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919A - 송수신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919A
KR20000019919A KR1019980038273A KR19980038273A KR20000019919A KR 20000019919 A KR20000019919 A KR 20000019919A KR 1019980038273 A KR1019980038273 A KR 1019980038273A KR 19980038273 A KR19980038273 A KR 19980038273A KR 20000019919 A KR20000019919 A KR 2000001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eramic dielectric
dielectric resonator
frequency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636B1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6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frequency-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본 발명의 송수신 분리장치는, 송신부측과 안테나 사이에 상기 휴대용단말기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신부측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2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송수신 분리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에서는 안테나를 공용하면서도 송신신호와 수신신호가 자신의 패스로 갈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2의 후단에 송수신 분리장치 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송수신 분리장치 4는 휴대용단말기의 송신부와 수신부에 각각 연결된다.
송수신분리장치중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분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은 안테나 스위치(antenna switch)와 도 3에 도시된 일예와 같은 듀플렉서(duplexer)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PIN다이오드 D1,D2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전압에 의거하여 온(on) 또는 오프(off)된다. 상기 PIN다이오드 D1,D2는 송신모드시 온되고 수신모드시 오프된다. 송신모드시 PIN다이오드 D1,D2가 온되면, PIN다이오드 D1,D2의 임피던스가 매우 작아지므로 송신부측 손실은 거의 없고 단락(short)상태의 PIN다이오드 D1,D2에 의해 λ/4전송선 6은 오픈(open)특성을 보이므로 송신신호는 수신부측으로는 가지 못하고 안테나측으로 나가게 된다. 수신모드시 PIN다이오드 D1,D2가 오프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오프된 PIN다이오드 D1,D2에 의해 송신부측으로 가지 못하고 수신부측으로 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단점이 있다. 제어전압(전류 수 mA)이 필요하고, 상기 제어전압이 인가되게 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어선이 필요하다. 또한 PIN다이오드의 비선형동작으로 인한 고조파(harmonics)가 발생하게 되며, 또 활용가능한 특성이 수동소자에 비해 저주파대역(대략 1GHz대역 정도)으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의 일 예인 ICO(Intermediate Circular Orbit)단말기의 주파수대역(대략 2GHz대역 정도)에서는 신호손실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송수신분리장치의 다른 일예인 듀플렉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듀플렉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s resonator) 8a, 8b, 8c, 8d, 8e, 8f를 인덕터로 이용하여 다중 LC필터를 구성한다. 다중 LC필터는 송신주파수 및 수신주파수에 대한 밴드패스 필터링대역을 다르게 정해져 있음으로 송수신신호가 분리가 된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듀플렉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크기가 크고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송수신 분리도가 매우 좋으나 높은 송수신 분리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이동단말기에는 적합치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송수신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신호손실을 적게하는 송수신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송신부측과 안테나 사이에 상기 휴대용단말기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신부측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2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송신부측과 안테나 사이에 상기 휴대용단말기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신부측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2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송수신 분리장치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송수신 분리장치의 일예인 안테나 스위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송수신 분리장치의 다른 일예인 듀플렉서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휴대용단말기의 일 예인 ICO단말기가 사용하는 송수신 주파수 대역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4와 같은 송수신주파수 대역을 가진 휴대용단말기에 적용하는 송수신 분리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전송선형 유전체 공진기 10과 12의 공진주파수 fr1 fr2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5의 회로구성에서 송신부측에 연결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과 커패시터 C1에 대한 등가회로도.
도 8은 도 5의 회로구성에서 수신부측에 연결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와 인덕터 L1에 대한 등가회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5의 회로구성에 따른 주파수 특성곡선도.
도 10은 송신주파수대역이 수신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경우의 휴대용단말기에 적용되는 송수신 분리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전송선형 유전체 공진기 10과 12의 공진주파수 fr1 fr2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휴대용단말기에서 송수신단의 분리(isolation)이 다른 시스템에서보다는 중요하지 않는 점을 이용해 두 개의 전송선형 공진기를 사용하여 신호 송수신시의 신호 손실을 작게하고자 한다.
