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232A -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232A
KR20030082232A KR1020020020880A KR20020020880A KR20030082232A KR 20030082232 A KR20030082232 A KR 20030082232A KR 1020020020880 A KR1020020020880 A KR 1020020020880A KR 20020020880 A KR20020020880 A KR 20020020880A KR 20030082232 A KR20030082232 A KR 2003008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arch
common interest
interest group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진
Original Assignee
(주)메타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웨이브 filed Critical (주)메타웨이브
Priority to KR102002002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232A/ko
Publication of KR2003008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5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 G06F16/3326Reformulation based on results of preceding query using relevance feedback from the user, e.g. relevance feedback on documents, documents sets, document terms or pa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색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갖는 회원들간에 각 회원들의 신상정보 및 검색관련정보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통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간 지식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 속한 회원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로 인해 해당 분야에 속한 회원들간 정보 교류를 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대한 회원들 각각의 지식이 확장될 수 있으며, 그 분야에 대한 정보를 보다 건설적으로 재생산해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forming knowledge-network between individuals in the fields of concern}
본 발명은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색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동일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들간에 지식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이 널리 보급됨으로써, 대부분의 문서를 컴퓨터로 작성하고 이들 문서를 인터넷을 통해 배포하고 획득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통신망(예컨대, 인터넷)에 접속하여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획득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통신망을 통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검색시스템(또는 검색엔진이라고도 함)들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검색시스템으로는 알타비스타(altavista), 야후(yahoo), 인포시크(infoseek), 라이코스(lycos), 엠파스(empas) 등이 있다.
이러한 검색시스템들은, 로봇이라 불리는 일종의 자동순회프로그램(예컨대, robots, wanderers, spiders, worm 등)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색인 정보 및 기본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이 때, 문서들에 대한 기본정보라 함은 해당문서의 제목(title), 크기(size), 날짜(date), 그 문서가 저장된 웹사이트의 주소, 요약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에서 문서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이하, 질의어라 함)를 입력하면, 그 질의어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 리스트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검색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검색시스템(10)의 경우, 문서관리 DB(21)와, 색인 DB(22)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2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문서관리 DB(21)는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제목, 위치정보(URL 주소) 및 요약문 등 문서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들을 관리하고, 색인 DB(22)는 문서관리 DB(21)에서 관리하고 있는 문서들을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문서 관리 DB(21)와, 색인 DB(22)는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얻어진 정보들이다. 검색시스템(10)은 그 시스템 내부에 검색기능을 수행하는 검색처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데, 그 검색처리부는 PC(50)를 통해 인터넷(30)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 질의어를 가지고, 우선, 색인 DB(22)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문서정보(예컨대, 문서 ID 등)를 도출한 후, 그 문서정보에 의해 문서관리 DB(21)를 검색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그 검색결과를 가지고 문서별 기본정보들을 조합하여 검색리스트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가 검색리스트를 보고 원하는 문서를 선택하면, 검색처리부는 인터넷(30)을 통해 그 문서의 기본정보에 포함된 주소에 의해 웹-서버(40)로 접속하여 해당문서를 추출하고, 그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이러한 검색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입력한 질의어에 의해 문서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의해 생성된 검색리스트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본 기능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검색시스템의 특성상 검색시스템이 사용자별 질의어 입력정보 또는 사용자별 접근문서정보를 별도로 관리하고, 그 정보들을 분석한다면 그 결과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관심분야를 도출해낼 수 있으며, 그 사용자별 관심분야에 대한 정보를 응용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검색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어에 해당되는 문서정보만을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검색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검색시스템을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검색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동일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들간에 지식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검색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의 필드구성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 대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 관리하는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회원관리 DB 130 : 문서 DB
150 : 색인 DB 170 :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
400 : 검색시스템 500 : 인터넷
