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396A -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396A
KR20000023396A KR1019990040947A KR19990040947A KR20000023396A KR 20000023396 A KR20000023396 A KR 20000023396A KR 1019990040947 A KR1019990040947 A KR 1019990040947A KR 19990040947 A KR19990040947 A KR 19990040947A KR 20000023396 A KR20000023396 A KR 2000002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iral
helical
conductor por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오 하마라츠
Original Assignee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with folded element or elements,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operating wavelength
    • H01Q9/27Spir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는 단일 나선형 코일(3)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축방향으로 확장된다. 고리형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로부터 절연되고 동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의 주변에 배치된다. 고리형 도체부는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의 중간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TWO-RESONANCE HELICAL ANTENNA CAPABLE OF SUPPRESSING FLUCTUATION IN ELECTRIC CHARACTERISTIC WITHOUT RESTRICTION IN SIZE OF A HELICAL COIL}
본 발명은 이동 통신용 이동 터미널 장치에 장착된 나선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의 타입은 급전부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부, 크기 또는 내부 직경이 서로 다르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나선형 코일쌍, 및 내부 직경이 서로 다르며 유전체로 이루어진 비도전성 가이드쌍을 포함한다. 나선형 코일은 내부 직경에 있어 작거나 크며 각각 작은 나선형 코일 및 큰 나선형 코일로 명명된다. 마찬가지로, 비도전성 가이드 역시 내부 직경에 있어 작거나 크며 각각 작은 가이드 및 큰 가이드로 명명된다. 나선형 코일은 각각 비도전성 가이드를 통하여 도전성 홀더에 접속되며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비도전성 가이드는 나선형 코일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 나선형 코일 및 비도전성 가이드의 결합부는 비도전성 커버로 커버된다.
조립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큰 나선형 코일은 원통형의 큰 가이드 외부면에 장착된다. 큰 가이드의 내부면 내부에서, 작은 막대형 가이드는 가이드의 외부면에 작은 나선형 코일이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두개의 나선형 코일은 전기적으로 다르다. 외부 나선형 코일로서 큰 나선형 코일은 제 1 공진 주파수로서 낮은 공진 주파수를 반송하는 반면 내부 나선형 코일로서 작은 나선형 코일은 제 2 공진 주파수로서 높은 공진 주파수를 반송한다.
상술한 구조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설계시 여러가지 제한을 가진다.
첫째, 선형 컨덕터보다 높이가 낮은 두개의 나선형 코일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내부 나선형 코일은 상대적으로 큰 내부 직경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외부 나선형 코일은 필연적으로 내부 직경이 증가한다.
둘째, 두개의 나선형 코일은 평행으로 접속되고 동축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나선형 코일의 크기(특히, 내부 나선형 코일의 크기)가 상술한 배치에 따라 제한되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일 수 없다.
세째, 두개의 나선형 코일은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상 서로 간섭된다. 결과적으로 전기 특성은 나선형 코일중 한개에 의해 얻어진 특성과 다르게 된다. 만일 나선형 코일중 한개의 파라미터가 변한다면, 제 1 및 제 2 공진 주파수는 모두 변할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주파수 밴드로 주파수를 동조하기 위해, 두개의 나선형 코일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두개의 나선형 코일의 형상 변동에 의해 전기적 특성에서 이중의 영향이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형상 변동이 가능한 작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두개의 나선형 코일이 서로 겹쳐진 동축 방식으로 배치되는 기본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나선형 코일(특히, 내부 나선형 코일)의 크기는 제한되고 적은 공차만이 허용된다. 또한, 전체 안테나 크기의 축소가 제한된다. 게다가, 나선형 코일은 서로 간섭되기 때문에 형상 변경은 전기적 특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구조상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형 코일의 크기의 제한없이 전체 안테나의 크기를 축소 할수 있고 전기적인 특성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함으로써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a 및 1b 는 각각 종래 기술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의 투시도 및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의 투시도 및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2a 및 2b 에 도시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안테나의 VSWR(전압/정재파비) 대 주파수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a,4b 및 4c 는 다른 배치에 있는 도 2a 및 2b 를 도시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의 도체부의 다양한 위치에 따른 이득 손실 대 주파수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의 투시도 및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홀더 2 : 막대형 가이드
3 : 나선형 코일 4 : 원통형 가이드
5 : 도체부 6 : 커버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축방향으로 확장된 단일 나선형 코일 및 상기 나선형 코일로부터 절연되고 동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일축 방향으로 나선형 코일의 중간에 배치된 고리형 도체부를 포함하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가 제공된다.
