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132A -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132A
KR20000024132A KR1020000003327A KR20000003327A KR20000024132A KR 20000024132 A KR20000024132 A KR 20000024132A KR 1020000003327 A KR1020000003327 A KR 1020000003327A KR 20000003327 A KR20000003327 A KR 20000003327A KR 20000024132 A KR20000024132 A KR 2000002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metal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0000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4132A/ko
Publication of KR2000002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B65D7/44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금속캔은 병형태의 경우,그 원재료를 과다 소비하였는 바, 본 발명은 그 원인을 제거하여 생산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발명의 구성
금속재의 용기(1)는 결합부(100' )가 있는 단일의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저부에는 뚜껑(200)을 조립하여 된 것으로서,상기 본체(100)는 상하부가 천공되데, 하측은 금속성의 뚜껑(200)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 상측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1)과 환테(102)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00' )를 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본체의 어께 부위를 확장하여 마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로 형성한 바,그 원자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그 본체는 1피스로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본 발명은 2피스로 제작 되어지는 병 형태의 용기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며,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 일본 실개공 평3-3551호 등이 있다.
상기 선행인 일본 실개공 평3-3551호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로서, 그 용기 목과 그 목에 씌워지는 뚜껑의 고밀폐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성의 방식과는 가공 등 여러면에서 현저히 차별화되는 기술인 것이다.
또한 도17에서와 같이(형태상으로 보았을때) 본체가 컵형태로 제작되어지고, 상체는 나사산 등이 형성된 일반적인 병목형의 것이 결합된 2피스 용기가 일예로, 일본의 아사히맥주주식회사에서 사용되어 왔으나,그 문제점으로서는 상체에 사용되는 금속재가 지나치게 두꺼워 원가상승이 유발되는 폐단이 발생하는데,이는 그 상부에 뚜껑이 조립되기 위해서는 나사산등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그 재료의 두께는 박판으로 될 수 없는 한계성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본체의 하부(저부)도 제작상 그 저부는 상측에 비해 현저하게 두꺼울 수 밖에 없는데,이는 롤형태의 원단을 컵형태로 가공한후 이를 인발하는 과정과 또한 팽창압력과 진공력을 견디게 하기 위하여는 어떤 형식으로 든 그 두께를 보강하여야 했기 때문이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용기의 일 측면도이며,
도 3∼4는 도 2a, b의 확대된 각각의 종단면도이며,
도 5∼6은 도 2a, b의 확대된(요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7은 본 발명인 용기의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 8은 도 7c 부위의 확대된 종단면도이다.
도 9∼도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도 9는 본 발명인 용기의 일측면을 보인 것이고,
도10a는 도 9c의 확대된 종단면도이며,
도10b, c는 도10a의 변형의 예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용기 목의 하측인 본체의 보강부를 보인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인 용기에 사용되는 목의 변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13∼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도13은 용기의 하부를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14는 도13c' 부위의 확대된 종단면도이고,
도15는 도14에 따른 저부 사시도이다.
도16은 본체의 제작 일공정이며,
도17은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0 : 본체 100' : 결합부
101 : 나사산 102 : 환테 103 : 커얼링
104 : 보강부 105,106 : 환턱 200 : 뚜껑
S : 결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기는,기본적으로 2피스로 제작되어지데,그 본체는 유리병이나 페트병 형태의 구조를 그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그 본체의 하부에는 밀폐용 뚜껑을 씌운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용기의 구조는,개략적으로 보았을 때,일반적인 형태의 본체 하부를 프레스(인발) 공법 등으로 확장하여 뚜껑을 씌울 수 있게 하고,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박판형의 뚜껑을 씌운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본 발명의 용기 어께 부위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일예: 절곡)를 형성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본 발명의 용기 본체는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그 본체가 다층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의 상측 보다 하측이 더 넓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재의 용기(1)는 병 형태의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저부에 금속성의 뚜껑(200)을 조립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는 상하부가 트이고 하측은 금속성의 뚜껑(200)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상측은 용기(1)의 내용물을 음용(배출)할시 사용할 수 있는 용도의 마개가 조립될 수 있도록 나사산(101)과 환테(102)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그 제작시, 일예로,본체(100)의 형태를 도16과 같이 가공한 후,상측의 「d」부위를 천공하고,「h」부위를 마개가 씌워질 수 있도록 결합부(100' )로 구성하되,상기 결합부(100' )는,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1)이나 환테(102)를 형성하며,상기 상측의 천공된「d」부위는 날카롭지 않도록 커얼링(103)을 그 기본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저부에는 도2「b」부위 또는 