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298U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298U
KR20000021298U KR2019990008992U KR19990008992U KR20000021298U KR 20000021298 U KR20000021298 U KR 20000021298U KR 2019990008992 U KR2019990008992 U KR 2019990008992U KR 19990008992 U KR19990008992 U KR 19990008992U KR 20000021298 U KR20000021298 U KR 20000021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ounting member
groove
mounting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64981Y1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9-0008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81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2)에 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된 거치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세지나 각종의 정보를 휴대폰을 잡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Mobil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액정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세지나 데이타등의 정보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휴대폰은 그 전면에 메세지나 데이타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화면이 형성되고, 이 액정의 하단부에는 휴대폰의 버튼부를 덮어 보호하는 플립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휴대폰은 사용자가 집이나 직장등지에서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위에 올려 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휴대폰에는 별도의 거치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위에 눕혀 놓게 되므로 휴대폰의 액정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이나 메세지 및 각종의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할 시는 휴대폰을 직접 집어들어 확인하거나 또는 몸을 휴대폰이 놓인 탁자나 책상측으로 움직여 확인하게 되는 바, 이에 사용자가 휴대폰의 액정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할 시에는 사용자의 팔이나 몸을 직접 휴대폰측으로 움직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게 되므로써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위에 올려 놓을 시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위에 대략 수직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세지나 각종의 정보를 휴대폰을 잡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이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되되, 이 거치수단은 휴대폰의 하단 양측면에 걸쳐 형성된 단차진 단차부와, 상기 단차홈의 양끝단에 관통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걸림공에 그 양끝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단차홈에 수용되며, 그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를 단차홈내에 고정시키도록 이 거치부재와 인접한 휴대폰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와 이격된 휴대폰의 일측에는 이 돌기와의 사이에서 회전된 거치부재를 고정시켜 휴대폰을 세울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에 결합되는 배터리 일면의 양측에 이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는 휴대폰 전면부위측으로 절곡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수용홈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가 수용홈내에서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터리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를 지나 회전된 거치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하여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에 세울 수 있도록 배터리의 수용홈 외주면 일측에 경사진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의 후면 하단에 중앙부로부터 일단까지에 걸쳐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 걸림홈을 갖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그 일단이 수용홈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타단에는 걸림홈에 대응한 돌기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일측에는 거치부재의 회전시 휴대폰의 일측에 걸림되어 이 거치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그 양측벽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그 상단이 수용홈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양측단에는 걸림홈에 대응한 돌기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와 이격된 휴대폰의 일측에는 회전되는 거치부재의 회전량을 제한하도록 된 스토퍼와, 상기 거치부재의 일측에는 소정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며, 양측의 측판상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중앙의 탄성판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된 돌기가 형성된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이 거치부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휴대폰을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도 13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휴대폰 4: 배터리
10: 단차부 12: 걸림공
14: 돌기 16: 걸림턱
18: 거치부재 20,20a: 수용홈
22,22a: 걸림턱 24,24a: 돌기
26,26a: 거치부재 30: 수용홈
32: 걸림홈 34: 거치부재
36: 힌지핀 38: 돌기
40: 스토퍼 50: 수용홈
52: 걸림홈 54: 스토퍼
56: 거치부재 58: 힌지핀
60: 돌기 62: 삽입홈
70: 수용홈 72: 가이드홈
74,76: 걸림홈 78: 거치부재
80: 탄성판 82: 측판
84: 돌기 86: 가이드레일
88: 손잡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2)에는 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된다.
상기한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 양측면에 걸쳐 단차진 단차부(10)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0)의 양끝단에는 휴대폰(2)의 내측으로 관통된 걸림공(12)이 형성된다.
상기한 단차부(10)에는 이에 대응한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8)가 안착되어 구비되되, 이 거치부재(18)의 양끝단은 서로 대향되게 절곡형성되어 상기한 걸림공(1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다.
또한, 상기한 휴대폰(2)의 후면 일측에는 단차부(10)에 수용된 거치부재(18)를 고정시키도록 된 돌기(14)가 돌출형성되며, 이 돌기(14)와 이격된 휴대폰(2)의 리어케이스 일측에는 걸림턱(16)이 돌출형성된다.
