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567A -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567A
KR20000023567A KR1019997000011A KR19997000011A KR20000023567A KR 20000023567 A KR20000023567 A KR 20000023567A KR 1019997000011 A KR1019997000011 A KR 1019997000011A KR 19997000011 A KR19997000011 A KR 19997000011A KR 20000023567 A KR20000023567 A KR 20000023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keyframes
keyframe
display
analog qua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에르트알베르트마리아아르놀드
데니쎈아드리아누스요하네스마리아
모우리크얀피에테르레엔데르트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2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5Serpentine format, wherein a single track or group of tracks traverses the tape plural times from one end to the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물리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놓이고, 복수의 비디오 키프레임을 나란하게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논리 트랙으로서 총괄적으로 액세스가능한 복수의 트랙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가 동작한다. 실제 재생은 특정한 표시된 키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액세스함으로써 제어된다. 특히, 표시된 복수의 키프레임 중에서 다양한 키프레임이 아날로그 양을 갖는 수치에 근거한 디스플레이와 관련되어, 관련된 키프레임에 속하는 실제 재생이 실제로 시작되기 전에 필요한 예상된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물리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놓이고, 복수의 비디오 키프레임(keyframe)을 나란하게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논리 트랙으로서 총괄적으로 액세스가능한 복수의 트랙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동작시키고, 특정한 표시된 키프레임의 선택적인 액세스를 통해 실제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방법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명의로 출원되고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 내에 통합된 미국 특허출원 제 09/015878호에 개시되어 있다.
나중에 선택적으로 재생을 하기 위해 기록된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의 대표적인 부분으로서 복수의 키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른 문헌에서 제안된 바 있다. 이때, 상기한 프리젠테이션의 특질은, 영화, 뉴스, 또는 예를 들면 쇼핑 목록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최신 기술로는, S.W. Smoliar and H.J. Zhang, IEEE Multimedia, Summer 1994, pages 62-72에 기재된 문헌 'Content-Based Video Indexing and Retrieval'을 들 수 있다. 재생과정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과정은 기록, 편집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인 트랙의 평행한 특징은, 그것들이 근본적으로 테이프의 시작점으로부터 테이프의 종료점까지 나란하게 주행한다는 점이다. 이와 달리, 복수의 트랙이 테이프를 가로질러 경사지게 주행하여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놓인다는 점에서 평행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키프레임은 일부 도출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전제 하에서 비디오물을 수신했을 때 이 비디오물로부터 도출되거나, 예를 들면, 각각의 새로운 비디오 샷(shot)이 한 개의 키프레임으로 시작된다는 점에서, 키프레임이 비디오 제공자에 의해 그대로 라벨이 붙여질 수 있다. 세 번째 할당 메카니즘은, 균일한 재생 시간간격 또는 균일한 테이프 상의 거리에 의해 복수의 키프레임을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식적으로 비디오물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용한 장치와 결합하여,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동적인 개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키프레임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한편, 물리적인 복수의 트랙을 단일의 논리 트랙으로 직렬 스트링화하는 것은 다양한 복수의 프레임의 액세스 가능성에 대해 복잡한 영향을 미치며, 실제 액세스를 위해 필요한 경과시간은 더 이상 실제 키프레임과 의도되거나 목표가 되는 키프레임 사이의 재생시간에 비례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각각의 개별적인 물리 트랙은 준순시적인(quasi-instantaneous) 교차트랙(cross-track) 점핑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물리적 트랙을 따른 운동은 테이프를 감거나 다시 감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다양한 서로 다른 프리젠테이션은, 이것들이 일부 방법 또는 이와 다른 방법에 따라 인터리브식으로 저장된다는 점에서, 동일한 물리적 테이프 상에서 액세스 가능한 경우에 이와 유사한 메카니즘이 존재한다. 따라서, 재생과정은, 실제의 연속적인 재생이 시작되기 전에 적절한 수준으로 적재되어야 하는 일종의 버퍼링 메카니즘을 필요로 한다. 이에, 사용자는 비디오 테이프를 빨리 진행시키는 모든 종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원하는 키프레임에 이르기까지 생긴 지연을 알고 싶어하는데, 이러한 지연은 일반적으로 테이프의 물리적 특성이나 저장 포맷을 알지 못하는 경험이 없는 소비자에 대해 명료해야 한다.