도 4는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휴대용단말기의 일 예인 ICO단말기가 사용하는 송수신 주파수 대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수신주파수 대역이 송신주파수 대역보다 높다. 도 4를 참조하면, ICO단말기의 송신주파수 대역은 1985MHz ∼ 2015MHz이고 수신주파수 대역은 2710MHz ∼ 2200MHz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주파수대역이 송신주파수대역보다 높은 경우인 휴대용단말기에 적용하는 송수신 분리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부와 안테나에 연결되는 노오드 14 사이에는 공진주파수 fr1 이 수신주파수 대역(2710MHz ∼ 2200MHz)의 중심부근에 있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과 커패시터 C1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수신부와 안테나에 연결되는 노오드 14 사이에는 공진주파수 fr2 가 송신주파수 대역(1985MHz ∼ 2015MHz)의 중심부근에 있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와 인덕터 L1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회로 구성은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주파수대역이 송신주파수대역보다 높을 경우에 해당된다. 즉,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12의 공진주파수 fr1 , fr2 fr2 fr1 의 관계에 있을 경우이다.
도 6에서는 도 5의 전송선형 유전체 공진기 10과 12의 공진주파수 fr1 fr2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공진주파수 fr1 은 수신주파수대역의 중심주파수 for (=2185MHz)에서 ±5MHz 범위에 있고, 수신부와 안테나 사이에 위치하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의 공진주파수 fr2 는 송신주파수대역의 중심주파수 fot (=2000MHz)에서 ±5MHz 범위에 있다.
도 5로 돌아가면,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 12는 끝단면이 단락된(short)된 형태로(도금되어 있음) 되어 있어서 공진주파수 fr1 , fr2 에서 매우 큰 특성임피던스를 가진다(기본특성임).
송신부측에 사용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은 공진주파수 fr1 이 수신주파수대역에 있으므로 커패시터 C1이 직렬연결되어도 수신주파수대역에서는 매우 큰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 수신신호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터 C1을 적절한 값으로 선택해 놓으면 송신주파수에서는 매우 작은 임피던스(직렬 RLC공진 특성) 특성을 보여 송신부에서 전송된 송신신호는 저손실로 통과해 안테나로 전달된다.
수신부측에 사용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는 공진주파수 fr2 가 송신주파수대역에 있으므로 인덕터 L1이 직렬연결되어도 송신주파수대역에서는 매우 큰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 송신신호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인덕터 L1을 적절한 값으로 선택해 놓으면 수신주파수에서는 매우 작은 임피던스(직렬 RLC공진 특성) 특성을 보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저손실로 통과해 수신부로 전달된다.
도 7은 도 5의 회로구성에서 송신부측에 연결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과 커패시터 C1에 대한 등가회로도이고, 도 8은 도 5의 회로구성에서 수신부측에 연결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와 인덕터 L1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도 5의 회로구성에 따른 주파수 특성곡선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7 내지 도 9a,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신호 분리 원리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 5의 회로구성에 있어서 송신부측에서 보라본 등가회로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임피던스 Zr1(=Re+Im)과, 커패시터 C1의 임피던스(컨덕턴스) 와, 안테나쪽 연결에 따른 부하저항 ZL로 구성한다. 따라서 송신측에서 바라본 전체 임피던스 Z1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Z1 = Zr1- jXC+ 50 [Ω]
도 9a에서는 송신부측에서 보라본 등가회로에 대한 주파수 특성곡선도이다.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임피던스(Zr1) 성분중 실수성분 Re[Zr1] 은 공진주파수 fr1 에서 무한대값을 가지며, 허수성분 Im[Zr1] 은 공진주파수 fr1 까지는 유도성 임피던스값을 가지며, 공진주파수 fr1 이후는 용량성 임피던스값을 가진다.
