추적하기 위하여 구비한다.
상기의 종친회족보테이블(530)은 종친회족보번호(531), 인물고유번호(532), 한글성명(533), 한자성명(534), 서열(535), 부고유번호(536) 장남고유번호(537), 손위형제고유번호(538), 손아래형제고유번호(539) 등의 항목을 구비한다.
상기의 종친회족보번호(531)는 각 성씨에 따라 각기 다른 고유번호를 지정하여 사용자의 성씨에 따라 족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며, 종친회족보관리자가 인물등록 시 종친회 족보관리자의 족보번호(516)가 입력되게 한다.
상기의 인물고유번호(532)는 족보에 등록하는 인물을 중복되지 않게 구별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말하며, 상기의 한글성명(533)과 한자성명(534)은 인물의 성명을 한글과 한자로 구분하여 입력하고 서열(535)은 시조로부터 해당 인물이 몇 대손 인가를 입력한다.
상기의 부고유번호(536)는 아버지의 인물고유번호(532)를 말하며, 장남고유번호(537)는 장남의 인물고유번호(532)를 말한다. 상기의 손위형제고유번호(538)는 바로 손위형제의 인물고유번호(532)를 말하며 손아래형제고유번호(539)는 바로 손아래형제의 인물고유번호(532)를 말한다.
상기의 부고유번호(536)와 장남고유번호(537)는 인물의 직계를 추적하기 위함이며, 손위형제고유번호(538)와 손아래형제고유번호(539)는 인물의 형제, 자매를 추적하기 위하여 구비한다.
상기의 홈페이지관리테이블(540)은 인물에 대한 상세정보를 홈페이지로 구성하여 구비된 인물에 대하여 족보검색결과에서 해당 인물의 사진을 누르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물고유번호(541)와 홈페이지주소(542) 등의 항목을 구비한다.
도 6은 족보검색엔진(130)에서 상기의 개인족보테이블(520)과 종친회족보테이블(530)에서 직계조상과 형제, 자매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가상의 족보구조(600)에서 14번 인물(605)의 직계조상을 찾아가는 방법(610)과 형제, 자매를 찾아가는 방법(62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가상의 족보구조(600)에서 14번 인물(605)은 족보테이블(520,530)에서 부고유번호(526,536)는 7번(603)으로 장남고유번호(527,537)는 없으며, 손위형제고유번호(528,538)는 13번(604)이고,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539)는 15번(606)으로, 직계조상을 찾아가는 방법(610)의 첫 번째 항목(611)과 같이 저장된다.
상기의 14번 인물(605)의 직계조상을 찾아가는 방법은 14번 인물(605)의 부고유번호 7번(603)을 가지고 족보테이블(520,530)에서 인물고유번호(522,532)와 같은 자료를 찾으면 된다. 14번 인물(605)의 부고유번호가 7번(603)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자료는 직계조상을 찾아가는 방법(610)의 두 번째 항목(612)과 같다. 같은 방법으로 7번 인물(603)의 부고유번호를 가지고 인물고유번호(522,532)를 찾으면 7번 인물(603)의 아버지 즉 14번 인물(605)의 할아버지(602)를 찾을 수 있게 된다. 그 결과가 직계조상을 찾아가는 방법(610)의 세 번째 항목(613)이다. 같은 방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부고유번호(526,536)가없을 때까지 계속하면 직계조상을 전부 찾아 낼 수 있다. 반대로 직계 후손을 찾아가는 방법은 장남고유번호(527,537)로 인물고유번호(522,532)를 찾아내면 직계 후손을 찾아갈 수 있다.
상기의 가상의 족보구조(600)에서 14번 인물(605)의 형제를 찾아가는 방법(620)은 14번 인물(605)의 손위형제고유번호가 13번(604)으로 손위형제고유번호(528,538)로 인물고유번호(522,532)를 찾으면 되고, 그 결과가 형제를 찾아가는 방법(620)의 두 번째 항목(622)이다.
상기의 13번 인물(604)의 손위형제고유번호(528,538)는 빈칸으로 손위형제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손위 형제 찾기는 멈추고, 다음은 손아래 형제를 찾으면 된다. 14번 인물(605)의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539)는 15번(606)으로 인물고유번호(522,532)에서 15번(606)을 찾는다. 그 결과가 형제를 찾아가는 방법(620)의 세 번째 항목(623)이다. 15번 인물(606)의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539)는 16번(607)으로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539)로 인물고유번호(522,532)를 찾으면 된다.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손아래형제고유번호(529,539) 항목이 빈칸일 때까지 반복하면 형제, 자매를 모두 찾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해 족보를 관리하고 족보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문서로 제작되어있는 족보를 인물별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을 포함한 홈페이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수시로 변경되는 족보를 정확하게 제공 할 수 있고, 족보제작과 배포에 대한 사회 ·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