(발명의 요약)
결국,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목적은, 경험이 없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키프레임이 액세스될 수 있을 때까지의 실제적인 지연을 시각적으로 표시함에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아날로그 표지는 사용자에 의해 나란하게 표시된 복수의 키프레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구나, 아날로그 표지의 값을 발생하는 알고리즘은 자명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아날로그 표지는 관련된 프레임을 프레임화함으로써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를 키프레임 픽처의 약간 외부에 놓으면, 키프레임 자체에 포함된 정보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아날로그 표시는 칼라이다. 특히, 칼라는 실제로 한 눈에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매우 길이가 긴 비디오 기록물을 액세스하기 위한 극히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아날로그 양으로는, 칼라, 그레이 스케일, 온도 코드, 또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숫자, 문자 등을 디코딩하지 않고도 곧바로 명료하게 하는 값을 갖는 여타의 적절한 항목이 사용될 수 있다. 그 각각이 개별적인 키프레임에 속하는 복수의 양이 나란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상기한 수치는 일반적으로 정적인 수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방법은, 경과시간을 감소하는 한편, 비디오 양을 이러한 감소에 따라 변경하도록 구성된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비디오 버퍼를 사용하여 향상된 테이프 레코더와 연계하여 사용된다. 비록, 다양한 예에서 경과시간이 상당한 양 만큼 감소할 수 있지만, 그것의 나머지 값은 그것의 특정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상당한 경과시간이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도록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부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특징부 및 이점과 또 다른 특징부 및 이점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용을 참조하여, 특히 다음과 같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TV-레코더 조합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논리적인 테이프의 레이아웃이며,
도 3은 비디오 기록물의 구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스크롤링(scrolling) 모자이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며,
도 5a∼도 5e는 단일 키프레임의 다양한 포맷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특히, 일반적인 사용자와 개인 가정용에 속하는 다양한 이점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복수의 키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이것들이 문제시되는 비디오 크기와 관련하여, 통상적인 TV 시청거리에 놓인 사용자에 의해 서로 식별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가정용 텔레비젼 세트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거리는 수 미터에 이르고, 데스크탑의 경우에는 약간 작은 값을 갖는다.
· 스크린 상에 나란하게 주어지는 키프레임의 개수는, 사용자에게 디지탈 비디오물의 내용의 상당한 부분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 복수의 키프레임은 식별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왜곡되지 않은 방식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 바람직하게는, TV 세트 자체의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제어 입력장치로서 동작한다.
· 피드백은, 피드백에 관련된 정보가 일상적인 텔레비젼 세트의 통상적인 시청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의 선형 모델을 반영해야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1은 TV-레코더의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항목 20은 TV 세트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중간 제어 및 전원장치를 표시한다. 항목 22는 안테나, 또는 케이블 분배와 같은 다른 형태의 신호 분배물과의 접속을 표시한다. 항목 22는, 적절한 경우에는, 수신된 신호로부터의 디지탈 비디오 정보 또는 디지탈 신호부의 도출을 포함한다. 항목 34는,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서브시스템 사이에서의 비디오 스트림과 관련된 정보의 경로지정을 표시한다. 이러한 경로지정은 라인(35) 상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박스(34)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한 라인은 단일의 양방향 상호접속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임의의 수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라인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박스(34)는 디스플레이(20)와 또 다른 서브시스템 38 및 40으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후자의 서브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때, 블록 38은 멀티-기가바이트 영역에 있는 매우 높은 저장용량을 갖는 선형 테이프 레코더이다. 블록 40은 높은 저장용량을 갖지만 상기한 레코더(38)의 용량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저장용량을 갖는 자기 디스크 레코더인 반면에, 레코더(40)에서의 액세스는 교차트랙 점핑을 통해 휠씬 빠르다. 블록 38 및 40은 함께 컴퓨터 메모리 캐시 시스템과 다소 유사한 2단계의 저장 구조를 구성하며,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의 모든 항목을 적어도 한번은 저장한다.