도 7과 도 9a를 함께 참조하면, 주파수 f가 수신주파수대역의 중심부근에 있는 공진주파수 fr1 가 되었을 경우(f= fr1 ), 임피던스 Zr1의 값이 매우 커진다. 즉, Re[Zr1] → ∞ 이다. 그러므로 커패시터 C1의 임피던스 -jXC 와 부하저항 ZL는 무시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Z)는 Z1 ≈ Zr1=∞ 가 된다. 이는 수신주파수가 송신기측으로는 가지를 못함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주파수 f가 송신주파수대역인 경우 예컨대, f= fr2 ±15MHz인 경우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임피던스 Zr1의 값은 도 9a에서와 같이 l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에 직렬연결된 커패시터 C1의 임피던스(커패시턴스값) 을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값이 되게 선택해 놓으면, 송신부측에서 보라본 전체 임피던스 Z1의 크기는 매우 작아진다. 즉, 주파수 f가 공진주파수 fr1 ±15MHz에서는 전체임피던스 Z1은 의 관계를 가진다. 상기한 수학식 1에서도 Zr1= jXC=l 로 두게 되면 전체 임피던스(Z1)는 Z1 ≈ 50 [Ω] 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송신부에서 전송된 송신신호는 저손실로 통과해 안테나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5의 회로구성에 있어서 수신부측에서 보라본 등가회로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의 임피던스 Zr2(=Re+Im)과, 인덕터 L1의 임피던스 jXL(=jwL) 과, 안테나쪽 연결에 따른 부하저항 ZL로 구성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바라본 전체 임피던스 Z2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Z2 = Zr2+ jXL+ 50 [Ω]
도 9b에서는 수신부측에서 보라본 등가회로에 대한 주파수 특성곡선도이다.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의 임피던스(Zr2) 성분중 실수성분 Re[Zr2] 은 공진주파수 fr2 에서 무한대값을 가지며, 허수성분 Im[Zr2] 은 공진주파수 fr2 까지는 유도성 임피던스값을 가지며, 공진주파수 fr2 이후는 용량성 임피던스값을 가진다.
도 8과 도 9b를 함께 참조하면, 주파수 f가 송신주파수대역의 중심부근에 있는 공진주파수 fr2 가 되었을 경우(f= fr1 ), 임피던스 Zr2의 값이 매우 커진다. 즉, Re[Zr2] → ∞ 이다. 그러므로 인덕터 L1의 임피던스 jXL 과 부하저항 ZL는 무시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Z2)는 Z2 ≈ Zr2=∞ 가 된다. 이는 송신주파수가 수신기측으로는 가지를 못함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주파수 f가 수신주파수대역인 경우 예컨대, f= fr1 ±15MHz인 경우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의 임피던스 Zr2의 값은 도 9b에서와 같이 -d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에 직렬연결된 인덕터 L1의 임피던스(인덕턴스값) jXL(=jwL) 을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값이 되게 선택해 놓으면, 수신부측에서 보라본 전체 임피던스 Z2의 크기는 매우 작아진다. 즉, 주파수 f가 공진주파수 fr1 ±15MHz에서는 전체임피던스 Z2는 Im[Zr2+jwL] → 0, Re[Zr2] → 0 의 관계를 가진다. 상기한 수학식 2에서도 Zr2= jXL=d 로 두게 되면 전체 임피던스(Z2)는 Z2 ≈ 50 [Ω] 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저손실로 통과해 수신부측으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한편 송신신호가 안테나로 가는데 발생하는 전체 손실은 크게 송신부측의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과 상기 유전체 공진기 10에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 C1에서의 열손실과 수신부측으로 빠져 나가는 손실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손실은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특성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적어지고 유전체 공진기 10과 커패시터 C1의 공진첨예도 Q에 반비례한다. 수신부측으로 빠져 나가는 손실은 주로 유전체 공진기 10의 공진첨예도 Q에 반비례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 10의 특성임피던스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두 손실(열손실 및 수신부측으로 빠져 나가는 손실)이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의 특성임피던스에 대해 반대의 특성을 보이지만 주된 손실은 상기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에 직렬연결된 커패시터 C1에 의한 것이므로 상기 유전체 공진기 10의 특성임피던스를 낮은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공진기의 크기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송신신호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지만 수신신호에 대해서도 송신신호와는 마찬가지의 해석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도 5의 구성은 휴대용단말기의 수신주파수대역이 송신주파수대역보다 높을 경우에 해당된다. 즉,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12의 공진주파수 fr1 , fr2 fr2 fr1 의 관계에 있을 경우이다.
그렇지만 만약 휴대용 단말기의 송신주파수 대역이 수신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경우에는 도 5의 구성에서 L1,C1은 서로 바뀌어져 연결된다.