  1. 인터넷 족보서비스 시스템을 위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족보데이터를 관리하는 족보데이터베이스서버(100)와 족보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 및 관리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 사용자 컴퓨터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족보관리엔진(130)을 운영하는 족보운영서버(120); 사진, 음성, 동영상 등의 자료를 포함한 개인별홈페이지를 관리하는 내부홈페이지관리서버(110)와 외부의 개인홈페이지컴퓨터(150); 인터넷을 통해 족보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족보운영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일반 사용자 컴퓨터(160); 인터넷을 이용하여 족보를 관리하는 종친회 및 단체 등의 종친회사용자컴퓨터(170).
KR1020000007212A 2000-02-16 2000-02-16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KR20000024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12A KR20000024475A (ko) 2000-02-16 2000-02-16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12A KR20000024475A (ko) 2000-02-16 2000-02-16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475A true KR20000024475A (ko) 2000-05-06

Family

ID=1964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12A KR20000024475A (ko) 2000-02-16 2000-02-16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447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882A (ko) * 2000-07-04 2000-10-05 민태홍 인터넷 친족 공동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0160A (ko) * 2001-10-19 2001-11-14 김찬영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 서비스 방법
KR20010111678A (ko) * 2000-06-12 2001-12-20 김재이 E-고향기반 비즈니스 모델 및 그 운영방법
KR20020004882A (ko) * 2000-07-05 2002-01-16 최용석 족보 서비스 시스템 및 족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85525A (ko) * 2001-05-09 2002-11-16 김용철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공동체 형성시스템
KR20020094844A (ko) * 2001-06-13 2002-12-18 송병화 가상노드 포화트리를 이용한 족보 구축방법
KR100383845B1 (ko) * 2000-04-07 2003-05-14 홍순명 디지털화 된 인터넷 족보 프로그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45B1 (ko) * 2000-04-07 2003-05-14 홍순명 디지털화 된 인터넷 족보 프로그램
KR20010111678A (ko) * 2000-06-12 2001-12-20 김재이 E-고향기반 비즈니스 모델 및 그 운영방법
KR20000058882A (ko) * 2000-07-04 2000-10-05 민태홍 인터넷 친족 공동체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4882A (ko) * 2000-07-05 2002-01-16 최용석 족보 서비스 시스템 및 족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85525A (ko) * 2001-05-09 2002-11-16 김용철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공동체 형성시스템
KR20020094844A (ko) * 2001-06-13 2002-12-18 송병화 가상노드 포화트리를 이용한 족보 구축방법
KR20010100160A (ko) * 2001-10-19 2001-11-14 김찬영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5642B2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igital content related to a block of text, such as a blog entry
US9535976B2 (en) Information exchange engine providing a critical infrastructure lay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76136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presentation of web pages
US8515998B1 (en) Framework for managing document objects stored on a network
JP4008089B2 (ja) 電子ファイルシステムの複数のファイルの管理方法
JP2001056810A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システム
KR2000002447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족보서비스 시스템
JP2002169986A (ja) 商談仲介装置、商談仲介方法及び商談仲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4534297A (ja) ウェブカードシステムのグローバルネットワークおよびプライバシー制御ならびにその方法
KR20020004882A (ko) 족보 서비스 시스템 및 족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H11175542A (ja) 土木・建築工事用情報管理システム
US20030014610A1 (en) Experience sharing
KR101547912B1 (ko) 진화하는 지식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175327A (ja)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
KR20020012805A (ko) 인터넷 인맥 정보 시스템
US20200371998A1 (en) Interactive library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ve, real-time creation and customization
Lohrer et al. Retrieval of heterogeneous data from dynamic and anonymous sources
KR20010074176A (ko) 인터넷 족보 제작 시스템
JP2002351890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資料データの共用方法、およびその共用方法を実現するシステム
Korth New focal points for research in database systems
JP2003256584A (ja) 異企業間情報共有システム
Park N IFLECTE D
Park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library loan management
KR20030082232A (ko)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Caraway Highlights of the LITA/ALCTS-CCS authority control interest group program s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