나선형 코일 및 도체부는 0 < x < 0.1λ 를 만족하는 거리(x)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여기에서 λ는 거리(X)에 응답하여 가변하는 공진 주파수의 파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급전부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 도전성 홀더 및 절연 및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 주변에 배치되고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원통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는 가이드의 외부면의 국부 영역에 도전성 물질을 도금하거나 기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급전부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 도전성 홀더,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외부면에 나선형 코일이 장착되도록 결합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막대형 가이드 및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홀더 단부 및 나선형 코일이 장착된 전체 가이드를 커버하는 비도전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는 커버의 내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스프링 부재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먼저 종래 기술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 대해 기술한다.
도(1a,1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이동 터미널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고 급전부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 도전성 홀더(7), 내부 직경이 서로 다르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나선형 코일쌍(11,12), 및 내부 직경이 서로 다르며 유전체로 이루어진 비도전성 가이드(8,9)를 포함한다. 나선형 코일(11,12)은 내부 직경이 각각 크고 적으며 각각 큰 나선형 코일(12) 및 작은 나선형 코일(11)로 명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도전성 가이드(8,9)는 내부 직경이 각각 크고 적으며, 각각 작은 가이드(8) 및 큰 가이드(9)로 명명될 수 있다. 나선형 코일(11,12)은 각각의 비도전성 가이드(8,9)를 통하여 홀더에 접속되며,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비도전성 가이드(8,9)는 나선형 코일(11,12)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나선형 코일(11,12) 및 비도전성 가이드(8,9)의 결합부는 비도전성 커버(10)로 커버된다.
특히, 조립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큰 나선형 코일(12)은 원통형 큰 가이드(9)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큰 가이드(9)의 내부에서, 막대형의 작은 가이드(8)는 외부면에 작은 나선형 코일(11)이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나선형 코일(11,12)은 전기적으로 서로 다르다. 내부 나선형 코일이 제 2 공진 주파수(F2)로서 높은 공진 주파수를 반송하는 반면 외부 나선형 코일로서 큰 나선형 코일(12)은 제 1 공진 주파수(F1)로서 낮은 공진 주파수를 반송한다.
상술한 구조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설계시 여러가지 제한을 갖는다.
첫째, 높이에 있어 선형 도체보다 낮은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내부 나선형 코일(11)은 상대적으로 큰 내부 직경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외부 나선형 코일(12)은 필연적으로 내부 직경이 증가한다.
둘째,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은 평행으로 접속되고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나선형 코일의 크기(11,12)(특히, 내부 나선형 코일(12)의 크기)가 상술한 배치에 따라 제한되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의 크기는 제한을 받는다.
세째,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은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기 특성상 서로 간섭된다. 결과적으로 전기 특성은 나선형 코일(11,12)중 한개에 의해 얻어진 특성과 다르게 된다. 만일 나선형 코일(11,12)중 한개의 파라미터가 변한다면, 제 1 및 제 2 공진 주파수(F1,F2)는 모두 변할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주파수 밴드로 상기 주파수를 동조하기 위해,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의 형상 변동에 의해 전기 특성상 이중의 영향이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형상 변동이 가능한 작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두개의 나선형 코일(11,12)이 서로 겹쳐진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본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나선형 코일(11,12)(특히, 내부 나선형 코일(12))의 크기는 제한되고 적은 공차만이 허용된다. 또한, 전체 안테나의 크기의 축소가 제한된다. 게다가, 나선형 코일(11,12)은 서로 간섭되기 때문에 형태의 변경은 전기적 특성상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구조상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이 시작된다.
