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562A - 유전체 필터 - Google Patents

유전체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562A
KR20000002562A KR1019980023388A KR19980023388A KR20000002562A KR 20000002562 A KR20000002562 A KR 20000002562A KR 1019980023388 A KR1019980023388 A KR 1019980023388A KR 19980023388 A KR19980023388 A KR 19980023388A KR 20000002562 A KR20000002562 A KR 20000002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inding
dielectric
resonance
reson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한
Original Assignee
원대철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대철, 주식회사 이엠코 filed Critical 원대철
Priority to KR101998002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562A/ko
Publication of KR2000000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5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내부에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홀의 상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1 트림부와, 상기 제 2 공진홀의 하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2 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제 1 트림부 및 제 2 트림부의 위치 역시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하므로써, 특정 주파수 밴드의 신호를 크게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출력 전달비를 매우 좋게 할 수 있고, 더불어 그 공진길이가 더욱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유전체 필터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필터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제 1 트림부 및 제 2 트림부의 위치 역시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한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전체 필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대략 원통형상의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13)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13)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14)과, 상기 도체피복(14)을 부분 그라인딩(grinding) 가공하여 구현된 입력단자(15) 및 출력단자(16)와,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내면을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하여 구현되어 소정의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트림부(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1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수평간격을 유지하며 동일한 직경으로 상하 관통 성형되고, 이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표면은 도체피복(14)으로 도금되어 있는데, 이 도체피복(14)은 그라인딩 가공을 통하여 링형상으로 부분 깍여지게 되고, 통상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직경은 유도용량을 갖고, 상기 제 1 공진홀(11) 및 제 2 공진홀(12)의 내주연으로부터 도체피복(14)까지의 거리는 정전용량을 갖으며, 상기 트림부(17)는 결합용량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는 도금의 패턴 면적을 통해서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도금의 패턴 공정이 어려워지며 표면실장하기가 난해한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제 1 트림부 및 제 2 트림부의 위치 역시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하여 특정 주파수 밴드 신호를 크게 감쇄시킬 수 있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를 유전체 필터의 필터링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전체 필터 110 : 제 1 공진홀
111 : 상부 광홀 112 : 하부 협홀
120 : 제 2 공진홀 121 : 상부 협홀
122 : 하부 광홀 130 : 입력단자
140 : 출력단자 150 : 유전체 몸체부
160 : 제 1 트림부 170 : 제 2 트림부
180 : 도체피복 CS: 커패시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내부에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홀의 상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1 트림부와, 상기 제 2 공진홀의 하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2 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대략 원통형상의 제 1 공진홀(110) 및 제 2 공진홀(120)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150)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180)과, 상기 도체피복(180)을 부분 그라인딩(grinding) 가공하여 구현된 입력단자(130) 및 출력단자(140)와, 상기 제 1 공진홀(110) 및 제 2 공진홀(120)의 내면을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하여 구현되어 소정의 커패시턴스(CS) 값을 갖는 제 1 트림부(160) 및 제 2 트림부(1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1 트림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진홀(110)의 상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되고, 상기 제 2 트림부(170)는 상기 제 2 공진홀(120)의 하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트림부(160)는 상기 제 1 공진홀(110)의 상단부 내주연에 테이퍼진 나팔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트림부(170)는 상기 제 2 공진홀(120)의 하단부 내주연에 테이퍼진 나팔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공진홀(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상단에서 중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큰 상부 광홀(111) 및 상기 상부 광홀(111)에 연통되어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중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작은 하부 협홀(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진홀(120)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상단에서 중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작은 상부 협홀(121) 및 상기 상부 협홀(121)에 연통되어 상기 유전체 몸체부(150)의 중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큰 하부 광홀(122)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때, 상기 제 1 트림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공진홀(110)의 상부 광홀(111) 및 하부 협홀(112) 사이의 경계단부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 2 트림부(170)는 상기 제 2 공진홀(120)의 상부 협홀(121) 및 하부 광홀(122) 사이의 경계단부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공진홀(110) 및 제 2 공진홀(120)이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됨과 동시에 제 1 트림부(160) 및 제 2 트림부(170)의 위치 역시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되므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를 얻을 수 있고, 신호 주파수의 반사특성을 상호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입출력 전달비가 매우 좋아질 뿐만 아니라 그 공진길이를 더욱 길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유전체 필터(100)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 의하면,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제 1 트림부 및 제 2 트림부의 위치 역시 상호 상하 대칭되도록 성형하므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밴드의 신호를 크게 감쇄시킬 수 있고 유전체 필터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어도 내부에 제 1 공진홀 및 제 2 공진홀을 구비하며 전계에 의하여 전기분극을 유기시키는 유전체 몸체부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표면에 도금된 도체피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홀의 상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1 트림부와,
    상기 제 2 공진홀의 하단부 내주연에 링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구현된 제 2 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림부는 상기 제 1 공진홀의 상단부 내주연에 테이퍼진 나팔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 2 트림부는 상기 제 2 공진홀의 하단부 내주연에 테이퍼진 나팔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홀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단에서 중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큰 상부 광홀 및 상기 상부 광홀에 연통되어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중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작은 하부 협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진홀은,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상단에서 중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작은 상부 협홀 및 상기 상부 협홀에 연통되어 상기 유전체 몸체부의 중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관통 성형되어 직경이 큰 하부 광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4. 제 1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림부는 상기 제 1 공진홀의 상부 광홀 및 하부 협홀 사이의 경계단부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고,
    상기 제 2 트림부는 상기 제 2 공진홀의 상부 협홀 및 하부 광홀 사이의 경계단부에 테이퍼진 형상으로 그라인딩 가공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
KR1019980023388A 1998-06-22 1998-06-22 유전체 필터 KR20000002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388A KR20000002562A (ko) 1998-06-22 1998-06-22 유전체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388A KR20000002562A (ko) 1998-06-22 1998-06-22 유전체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62A true KR20000002562A (ko) 2000-01-15

Family

ID=1954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388A KR20000002562A (ko) 1998-06-22 1998-06-22 유전체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5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3561A (en) Dielectric block apparatus having two opposing coaxial resonators separated by an electrode free region
KR20000002562A (ko) 유전체 필터
JPH07202528A (ja) 誘電体同軸共振器および誘電体共振器フィルタ
KR100265299B1 (ko) 유전체 필터
KR20000039104A (ko) 유전체 필터
KR100283701B1 (ko) 유전체필터
KR20020031955A (ko) 유전체필터
KR20010018614A (ko) 유전체 필터
KR100195522B1 (ko) 일체형 유전체 협대역 필터
KR100283699B1 (ko) 유전체 필터
KR100314087B1 (ko) 세라믹 필터
KR19990080712A (ko) 유전체 필터
KR20000021004A (ko) 유전체 필터
KR20010018615A (ko) 유전체 필터
KR100283704B1 (ko) 유전체 필터
KR20000039105A (ko) 유전체 필터
KR20010018613A (ko) 유전체 필터
KR100283700B1 (ko) 유전체 필터
KR20000037918A (ko) 유전체 필터
KR20000021005A (ko) 유전체 필터
KR20000002560A (ko) 유전체 필터
KR100314085B1 (ko) 유전체 필터
KR100314626B1 (ko) 일체형유전체필터
KR20000021006A (ko) 유전체 필터
KR20000002561A (ko) 유전체 공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