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592A -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592A
KR20000023592A KR1019997000038A KR19997000038A KR20000023592A KR 20000023592 A KR20000023592 A KR 20000023592A KR 1019997000038 A KR1019997000038 A KR 1019997000038A KR 19997000038 A KR19997000038 A KR 19997000038A KR 20000023592 A KR20000023592 A KR 2000002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ent
diaphragm
bas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에머데니스에이.
베일리제임스시.
아트킨슨고든이.
쿤스제임스알.
Original Assignee
버네이래버러토리즈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네이래버러토리즈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버네이래버러토리즈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2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act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67D7/70Arrangements of pumps of two or more pumps in series or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18)와 복수의 유체 용기(12, 14)를 포함하는 분배 장치를 사용하는 이중 밸브 조립체(26)에 관한 것이다. 밸브 조립체(26)는 엘라스토머릭 레귤레이터(36)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36)는 하우징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다이어프램부(56)와 용기(12, 1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 통로(100, 102)를 개폐하는 통기 밸브 구조체를 포함한다. 다이어프램부 (56)는 오리피스(68)를 포함하고, 펌프(18)의 동작동안 용기로부터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하우징상에 형성되는 시이트(62)와의 접촉부 내외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통기 밸브 구조체는 펌프(18)로부터 적용되는 부압에 반응하여 용기(12, 14)에 대해 통기구(100, 102)를 개방하는 한쌍의 통기 부재(108, 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Dual Dispensing Valve Assembly}
두 가지 유체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이중 분배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는 비양립성이지만 분배 작업동안 혼합되면 바람직한 결과를 제공하는 활성 성분을 갖는 두 가지 액체를 분배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이중 분배 용기는 용액 상태로 혼합되면 효능이 감소되는 두 가지 클리닝 유체(cleaning fluid)를 동시에 분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두 용기 내의 유체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비워지도록 이중 분배 용기로부터의 유체의 분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분사기로의 유체 공급에 관한 요소는 공기의 용기로의 유입을 허용하여 유체의 분배동안 압력을 균등화시키기 위해 유체 용기의 적절한 통기구를 제공하여 주의 깊게 제어되어야만 한다. 용기에 대한 적절한 통기구의 설치는 통기구가 용기 내로의 공기의 자유로운 흐름을 필요로 하고 통기구 외부로의 유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 기구의 제공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했다. 또한, 밸브 기구는 두 가지 유체의 불균등 분포를 피하기 위해 유체 분배의 개시시 동시에 개방될 수 있어야만 한다.
유체 분배 제어용 밸브 기구는 분배 작업의 종료시 유체의 혼합을 피하기 위해 유체의 용기 내로의 복귀 흐름이 방지되어야 한다. 유체의 복귀 흐름 방지용 밸브는 분배 작업동안 용기로부터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유로운 유체 흐름을 제공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유체 분배기(fulid dispenser) 분야, 특히 두 가지 유체를 제어된 방식으로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에 사용되는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를 통한 단면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단면도에 대해 직각으로 취해진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의 단면 정면도.
도 5 는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의 기부의 평면도.
도 6 은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의 기부의 배면도.
도 7 은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용 레귤레이터 부재의 배면도.
도 8 은 도 7 의 8-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9 는 도 7 의 9-9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본 발명은 단일 노즐로부터의 분배를 위해 두 개의 용기로부터 제어된 유체 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밸브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릭 레귤레이터(elastomeric regulator)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하우징을 통해 흐르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다이어프램부와 유체 용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통기 밸브 구조체를 포함한다. 특히, 하우징은 서로 결합되어 레귤레이터를 에워싸는 기부 및 덮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체 공급 입구는 유체 용기로부터 하우징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기부 내에 형성되고 유체 공급 출구는 하우징으로부터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덮개부에 형성된다.
다이어프램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포함하고 오리피스는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연장되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형성되고 출구와 연통된다. 유체 통로는 레귤레이터와 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오리피스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된다. 다이어프램 시이트는 다이어프램과의 결합을 위해 기부상에 형성되고, 유체 밀봉은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형성되어 오리피스를 통한 출구로의 유체 흐름을 형성한다.
통기 밸브 구조체는 레귤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막을 포함하고 기부에 형성된 통기구 위에 위치된다.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부로부터 이동가능하고 통기 막은 펌프에 의해 출구를 통해 적용된 부압(negative pressure)에 따라 통기구를 개방하기 위해 동시에 이동가능하다.