도 2는 비디오테이프의 논리적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물리적 테이프는 좌측(테이프의 시작점)으로부터 우측(테이프의 종료점)으로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테이프는 42개의 물리적 트랙을 갖는다. 이중에서, 41개의 트랙은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한줄로 연결되어 단일의 논리 트랙을 형성한다. 이때, 비디오물의 저장은 짝수의 트랙 상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진행하는 반면에, 홀수의 트랙 상에서는 저장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진행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십자표는 다양한 트랙 상에 있는 복수의 아이콘 또는 키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프레임의 총수가 400개로 제한된다. 키프레임을 할당하기 위한 선택은 연속적인 복수의 키프레임 사이의 균일한 물리적 거리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데, 트랙 40은 비디오를 저장하는 키프레임이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 한줄로 연결된 물리적인 트랙에 덧붙여, 또 다른 트랙 41이 디렉토리 부분(A)에 실제 키프레임에 대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고 부분 B에 다양한 키프레임과 관련된 개별적인 장면에 대한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비디오물의 액세스에는 2가지 종류의 비디오 기록헤드의 이동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상기한 기록헤드는 한번에 모든 트랙보다 휠씬 적은 트랙을 액세스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1개의 물리적인 트랙을 액세스할 수 있는 헤드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1개의 트랙을 따른 이동에는 수분에 이르는 상당한 양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물리적인 테이프를 횡단하는 점핑은 거의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C에서 D까지의 비디오 간격을 실제로 재생하는 데에는 수분이 걸리지만, 실제 키프레임 C로부터 실제 키프레임 D로의 점핑에는 매우 짧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C에서 E까지의 재생시간은 C에서 D까지의 재생시간의 절반에 해당하지만, 심지어 빠른 감기 조건에서도 키프레임 C와 키프레임 E 또는 키프레임 F 사이의 경과시간은 상당히 길 수 있다.
도 3은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의 구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비디오물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바아(bar) 60은, 복수의 프레임의 형태 또는 MPEG 코딩과 같이 압축된 비디오물의 스트링으로서 비디오 그 자체를 포함한다. 비록, 실제 저장에 대한 요구조건은 시간에 대해 균일할 필요는 없지만, 비디오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정보가 바아를 따라 저장된다. 산재된 복수의 키프레임을 68과 같은 흑색의 수직 줄로 나타내었다. 키프레임은 다음의 키프레임에 이르는 간격에서 전체 비디오를 대표하거나 전체 비디오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한가지 실현방법은, "목록(table of contents)"(TOC)에 일부 라벨 또는 삽입물을 부가함으로써 비디오 제공자가 각각의 새로운 샷의 첫 번째 프레임을 그것의 키프레임으로서 선별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현방법은, 수신기가 일부 알고리즘을 통해, 비디오 콘텐트가 한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다음 프레임으로 갑자지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알고리즘을 자명한 것으로 여긴다.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이것들의 분포는 불균일할 수 있다. 또 다른 메카니즘은, 연속적인 복수의 키프레임이 매 10초와 같은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표시 62에 복수의 키프레임 만을 나타내었다. 더구나, 상기한 복수의 키프레임은 일부 계층으로 구성되는데, 표시 64는 고도로 적합한 복수의 키프레임으로 구성된 제안된 세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계층화는 다중레벨을 가질 수 있는데, 표시 66은 모든 비디오 프리젠테이션(60)에 대한 단지 한 개의 키프레임과 연관된 것이다. 다양한 레벨의 키프레임이 전술한 구조 중 서로 다른 구조로 결정될 수 있으며, 심지어 나란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 1 상에서의 저장 매핑(mapping)은,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의 본체가 테이프 레코더(38)에 저장되는 한편, 적어도 복수의 키프레임이 가능하다면 관련된 키프레임에 바로 뒤따르는 짧은 비디오 간격과 조합하여 디스크 레코더(40) 내에서 재생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종종 실시간 액세스인 것으로 착각될 수 있다. 보통, 비디오 프리젠테이션은 영화와 같이 기본적으로 선형이다. 또 다른 용도는, 특정한 저장 간격이 애니메이션, 정지영상,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다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키프레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이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문제시되는 키프레임 이전에 있는 시간간격을 그것의 뒤에 있는 시간간격과 효율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리셋 특성은 이와 같은 간격을 다시 분리한다. 또한, 일정한 시간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된 부류와 같은 다양한 부류의 키프레임이 억제될 수 있다. 국부적 알고리즘에 의해 발생된 키프레임에 대해 제공자에 의해 도입된 키프레임과 같이, 다양한 서로 다른 부류의 키프레임이 한 개의 프리젠테이션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스크롤링 모자이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모든 스크린은 좌측 상단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좌측으로부터 우측 아래로 진행한 후 하단의 우측 모서리로 진행하는 20개의 키프레임을 표시하며, 각각의 키프레임은 도시된 복수의 키프레임의 전체 순위에 있는 그 자체의 번호를 갖는다. 실제로, 키프레임 144는 사각형의 제어 커서에 의해 하이라이트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를 활성화함으로써 표시된 복수의 키프레임 상으로 제어 커서를 자유롭게 움직일 뿐 아니라, 제어장치 상에서의 항해 제어를 통해 상단 및 하단 바아에 표시된 버튼 위로 제어 커서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 커서를 상당 좌측 모서리에서 좌측으로 움직이면, 디스플레이는 20개의 키프레임 만큼 뒤로 점프한다. 하당 우측 모서리에서 우측으로 움직이면 20개의 프레임 만큼 전방으로 점프하게 된다. 전체 스크린의 상단 바아를 액세스하는 것은 실제로 프리젠테이션의 다른 부분을 액세스하기 위한 단축 제어에 해당하는데, 이때 상기한 프리젠테이션의 다른 부분은 5개의 길이가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되고, 흑색의 수평 바아는 여기에 표시된 20개의 키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전체 프리젠테이션의 시간을 나타낸다.