상기한 돌기(14)와 걸림턱(16) 사이의 거리는 거치부재(18)의 두께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이 걸림턱(16)과 돌기(14) 사이에 거치부재(18)가 걸림되어 고정되므로써 상기한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워 놓을 시에는 휴대폰(2)의 단차부(10)에 수용된 거치부재(18)를 단차부(10)로부터 이탈시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거치부재(18)를 휴대폰(2)의 후방으로 밀어내면 이 거치부재(18)는 돌기(14)에 의해 소정량 벌어지면서 휴대폰(2)의 걸림공(12)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돌기(14)를 타고 넘어가면서 단차부(1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단차부(10)로부터 이탈된 거치부재(18)는 휴대폰(2)의 리어케이스 일측에 돌출된 걸림턱(16)에 의해서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됨과 아울러 이 걸림턱(16)과 돌기(14) 사이에서 상기한 거치부재(18)가 고정되어 휴대폰(2)을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자나 책상위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세우게 된다.
한편, 상기한 거치부재(18)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시는 회전된 거치부재(18)를 휴대폰(2)의 전방측으로 밀어 회전시키면 이 거치부재(18)는 휴대폰(2) 일측의 돌기(14)를 다시 타고 넘어가면서 휴대폰(2)의 단차부(10)에 안착되어 수용되고, 상기한 단차부(10)에 수용된 거치부재(18)는 그 후방에 위치된 돌기(14)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단차부(1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거치부재(18)의 미사용시는 이 거치부재(18)가 단차부(10)내에 안착.고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휴대폰(2)의 외관이 수려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며,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은 휴대폰(2)에 결합되는 배터리(4) 일면의 양측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된 수용홈(20,20a)을 형성하되, 이 수용홈(20,20a)은 배터리(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는 휴대폰(2)의 전면부위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한 수용홈(20,20a)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부재(26,26a)를 구비하되, 이 거치부재(26,26a)는 양측의 수용홈(20,20a)에 각각 수용되도록 두개로 나뉘어 구비되고, 그 일단이 수용홈(20,20a)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다.
또한, 상기한 거치부재(26,26a)가 수용홈(20,20a)내에서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터리(4)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홈(20,20a)측으로 돌출된 돌기(24,24a)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한 거치부재(26,26a)에 외력이 작용할 시, 돌기(24,24a)를 지나 회전된 거치부재(26,26a)의 회전량을 제한하여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된 걸림턱(22,22a)이 배터리(4)의 수용홈(20,20a) 상부를 이루는 외주면 일측에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0,2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폰(2)은 이에 구비된 거치수단에 의해 탁자나 책상위에 설 수 있게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울 시는 휴대폰(2)에 장착된 배터리(4)의 수용홈(20,20a)에 수용된 각각의 거치부재(26,26a)를 휴대폰(2)의 후방으로 밀면 이 거치부재(26,26a)는 배터리(4)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홈(20,20a)측으로 돌출된 돌기(24,24a)를 타고 넘어가면서 수용홈(20,20a)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수용홈(20,20a)으로부터 이탈된 거치부재(26,26a)를 휴대폰(2)의 후면으로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이 거치부재(26,26a)는 소정량 회전된 후에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0,20a)을 이루는 외주면 상부의 경사진 걸림턱(22,22a)에 그 일측이 걸림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면서 휴대폰(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로 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거치부재(26,26a)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시는 회전된 거치부재(26,26a)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거치부재(26,26a)가 돌기(24,24a)를 다시 타고 넘어가면서 수용홈(20,20a)내로 안착되어 수용되고, 상기와 같이 수용홈(20,20a)에 수용된 거치부재(26,26a)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수용홈(20,20a)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거치부재(26,26a)의 미사용시는 이 거치부재(26,26a)가 수용홈(20,20a)내에 완전하게 수용되어 있으므로 인해 이 실시예 역시도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휴대폰(2)의 외관을 수려하게 한다.