통기막은 통기구의 포지티브 개구(positive opening)를 제공하고 용기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포지티브 수단(positive means)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통기 밸브 구조체는 복수의 유체 용기의 균형잡힌 통기구를 제공하고, 통기 구조체의 개구는 유체 분배 작업의 개시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가지 이상의 유체의 제어된 혼합을 제공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분배동안 작동되는 통기구 구조체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배 작업이 개시될 때 발생되는 통기를 보장하기 위해 통기구 구조체가 전적으로 작동되는 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나란한 관계로 위치된 두개의 유체 용기(12, 14)를 포함하고, 유체 운송 시스템(16)과 펌프(18)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펌프(18)는 용기(12, 14)에 부착하기 위해 적용되어 유체 운송 시스템(16)을 에워싸고 펌프(18)와의 결합으로 유체 운송 시스템(16)을 유지하는 덮개(20)에 장착된다. 펌프(18)는 종래 형태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트리거(22)와 분사 노즐(24)을 포함하며, 트리거(22)의 동작은 노즐(24)로부터의 유체의 분사를 야기하고 트리거(22)의 이완은 유체가 용기(12, 14)로부터 펌프(18) 내로 상승되도록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 운송 시스템(16)은 용기(12, 14)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펌프(18)에 혼합되어 제공되는 유체의 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유체가 펌프로부터 제거될 때 용기(12, 14)의 통기를 제공한다.
유체 운송 시스템(16)은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26)와 용기(12, 14) 내로 연장되는 딥 튜브(dip tube: 28, 30)를 포함한다. 밸브 조립체(26)는 딥 튜브(28, 30)를 통한 용기(12, 14) 외부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고, 한 용기로부터 다른 용기로 유체의 전달 또는 상호전달을 방지하고 펌프(18)로부터 용기(12, 14) 내로의 유체의 복귀를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튜브(28, 30) 사이의 임의의 작은 직경 편차가 딥 튜브(28, 30)를 통한 유체의 균등한 흐름에 악역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딥 튜브(28, 30)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서로 양호하게 조화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6)는 기부(32)와 기부(32) 위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덮개부(34)를 포함한다. 기부(32)와 덮개부(34)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양호하게 형성된다. 레귤레이터 부재(36)는 편평하고 비교적 얇은 부재이며,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릭 재료로 양호하게 형성되고,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30 듀로미터(durometer)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기부(32)는 그 위에 레귤레이터 부재(36)를 수용 및 위치시키기 위해 레귤레이터 부재의 외주 경계면의 형태와 일치하는 리세스(38)를 포함한다. 또한, 기부는 조립동안 기부(32)에 대한 덮개부(34)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덮개부(34)에 형성된 구멍(42)에 결합하는 한쌍의 스터드(40)를 포함한다. 스터드(40)는 단부(41; 도 4 참조)에서 열고정되어 그 조립 조건 내에서 조립체(26)를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덮개부(34)와 기부(32)는 초음파 용접 또는 스냅 끼워맞춤(snap fit)에 의해 또는 적절한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 함께 채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이중 밸브 조립체는 단면도로 도시되고, 기부(32)와 덮개부(34)는 레귤레이터(36)를 에워싸는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유체 입구 구조체는 기부(32)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딥 튜브(28, 30)를 수용하기 위한 딥 튜브 수용부(44, 46)를 포함한다. 수용부(44, 46)는 유체 통로(52, 54) 내로 개방되는 유체 입구 개구(48, 50)와 연통된다. 유체 통로(52, 54)는 레귤레이터 부재(36)의 다이어프램부(56)와 기부(32)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다. 유체 통로(52, 54)는 기부(32)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 형성 통로(58, 60)에 의해 일부분이 형성되고 각각의 개구(48, 50)로부터 기부(32)상에 중심으로 위치된 다이어프램 시이트(62)쪽으로 연장된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부(56)는 두꺼운 중심 웨브부(central web portion: 66) 둘레의 직사각 박막부(thin rectangular membrane portion: 64)을 포함한다. 두꺼운 중심부(66)는 다이어프램 시이트(62)와 접촉하여 레귤레이터 부재(36)와 기부(32) 사이의 원형 유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위치된다. 또한, 다이어프램부(56)의 두꺼운 웨브부(66)는 다이어프램부(56)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로 연장되어 유체가 다이어프램부(56)의 하부측으로부터 덮개부(34) 내의 튜브(71)에 의해 형성되는 출구(70)까지 상향으로 통과하는 오리피스(68)를 포함한다. 튜브(71)는 펌프(18)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18)의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하도록 된다.
