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892U -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 Google Patents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892U
KR20000020892U KR2019990008343U KR19990008343U KR20000020892U KR 20000020892 U KR20000020892 U KR 20000020892U KR 2019990008343 U KR2019990008343 U KR 2019990008343U KR 19990008343 U KR19990008343 U KR 19990008343U KR 20000020892 U KR20000020892 U KR 200000208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lever
carrier
motorcyc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3054Y1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2019990008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0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0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Other aspects of the evaluation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에 관한분야.
(2) 고안의 목적.
등받이를 절첩가능케 하여 각종 화물운반시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구성
금속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오토바이의 짐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종 화물을 비롯한 짐을 안착시키는 통상의 짐받이(2) 선단 중앙부에 비교적 낮은 높이로 등보호프레임(3)을 절곡형성하고 짐받이(2) 선단의 양측부에 힌지결합구멍(4)과 삽입홈(5)을 가진 연결구(6)를 용접고정하되, 상기 연결구(6)의 측면하측에 스톱핀(7)과 힌지축(8)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축에 스프링(9)과 함께 선단에 경사면(10`)과 ""형 걸홈(10)을 가진 레바(11)를 조립하며, 상기 연결구(6)의 힌지결합구멍(4)에 하단 일측에 상기 삽입홈(5)과 걸홈(10)에 맞는 크기의 돌출핀(12)을 용접고정시킨 별도의 등받이(13)를 리벳 또는 핀(14)으로 조립하여 등받이(13)를 세울때 돌출핀(12)이 삽입홈(5)에 끼워지면서 경사면(10`)에 의해 레바(11)가 작용하여 레바(11) 선단에 형성된 걸홈(10)이 돌출핀(12)에 걸리게 됨으로써 등받이(13)가 세워져 고정되게 하고 레바(11)를 아래로 밀면서 등받이(13)를 짐받이(2)위로 잡아 당기면 절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4) 고안의 효과
짐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등받이를 세우거나 눕혀 사용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따름.

Description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Pack for the use of Motercycle}
본고안은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짐받이와 연결구성되는 등받이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절첩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싣고자 하는 짐의 크기,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의 뒷바퀴위에는 통상 짐을 실을수 있도록 작은 짐받이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많은짐을 싣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많은 짐을 싣고 다닐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짐받이를 개조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경우 통상 등받이와 짐받이가 ""형으로 용접 구성되어 있어 짐을 싣지 않거나 작은짐을 싣고 다닐때는 큰 부피로 인하여 오히려 불편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오토바이에 설치된 짐받이는 선단부분에 등보호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높이가 매우 낮아 큰짐을 실을때 어려움과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오토바이의 짐받이 선단중앙부에 비료적 낮은 높이로 등보호프레임을 세워 짐받이와 일체로 되게 형성하고, 짐받이 선단 양측에 높이가 제법 높은 별도의 등받이를 힌지 결합시켜 90°각도로 절첩가능케 함으로써, 많은 짐을 실을때는 세워서 사용하고, 짐을 싣지 않거나 적은 짐을 실을때는 눕혀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선택사용 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고안의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금속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오토바이의 짐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종 화물을 비롯한 짐을 안착시키는 통상의 짐받이(2) 선단중앙부에 비교적 낮은 높이로 등보호프레임(3)을 절곡형성하고 짐받이(2) 선단의 양측부에 힌지결합구멍(4)과 삽입홈(5)을 가진 연결구(6)를 용접고정하되, 상기 연결구(6)의 측면 하측에 스톱핀(7)과 힌지축(8)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축에 스프링(9)과 함께 선단에 경사면(10`)과 ""형 걸홈(10)을 사진 레바(11)를 조립하며, 상기 연결구(6)의 힌지결합구멍(4)에 하단 일측에 상기 삽입홈(5)과 걸홈(10)에 맞는 크기의 돌출핀(12)을 용접고정시킨 별도의 등받이(13)를 리벳 또는 핀(14)으로 조립하여 등받이(13)를 세울때 돌출핀(12)이 삽입홈(5)에 끼워지면서 경사면(10`)에 의해 레바(11)가 작용하여 레바(11) 선단에 형성된 걸홈(10)이 돌출핀(12)에 걸리게 됨으로써 등받이(13)가 세워져 고정되게 하고, 레바(11)를 아래로 밀면서 등받이(13)를 짐받이(2)위로 잡아 당기면 절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5는 C형링, 16은 오토바이에 결합고정시키는 브라켓, 17은 지지봉, 21은 스프링걸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오토바이에 장착하여 적은짐을 싣거나 빈 오토바이로 주행할때는 등받이(13)를 절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고, <이때 작은짐은 비교적 낮은 높이로 형성된 등보호프레임(3)을 이용하여 짐을 묶으면 됨> 많은짐 또는 큰짐을 싣고져 할때는 등받이(13)를 세우면 되는데, 이때 등받이(13)를 세우게 되면 핀(14)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핀(12)이 연결구(6)에 형성된 삽입홈(5)으로 삽입고정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핀(12)이 레바(11) 선단의 경사면(10`)에 작용하여 레바(11) 선단부분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므로 레바(11)의 걸홈(10)이 자동적으로 돌출핀(12)에 걸리게 됨으로써 등받이(13)가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후 등받이(13)를 눕히려 할때는 레바(11)를 먼저 눌러준 상태<이때 걸홈(10)은 돌출핀(12)를 벗어나게 됨>에서 등받이(13)를 잡아 짐받이(2)로 눕혀주면 된다.
따라서 본고안은 등받이(13)의 절첩이 매우 자유롭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짐이나 화물의 상태에 따라 손쉽게 조작하여 사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등받이(13)를 간편하게 절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짐의 많고 적음에 따라 적절하게 등받이(13)를 세우거나 눕혀 사용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금속파이프등을 이용하여 오토바이의 짐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종 화물을 비롯한 짐을 안착시키는 통상의 짐받이(2) 선단중앙부에 비교적 낮은 높이로 등보호프레임(3)을 절곡형성하고, 짐받이(2) 선단의 양측부에 힌지결합구멍(4)과 삽입홈(5)을 가진 연결구(6)를 용접고정하되, 상기 연결구(6)의 측면 하측에 스톱핀(7)과 힌지축(8)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축에 스프링(9)과 함께 선단에 경사면(10`)과 ""형 걸홈(10)을 가진 레바(11)를 조립하며, 상기 연결구(6)의 힌지결합구멍(4)에 하단 일측에 상기 삽입홈(5)과 걸홈(10)에 맞는 크기의 돌출핀(12)을 용접고정시킨 별도의 등받이(13)를 리벳 또는 핀(14)으로 조립하여 등받이(13)를 세울때 돌출핀(12)이 삽입홈(6)에 끼워지면서 경사면(10`)에 의해 레바(11)가 작용하여 레바(11) 선단에 형성된 걸홈(10)이 돌출핀(12)에 걸리게 됨으로써 등받이(13)가 세워져 고정되게 하고, 레바(11)를 아래로 밀면서 등받이(13)를 짐받이(2)위로 잡아 당기면 절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KR2019990008343U 1999-05-15 1999-05-15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KR200283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343U KR200283054Y1 (ko) 1999-05-15 1999-05-15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343U KR200283054Y1 (ko) 1999-05-15 1999-05-15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92U true KR20000020892U (ko) 2000-12-15
KR200283054Y1 KR200283054Y1 (ko) 2002-07-23

