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268A -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 Google Patents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268A
KR20000022268A KR1019980710688A KR19980710688A KR20000022268A KR 20000022268 A KR20000022268 A KR 20000022268A KR 1019980710688 A KR1019980710688 A KR 1019980710688A KR 19980710688 A KR19980710688 A KR 19980710688A KR 20000022268 A KR20000022268 A KR 20000022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verage
oxyethylene
polyol composition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590B1 (ko
Inventor
게하드 죠제프 블레이즈
Original Assignee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filed Critical 앤쥼 쉐이크 바쉬어;마틴 험프리스
Priority to KR10-1998-071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5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74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66≥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410/00S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2 내지 6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13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5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물, 15 내지 250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갖는 연쇄 연장제 및 임의로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경질 블록 함량이 45 중량% 이상인 반응 혼합물로부터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본 발명은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약 30 내지 40 중량%의 경질 블록 함량 (본 명세서에서 경질 블록 함량은 중합체 총량에 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연쇄 연장제 및, 임의로는 가교제의 총 중량%로서 정의함)을 갖는 배합물로부터 제조한다.
보다 고함량의 경질 블록을 갖는 배합물은 가공하기가 어렵고, 매우 높은 경도를 갖는 제품이 생성된다.
다량의 4,4'-MDI 및 고함량의 EO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배합물은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이미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공개 제547764호, 동 제547765호 및 동 제549120호를 참조.
저함량의 에틸렌 옥시드 (EO)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22548호 및 유럽 특허 공개 제13487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제, 지나치게 높은 경도를 갖지 않으면서 매우 고함량의 경질 블록을 가지며, 광범위한 밀도에 걸쳐 쉽게 가공할 수 있는 미공질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성 발포체를 생성할 수 있음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조성물, 연쇄 연장제, 물 및 임의로는 가교제를 포함하는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고, 폴리올 조성물은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며, 2 내지 6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13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5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고, 연쇄 연장제는 15 내지 250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가지며, 경질 블록 함량이 45 중량% 이상인 반응 혼합물로부터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주로 순수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종 이상의 다른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다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들, 예를 들어 임의로는 2,2'-이성질체와 함께 2,4'-이성질체와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85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부터 유도된 MDI 변형체일 수 있다. MDI 변형체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있어 특히 우레톤이민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기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도입시키고(거나) 1종 이상의 폴리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액체 생성물이 포함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95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로 사용된 용어는 폴리올 조성물에 존재하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의 평균 관능가가 몇몇 말단기의 불포화로 인해 실제로 종종 다소 적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제조에 사용된 개시제(들)의 평균 관능가 (분자 당 활성 수소 원자의 수)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폴리올 조성물의 평균 관능가 (분자당 히드록실기의 수)를 가리킨다. 폴리올 조성물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는 2 내지 4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은 디올 또는 트리올이다.
폴리올 조성물은 단일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목적하는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히드록실 당량 및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의 방식으로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를 2 내지 6개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개시제, 예를 들어 물, 폴리올, 히드록실아민 또는 폴리아민 등과 동시 및(또는) 순차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 개시제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이 있다.
다르게는, 폴리올 조성물은 총 조성물이 목적하는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도록 2종 이상의 폴리올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50 중량% 미만 또는 85 중량 % 이상의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올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폴리올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는 2가 알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또는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또는 이러한 2가 알콜의 혼합물의 히드록실을 말단에 갖는 반응 생성물, 및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예를 들어 숙신산, 글루타르산 및 아디프산 또는 그의 디메틸 에스테르, 세바스산, 무수 프탈산, 무수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이 있다.
