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343U -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343U
KR20000021343U KR2019990009081U KR19990009081U KR20000021343U KR 20000021343 U KR20000021343 U KR 20000021343U KR 2019990009081 U KR2019990009081 U KR 2019990009081U KR 19990009081 U KR19990009081 U KR 19990009081U KR 20000021343 U KR20000021343 U KR 200000213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ipe
refrigerant
pressur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훈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90009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343U/ko
Publication of KR20000021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34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체크하여 토출압력이 상승할 경우 증발기의 액냉매를 압축기 주위에 열교환시켜 압축기 온도를 낮추어 토출압력을 제어하므로서 압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증발기(30)로부터의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관(41)을 통하여 어큐뮤레이터(40)를거쳐 흡입구(72)로 흡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토출관(51)으로 토출되어 응축기로 보내지는 에어컨의 압축기(100)에 있어서, 냉매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41)과 연결되는 흡입압력파이프(11)와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되어진 냉매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관(51)에 연결되는 토출압력파이프(12)가 각각 설치되어 흡입 및 토출압력을 체크하는 제1체크밸브(10)와, 상기 제1체크밸브(10)에 연계되며 증발기(30)와 연결되는 냉매관(21)과 압축기(100)로 연결되는 냉매보충관(22)이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2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체크밸브(20)는 제1체크밸브(10)에서의 토출압력이 높을 때 냉매관(21)을 통하여 증발기(30)에서 공급된 저열원의 액냉매를 냉매보충관(22)을 통하여 압축기(100)로 보내어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외부영향에 의한 압축기의 온도상승을 체크하여 증발기의 저열원으로 열교환하므로서 압축기의 과부하에 의한 작동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에어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overload of compressor}
본 고안은 에어컨의 압축기 과부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압축기의 흡입 및 토출압력을 체크하여 토출압력이 상승할 경우 증발기의 액냉매를 압축기 주위에 열교환시켜 압축기 온도를 낮추어 토출압력을 제어하므로서 압축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에 설치되는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0)의 외측으로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41)이 어큐뮤레이터(40)와 같이 설치되고 몸체(50)의 내부에는 상부로 내주연에 편심부(61)를 갖는 회전축(62)과 회전자(63)가 내장된 전동기(6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측으로 모터베어링(64)이, 하측으로 펌프베어링(65)이 설치되어 내주연에 상기 회전축(62)의 편심부(61)와 로울러(71)가 일체로 설치되는 실린더(7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50)는 외부단자(52)와 토출관(51)이 형성된 상부커버(53)와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하부커버(54) 및 몸통(55)으로 구분된다.
상기 실린더(70)에는 일측으로 어큐뮤레이터(40)를 거친 냉매가스가 흡입되게 흡입구(7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압축된 냉매가스가 토출밸브(도시 없음)에 의해 개폐되어 토출되도록 토출구(도시 없음)가 형성되며 상기 로울러(71)의 작동시 고압측과 저압측을 나누기 위해 베인(도시 없음)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압축기(100)의 작동은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관(41)을 통해 냉매가스에 함유된 액상의 냉매와 이물질등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어큐뮤레이터(40)를 거쳐 흡입구(72)를 통하여 실린더(70) 내로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된 냉매가스는 전동기(60)의 모터 회전력이 회전축(62)에 직접 전달되어 회전하면서 흡입구(7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스를 편심부(61)와 로울러(71)의 유막접촉에 의한 회전으로 인해 압축식에서 압축되어지고, 이 압축된 냉매가스는 토출밸브의 작용에 의해 토출구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구를 거쳐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몸통(55)내를 거쳐 상부커버(53)에 형성된 토출관(51)을 통해 응축기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에어컨 압축기는 에어컨의 실외기에 장착되는 관계로 실외기에 직사광선과 압축기 주위의 온도가 상승시 압축기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과부하가 걸리게되어 압축기의 동작이 불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 제시되어진 국내 실용신안등록공고 제90-6945호(에어컨의 압축기 소손 방지장치)에 의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의 입출구 및 증발기의 출구에 각각 연결되는 별도의 냉매조절부(4)의 역 T자형 바이패스관(5) 내측으로 가이드부(5a)를 상향돌설시켜 그 내부로 밀폐용 탕체(6a)(6a')가 삽입되고, 중간부위로 관통공(6b)이 형성되며 하부로는 스프링(6c)이 결착된 원통추(6)를 설치하여 증발기 출구와 연결된 부위의 압력차에 따라 상하작동 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구성하여 필요선택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전환시켜 압축기의 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한 별도의 냉매조절부를 설치하여야하는 문제점과 압축기의 과열시 공냉에 의하여 압축기를 식혀주는 관계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의 온도 및 압력상승 의한 과부하로 압축기의 작동불능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측 배관을 압축기에 연결하여 압축기의 토출압력이 높을 경우 증발기와의 열교환으로 압축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서 압축기의 과부하로 인한 작동불능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증발기로부터의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관을 통하여 어큐뮤레이터를거쳐 흡입구로 흡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토출관으로 토출되어 응축기로 보내지는 에어컨의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과 연결되는 흡입압력파이프와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되어진 냉매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관에 연결되는 토출압력파이프가 각각 설치되어 흡입 및 토출압력을 체크하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1체크밸브에 연계되며 증발기와 연결되는 냉매관과 압축기로 연결되는 냉매보충관이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제1체크밸브에서의 토출압력이 높을 때 냉매관을 통하여 증발기에서 공급된 저열원의 액냉매를 냉매보충관을 통하여 압축기로 보내어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부하 방지장치가 설치된 압축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압축기의 단면도
도 3은 기 제시된 에어컨 압축기 소손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1체크밸브 11 : 흡입압력파이프
12 : 토출압력파이프 20 : 제2체크밸브
21 : 냉매관 22 : 냉매보충관
41 : 흡입관 51 : 토출관
이하 본 고안인 압축기에서의 과부하 방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부하 방지장치가 설치되어진 압축기의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압축기(100), 압축기에서의 흡입 및 토출 냉매의 압력을 체크하는 제1체크밸브(10), 제1체크밸브의 토출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체크밸브(20)로 구성되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00)는 몸체(50)의 외측으로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41)이 어큐뮤레이터(40)와 같이 설치되고 몸체(50)의 내부에는 상부로 내주연에 편심부(61)를 갖는 회전축(62)과 회전자(63)가 내장된 전동기(6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측으로 모터베어링(64)이, 하측으로 펌프베어링(65)이 설치되어 내주연에 상기 회전축(62)의 편심부(61)와 로울러(71)가 일체로 설치되는 실린더(70)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50)는 외부단자(52)와 토출관(51)이 형성된 상부커버(53)와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하부커버(54) 및 몸통(55)으로 구분된다.