600 : 웹서버 700 : PC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을 이용한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그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상기 검색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고, 회원별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그 회원이 입력한 질의어정보를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질의어에 대한 검색결과 중 상기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별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별로, 각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하는 제4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제5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 중 상세정보를 보고자 하는 다른 회원을 선택하면,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그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에 있어서, 검색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문서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문서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들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회원별 검색정보 및 회원별 접근문서정보들을 저장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질의어정보 및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도출하여, 그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검색정보관리부와;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원별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하는 공통관심그룹처리부와;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회원상세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그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상세정보추출부와; 상기 공통관심그룹처리부에서 생성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세정보추출부로부터 상기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달받아 그 정보를 요청한 회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식네트워크'란 최근 인터넷 이용자들이 급증함에 따라 그 개념이 새롭게 정의된 용어로서, 연령 및 각종 성향, 취미 등 여러 분야에서 공통점을 가지는 사람들이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공통 관심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상호 보완적 교류를 하기 위해 임의로 구성된 집단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400)은 데이터베이스부(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검색 동작은 일반적인 검색시스템들과 유사하다. 즉, PC(700)를 통해 인터넷(500)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문서 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에 대한 검색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검색결과를 보고 원하는 문서를 선택할 경우, 해당 문서의 기본정보에 포함된 주소를 참조하여 인터넷(500)으로 연결된 웹-서버(600)로 접속하여 해당 문서를 추출하고, 그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해당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별 관심분야를 판단하고, 분야별 회원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검색시스템(4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데이터베이스부(100)는 회원별 검색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검색시스템에 포함되는 데이터베이스부는 회원관리 DB(110), 문서 DB(130), 색인 DB(150) 및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를 포함한다. 이 때, 각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원관리 DB(110)는 사용자들이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해 입력한 정보로서, 그 회원들에 대한 기본정보들을 저장/관리한다.
문서 DB(130)는 문서검색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문서정보를 저장/관리한다. 이 때, 문서 DB(130)에 저장되는 문서정보들은 인터넷을 순회하는 로봇들에 의해 자동으로 얻어진다.
색인 DB(150)는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별로 색인정보(예컨대, 키워드)를 추출하여, 색인정보별로 문서들을 저장/관리한다. 이러한 색인정보들은 이미 공지된 색인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는 문서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들에 대한 회원별 검색정보 및 회원별 접근문서정보들을 저장/관리한다.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에 대한 필드 구성의 예는 도 2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의 필드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는 회원관리번호(171)/ 연락처(172)/ 입력질의어관리정보(173)/ 접근문서관리정보(174)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회원관리번호(171) 필드는 검색시스템에서 회원별 관리를 위해 부여된 관리번호를 저장하고, 연락처(172) 필드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할 때 입력한 내용으로서, 예를 들어, 전자메일주소, 전화번호, 주소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입력질의어관리정보(173) 필드는 해당 회원이 입력한 질의어 목록과, 그 질의어별 입력횟수 및 질의어별 최근입력시간정보를 저장하고, 접근문서관리정보(174) 필드는 각 질의어별로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 목록과, 문서별 접근횟수 및 문서별 최근접근시간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도 2a에 도시된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는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준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회원별 관심분야를 도출하기 위한 검색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그 필드 구성을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400)에 대한 기능 블록도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색시스템(400)은 데이터입력부(410), 검색처리부(420), 검색정보관리부(430), 공통관심그룹처리부(440), 데이터출력부(450) 및 상세정보출력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등을 입력한다.
검색처리부(420)는 검색시스템(400)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데이터입력부(410)를 통해 검색시스템(400)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데이터입력부(410)로부터 그 로그인정보 및 질의어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검색처리부(420)의 동작은 종래의 경우와 유사하다.
한편, 검색정보관리부(430)는 검색처리부(420)로부터 데이터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된 질의어정보 및 그 질의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전달받아, 그 검색결과 중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도출하여, 그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를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에 저장한다.
공통관심그룹처리부(440)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에 저장된 회원들의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한다. 이 때, 공통관심그룹처리부(440)는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가 소정개 이상 일치하는 회원들을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회원별로 10회 이상 입력한 질의어들 중 5개 이상의 질의어가 일치하는 회원들을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시스템 운영자는 공통관심그룹처리부(440)로부터 원하는 분류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상기 분류기준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공통관심그룹처리부(440)에서 생성된 공통관심그룹목록은 데이터출력부(450)를 통해 회원들에게 제공되는데, 데이터출력부(450)는 시스템 운영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모든 회원들에게 제공하거나,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만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한 후,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신청하는 회원들에게만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출력부(450)는 임의의 한 분야에 대하여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되지 않은 회원이 그 분야에 대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요청할 경우 해당 회원에게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세정보추출부(460)는 데이터출력부(450)를 통해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데이터입력부(410)를 통해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할 경우,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를 검색하여 그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그 상세정보를 데이터출력부(450)로 전달하여 그 정보를 요청한 회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상기 검색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s110),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해당 회원에게 제공한다(s120).