먼저 특정한 키프레임을 선택한 다음 하단에 있는 복수의 버튼 중에서 한 개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기능을 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시청"은 커서에 의해 액세스된 키프레임에 위치한 시작점을 제어할 수 있다. "세그먼트 시청"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다음 키프레임에서 종료하는 한 개의 세그먼트 만을 재생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x에서 y까지의 시청"은, 2개의 커서에 의해 액세스된 키프레임의 시간상으로 가장 빠른 위치에 있는 시작점과, 2개의 커서에 의해 액세스된 키프레임의 시간상으로 가장 늦은 종료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키프레임 선택 기능과 조합하여 다양한 또 다른 제어모드 또는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의 예로는, 사용자가 특정한 순간에 대한 특정한 간격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순방향(fast-forward) 또는 저속-순방향(slow-forward), 또는 특정한 비디오 효과를 얻기 위한 역방향(reverse) 모드이다. 표시과정 동안, 특정한 키프레임에 속하는 시간을 통과하면, 이 키프레임은 활성화되어, 다음 키프레임과 관련된 순간에 도달할 때까지 비디오 스트림을 표시한다. 그 결과, 다음 프레임이 활성 프레임으로 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단일 키프레임에 대한 다양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있어서는, 키프레임의 정적 콘텐트를 태양의 이미지로 심벌화하였다. 발생할 수 있는 경과시간의 아날로그 표지를 한 개의 프레임에 의해 이미지의 모서리를 따라 나타내었다. 이때, 지연에 대한 표지는 칼라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색은 15초보다 작은 지연을 나타낸다. 황색은 15초 내지 45초의 범위를 갖는 지연을 나타낸다. 적색은 45초보다 큰 지연을 표시한다. 물론, 다른 칼라 및 중간 칼라가 다양한 지연값의 신호화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레이 스케일이나 이것과 칼라와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5b에 있어서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지가 주어지지만, 여기에서는 키프레임의 좌측 모서리에만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5a에 비해 스크린 영역의 일부를 절약할 수 있지만, 특정한 키프레임에 대한 칼라 바아의 연관이 정확하여야 한다는데 주의해야 한다. 도 5c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표지를 키프레임의 작은 모서리 블록으로만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은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배치보다 스크린 공간을 한층 더 절약한다. 도 5d는 아날로그 양을 척도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바아의 하부는 녹색인 반면에, 바아의 상부는 적색일 수 있다. 표지는 바아의 녹색 부분의 실제 길이에 의해 표시된다. 모든 값의 아날로그 양을 허용하는 대신에, 5 또는 10과 같이 그것의 유리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e에 있어서는, 표지의 포맷이 도 5b의 포맷과 거의 일치하지만, 아날로그 표지가 디지탈 표지를 통해 개량된 것이다. 예를 들면, 경과시간이 비교적 길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맷에 있어서 적색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디지탈 표지가 실제 지연을 분 단위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연값이 대략 2분이다.