따라서, 유체는 유체 입구 구조체를 통해 하우징 내로 운송될 때, 유체 통로(52, 54)에 의해 오리피스(68)쪽으로 운송되어 출구(70)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나간다. 오리피스(68)를 통한 유체의 통로는 다이어프램부(56)를 다이어프램 시이트(62)와의 결합부 외부로 상승시키는 차압(differential pressure)을 포함한다. 박막부(64)는 그것이 시이트(62)로부터 다이어프램(56)을 이동시키기 위한 최대량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부재(36)의 두께에 비해 매우 얇은 요소이다.
다이어프램(56)의 박막부(64)가 개구(48, 50)로부터 오리피스(68)까지 유체를 운송하는 유체 통로를 부가로 형성하는 기부(32)와 다이어프램부(56) 사이에 공동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밀봉부(72)는 레귤레이터 부재(36)의 하부면과 기부(32)의 상부면 사이의 유체 밀봉 결합부를 위해 레귤레이터 부재(36)의 하부면상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밀봉부는 레귤레이터 부재(36)의 상부면과 덮개부(34)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어, 밀봉부는 평탄한 표면, 리브(rib) 및 비드(bead)와 협력하는 형태로 될수 있다. 덮개부(34)에는 박막부(64)상에서 떨어져 지지하여 소정 압력으로 다이어프램 시이트(62)상의 결합부 내로 다이어프램부(56)를 편의시키기 위해 원형 압력 리브(74)가 제공된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도 4, 도 5 및 도 7 을 참조하면, 기부(32)에는 다이어프램 시이트(62)로부터 정반대로 연장되는 한쌍의 분할 리브(76, 78)가 제공된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부(56)의 두꺼운 중심 웨브부(66)는 리브(76, 78)와 결합해서 유체 통로(54)로부터 유체 통로(52)를 분할하는 한쌍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분할 부재(80, 8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다이어프램부(56)가 다이어프램 시이트(62)와 밀봉 접촉으로 위치될 때 두개의 유체 통로(52, 54)가 밀봉된다는 점에서 두개의 개구(48, 50) 사이의 유체의 전달 또는 상호전달은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예를 들어, 용기(12, 14)로부터 다른 용기(12, 14)까지의 유체의 상호전달은 용기(12, 14)중 하나가 저장 또는 충액동안 발생하는 것과 같이 나머지 하나보다 높은 압력을 가질 때 방지된다.
도 3 및 도 6 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26)는 덮개부(34)와 기부(32)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의 대향측부상에 위치되는 개구(84, 86)를 포함하는 공기 입구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고, 개구(84, 86)를 통해 공기 통로(88, 90) 내로 통과하는 공기는 기부(32) 내의 홈에 의해 형성된다.
통기 시이트 구조체는 기부(32) 내에 형성되고 기부(32) 위로 연장되는 원뿔형 시이트(92, 94)를 포함한다. 원뿔형 시이트(92, 94)는 공기를 하우징으로부터 각각의 용기(12, 14) 내로 통과시키기 위해 통기 시이트 개구(100, 102)를 형성한다. 기부는 용기(12, 14)의 목부 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삽입되도록 되는 한쌍의 내부 덮개 부재(104, 106)를 포함한다는 것과 통기 시이트 개구(100, 102)가 덮개(104, 106) 내로 개방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레귤레이터 부재(36)는 레귤레이터 부재(36)보다 실질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도 8 참조), 원뿔형 시이트(92, 94)의 상향으로 연장된 부분에 걸쳐 연장하도록 위치되는 원형 통기막(108, 110)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기막(108, 110)은 공기 통로(88, 90)를 폐쇄하기 위해 개구(100, 102)에 걸쳐 미리 장착되고 통기 시이트 개구(100, 102)를 통한 용기(12, 14) 외부로의 유체의 흐름이 방지된다.