폴리에스테르아미드는 폴리에스테르화 혼합물에 에탄올아민과 같은 아미노알콜을 포함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올은 티오디글리콜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글리콜, 알킬렌 옥시드, 디카르복실산, 포름알데히드, 아미노알콜 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과 축합시킴으로써 얻은 생성물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은 디올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을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은 생성물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아세탈 폴리올은 글리콜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헥산디올)을 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적당한 폴리아세탈은 고리형 아세탈을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올레핀 폴리올은 히드록시를 말단에 갖는 부타디엔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이고, 적당한 폴리실록산 폴리올에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올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폴리올에는 상기 기재한 유형의 폴리올 중의 부가 또는 축합 중합체의 분산액 또는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중합체" 폴리올이라고도 칭해지는, 이러한 개질 폴리올은 선행 기술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중합체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 중에서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반응계 내에서 중합시키거나, 중합체 폴리올 중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아미노- 및(또는) 히드록시관능성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과 반응계 내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은 생성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조성물은 15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갖는다. 폴리올 조성물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은 60 내지 85 중량%가 바람직하다.
적당한 저분자량의 연쇄 연장제로는 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3-펜탄디올, 1,2-헥산디올, 3-메틸펜탄-1,5-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아미노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등이 있다. 에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물의 양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적당하게는 2 중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이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본 발명은 1000 ㎏/㎥ 미만의 밀도 및 75 이상의 쇼어 A (Shore A) 경도를 갖는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도는 800 ㎏/㎥ 미만이고, 쇼어 A 경도는 80 이상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600 ㎏/㎥ 미만의 밀도 및 85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또 다른 측면으로는, 본 발명은
(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여기서, 폴리올 조성물은 2 내지 6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13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5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가짐);
(iii) 15 내지 250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갖는 연쇄 연장제;
(iv) 물, 및 임의로는
(v) 엘라스토머 배합물에 통상적인 1종 이상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반응계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계는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반응계"란 용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성분과는 별도의 용기에 유지되는 계로 정의된다.
폴리올 조성물, 물 및 임의의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성분, 예를 들어 연쇄 연장제 또는 가교제를 고려한 반응계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85 만큼 작거나 120 만큼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90 내지 110이다.
경질 블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총 조성물 중 50 중량% 이상이다.
3 이상의 평균 관능가를 갖는 저분자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가교제로서 첨가할 수 있다.
발포체 형성 반응 혼합물은 이러한 반응 혼합물에 통상적인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에는 촉매, 예를 들어 3급 아민 및 주석 화합물, 표면활성제 및 발포 안정제 (예를 들어, 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방염제, 유기 및 무기 충전제, 안료, 및 내부용 이형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반응은 "단발 (one-shot)", "세미-예비 중합체" 또는 "예비 중합체"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광범위한 엘라스토머 생성물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엘라스토머는 다양한 용도, 예를 들어 구두 밑창 및 핸들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며, 모든 부, % 및 비율은 중량에 대한 것이다.
하기 용어의 물질은 반응 성분을 나타내거나, 그렇지 않으면 실시예의 성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용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 : 순수한 4,4'-MDI (수프라섹 MPR (Suprasec MPR); 아이씨아이 피엘씨 (ICI PLC)에서 시판함; 수프라섹은 아이씨아이 피엘씨의 등록상표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 : 우레톤이민-개질 MDI (수프라섹 2020; 아이씨아 이 피엘씨에서 시판함; 수프라섹은 아이씨아이 피엘 씨의 등록상표임).
폴리올 A : 아르콜 2580 (Arcol 2580), 76 % 옥시에틸렌 함량 및 42 ㎎ KOH/g의 OH가를 갖는 랜덤 옥시에틸렌 및 옥시프 로피렌 잔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트리올 (아르코에서 시 판함; 아르콜은 아르코의 등록상표임).
폴리올 B : 10 %의 선단 EO 및 36 ㎎ KOH/g OH가를 갖는 EO/PO 트리올.
폴리올 C : 75 %의 랜덤 EO기 및 4000의 분자량을 갖는 EO/PO 디올.
촉매 : 다브코 EG (Dabco EG) (에어 프로덕츠로부터 얻은 EG 중의 33 % 다브코 용액; 다브코는 에어 프로덕츠의 등록상표임).
EG : 에틸렌 글리콜.