한편 압축기(100)의 흡입관(41)과 토출관(51)에는 각각 흡입압력파이프(11)와 토출압력파이프(12)가 제1체크밸브(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크밸브(10)에 연계되며 증발기(30)에서 액냉매를 흡입하는 냉매관(21)과 이 냉매관(21)으로 흡입된 증발기(30)의 냉매를 압축기(100)로 보내기 위하여 압축기(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냉매보충관(22)이 설치된 제2체크밸브(20)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컨의 시동으로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관(41)을 통해 흡입되어 어큐뮤레이터(4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어진 다음 흡입구(72)를 통하여 실린더(70)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냉매가스는 전동기(60)의 모터 회전력이 회전축(62)에 직접 전달되어 회전하면서 흡입구(7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스를 편심부(61)와 로울러(71)의 유막접촉에 의한 회전으로 인해 압축식에서 압축되어 토출밸브에 의해 토출구를 거쳐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몸통(55)내를 거쳐 상부커버(53)에 형성된 토출관(51)을 통해 응축기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제1체크밸브(10)에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흡입관(41)과 토출관(51)에 각각 압력파이프(11)(12)가 연결되어 있어, 이 압력파이프(11)(12)를 통하여 제1체크밸브(10)에 입력된 냉매의 압력이 체크되어진다.
만일 압축기(100)가 외부의 영향(직사광선)에 의하여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토출관(51)을 통하여 토출되어지는 냉매의 압력이 높아지게되고, 이 압력은 제1체크밸브(10)에서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체크밸브(10)에서는 검지된 토출압력이 규정치보다 높을 경우 제2체크밸브(20)를 오픈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체크밸브(20)에서는 증발기(30)로 연결된 냉매관(21)을 통하여 저열원의 냉매를 흡입하여 냉매보충관(22)을 통하여 압축기(100)의 하부로 저열원의 냉매를 공급하므로서 압축기(100)를 열교환시켜 압축기(100)의 온도를 규정치 이하로 낮추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영향에 의한 압축기의 온도상승을 체크하여 증발기의 저열원으로 열교환하므로서 압축기의 과부하에 의한 작동불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에어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증발기(30)로부터의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관(41)을 통하여 어큐뮤레이터(40)를거쳐 흡입구(72)로 흡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토출관(51)으로 토출되어 응축기로 보내지는 에어컨의 압축기(100)에 있어서, 냉매가스를 흡입하는 흡입관(41)과 연결되는 흡입압력파이프(11)와 압축기 내부에서 압축되어진 냉매가스를 토출하는 토출관(51)에 연결되는 토출압력파이프(12)가 각각 설치되어 흡입 및 토출압력을 체크하는 제1체크밸브(10)와, 상기 제1체크밸브(10)에 연계되며 증발기(30)와 연결되는 냉매관(21)과 압축기(100)로 연결되는 냉매보충관(22)이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20)는 제1체크밸브(10)에서의 토출압력이 높을 때 냉매관(21)을 통하여 증발기(30)에서 공급된 저열원의 액냉매를 냉매보충관(22)을 통하여 압축기(100)로 보내어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19990009081U 1999-05-26 1999-05-26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KR200000213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081U KR20000021343U (ko) 1999-05-26 1999-05-26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081U KR20000021343U (ko) 1999-05-26 1999-05-26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343U true KR20000021343U (ko) 2000-12-26

Family

ID=5476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081U KR20000021343U (ko) 1999-05-26 1999-05-26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3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539B2 (en) System including high-side and low-side compressors
KR20030074372A (ko) 다단 압축식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냉매 회로 장치
JP2003294325A (ja) 圧縮機設備
KR101738458B1 (ko)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KR100287447B1 (ko) 어큐뮤레이터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
KR20000021343U (ko) 압축기의 과부하 방지장치
WO2012026200A1 (ja) コンプレッサ
KR200155556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KR20010002267U (ko) 단열재가 부착된 어큐뮤레이터 일체형 로터리 압축기
KR200183003Y1 (ko) 어큐뮤레이터의 냉매가스 기화장치
JP2003314911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31491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56259A (ja) 圧縮機
KR20000059891A (ko) 에어컨디셔너의 로터리 압축기의 냉매 흡입 구조
KR19990025673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뮤레이터
KR20000001849U (ko) 열선이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
KR200219263Y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과전류방지장치
KR19990016602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진동 저감장치
KR20000003142A (ko) 어큐뮤레이터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
JP2535131Y2 (ja) 圧縮機
KR20000004182A (ko) 반 저압식 로터리 압축기
KR20000001851U (ko) 로타리 압축기 흡입구의 누설 방지장치
KR0133386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장치
KR20000000873A (ko) 로터리 압축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장치
KR20000004169A (ko) 반 저압식 횡형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