도 3, 도 6 및 도 8 을 참조하면, 통기 챔버(112, 114)는 통기막(108, 110)에 걸쳐 형성되고 통기막(108, 110)의 위치에서 레귤레이터 부재(36) 내의 각각의 리세스(120, 122)에 걸쳐 위치되는 덮개부(34) 내에 리세스(116, 118)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부(34) 내의 홈(124, 126)은 원형 압력 리브(74)를 통해 리세스(116, 118)로부터 덮개부(34) 내의 출구(70)에서의 중심 리세스 영역(128)까지 연장되어 통기막(112, 114)을 출구(70)와 유체 연통되도록 위치시킨다. 펌프(18)의 작동에 의한 것과 같이 부압이 출구(70)를 통해 적용될 때, 부압 영역은 통기 챔버(112, 114) 내에 생성되어 각각의 원뿔형 시이트(92, 94)와의 접촉부로부터 통기막(108, 110)을 상승시켜 통기구를 개방해 공기를 용기(12, 14) 내로 통과시킨다.
레귤레이터 부재(36)의 하부면과 기부(32)의 상부면 사이의 상기 밀봉부(72)는 공기가 유체 통로(52, 54)와의 접촉부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체가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막(108, 110) 둘레로 연장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공기 입구(84, 86)에 인접한 외부 에지 레귤레이터 부재가 공기 통로(88, 90) 내로 하향으로 연장되지 않게 하기 위해, 지지 리지(134, 136)는 레귤레이터 부재(36)의 상부면의 외주 밀봉부가 공기 통로(88, 90) 영역 내의 덮개부(34)와의 밀봉 접촉부 내에 유지되어 적절한 펌핑 동작을 막을 수 있는 레귤레이터 부재(36) 위의 하우징 내로 공기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중에, 펌프(18)는 트리거(22)에 의해 작용하여 출구(70) 내에 부압 또는 진공을 발생시킨다. 출구(70) 내의 부압에 반응하여 레귤레이터 부재(36)의 다이어프램부(56)는 다이어프램 시이트(62)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통기막 (108, 110)은 원뿔형 시이트(92, 94)로부터 상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유체 입구 구조체가 출구(70)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개방될 때, 용기(12, 14)에 통풍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기 구조체는 개방된다. 이것은 통기 시이트 개구(100, 102)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개방시의 짧은 지연이 두개의 용기(12, 14)로부터 유체를 불균등하게 분배시키고 용기중 하나의 함유물이 다른 용기의 함유물 전에 사용되는 경우에 용기(12, 14)로부터의 유체의 펌핑동안 특히 중요하다. 적절한 통기가 두개의 용기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에 더불어, 통기막(108, 110)은 펌프(18)가 작동되지 않을 때는 항상 유체 억지 밀봉이 각각의 통기 시이트 개구(100, 102)에 제공되도록 해서 통기 입구(84, 86)를 통해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어프램부(56)의 중심부 내의 오리피스(68)는 다이어프램부(56)를 다이어프램 시이트(62)와의 결합부 외부로 상승시키기 위해 실제 압력 편차가 다이어프램부(56)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개선되도록 할 만큼 충분히 작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레귤레이터 부재의 막부(64, 108, 110)는 다이어프램부(56)와 통기막(108, 110) 내에서 유체 개구 및 통기 개구가 쉽게 개방되도록 펌프(18)의 동작동안 적용되는 비교적 낮은 부압(20 in.Hg (508 mm.Hg))에 반응하는 얇은 요소로서 형성된다.