한편, 회원별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해당 회원이 입력한 질의어정보를 저장한다(s130). 이 때,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되는 질의어정보는 해당 회원이 문서검색을 위해 입력한 질의어들에 대한 목록(이하, 질의어목록이라 함)과, 그 질의어목록에 포함된 각 질의어별로 그 질의어의 입력횟수와, 각 질의어들의 최근입력시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한다(s140). 이 때,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되는 접근문서정보는 해당 회원이접근한 문서들에 대한 관리정보(예컨대, 문서 ID 또는 문서관리번호 등)들과, 그 문서별 접근횟수와, 문서별 최근접근시간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회원별로 자주 입력하는 질의어와, 그 질의어에 대한 검색결과 중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저장/관리함으로써, 그 질의어 및 접근문서정보를 근거로 각 회원들이 관심있어 하는 분야를 도출해내기 위함이다.
즉, 이와 같이 회원별 질의어정보와 접근문서정보를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하였으면, 상기 과정(s130)에서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된 회원별 질의어정보와, 상기 과정(s140)에서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 저장된 회원별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한다(s150). 즉,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가 소정개 이상 일치하는 회원들을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회원별로 10회 이상 입력한 질의어들 중 5개 이상의 질의어가 일치하는 회원들을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회원별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회원들을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면, 그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한다(s160). 이 때, 공통관심그룹목록에 포함되는 회원들의 공개정보의 예로는 각 회원들이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해 입력한 이름, 성별, 직업, 나이, 지역정보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분야별 공통관심그룹목록이 생성되었으면, 그 분야별 공통관심그룹목록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한다(s170). 이 때, 공통관심그룹목록을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첫째로,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모든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가능하고, 둘째로,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만을 제공한 후,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신청하는 회원에게만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마지막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되지 않은 회원이 그 분야에 대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요청할 경우, 그 회원에게 해당 분야의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해당 분야의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회원들에게 제공한 후,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회원 #1)이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 중 상세정보를 보고자 하는 다른 회원(회원 #2)을 선택하면(s180), 회원상세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선택된 다른 회원(회원 #2)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그 정보를 요청한 회원(회원 #1)에게 제공한다(s190). 이 때, 제공되는 상세정보는 그 선택된 다른 회원(회원 #2)에 대한 연락처정보, 주요질의어 및 접근문서정보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 관리하는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 관리하는 질의어정보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는 각 회원들이 입력한 질의어들의 목록(질의어목록)과, 그 질의어별 입력횟수 및 최근입력시간정보를 포함한다. 도 4a의 예에서는 회원 1, 회원 2 및 회원 3에 대한 입력 질의어 정보를 나타내었는데, 입력횟수가 10회 이상인 질의어들만을 질의어 목록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 때, 만일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이 '회원별로 10회 이상 입력한 질의어들 중 5개 이상의 질의어가 일치하는 회원'인 경우라면, 도 4a의 예에서, 입력횟수가 10회 이상인 5개의 질의어(질의어 6 내지 질의어 10)가 일치하는 회원 1과 회원 2만이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될 것이다. 한편,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이 '회원별로 10회 이상 입력한 질의어들 중 2개 이상의 질의어가 일치하는 회원'인 경우라면, 도 4a의 예에서, 입력횟수가 10회 이상인 5개의 질의어(질의어 6 내지 질의어 10)가 일치하는 회원 1과 회원 2가 제1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되고, 입력횟수가 10회 이상인 2개의 질의어(질의어 14 및 질의어 15)가 일치하는 회원 2와 회원 3이 제2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될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 관리하는 접근문서정보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에서는 각 회원들이 접근한 문서정보들에 대한 목록(예컨대, 문서 ID 목록 등)과, 그 문서별 접근횟수, 머문시간 및 최근접근시간정보를 포함한다. 도 4b의 예에서는 회원 1, 회원 2 및 회원 3에 대한 접근문서정보를 나타내었는데, 접근횟수가 10회 이상인 문서들만을 관리하고 있다. 이 때, 만일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이 '회원별로 10회 이상 접근한 문서들 중 중 5개 이상의 문서가 일치하는 회원'인 경우라면, 도 4b의 예에서, 접근횟수가 10회 이상인 5개의 문서들(문서 6 내지 문서 10)이 일치하는 회원 1과 회원 2만이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될 것이다. 