DEG : 디에틸렌 글리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엘라스토머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합물로부터 통상의 방식으로 15×10×1 ㎝ 주형에서 성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폴리올 A 100 100 - 100 - - -
폴리올 B - - - - 100 100 100
폴리올 C - - 100 - - - -
EG 16.3 14 20 7.23 7.46 16.56 14.2
DEG - 14 - - - - 14.2
촉매 0.5 0.5 0.7 1 1 0.5 0.5
0.3 1 0.7 0.3 0.3 0.3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 지수 100 지수 100 - 지수 100 지수 100 지수 100 지수 10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 - - 지수 100 - - - -
경질 블록 함량(중량%) 50 50 57 35 35 50 50
특성
밀도 (㎏/㎥) 702 536 420 650 651 부서지기 쉬운 물질 부서지기 쉬운 물질
쇼어 A 경도 89 90 85 42 72
아스커 (Asker)C 경도 93 90 89 66 82 기포 없음 기포 없음
반발강성 시험 36 26 N.M.(*) 64 57
N.M.(*): 측정하지 않음
이들 실시예는 경질 블록 고함량의 배합물 중에 고함량의 옥시에틸렌을 갖는 폴리올을 사용하여, 저함량의 옥시에틸렌을 갖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배합물로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높은 경도에 이르기까지 가공할 수 있고 가치있는 특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를 생성함으로 보여준다.

Claims (13)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조성물, 연쇄 연장제, 물 및 임의로는 가교제를 포함하는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고, 폴리올 조성물은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며, 2 내지 6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13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5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고, 연쇄 연장제는 15 내지 250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가지며, 경질 블록 함량이 45 중량% 이상인 반응 혼합물로부터 미공질의 엘라스토머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9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95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폴리올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이 2 내지 4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를 갖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이 15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갖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조성물이 6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블록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90 내지 110으로 수행하는 방법.
  10. 1000 ㎏/㎥ 미만의 밀도 및 75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미공질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성 발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800 ㎏/㎥ 미만의 밀도 및 80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미공질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성 발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600 ㎏/㎥ 미만의 밀도 및 85 이상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미공질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성 발포체.
  13. (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변형체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i) 옥시에틸렌 잔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여기서, 폴리올 조성물은 2 내지 6의 평균 공칭 히드록실 관능가, 1300 이상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 및 50 내지 85 중량%의 평균 옥시에틸렌 함량을 가짐);
    (iii) 15 내지 250의 평균 히드록실 당량을 갖는 연쇄 연장제;
    (iv) 물, 및 임의로는
    (v) 엘라스토머 배합물에 통상적인 가교제 및 1종 이상의 첨가제
    를 포함하는 반응계.
KR10-1998-0710688A 1996-06-27 1997-06-02 미공질의엘라스토머성폴리우레탄발포체 KR10050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688A KR100501590B1 (ko) 1996-06-27 1997-06-02 미공질의엘라스토머성폴리우레탄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110378.5 1996-06-27
KR10-1998-0710688A KR100501590B1 (ko) 1996-06-27 1997-06-02 미공질의엘라스토머성폴리우레탄발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68A true KR20000022268A (ko) 2000-04-25
KR100501590B1 KR100501590B1 (ko) 2005-09-28

Family

ID=4367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688A KR100501590B1 (ko) 1996-06-27 1997-06-02 미공질의엘라스토머성폴리우레탄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5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590B1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130B2 (ja) 微細セルエラストマー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8178591B2 (en) Carbon dioxide blown low density, flexible micro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EP0734404B1 (en) Polyisocyanate based polymers prepared from formulations including non-silicone surfactant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995710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181578B2 (ja) 液状イソシアネート含有プレポリマー組成物
US6884824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 elastomer
JP4953544B2 (ja) ポリウレタン材料の調製方法
AU2001266090A1 (en) Process for preparing an elastomer
JP2008133475A (ja) 極めて軟質の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JPH06239955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3983289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0501590B1 (ko) 미공질의엘라스토머성폴리우레탄발포체
JPH06192367A (ja) 柔軟な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