첨부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며,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후면 하단부에 이 휴대폰(2)의 중앙으로부터 그 일단까지에 걸쳐 관통된 수용홈(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0)의 일측에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
상기한 수용홈(30)에는 판형상의 거치부재(34)가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거치부재(34)의 일단은 휴대폰(2) 중앙부에 위치한 수용홈(30)내에 힌지핀(36)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타단의 반대면에는 걸림홈(32)에 걸림되도록 된 돌기(38)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거치부재(34)의 일측에는 거치부재(34)가 그 힌지핀(36)를 중심으로 회전될 시 휴대폰(2)의 일측에 걸림되어 이 거치부재(34)의 회전량을 제한하도록 된 스토퍼(4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3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폰(2)은 거치수단에 의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울 수 있게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워 놓을 시에는 먼저, 휴대폰(2)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된 수용홈(30)내에서 거치부재(34)를 회전시켜 그 일단을 수용홈(30)으로부터 인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거치부재(34)의 일단을 수용홈(30)으로부터 회전시켜 인출시킬 시는 이 거치부재(34)의 일단을 위로 살짝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수용홈(30)의 걸림홈(32)에 걸림되어 있던 거치부재(34)의 돌기(38)를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시키면서 이 거치부재(34)가 그 일단의 힌지핀(36)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용홈(30)으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출된 거치부재(34)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이 거치부재(34)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40)가 휴대폰(2)의 일측에 걸림되어 거치부재(34)의 회전량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거치부재(34)는 휴대폰(2)과 대략 직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 거치부재(34)는 지렛대와 같은 작용을 하여 휴대폰(2)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휴대폰(2)은 탁자나 책상위에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거치부재(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시는 회전된 거치부재(34)를 수용홈(30)측으로 밀어 넣으면 이 거치부재(34)가 수용홈(30)내에 삽입되면서 그 일단이 소정량 들려 거치부재(34)의 돌기(38)가 수용홈(30)의 걸림홈(32)에 걸림되어 수용홈(30)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수용홈(30)내에 고정된 거치부재(34)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외력이 거치부재(34)에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한 거치부재(34)는 수용홈(3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거치부재(34)가 수용홈(30)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휴대폰(2)의 전체적인 외관이 수려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홈(50)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50)의 양측벽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수용홈(50)에는 그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56)가 삽입되되, 이 거치부재(56)의 상단 양측은 돌출형성된 힌지핀(58)에 의해 수용홈(50)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그 양측면에는 걸림홈(52)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돌기(6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거치부재(56)가 삽입되는 수용홈(50)의 상단부와 이격된 휴대폰(2)의 일측에는 절곡된 스토퍼(54)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54)에 의해 회전되는 거치부재(56)의 회전량은 제한되게 된다.
상기한 거치부재(56)의 하단부에는 사용자의 손톱이나 소정의 공구를 삽입시켜 휴대폰(2)의 수용홈(50)에 삽입된 거치부재(56)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삽입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4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폰(2)은 이에 구비된 거치수단에 의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울 수 있게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워 놓을 시는 먼저, 휴대폰(2)의 수용홈(50)에 삽입.고정된 거치부재(56)의 삽입홈(62)에 사용자의 손톱이나 소정의 공구를 삽입시켜 거치부재(56)를 수용홈(50)으로부터 당겨내면 이 거치부재(56)는 그 상단의 힌지핀(58)을 축으로 회전하여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거치부재(56)는 그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돌기(60)가 수용홈(50)의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홈(52)으로부터 억지적으로 빠져 나오면서 인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거치부재(56)를 완전히 회전시켜 거치부재(56)의 일측이 휴대폰(2)에 형성된 스토퍼(54)에 걸림되게 한 후,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기울인 상태로 세우면 이 거치부재(56)의 밑면 일측이 휴대폰(2)의 하면 일측과 같이 탁자나 책상위에 접하여 상기한 휴대폰(2)이 설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거치부재(56)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시는 휴대폰(2)을 들고 회전된 거치부재(56)를 수용홈(50)측으로 역회전시켜 밀어 넣으면 상기한 거치부재(56)의 돌기(60)가 수용홈(50)내로 압입되어 들어가면서 걸림홈(52)에 걸림되어 상기한 거치부재(56)는 수용홈(5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거치부재(56)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외력이 거치부재(56)에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한 거치부재(56)는 수용홈(5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한 거치부재(56)가 수용홈(50)내에 삽입.