우선, 도(2a,2b)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홀더(1),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유전체로 이루어진 막대형 가이드(2), 및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일축방향으로 확장된 단일 나선형 코일(3)을 포함한다. 나선형 코일(3)은 나선형 코일(3)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2)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외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3)을 가진 가이드(2)는 홀더(1)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큰 내부 직경을 가지며 유전체로 이루어진 원통형 가이드(4)를 포함한다. 원통형 가이드(4)는 원통형 가이드(4)의 외부면의 국부 영역에 도전성 물질을 도금 또는 기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된 고리형의 도체부(5)가 제공된다. 가이드(4)는 홀더(1)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4)는 나사형 코일(3)로부터 절연 및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3) 주변에 배치된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소자는 비도전성 커버(6)로 커버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소자는 동축 방향으로 접속되고 배치된다.
조립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도체부(5)는 가이드(4)의 외부면의 국부 영역에 형성된다. 나선형 코일(3)의 내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을 가진 가이드(2)는 가이드(4)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3)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3)의 주변에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의 크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나선형 코일(3) 및 도체부(5)는 0 < x < 0.1λ 를 만족하는 거리(x)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여기서 λ는 거리(X)에 따라 가변하는 공진 주파수의 파장(즉, 제 2 공진 주파수(F2))을 나타낸다.
도(2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3)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체부(5)의 상단부가 나선형 코일(3)의 상단부 아래에 배치된 반면, 도체부(5)의 하단부는 나선형 코일(3)의 하단부 위에 배치된다.
홀더(1)는 이동 터미널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홀더(1)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급전부의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다. 나선형 코일(3)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인청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홀더(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이드(2)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나선형 코일(3)에 단단히 접촉되어 외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3)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나선형 코일(3)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4)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한편, 가이드(4)는 합성 수지와 같은 유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체부(5)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체부(5)는 가이드(4)의 외부면의 국부 영역에 기상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홀더(1)의 단부에 커버(6)를 고정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술한 소자는 외부로부터 먼지 칩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커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나선형 코일(3)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3) 주변에 형성된 도체부(5)를 가진 단일 나선형 코일(3)이 동축 방향으로 사용된다. 도체부(5)는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의 크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부동 캐패시턴스는 도체부(5) 및 나선형 코일(3) 사이에서 생성된다. 그러므로, 병렬 공진은 캐패시턴스 및 나선형 코일(3)의 전기적으로 결정된 제 1 공진 주파수(F1)를 가진 도체부(5)의 인덕턴스사이에서 획득된다.
나선형 코일(3)은 도체부(5)로부터 노출된 국부영역을 가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병렬 공진은 바람직한 제 2 공진 주파수(F2)를 가진다. 왜냐하면 국부 영역은 도체부(5)에 접해있지 않고 도체부(5)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 1 공진 주파수(F1)는 나선형 코일(3)이 전기적으로 결정되는 반면, 제 2 공진 주파수(F2)는 도체부(5)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도(3)를 참조하면,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SWR(전압/정재파비) 대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측정되었다. 여기에서, 나선형 코일(3)은 길이가 20mm 이고 내부 반직경이 4mm 이며, 회전수는 8을 가진다.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3)의 하단부보다 6mm 높이 위치한 하단부를 가진 4mm의 폭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가 제 1 및 제 2 공진 주파수(F1,F2)가 각각 850MHz 및 1900MHz인 두개의 공진 주파수 특성을 갖는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두개의 공진 주파수 특성은 단일 나선형 코일(3)을 사용하여 즉, 통상적인 안테나로서 두개의 나선형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달성된다.