도4,도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마는 형태로 결합부(S)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완성된 형태의 용기(1)가 도1,도2와 같으며,그 사용시에는 상기와 같은 용기(1)의 결합부(100' )에 합성수지나 금속재의 마개를 씌워 밀봉을 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7∼도8),용기(1) 본체(100) 어께 부위의 보강을 위하여 그 부위를 마는 형태로 보강부(104)를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그 사용시 그 어께 부위가 찌그러 지는 등의 폐단이 없음은 물론 결합부(100' )에 마개를 씌울시 용기(1) 본체(100)가 비틀리는 등의 부작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9∼도10c),상기 본체(100)의 어께 부위에 형성된 보강부(104)는 각종 형태로 상하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11),상기 본체(100)의 어께 부위에 형성된 보강부(104)는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12),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100' )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환턱(105,10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그 사용시에는 상기 결합부(100' )에 원터치방식의 마개가 조립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13∼15),본체(100)의 하부에 씌워지는 뚜껑(200)은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일 표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16),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본체(100)는 D¹보다도 D²가 더 크게하여 본체(100) 끼리 끼워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본체(100)의 결합부에 마개를 먼저 씌우고 제조공장에서 최종 뚜껑을 씌우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많은 양의 용기(1)를 운반할 수 있어 그 생산가격(제조원가)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어께 부위를 확장하여 마개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부로 형성한 바,그 원자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아울러,그 본체는 1피스로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금속재의 용기(1)는 결합부(100' )가 있는 단일의 본체(100)와 그 본체(100)의 저부에는 뚜껑(200)을 조립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는 상하부가 천공되데,하측은 금속성의 뚜껑(200)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상측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산(101)과 환테(102)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00' )를 둔 것을 특징으로한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2. 상기 본체(100)의 어께 부위에는 보강부(10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부(100' )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환턱(105,10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어께 부위 보다는 하측의 뚜껑 조립부가 더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부는 프레스(인발) 공법으로 그 형태를 만든후,상측을 천공하고,나사산이나 환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KR1020000003327A 2000-01-20 2000-01-20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KR20000024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327A KR20000024132A (ko) 2000-01-20 2000-01-20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327A KR20000024132A (ko) 2000-01-20 2000-01-20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132A true KR20000024132A (ko) 2000-05-06

Family

ID=1964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327A KR20000024132A (ko) 2000-01-20 2000-01-20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4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784A (ko) * 2009-11-13 2017-12-06 더 코카콜라 컴파니 금속제 성형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784A (ko) * 2009-11-13 2017-12-06 더 코카콜라 컴파니 금속제 성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125B1 (en) Blow-molded container and molding method thereof
US7686178B2 (en) Flask
TW200618887A (en) Process for producing bottle can
US7784639B2 (en) Preform of a plastic container particularly designed for packaging foodstuffs
US6838138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bearing label
JP2007008536A (ja) 合成樹脂製ボトル
NZ208970A (en) Making synthetic resin can body by injection or extrusion and blow moulding
HUT55691A (en) Bott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00024132A (ko) 금속재의 2피스 용기 및 그 구조
US6648157B2 (en) Reinforced plastic neck finish
GB2131344A (en) Blow moulding bottles
JPH11139438A (ja) 開封後の再閉鎖が可能で飲み易い飲料用金属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00228A1 (en)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container
US20040108627A1 (en) Blown pet handleware for containers
EP0313879A2 (en) The new structure of a bottle cap set
JPH0414377Y2 (ko)
JP3865291B2 (ja) 内溶液を残りなく注出可能にした液体中空容器
JPS58185229A (ja) 二軸延伸された合成樹脂製容器の成形法
JPH08143019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220299199U (zh) 瓶盖
CN216003710U (zh) 一种可二次密封的包装罐
CN212165506U (zh) 一种硅胶水瓶瓶颈结构
JP4295581B2 (ja) チューブ容器
KR20050094167A (ko) 길이방향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트병의제조방법
KR950010468Y1 (ko) 분유통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