한편,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이 '회원별로 10회 이상 접근한 문서들 중 2개 이상의 문서가 일치하는 회원'인 경우라면, 도 4b의 예에서, 접근횟수가 10회 이상인 5개의 문서(문서 6 내지 문서 10)가 일치하는 회원 1과 회원 2가 제1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되고, 접근횟수가 10회 이상인 2개의 문서(문서 14 및 문서 15)가 일치하는 회원 2와 회원 3이 제2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은 시스템 운영자가 다양하게 설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회 이상 입력한 질의어가 2개 이상 일치하고, 동시에 10회 이상 접근한 문서들 중 3개 이상의 문서가 일치하는 회원'과 같이 질의어정보와 접근문서정보를 다양하게 이용하여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스템에서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는 회원들에게 제공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와 같은 공통관심그룹목록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공통관심그룹 분류기준'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회원 ID와, 회원명, 해당 회원의 연령, 성별, 직업, 지역 등 개략적인 정보만이 공통관심그룹목록으로 제공된다.
도 5b는 이러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회원 1'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한 경우, 그 상세정보목록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b와 같은 상세정보목록은 회원관리 DB(110) 및 회원별검색정보관리 DB(170)(도 3에도시됨)를 검색한 결과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 예시된 기본 정보 외에도, 해당 회원의 연락처(예컨대, 전자메일주소 및 전화번호)와, 주요질의어 및 접근문서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도면을 참조한 예에서는 모든 회원들이 검색시 입력한 질의어 정보에 의거하여 공통관심그룹목록 및 상세정보목록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현재 전자상거래 등에 통용되고 있는 전자 결재 시스템들을 응용하여 이러한 정보들을 유료화 함으로써, 보다 격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색시스템 검색 및 그 방법은 검색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별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갖는 회원들간에 각 회원들의 신상정보 및 검색관련정보들을 제공함으로써, 공통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간 지식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 속한 회원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로 인해 해당 분야에 속한 회원들간 정보 교류를 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대한 회원들 각각의 지식이 확장될 수 있으며, 그 분야에 대한 정보를 보다 건설적으로 재생산해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회원들의 상세 정보를 유료화하여, 시스템의 운영자와 해당 회원간 수익을 분배함으로써, 새로운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그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상기 검색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고, 회원별 검색정보를 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그 회원이 입력한 질의어정보를 저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질의어에 대한 검색결과 중 상기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 과정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별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별로, 각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하는 제4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제5 과정과,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그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 중 상세정보를 보고자 하는 다른 회원을 선택하면,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과 제6 과정 사이에
    회원이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공통관심그룹에 대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요청할 경우, 해당 회원에게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제5-1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해당 회원이 검색을 위해 입력한 질의어들과, 각 질의어별 입력횟수 및 최근입력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질의어정보를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해당 회원이 접근한 문서들에 대한 문서관리정보들과, 그 문서별 접근횟수 및 최근접근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접근문서정보를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은
    각 회원들이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해 입력한 이름, 성별, 직업, 나이,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공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5 과정은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만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한 후, 해당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신청하는 회원에게만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6 과정은
    상기 다른 회원에 대한 연락처정보와, 주요질의어와, 접근문서정보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추출하여 그 정보를 요청한 회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시스템의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 제공방법.