도(4a,4b,4c)를 참조하면,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도체부(5)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이득 손실 대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4a,4b,4c)에 도시된 결과는 각각 나선형 코일(3)의 하단부보다 5mm, 6mm, 7mm 높이 위치한 도체부(5)의 하단부의 경우에 대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4a,4b,4c)로부터, 제 2 공진 주파수(F2)는 제 1 공진 주파수(F1)를 변화시키지 않고 도체부(5)의 단순히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서 쉽게 변화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5a,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홀더(1)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막대형 가이드(2)는 유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진다. 단일 나선형 코일(3)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지며 일축방향으로 확장된다. 나선형 코일(3)은 나선형 코일(3)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2)의 외부면에 장착된다. 가이드(2)의 외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3)을 가진 가이드(2)는 홀더(1)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고리형 스프링 부재로서 형성된 도체부(5')를 포함한다. 도체부(5')는 비도전성 커버(6)의 내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소자는 비도전성 커버(6)로 커버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소자는 동축 방향으로 접속되고 배치된다.
조립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가이드(2)의 외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3)을 가진 가이드(2)는 커버(6)의 내벽에 도체부(5') 내부가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3)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동축 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 주변에 배치되며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의 크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나선형 코일(3) 및 도체부(5')는 0 < x < 0.1λ 를 만족하는 거리(x)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λ는 거리(X)에 따라 가변하는 공진 주파수의 파장(즉, 제 2 공진 주파수(F2))을 나타낸다.
도(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부(5')는 나선형 코일(3)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체부(5')의 하단부는 나선형 코일(3)의 하단부 위에 배치되며 반면 도체부(5')의 상단부는 나선형 코일(3)의 상단부 아래에 배치된다.
홀더(1)는 이동 터미널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홀더(1)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급전부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다. 나선형 코일(3)은 나선형으로 형성된 인청동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홀더(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이드(2)는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나선형 코일(3)에 단단히 접촉되어 외부면에 장착된 나선형 코일(3)을 지지한다. 그러므로 나선형 코일(3)의 변형 및 불안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4)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한편, 도체부(5')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체부(5')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이며 위치상 쉬프트되는 것을 막기위해 비도전성 커버(6)의 내벽에 장착된다. 홀더(1)의 단부에 커버(6)를 고정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술한 소자는 외부로부터 먼지 칩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커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나선형 코일(3)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3) 주변에 형성된 도체부(5')를 가진 단일 나선형 코일(3)이 동축 방향으로 사용된다. 도체부(5')는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의 크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서,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두개의 공진 특성을 가진다. 제 2 공진 주파수(F2)는 제 1 공진 주파수(F1)의 변화없이 도체부(5')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쉽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제 1 실시예의 큰 내부 지름을 가진 가이드(4)는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부품의 숫자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나선형 코일(3)은 와이어 형태를 갖는다. 만일 나선형 코일(3)이 다르지만 적당한 형태를 가진다면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선형 코일(3)은 판형이거나 도금 또는 기상 증착으로 형성된 나선형 컨덕터일 수 있다. 도체부(5,5')는 도체부(5,5') 및 나선형 코일(3) 사이의 부동 캐패시턴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고리형의 도체부(5,5')는 완전히 연속적일 필요가 없고 부분적으로 비연속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나선형 코일(3)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선형 코일(3) 주변에 형성된 도체부(5,5')를 가진 단일 나선형 코일(3)이 동축 방향으로 사용된다. 도체부(5)는 일축방향으로 나선형 코일(3)의 크기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 구조에 의해, 부동 캐패시턴스는 도체부(5,5') 및 나선형 코일(3) 사이에서 생성되며 병렬 공진은 부동 캐패시턴스 및 도체부(5)의 인덕턴스사이에서 획득된다. 이 경우, 제 1 공진 주파수(F1)는 나선형 코일(3)이 전기적으로 결정되는 반면 바람직한 제 2 공진 주파수(F2)는 도체부(5,5')를 형성하는 나선형 코일(3)의 국부 영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획득된다. 그러므로, 단순한 구조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공진 주파수(F1,F2)를 세팅하는데 있어 많은 공차 허용이 보장된다.