도 10에서는 송신주파수대역이 수신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경우의 휴대용단말기에 적용되는 송수신 분리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고 있고, 도 11에서는 도 10의 전송선형 유전체 공진기 10과 12의 공진주파수 fr1 fr2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송신부와 안테나에 연결되는 노오드 14 사이에는 공진주파수 fr1 이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 for ±α MHz)에 있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0과 인덕터 L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수신부와 안테나에 연결되는 노오드 14 사이에는 공진주파수 fr2 가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 fot ±α MHz)에 있는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 12와 커패시터 C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송신주파수가 수신주파수보다 높은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1,C1은 서로 바뀌어져 연결되는 것은,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이해될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커패시터 C1의 임피던스값은 그 특성상 음(-)의 영역이 있고 도 9b에 도시된 인덕터 L1의 임피던스 값은 그 특성상 양(+)의 영역에 있다. 그러므로 도 9a,b에 도시된 송수신주파수대역이 서로 바뀌게 된다면 커패시터 및 인덕터도 바뀌어져 연결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분리장치는 GSM단말기, ICO단말 등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의 휴대용단말기에서 송수신 분리가 아주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손실의 효과로는 수신단 G/T(gain/noise temperature)가 개선되며, 송신단 전력증폭기 출력이 낮아져도 되므로 단말기 전력 효율 개선으로 사용시간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특성이 좋은 세라믹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특성을 보이고 안테나 스위치가 ICO단말기 주파수 대역인 2GHz대역에서 ICO단말기의 사양에 못미친 점을 개선하게 된다. 또한 수동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고전력을 다룰 수 있다. 또한 주파수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방식 시스템에 사용하는 듀플렉서를 주파수분할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시스템에 적용할 때 부담이 되는 크기와 손실을 개선하게 된다.

Claims (8)

  1.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송신부측과 안테나 사이에 상기 휴대용단말기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신부측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2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는 끝단면이 단락된(short)된 형태로 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3. 송수신주파수가 다른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송신부측과 안테나 사이에 상기 휴대용단말기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되며,
    수신부측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2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는 끝단면이 단락된(short)된 형태로 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5. 수신주파수대역이 송신주파수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와,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와,
    상기 수신부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는 끝단면이 단락된(short)된 형태로 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7. 송신주파수대역이 수신주파수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및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송수신 분리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와,
    송신부와,
    수신부와,
    상기 송신부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수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제1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1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인덕터와,
    상기 수신부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송신주파수 대역의 중심부근에 공진주파수가 존재하는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공진주파수에서의 상기 제2 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의 유도성임피던스값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용량성임피던스값을 가지는 커패시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전송선형 세라믹 유전체 공진기는 끝단면이 단락된(short)된 형태로 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분리장치.
KR1019980038273A 1998-09-16 1998-09-16 송수신분리장치 KR10027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273A KR100273636B1 (ko) 1998-09-16 1998-09-16 송수신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273A KR100273636B1 (ko) 1998-09-16 1998-09-16 송수신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19A true KR20000019919A (ko) 2000-04-15
KR100273636B1 KR100273636B1 (ko) 2000-12-15

Family

ID=1955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273A KR100273636B1 (ko) 1998-09-16 1998-09-16 송수신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6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636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638B1 (ko) 안테나듀플렉서
US5467065A (en) Filter having resonators coupled by a saw filter and a duplex filter formed therefrom
EP0828308B1 (en) Low-pass filter with directional coupler and portable telephone set using the same
EP1772961A2 (en) Baw duplexer without phase shifter
US20040119562A1 (en)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0367061A2 (en) Ceramic filter having integral phase shifting network
EP1152543A1 (en) High-frequency composite switch component
JPH07307655A (ja) 送受信分離装置
US6470173B1 (en) Filter unit comprising a wideband bandpass filter and one band-elimination filter
JPH10313229A (ja) 多端子対sawフィルタ及びその使用方法
JP3475858B2 (ja) アンテナ共用器及び通信機装置
CN113904082A (zh) 双微带线耦合器、功率放大器及相关设备和芯片
KR20010007226A (ko) 주파수 대역 가변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기기
EP2892151B1 (en) Filter device and duplexer
KR100344925B1 (ko)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기 장치
KR100273636B1 (ko) 송수신분리장치
JPH10322105A (ja) 分波器
JP4291087B2 (ja) 高速同調アンテナ共用器
JPH09232909A (ja) 分波器
US6369668B1 (en)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06482B1 (ja) トラップフィルタおよびフィルタ回路
JPH1056304A (ja) 分波器
RU2060571C1 (ru) Частотный разделитель на коаксиальных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резонаторах
GB2257335A (en) Antenna switching circuit
KR930001403B1 (ko) 이미지신호 억압특성을 갖는 고주파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