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폰(2)의 전체적인 외관이 수려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도시한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된 수용홈(70)이 형성되되, 이 수용홈(70)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7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휴대폰(2)의 전,후방에 각각의 걸림홈(74,76)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70)의 중앙부 하단은 개구된 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용홈(70)에는 대략 "ㅌ"자 형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78)가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며, 이 거치부재(78)는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측판(82)과 이 측판(82) 사이의 탄성판(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거치부재(78)의 측판(82)상에는 수용홈(70)의 가이드홈(72)에 대응한 가이드레일(86)이 돌출형성되고, 중앙의 탄성판(80)상에는 수용홈(70)의 걸림홈(74,76)에 걸림되도록 된 돌기(8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거치부재(78)의 돌기(84)가 수용홈(70)의 전방측에 형성된 걸림홈(74)에 걸림되면 거치부재(78)가 수용홈(7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고, 후방측의 걸림홈(76)에 걸림되면 거치부재(78)가 수용홈(7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재(78)의 하면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됨과 더불어 거치부재(78)가 일출되었을 시 이 거치부재(78)가 휴대폰(2)을 수직하게 세울 수 있도록 된 높이를 갖는 손잡이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5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폰(2)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이에 구비된 거치수단에 의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수직하게 세울 수 있게 되는 바, 상기한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위에 수직하게 세워 놓을 시는 먼저, 거치부재(78)의 하단에 형성된 손잡이부(88)를 잡고 당기면, 이 거치부재(78)는 그 측판(82)상에 형성된 가이드레일(86)이 수용홈(70)의 가이드홈(72)에 안내되면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거치부재(78)의 탄성판(80)상에 형성된 돌기(84)는 거치부재(78)의 인출시 전방의 걸림홈(7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탄성판(80)을 아랫방향으로 누른 상태로 이동되다가 이 돌기(84)가 상기한 거치부재(78)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인 후방의 걸림홈(76)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판(80)의 탄성력에 의해 이 후방의 걸림홈(76)에 "딸깍"하는 탁음을 내며 걸림.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휴대폰(2)은 첨부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78)의 손잡이부(88)의 길이가 휴대폰(2)의 수용홈(70)으로부터 그 하면까지의 길이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이 손잡이부(88)의 단부가 탁자나 책상의 상면에 접하게 되므로 휴대폰(2)은 탁자나 책상의 상면과 거의 수직한 상태를 이루며 세워지게 된다.
이후, 상기한 거치부재(78)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시는 휴대폰(2)을 들고 인출된 거치부재(78)를 수용홈(70)측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한 거치부재(78)의 돌기(84)가 후방의 걸림홈(76)으로부터 이탈되어 수용홈(70)내로 인입되면서 다시 전방의 걸림홈(74)에 탄성판(80)의 탄성력에 의해 재차 걸림되어 상기한 거치부재(78)를 수용홈(7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홈(70)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거치부재(78)는 휴대폰(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휴대폰(2)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또한 이 거치부재(78)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한 거치부재(78)는 수용홈(70)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은 이 휴대폰을 탁자나 책상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된 거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폰에 디스플레이되는 메세지나 각종의 정보를 휴대폰을 잡지 않고서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휴대폰(2)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2)에는 이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 위에 세울 수 있도록 된 거치수단이 구비되되, 이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 양측면에 걸쳐 형성된 단차진 단차부(10)와,
    상기 단차부(10)의 양끝단에 관통형성된 걸림공(12)과,
    상기 걸림공(12)에 그 양끝단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단차부(10)에 수용되며, 그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재(18)와,