게다가, 나선형 코일(3)의 허용 정도는 증가되고 전체 안테나의 크기 및 높이는 축소된다. 또한, 통상적인 안테나와 비교하여 전기적인 특성에 대한 변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에서 간단한 도체부의 설계를 이용하여 나선형 코일의 크기의 제한없이 전체 안테나의 크기를 축소 할수 있고 전기적인 특성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축방향으로 확장된 단일 나선형 코일; 및
    상기 나선형 코일로부터 절연되고 동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나선형 코일 주변에 배치된 고리형 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형 도체부는 상기 일축방향으로 상기 나선형 코일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코일 및 상기 도체부는 0 < x < 0.1λ 를 만족하는 거리(x)로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여기서 λ는 상기 거리(X)에 따라 가변하는 공진 주파수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급전부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 도전성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나선형 코일로부터 절연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나선형 코일 주변에 배치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원통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는 상기 가이드의 외부면의 국부 영역에 도전성 물질을 도금 또는 기상 증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급전부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부를 가진 도전성 홀더;
    상기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외부면에 나선형 코일이 장착되도록 결합된 유전체로 이루어진 막대형 가이드; 및
    상기 홀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홀더의 단부 및 상기 나선형 코일이 장착된 상기 전체 가이드를 커버하는 비도전성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체부는 상기 커버의 내벽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스프링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KR1019990040947A 1998-09-25 1999-09-22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KR20000023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71726A JP2000101331A (ja) 1998-09-25 1998-09-25 2共振ヘリカルアンテナ
JP1998-271726 1998-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96A true KR20000023396A (ko) 2000-04-25

Family

ID=1750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947A KR20000023396A (ko) 1998-09-25 1999-09-22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91755B1 (ko)
EP (1) EP0989630A1 (ko)
JP (1) JP2000101331A (ko)
KR (1) KR20000023396A (ko)
CN (1) CN1135656C (ko)
AU (1) AU752822B2 (ko)
CA (1) CA2282783C (ko)
MY (1) MY115929A (ko)
NO (1) NO994457L (ko)
SG (1) SG78395A1 (ko)
TW (1) TW4430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44B1 (ko) * 2007-01-09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7190D0 (en) * 1999-03-30 1999-05-26 Ganeshmoorthy David Antenna connector bushing and coil assembly
US6476768B2 (en) * 2000-04-08 2002-11-05 Mrw Technologies Ltd.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S6340955B1 (en) * 2000-07-24 2002-01-22 Auden Techno Corp. Combining method for internal and external insulating sleeves of an antenna on a communication instrument
KR100421245B1 (ko) * 2000-12-30 2004-03-0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사용가능 주파수 범위 및 이득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법
KR100374752B1 (ko) * 2001-02-26 2003-03-03 (주)이.엠.더블유 안테나 임피던스 변성기의 제조방법
KR100406352B1 (ko) * 2001-03-29 2003-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03069327A (ja) * 2001-08-28 2003-03-07 Nec Saitama Ltd 携帯型無線通信装置のアンテナ構造及びこのアンテナ構造を備えた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6483479B1 (en) * 2001-08-29 2002-11-19 Auden Techno Corp. Instantly welded antenna and its method of welding
US6608605B2 (en) * 2001-12-10 2003-08-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band uniform helical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AU2003233168A1 (en) * 2002-06-06 2003-12-22 Galtronics Ltd. Multi-band improvements to a monopole helical_antenna
US20040183744A1 (en) * 2003-03-18 2004-09-23 Raiman Clifford E. Antenna for explosive environments
GB2409108B (en) * 2003-12-13 2006-07-12 Motorola Inc A radio unit and an antenna arrangement therefor
AU2006224221B2 (en) * 2005-03-14 2010-06-10 Galtronics Corporation Ltd. Broadband land mobile antenna