각 쌍의 유체 입구 개구(48, 50)와 통기구(96, 98)가 다이어프램 시이트(62)의 대향측부상에 위치된 것이 도시되었을 지라도, 상기 개구는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하여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용기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개구를 다른 위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귤레이터 부재(3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갖는 비교적 얇고 편평한 부재로서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직사각형은 레귤레이터 부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자동화 기계에 의한 레귤레이터 부재의 조작을 특히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 부재(36)가 직사각형 부재로서 도시되었지만, 이 부재(36)는 레귤레이터 부재(36)가 사용되는 특정 패키지 단계에 의해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로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용기 구조는 특정 용기 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다른 형태를 갖는 레귤레이터 부재(36)와 합체될 수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 부재(36)는 패키지의 양 측부에 대해 통풍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단 하나의 통기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패키지가 변형될 수도 있으며, 내부에 두개의 분리 유체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분할부를 갖는 단일 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본원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수의 용기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밸브 조립체에는 세개 이상의 용기로부터 조절된 비율로 유체를 분사하도록 부가의 유체 통로와 통기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장치의 형태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정확한 형태의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고, 특허청구범위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복수의 유체 공급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기부와 덮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덮개부 내에 형성된 출구와,
    상기 하우징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기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유체 공급 입구와,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기부와 덮개부 사이에 위치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상에 형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레귤레이터와 기부 사이에 형성되며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되는 유체 통로와,
    상기 다이어프램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기부상에 형성되어 유체 밀봉부가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형성된 다이어프램 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으로 고정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의 상부면에 적용되는 부압에 반응하여 상기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부 외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공급 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는 오리피스를 통해 흘러서 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나가는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이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부에서 고정될 때, 유체가 공급 입구들 사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를 통해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구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부터 통기구까지 공기를 운반하기 위한 통기 도관과, 상기 통기구를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에 인접한 레귤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통기 밸브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밸브는 상기 통기구를 개방시키도록 이동가능한 밸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는 상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출구로부터 적용되는 부압에 반응하여 상기 통기구로부터 떨어져 이동가능한 밸브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기구는 상기 기부로부터 레귤레이터쪽으로 연장되는 통기 시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밸브는 통기 시이트와의 접촉부에 위치되는 막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엘라스토머릭 재료로 형성되는 밸브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시이트와의 결합부로부터 다이어프램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로질러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충분히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밸브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통해 유체를 인출하기 위해, 출구에 연결되는 수동 작동 펌프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9. 기부와 덮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 내에 형성된 출구와,
    상기 하우징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기부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체 공급 입구를 포함하는 유체 공급 수단과,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와 덮개부 사이에 위치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상에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을 갖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로 연장되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레귤레이터와 기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와,
    상기 다이어프램과의 결합을 위해 기부상에 형성되어 유체 밀봉부가 하나 이상의 공급 입구와 오리피스 사이에 형성되는 다이어프램 시이트와,