  8.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그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에 있어서,
    문서검색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문서정보를 저장관리하는 문서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들에 대한 기본정보를 저장/관리하는 회원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회원별 검색정보 및 회원별 접근문서정보들을 저장관리하는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부와,
    상기 검색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이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문서검색을 위한 질의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처리부와,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질의어정보 및 해당 회원이 접근한 접근문서정보를 도출하여, 그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를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검색정보관리부와,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회원별 질의어정보 및 접근문서정보에 의거하여 공통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회원들을 소정의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공통관심그룹으로 분류된 회원들의 공개정보를 포함하는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생성하는 공통관심그룹처리부와,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받은 회원이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회원상세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를 검색하여 그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추출하는 상세정보추출부와,
    상기 공통관심그룹처리부에서 생성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그 공통관심그룹에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세정보추출부로부터 상기 특정회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전달받아 그 정보를 요청한 회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별검색정보관리데이터베이스부는
    검색시스템 사용자가 회원가입시 입력한 전자메일주소, 전화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연락처정보와,
    해당 회원이 문서검색을 위해 입력한 질의어들과, 각 질의어별 입력횟수 및 최근입력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질의어정보와,
    해당 회원이 접근한 문서들에 대한 문서관리정보들과, 그 문서별 접근횟수 및 최근접근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접근문서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에 대한 안내정보만을 해당 공통관심그룹에 속한 회원들에게 제공한 후, 해당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신청하는 회원에게만 그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회원이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공통관심그룹에 대한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요청할 경우, 해당 회원에게 상기 공통관심그룹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KR1020020020880A 2002-04-17 2002-04-17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KR20030082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80A KR20030082232A (ko) 2002-04-17 2002-04-17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880A KR20030082232A (ko) 2002-04-17 2002-04-17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232A true KR20030082232A (ko) 2003-10-22

Family

ID=3237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880A KR20030082232A (ko) 2002-04-17 2002-04-17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47B1 (ko) * 2013-03-28 2014-01-27 최동식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사이트 사용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47A (ko) * 2000-05-18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그룹 만남 주선 서비스 방법
JP2000242657A (ja) * 1999-02-19 2000-09-08 Taito Corp 出会い条件検索システム
KR20000072301A (ko) * 2000-08-28 2000-12-05 박종만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7742A (ko) * 2000-07-18 2002-01-29 김민욱 사용자별 정보선호 분석 및 정보 내용 인기도 평가를 통한정보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7863A (ko) * 2000-08-31 2002-03-07 송찬호 인터넷 이용자의 접속 통계 자료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KR20020036096A (ko) * 2000-11-08 2002-05-16 이기철 개인간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2657A (ja) * 1999-02-19 2000-09-08 Taito Corp 出会い条件検索システム
KR20000050147A (ko) * 2000-05-18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그룹 만남 주선 서비스 방법
KR20020007742A (ko) * 2000-07-18 2002-01-29 김민욱 사용자별 정보선호 분석 및 정보 내용 인기도 평가를 통한정보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72301A (ko) * 2000-08-28 2000-12-05 박종만 네트워크 기반의 이상형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7863A (ko) * 2000-08-31 2002-03-07 송찬호 인터넷 이용자의 접속 통계 자료를 이용한 키워드 검색 방법
KR20020036096A (ko) * 2000-11-08 2002-05-16 이기철 개인간 정보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47B1 (ko) * 2013-03-28 2014-01-27 최동식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 사이트 사용자 연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814B2 (en) Search engine that applies feedback from users to improve search results
US62369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for categorized information from online internet and intranet sources
JP5941075B2 (ja) 信頼ネットワークを含むユーザ判断を一体化したサーチ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US6182066B1 (en) Category processing of query topics and electronic document content topics
US7165119B2 (en) Search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having rankings, explicitly specified by the user, based upon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search parameters in regard to a subject matter
EP2255305B1 (en) Using related users' data to enhance web search
US8843481B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ction based virtual communities and related search mechanisms
US7640232B2 (en) Search enhancement system with information from a selected source
US20050065774A1 (en) Method of self enhancement of search results through analysis of system logs
US200802885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using image based tagging
US20100306249A1 (en) Social network systems and methods
US20050065773A1 (en) Method of search content enhancement
JPH11161670A (ja) 情報フィルタリング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A2648338A1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a search request
KR10064397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검색 결과 제공방법
ZHONG Developing intelligent portals by using WI technologies
KR20000054666A (ko)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7483877B2 (en) Dynamic comparison of search system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KR20030079095A (ko) 개인 및 그룹별 웹페이지 방문이력정보를 이용한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Satokar et al. Web search result personalization using web mining
Herrera‐Viedma et al. Soft approaches to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access on the Web: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topic section
KR20030082232A (ko) 분야별 지식네트워크 형성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시스템 및그 방법
KR2002009658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전문가 검색 시스템 및 운영 방법
Martoglia AMBIT: semantic engine foundations for knowledge management in context-dependent applications
KR20200029217A (ko) 인터넷 커뮤니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