Family

ID=5476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343U KR200283054Y1 (ko) 1999-05-15 1999-05-15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0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36B1 (ko) * 2015-10-16 2017-02-01 이일주 치간 칫솔 저장부를 구비하는 수동 회전방식 칫솔
CN114475449A (zh) * 2021-12-31 2022-05-13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在可折叠行李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36B1 (ko) * 2015-10-16 2017-02-01 이일주 치간 칫솔 저장부를 구비하는 수동 회전방식 칫솔
CN114475449A (zh) * 2021-12-31 2022-05-13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在可折叠行李架
CN114475449B (zh) * 2021-12-31 2024-01-09 青岛润泰园林工具有限公司 一种后置型车载可折叠行李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054Y1 (ko) 200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900B2 (en) Baby stroller frame
CA2278983C (en) Stroller with detachable auxiliary seat
EP2370303B1 (en)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US7070197B2 (en) Baby carriage chassis adapted to support a baby's car seat thereon
US5454577A (en) Bicycle trailer
US6540239B2 (en) Foldable utility cart
US6378892B1 (en)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US6959938B1 (en) Folding collapsible baby trailer
GB2259282A (en) A trolley with a foldable seat assembly.
US20120126587A1 (en) Chair with foldable desk
US5788260A (en) Luggage carrier
EP0732248B1 (en) Chair and hand truck
EP1640237A2 (en) A shopping cart
US7445222B2 (en) Multi-purpose tow bar for a trailer
KR200283054Y1 (ko)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EP1646531B1 (en) Load carriers for vehicles
US6712382B2 (en) Baby carrier
CN102673617B (zh) 折叠自立式宠物手推车
US20030193172A1 (en) Triple-wheel stroller having a foldable operation device
KR200168923Y1 (ko) 등받이 절첩구조를 가진 오토바이용 짐받이
US6767027B2 (en) Folding structure for basket support of a stroller
CN212766425U (zh) 一种便于折叠的童车车架
CN2910777Y (zh) 一种儿童拖车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CN210101765U (zh) 一种折叠式拖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