Claims (7)

  1. 물리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놓이고, 복수의 비디오 키프레임을 나란하게 선택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단일의 논리 트랙으로서 총괄적으로 액세스가능한 복수의 트랙을 갖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동작시키고, 특정한 표시된 키프레임의 선택적인 액세스를 통해 실제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된 복수의 키프레임 중에서 다양한 키프레임을 아날로그 양을 갖는 수치에 근거한 디스플레이와 관련시킴으로써, 관련된 키프레임에 속하는 실제 재생이 실제로 시작되기 전에 필요한 예상된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양은 상기 관련된 키프레임을 프레임화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양은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양은 디지탈 표시를 통해 개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을 감소하는 한편, 상기 비디오 양을 상기 감소에 따라 변경하도록 구성된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비디오 버퍼를 사용하여 향상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연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물리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놓이고, 단일의 논리 트랙으로서 총괄적으로 액세스가능한 복수의 트랙을 갖는 테이프를 사용하며, 복수의 비디오 키프레임을 나란하게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특정한 표시된 키프레임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검출했을 때 실제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표시된 복수의 키프레임 중에서 다양한 키프레임을 아날로그 양을 갖는 수치에 근거한 디스플레이와 관련시켜, 관련된 키프레임에 속하는 실제 재생이 실제로 시작되기 전에 필요한 예상된 경과시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시간을 줄이도록 구성된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비디오 버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비디오 양을 상기 감소에 따라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1019997000011A 1997-05-06 1999-01-05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00023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1345 1997-05-06
EP97201345.2 1997-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67A true KR20000023567A (ko) 2000-04-25

Family

ID=822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011A KR20000023567A (ko) 1997-05-06 1999-01-05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18117B1 (ko)
EP (1) EP0910852A2 (ko)
JP (1) JP2000514947A (ko)
KR (1) KR20000023567A (ko)
CN (1) CN1229510A (ko)
WO (1) WO19980509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919A (ja) * 2001-04-18 2002-10-25 Toshiba Corp 記録情報管理装置、記録情報管理方法及び記録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50038327A (ko) * 2003-10-22 2005-04-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튜너 내장형 브이씨알의 재생 위치 탐색 장치 및그 방법
US20110191679A1 (en) * 2010-02-02 2011-08-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Media Preview
US9445135B2 (en) 2010-09-17 2016-09-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rub preview services
US8990690B2 (en) 2011-02-18 2015-03-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dia nav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111A (en) * 1979-09-04 1983-12-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capacity data cartridge system and preformatted cartridge for use therein
US5285265A (en) * 1990-12-15 1994-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informing of programmed recording
EP0526064B1 (en) * 1991-08-02 1997-09-10 The Grass Valley Group, Inc. Video editing system operator interface for visualization and interactive control of video material
IL100252A0 (en) * 1991-12-05 1992-09-06 D S P Group Israel Ltd Video cassette directory
US5546191A (en) * 1992-02-25 1996-08-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731469A3 (en) * 1995-03-10 1997-02-26 Hitachi Ltd Video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tape
US5892633A (en) * 1996-01-26 1999-04-06 Exabyte Corporation Dynamic control of magnetic tape drive
US6340971B1 (en) * 1997-02-03 2002-01-22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50921A3 (en) 1999-02-18
WO1998050921A2 (en) 1998-11-12
JP2000514947A (ja) 2000-11-07
CN1229510A (zh) 1999-09-22
EP0910852A2 (en) 1999-04-28
US6718117B1 (en)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09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KR101699902B1 (ko) 디지털 저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KR100806467B1 (ko) 사용자 특정 정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애노테이팅
KR100839251B1 (ko) 썸네일을 이용한 북마킹 방법
EP1513151B1 (en)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moving picture data
KR100323556B1 (ko)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기록 재생 장치
CN100399459C (zh) 访问内容的方法与装置
KR20090022094A (ko)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에서 녹화물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
JP2000350165A (ja) 動画像記録再生装置
WO1998034181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JP3692859B2 (ja) 映像情報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00023567A (ko)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중 키프레임 스크린에 키프레임 기반의 비디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H0779404A (ja) ビデオの代表画像一覧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H04237284A (ja) 映像内容圧縮表示処理方法
KR101176069B1 (ko) 저장된 방송 목록에 대한 빠른 정보검색(quick browsing) 기능을 갖춘 PVR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1930903B1 (e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0232473A (ja) 動画像検索編集方法
KR100633711B1 (ko) 멀티키프레임스크린의비디오커서프레임을사용하는키프레임에기초한비디오디스플레이방법및장치
KR100664010B1 (ko) 부가정보를 이용한 영상신호의 재생 장치 및 방법
JP3268789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EP1930905A2 (en) Recording Method
KR20020015392A (ko) 기록 매체상에 기록 공간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JP3165500B2 (ja) 画像情報検索装置
JP200929048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H1116215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