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006A - 유전체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006A
KR20000021006A KR1019980039912A KR19980039912A KR20000021006A KR 20000021006 A KR20000021006 A KR 20000021006A KR 1019980039912 A KR1019980039912 A KR 1019980039912A KR 19980039912 A KR19980039912 A KR 19980039912A KR 20000021006 A KR20000021006 A KR 2000002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body
resonance
groove
dielectric
resonan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한
Original Assignee
원대철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철, 주식회사 이엠코 filed Critical 원대철
Priority to KR101998003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006A/ko
Publication of KR2000002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1 공진홈과,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2 공진홈과,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성형하므로써, 유전체 몸체부의 커다란 면적이 아닌 최소화된 면적으로도 충분히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극소화를 이룰 수 있으며, 소정의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의 두께(ℓ)를 능동적으로 조정하여 저역 및 고역에서의 감쇄특성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성형하여 저역 및 고역에서의 감쇄특성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필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대략 원통형상의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13)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13)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14)과, 상기 도체피복(14)을 부분 그라인딩(grinding) 가공하여 구현된 입력단자(15) 및 출력단자(16)와,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내면을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하여 구현되어 소정의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트림부(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1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수평간격을 유지하며 동일한 직경으로 상하 관통 성형되고, 이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내주연은 도체피복(14)으로 도금되어 있는데, 이 도체피복(14)은 그라인딩 가공을 통하여 링형상으로 부분 깍여져 트림부(17)가 구현된다.
그리고, 통상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직경은 유도용량을 갖고,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내주연으로부터 도체피복(14)까지의 거리는 정전용량을 갖으며, 상기 트림부(17)는 결합용량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10)는,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이 유전체 몸체부(1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수평간격을 유지하며 상하 관통 성형되므로 인하여,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을 구비하기 위하여 확보된 면적을 갖는 유전체 몸체부(13)를 성형하여야만 하여 회로기판에 탑재되는 유전체 필터(10)의 크기를 최소화하려는 의지에 역행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 및 고역에서의 감쇄특성이 완만하게 구현되어 희망대역의 주파수를 정밀하게 통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성형하여 유전체 몸체부의 커다란 면적이 아닌 최소화된 면적으로도 충분히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현할 수 있고, 저역 및 고역에서의 감쇄특성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통하여 구현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통하여 구현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전체 필터 110 : 제 1 공진홈
120 : 제 2 공진홈 130 : 입력단자
140 : 출력단자 150 : 유전체 몸체부
160 : 결합용량 조절부 170 : 도체피복
CS: 커패시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1 공진홈과,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2 공진홈과,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통하여 구현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150)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170)과,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상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1 공진홈(110)과,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하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2 공진홈(120)과, 상기 제 1 공진홈(110) 및 제 2 공진홈(120)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160)와, 상기 결합용량 조절부(160)의 상하측 부분에 대향되는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외주면에 위치된 상기 도체피복(170)을 부분 그라인딩 가공하여 구현된 입력단자(130) 및 출력단자(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제 1 공진홈(110) 및 제 2 공진홈(120)이 구비되므로써, 종래의 수평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유전체 몸체부(150)의 커다란 면적이 아닌 최소화된 면적으로도 충분히 제 1 공진홈(110) 및 제 2 공진홈(120)을 구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용량 조절부(160)는 유전체 몸체부(150)의 상하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뚫려진 제 1 공진홈(110) 및 제 2 공진홈(120)의 깊이에 따라 그 두께(ℓ)가 각각 결정되고, 이 두께(ℓ)의 조절을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역 주파수 및 고역 주파수 대역에서의 감쇄특성을 매우 좋게 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가변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상기 결합용량 조절부(160)가 유전체 몸체부(150)의 내부 깊은 위치에 구현되므로써, 자체 전자파의 외부 방출현상을 막을 수 있고, 외부의 다른 전자파에 의한 악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 의하면,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직선방향으로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성형하므로써, 유전체 몸체부의 커다란 면적이 아닌 최소화된 면적으로도 충분히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극소화를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의 두께(ℓ)를 능동적으로 조정하여 저역 및 고역에서의 감쇄특성을 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가변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가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 깊은 위치에 구현되므로써, 자체 전자파의 외부 방출현상을 막을 수 있고, 외부의 다른 전자파에 의한 악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1 공진홈과,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하부로부터 중심부를 못미치는 위치까지 뚫려진 제 2 공진홈과,
    상기 제 1 공진홈 및 제 2 공진홈 사이에 구비되어 가변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결합용량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KR1019980039912A 1998-09-25 1998-09-25 유전체 필터 KR20000021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12A KR20000021006A (ko) 1998-09-25 1998-09-25 유전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12A KR20000021006A (ko) 1998-09-25 1998-09-25 유전체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06A true KR20000021006A (ko) 2000-04-15

Family

ID=1955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912A KR20000021006A (ko) 1998-09-25 1998-09-25 유전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0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870B1 (ko) 무선 주파수 필터
JP3389819B2 (ja) 誘電体導波管型共振器
EP0623965A1 (en) A method of making a coupling aperture for a filter
KR20130140724A (ko) 튜닝 가능한 고주파 필터
US5612654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stepped resonator holes with offset hole portions
US6737943B2 (en) Dielectric device with partially closed hole
US4721932A (en) Ceramic TEM resonator bandpass filters with varactor tuning
JP2003078312A (ja) 誘電体導波管型フィルタ及びその特性調整方法
KR20000021006A (ko) 유전체 필터
KR101165872B1 (ko) 고주파 필터
US6211755B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dielectric resonator
JPH0477002A (ja) 誘電体フィルタ
KR20000021004A (ko) 유전체 필터
US6768394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268527B1 (ko) 유전체필터및그의제조방법
JPH07202528A (ja) 誘電体同軸共振器および誘電体共振器フィルタ
KR10039772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00021005A (ko) 유전체 필터
JP2013009092A (ja) Tmモード共振器,tmモード共振器の特性調整方法
KR20000021007A (ko) 유전체 필터
KR100265299B1 (ko) 유전체 필터
KR100265302B1 (ko) 유전체 공진기
KR20000002562A (ko) 유전체 필터
KR100283700B1 (ko) 유전체 필터
KR100265301B1 (ko)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