    상기 거치부재(18)를 단차부(10)내에 고정시키도록 이 거치부재(18)와 인접한 휴대폰(2)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14)와,
    상기 돌기(14)와 이격된 휴대폰(2)의 일측에는 이 돌기(14)와의 사이에서 회전된 거치부재(18)를 고정시켜 휴대폰(2)을 세울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걸림턱(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2)에 결합되는 배터리(4) 일면의 양측에 이 배터리(4)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는 휴대폰(2) 전면부위측으로 절곡형성된 수용홈(20,20a)과,
    상기 수용홈(20,20a)에 수용되도록 이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이 수용홈(20,20a)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거치부재(26,26a)와,
    상기 거치부재(26,26a)가 수용홈(20,20a)내에서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터리(4)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기(24,24a)와,
    상기 돌기(24,24a)를 지나 회전된 거치부재(26,26a)의 회전량을 제한하여 휴대폰(2)을 탁자나 책상에 세울 수 있도록 배터리(4)의 수용홈(20,20a) 외주면 일측에 경사진 걸림턱(22,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후면 하단에 중앙부로부터 일단까지에 걸쳐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 걸림홈(32)을 갖는 수용홈(30)과,
    상기 수용홈(30)에 삽입되어 그 일단이 수용홈(30)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타단에는 걸림홈(32)에 대응한 돌기(38)가 형성된 거치부재(34)와,
    상기 거치부재(34)의 일측에는 거치부재(34)의 회전시 휴대폰(2)의 일측에 걸림되어 이 거치부재(34)의 회전량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그 양측벽에는 걸림홈(52)이 형성된 수용홈(50)과,
    상기 수용홈(50)에 삽입되어 그 상단이 수용홈(50)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며, 양측단에는 걸림홈(52)에 대응한 돌기(60)가 형성된 거치부재(56)와,
    상기 거치부재(56)와 이격된 휴대폰(2)의 일측에는 회전되는 거치부재(56)의 회전량을 제한하도록 된 스토퍼(54)와,
    상기 거치부재(56)의 일측에는 소정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휴대폰(2)의 하단부에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홈(72)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걸림홈(74,76)이 형성된 수용홈(70)과,
    상기 수용홈(70)에 출입가능하게 삽입되며, 양측의 측판(82)상에는 상기 가이드홈(72)에 대응한 가이드레일(86)이 형성되고, 중앙의 탄성판(80)에는 상기 걸림홈(74,76)에 걸림되도록 된 돌기(84)가 형성된 거치부재(78)와,
    상기 거치부재(78)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어 이 거치부재(78)의 인출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휴대폰(2)을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20-1999-0008992U 1999-05-25 1999-05-25 휴대폰 KR200364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992U KR200364981Y1 (ko) 1999-05-25 1999-05-25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992U KR200364981Y1 (ko) 1999-05-25 1999-05-25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298U true KR20000021298U (ko) 2000-12-26
KR200364981Y1 KR200364981Y1 (ko) 2004-10-16

Family

ID=493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992U KR200364981Y1 (ko) 1999-05-25 1999-05-25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73B1 (ko) * 2000-11-16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거치 가능한 이동전화기
KR101328965B1 (ko) * 2011-10-10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73B1 (ko) * 2000-11-16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거치 가능한 이동전화기
KR101328965B1 (ko) * 2011-10-10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81Y1 (ko) 200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52B1 (ko) 휴대기기 구조
US5107401A (en) Lap top computer with tilting mechanism consisting of a battery pack pivotally attached on a rear surface
US8214000B2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KR200364981Y1 (ko) 휴대폰
JPH10133769A (ja) コンピュータのパックアセンブリ着脱装置
KR20010076296A (ko) 휴대용 이동 단말기
JPH08106342A (ja) 可搬型情報処理装置
JP4353566B2 (ja) Oa機器収納パネル
JPS647562Y2 (ko)
JP3004257U (ja) 携帯電話のホルダー
JP2001022509A (ja) 入力ペン保持構造及び情報端末機器
JP2000174873A (ja) 携帯電話ホルダ
KR200180373Y1 (ko) 휴대폰 받침대
CN210839709U (zh) 移动终端保护壳
CN216637118U (zh) 一种贴膜神器
KR200179519Y1 (ko) 보이스 레코더의 걸이 구조
JP3323770B2 (ja) 小型機器における蓋体の開閉構造
JPH0416359Y2 (ko)
JPS6322701Y2 (ko)
JPH0637875A (ja) 通信端末装置保持台
JPH04200044A (ja) コードレス電話器の電池蓋
JPH0121604Y2 (ko)
JPH0729925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0415269Y2 (ko)
KR200212108Y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전화기의 엘시디 자동열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