US8053849B2 (en) * 2005-11-09 2011-11-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placement metal gate transistors with reduced gate oxide leakage
JP4925685B2 (ja) * 2006-02-15 2012-05-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アンテナホルダ
RU2010142965A (ru) 2008-04-17 2012-05-27 Синкрони, Инк. (US)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с постоянным магнитом и генератор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 ротором с низким уровнем потерь
KR101639212B1 (ko) * 2014-06-11 2016-07-13 삼영쎌레트라(주) 멀티 밴드 안테나
US10873357B2 (en) * 2017-05-02 2020-12-22 Deere & Company Smart attachment for a work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8904A (ja) * 1985-03-13 1986-09-17 Sharp Corp ヘリカルアンテナ装置
JPH05275919A (ja) * 1992-03-27 1993-10-22 Hitachi Ltd 小形携帯無線機用メアンダ・ヘリカルアンテナ
JPH1022730A (ja) * 1996-07-05 1998-01-23 Yokowo Co Ltd アンテナおよび該アンテナをロッド状アンテナの先端に設けたアンテナ装置
JPH10341105A (ja) * 1997-06-09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2476B2 (ja) 1990-02-14 1998-12-09 望 長谷部 ヘリカルアンテナ
US5559524A (en) * 1991-03-18 1996-09-24 Hitachi, Ltd. Antenna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meander conductors for a portable radio apparatus
JP3643411B2 (ja) 1995-08-31 2005-04-27 日本電業工作株式会社 ホイップアンテナ
AU3883697A (en) 1996-07-16 1998-02-09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helical antenna
US5717409A (en) 1996-08-02 1998-02-10 Lucent Technologies Inc. Dual frequency band antenna system
JPH11234026A (ja) 1997-12-18 1999-08-27 Whitaker Corp:The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SE511255C2 (sv) 1998-01-30 1999-09-06 Moteco Ab Antennanordning för dubbla frekvensband
US6388625B1 (en) 1998-03-19 2002-05-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8904A (ja) * 1985-03-13 1986-09-17 Sharp Corp ヘリカルアンテナ装置
JPH05275919A (ja) * 1992-03-27 1993-10-22 Hitachi Ltd 小形携帯無線機用メアンダ・ヘリカルアンテナ
JPH1022730A (ja) * 1996-07-05 1998-01-23 Yokowo Co Ltd アンテナおよび該アンテナをロッド状アンテナの先端に設けたアンテナ装置
JPH10341105A (ja) * 1997-06-09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44B1 (ko) * 2007-01-09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2783C (en) 2004-07-13
CA2282783A1 (en) 2000-03-25
MY115929A (en) 2003-09-30
NO994457L (no) 2000-03-27
TW443077B (en) 2001-06-23
EP0989630A1 (en) 2000-03-29
SG78395A1 (en) 2001-02-20
US6191755B1 (en) 2001-02-20
JP2000101331A (ja) 2000-04-07
NO994457D0 (no) 1999-09-14
CN1249547A (zh) 2000-04-05
AU4758799A (en) 2000-03-30
AU752822B2 (en) 2002-10-03
CN1135656C (zh)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3396A (ko) 나선형 코일의 크기 제한 없이 전기적 특성의 변동을 줄일수 있는 두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 나선형 안테나
US6016130A (en) Dual-frequency antenna
EP0855759B1 (en) Simple dual-frequency antenna
US4442438A (en) Helical antenna structure capable of resonating at two different frequencies
US4101899A (en) Compact low-profile electrically small vhf antenna
KR100211229B1 (ko) 반원형 방사판을 사용한 광대역 안테나장치
KR100667216B1 (ko) 200메가헤르쯔 이상의 주파수에 대한 헬리컬 안테나
US4494122A (en) Antenna apparatus capable of resonating at two different frequencies
EP2421094B1 (en) Biconical dipole antenna including choke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6388625B1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unit
EP0790666A1 (en) A combined structure of a helical antenna and a dielectric plate
US6232925B1 (en) Antenna device
US20140022134A1 (en) Slot halo antenna device
JP4586028B2 (ja) 無給電素子を用いる多帯域アンテナ
US2919442A (en) Antenna
US4201989A (en) Wideband antenna with frequency dependent ferrite core inductor
KR920001063B1 (ko) 안 테 나
JPH07321489A (ja) 妨害波遮蔽体
US20060255888A1 (en) Radio-frequency filter
US6219008B1 (en) Antenna connector for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US2755466A (en) Antenna structure
RU2046470C1 (ru) Антенна
JP6922649B2 (ja) アンテナ装置
RU2231876C1 (ru) Спиральная антенна с перестраиваемой резонансной частотой
KR100421245B1 (ko) 사용가능 주파수 범위 및 이득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