    상기 기부를 통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와 하우징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통기구까지 공기를 운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기 도관을 포함하는 통기 수단과,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통기 밸브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시이트와 결합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부로부터 이동가능하고,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는 상기 출구로부터 적용되는 부압에 반응하여 하나 이상의 통기구를 개방하도록 이동가능한 밸브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 밸브는 레귤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구 위에 위치되는 밸브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수단은 제 1 및 제 2 공급 입구와, 두개의 다른 유체 용기 내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다른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 입구에 접속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수단은 유체 공급 수단에 유체를 공급하는 용기에 공기를 통기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공급 입구 각각에 인접한 기부 내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통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은 레귤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통기구 위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통기 밸브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막은 상기 출구를 통해 적용되는 부압에 반응하여 상기 통기구로부터 이동가능한 밸브 조립체.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소정 두께를 갖는 얇고 편평한 엘라스토머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밸브 수단은 하나 이상의 통기구에서 기부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레귤레이터상에 두께가 감소된 영역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5. 기부와 그 기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 내에 형성되는 출구와,
    상기 하우징 내로 유체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기부 내에 형성되는 유체 입구 구조체와,
    상기 유체 입구 구조체와 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 통로와,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를 운반하기 위한 공기 입구 구조체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운반하기 위한 통기 시이트 구조체와,
    상기 공기 입구 구조체와 통기 시이트 구조체 사이의 공기 통로와,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기부와 덮개부 사이에 위치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통기 밸브 구조체를 부가로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레귤레이터와 기부 사이에서 하우징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밸브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기부 내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 조립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얇고 편평한 엘라스토머릭 부재와, 두께가 감소된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 밸브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두께가 감소된 영역은 상기 덮개부에 면하는 상부면과 상기 통기 시이트 구조체에 면하는 하부면을 구비하는 밸브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감소된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출구와 유체 연통되는 밸브 조립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다이어프램 시이트와, 상기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다이어프램 시이트와의 결합부 내외로 이동하는 다이어프램부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유체 입구 구조체로부터 출구까지 유체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출구에서 적용되는 부압이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출구쪽으로 다이어프램부를 인출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크기인 유체 유동 영역을 형성하는 밸브 조립체.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 구조체는 상기 하우징에 동일한 양의 두가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두개의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KR1019997000038A 1996-07-08 1999-01-07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 KR20000023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78,557 US5769275A (en) 1996-07-08 1996-07-08 Dual dispensing valve assembly
US8/678,557 1996-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92A true KR20000023592A (ko) 2000-04-25

Family

ID=2472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038A KR20000023592A (ko) 1996-07-08 1999-01-07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69275A (ko)
EP (1) EP0948454A1 (ko)
JP (1) JP2000514759A (ko)
KR (1) KR20000023592A (ko)
AU (1) AU713609B2 (ko)
BR (1) BR9710148A (ko)
CA (1) CA2259649A1 (ko)
NZ (1) NZ333304A (ko)
WO (1) WO19980013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8B1 (ko) *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216A (en) * 1994-07-25 1996-06-25 Spraytec Systems Rechargeable dispensers
USD420914S (en) * 1999-04-30 2000-02-22 Colgate-Palmolive Company Pump head
USD424939S (en) * 1999-07-29 2000-05-16 Owens-Illinois Closure Inc. Trigger sprayer
US20030006247A1 (en) * 2001-07-09 2003-01-09 Jason Olivier Ingredient delivery system
US6659311B2 (en) * 2002-04-10 2003-12-09 Saint-Gobain Calmar Inc. Swivel pump dispenser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selected one of plurality of liquid compartments
US6758411B2 (en) 2002-08-09 2004-07-06 S. C. Johnson & Son, Inc. Dual bottle for even dispensing of two flowable compositions
US20040206775A1 (en) * 2003-04-18 2004-10-21 Holmes Kenneth E. Container with divided compartments
ITMI20030588U1 (it) * 2003-12-12 2005-06-13 Reggiani Fulvio Contenitore per l'erogazione di prodotti distinti
US7648083B2 (en) * 2003-12-18 2010-01-19 S.C. Johnson & Son, Inc. Power sprayer
WO2005095261A1 (en) * 2004-03-23 2005-10-13 The Meyer Company Vented valve
US20060021996A1 (en) * 2004-07-30 2006-02-02 Scott L J Iii Multi-chambered drink bottle
FI20060899L (fi) * 2006-10-11 2008-04-12 Megatech Oy Pumppulaite
US7938299B2 (en) * 2006-11-03 2011-05-10 S.C. Johnson & Son, Inc. Device for attaching a dip tube to a fluid container
US7775401B2 (en) * 2007-06-25 2010-08-17 S.C. Johnson & Son, Inc. Fluid delivery system for dispensing primary and secondary fluids
US7793678B2 (en) * 2007-10-31 2010-09-14 Lancer Partnershi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er valve
US8113239B2 (en) 2009-05-07 2012-02-14 David S. Smith America, Inc. Vented valve assembly
IT1396359B1 (it) * 2009-10-29 2012-11-19 Guala Dispensing Spa Testa di un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 liquido munita di ugello con indicazione di funzionamento.
BR112013028171A2 (pt) * 2011-05-02 2020-05-12 Mouse Trap Design, Llc Dispositivo para misturar uma pluralidade de fluidos para formular uma mistura e para dispensar a mistura
DE202011102452U1 (de) * 2011-06-24 2012-06-26 Anton Brugger Dosierspender
EP2700588B1 (en) * 2012-08-21 2015-04-01 Aptar France SAS Dispensing closure having a vent valve
EP2890501B1 (en) 2012-08-31 2021-06-16 S.C. Johnson & Son, Inc. Fluid application system
NZ718557A (en) * 2013-09-17 2016-12-23 Merial Inc Multi-chamber, multi-formulation fluid delivery system
GB2518854B (en) * 2013-10-02 2015-08-26 Melissa Grant A nozzle head
US20150122837A1 (en) * 2013-11-07 2015-05-07 Mouse Trap Design, Llc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USD743806S1 (en) 2013-12-20 2015-11-24 S.C. Johnson & Son, Inc. Combined Sprayer and Refill Bottles
US9931656B2 (en) 2014-04-18 2018-04-03 The Clorox Company Dual chamber spray dispenser
GB2542575A (en) * 2015-09-22 2017-03-29 Medimauve Ltd Twin bottle manifold
USD795082S1 (en) 2016-06-14 2017-08-22 The Clorox Company Dual chamber bottle
USD837649S1 (en) 2016-06-14 2019-01-08 The Clorox Company Dual spray dispenser
USD834168S1 (en) 2016-10-07 2018-11-20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USD831813S1 (en) 2016-10-07 2018-10-23 S. C. Johnson & Sons, Inc. Volatile material dispenser
USD834167S1 (en) 2016-10-07 2018-11-20 S. C. Johnson & Son, Inc. Dispenser
CA2977635A1 (en) * 2017-08-30 2019-02-28 Siamons International Inc. Dual compartment container adapter
US11135609B2 (en) 2017-12-28 2021-10-05 Marene Corona Multi-nozzle multi-container fluid spray device
US10974265B1 (en) * 2018-07-22 2021-04-13 Paul Sung Ventresca LLC Spray device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7241A6 (ko) * 1969-08-07 1971-05-21 Oreal
BE757489R (fr) * 1969-11-07 1971-04-14 Oreal Valve perfectionnee pour recipient pressurise distributeur de plusieursproduits
CH528308A (it) * 1970-07-15 1972-09-30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due distinti liquidi da un contenitore di aerosol
US3760986A (en) * 1970-08-19 1973-09-25 Schuyler Dev Corp Dispensing bottles with pump mean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US4020977A (en) * 1974-06-24 1977-05-03 Hechler Iv Valentine Continuous flow ratio monitor
US4083474A (en) * 1977-03-21 1978-04-11 Weyerhaeuser Company Applicator gun for multi-component resin systems
US4489861A (en) * 1979-05-21 1984-12-25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CA1126614A (en) * 1981-07-06 1982-06-29 Robert J. Demers Reed valve assembly
US5021219A (en) * 1988-12-08 1991-06-04 The Coca-Cola Company Gas generator for a carbonated drink dispenser
US5033644A (en) * 1989-03-31 1991-07-23 Tentler Michael L Precision dispensing of varying viscosity fluids in a prescribed mix ratio
US5033648A (en) * 1989-11-14 1991-07-23 Sanden Corporation Mixing apparatus in which mixing is effectively carried out about various beverages supplied from beverage paths into a mixing space
FR2662672B1 (fr) * 1990-05-31 1992-08-21 Aerosols & Bouchage Dispensateur de melange.
US5152461A (en) * 1990-10-01 1992-10-06 Proctor Rudy R Hand operated sprayer with multiple fluid containers
US5402916A (en) * 1993-06-22 1995-04-04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Dual chamber sprayer with metering assembly
US5398846A (en) * 1993-08-20 1995-03-21 S. C. Johnson & Son, Inc. Assembly f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multiple fluids
US5542670A (en) * 1995-07-17 1996-08-06 Playtex Products, Inc. Flow control element and covered drinking c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88B1 (ko) * 2010-04-06 2012-06-18 홍기술 약액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3609B2 (en) 1999-12-09
JP2000514759A (ja) 2000-11-07
CA2259649A1 (en) 1998-01-15
AU3583897A (en) 1998-02-02
NZ333304A (en) 2000-06-23
US5769275A (en) 1998-06-23
EP0948454A1 (en) 1999-10-13
WO1998001385A1 (en) 1998-01-15
BR9710148A (pt) 199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3592A (ko) 이중 분배 밸브 조립체
KR100191879B1 (ko) 복수 유체의 동시 분배 장치 및 분배 방법
EP3192747B1 (en) Containers and methods for isolating liquids prior to dispensing
EP1021369B1 (en) Gravity feed fluid dispensing valve
US6165154A (en) Cassette for intravenous-line flow-control system
JP3395065B2 (ja) 泡分与装置及びこの種の分与装置用の押しボタン
JP4223624B2 (ja) 液体分配装置及び液体保持容器
CN109310231A (zh) 可调节的添加剂输送系统和方法
US4709836A (en) Fluid flow nozzle
JPH03505379A (ja) 用量投与システム及び方法
US3704812A (en) Multi-component dispenser and valve
KR102558486B1 (ko)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EP4180381A1 (en) Anti-drip system for a filling nozzle with a membrane
US4964532A (en) Open top tank having a removable and sealable lid with a flow rate control device supported therein
US20210354156A1 (en) Spouting container
CN1225073A (zh) 双重分配阀组件
US20230264210A1 (en) Remote foam generators and foam at a distance dispenser systems
US20230240482A1 (en)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at-a-distance dispenser systems
JP2006503769A (ja) 流体ディスペンサ
KR850001643B1 (ko) 포스트 믹스(post mix) 음료분배기용 시럽팩케이지(syrup package)
CA1300086C (en) Open top tank having a removable and sealable lid with a flow rate control device supported therein
KR20230131176A (ko) 밸브
KR20200004025A (ko) 액상사료 급이용 밸브
FI72705C (fi) Ventilsystem vid system foer distribuering av post-mix-drycker.
JP2018174788A (ja)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