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620A -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620A
KR20000019620A KR1019980037811A KR19980037811A KR20000019620A KR 20000019620 A KR20000019620 A KR 20000019620A KR 1019980037811 A KR1019980037811 A KR 1019980037811A KR 19980037811 A KR19980037811 A KR 19980037811A KR 20000019620 A KR20000019620 A KR 2000001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quick charge
reception
gener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620A/ko
Publication of KR2000001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 H04W88/026Selective call decoders using digital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F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호출기에서 메시지 수신시 그 메시지의 BS1 신호 수신동안 퀵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퀵차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에스 원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에스 원 신호 수신에 따라 퀵 차지 신호 발생을 위한 퀵 자치 신호 발생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 명령 송신 후 상기 비에스 원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비에스 원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의 종료를 위한 퀵 차지 발생 종료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 차지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F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호출기에서 메시지 수신시 그 메시지의 BS1 신호 수신동안 퀵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퀵차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호출측에서 송신한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그 수신되는 메시지를 복조할 때, 그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데이터 쉐이핑(Shaping) 기능을 수행하였었다. 그런데 상기 데이터 쉐이핑을 위한 기준(Reference)값을 정해주기 위한 회로는 구현되어있으나 그 회로를 운용하는 차지 제어 신호의 발생 시점이 수신되는 메시지의 동기 신호 전체에 걸쳐 발생되므로, 즉 동기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코드 워드 별로 구분하여 퀵 차지 제어 신호를 원하는 시점에 발생시킬 수 없어 기준값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호출기에 수신되는 메시지의 동기 신호의 BS1에 따른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퀵 차지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BS1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BS1이 수신되면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 후 상기 BS1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BS1의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을 정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을 정지시킨 후 프레임 정보 워드 신호의 수신 시간을 지연시키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정보 워드 신호의 수신 시간을 지연시킨 후 BS2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BS2 신호가 수신되면 퀵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 후 상기 BS2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BS2 신호의 수신이 종료될 경우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호출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차지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호출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특히 고속 무선 호출 방식인 FLEX(flexible) 방식을 사용하고, 수신되는 메시지의 전송 속도에 따른 필터링 주파수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호출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수신부 111은 무선 호출국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RF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증폭하여 필터링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FLEX 코드로 변환하여 디코더 113으로 전달한다.
상기 디코더 113은 상기 수신부 111로부터 전달받은 복조된 무선 신호를 입력하여 그로부터 상기 무선 호출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즉, 동기 신호 S1(sync 1)에 따라 전송 속도를 감지하고, 그에 이은 프레임 정보(FI:frame information), 동기 신호 S2(sync 2), 블록 정보(BIW: block information word), 어드레스 필드(address field), 벡터 필드(vector field), 메시지 필드(message field), 유휴 블록(idle bloc) 등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 때 상기 신호에서 에러를 검출하여 그 에러 보정을 한다. 그리고 나서 그 원래의 신호를 제어부 115로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디코더 113은 수신되는 메시지의 동기 신호 S1의 "BS1(BIT SYNC 1)" 패턴(pattern)을 검출하여 비교· 검사하는 "BS1" 패턴 비교기 및 상기 "BS1" 패턴 인지후 입력되는 프레임 정보 코드워드의 수신 종료까지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 코드워드에 연속되어 수신되는 BS2(BIT SYNC 2)의 지속 시간을 카운팅하여 상기 제어부 115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디코더 113은 상기 제어부 115의 제어에 따라 BS1 수신의 종료에 따라 퀵 차지 제어 신호를 오프(OFF)시키고, 또한 프레임 정보 코드워드의 수신 종료에 따라 상기 퀵 차지 제어 신호를 온(ON)시키는 퀵 차지 제어 신호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무선 호출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 115는 초기 구동을 위한 채널 스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모리 117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채널 주파수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며, 그 선택된 기준 채널 주파수를 일정 주기로 출력함으로써 채널을 지정하고, 그 지정된 채널로부터 데이터의 수신 유무를 검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에서 전달한 신호를 입력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여 메시지 수신에 따른 경보 또는 진동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 121에 표시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 117에 저장하고, 키입력부 119로부터 메시지 검색 및 소거에 대한 키신호가 있을 경우 메시지 검색 및 소거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코더 113으로부터 전달받은 퀵 차지 제어 신호의 발생 및 정지 신호에 따라 퀵 차지 신호를 발생 및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모리 117은 상기 무선 호출기 기능 수행에 관한 프로그램과 상기 제어부 115의 기능 수행에 따른 일시적인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 키입력부 119는 상기 무선 호출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상, 하, 좌, 우 화살표 키 및 리드(read)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키에 대응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15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 121은 LCD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 115로부터 전달되는 표시 제어 신호에 의해 호출측의 메시지 및 상기 무선 호출기의 상태 정보를 문자 혹은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경보부 123은 상기 제어부 115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 수신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 신호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알람 신호와 진동 모터를 구동하여 발생시키는 진동 신호가 있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그 경보 신호 발생을 종료한다. 또한 발광 소자인 LED를 구비하여 조명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구성된 FLEX 무선 호출기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디지털 쉐이핑을 위한 퀵 차지 제어 신호를 발생·종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 차지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특히 동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BS1 신호 검출에 따른 퀵 차지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의 수신부 111이 안테나를 통해 호출측에서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무선 신호를 도 1의 디코더 113으로 전달한다. 상기 디코더 113은 상기 수신부 11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입력하여 그 신호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도 1의 제어부 115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상응하여 동작을 시작한다.
2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을 통해 BS1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반복 검사한다. 검사 결과 BS1 신호가 수신된다면 상기 제어부 115는 2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퀵 차지(Q/C) 발생 신호를 상기 디코더 113으로 전달한다. 상기 디코더 113은 상기 제어부 115로부터 전달받은 퀵 차지 발생 신호에 상응하여 수신되는 메시지의 디지털 쉐이핑의 기준값, 즉 레퍼런스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2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BS1신호가 수신이 종료되는지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BS1 신호가 수신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213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BS1 신호가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 115는 2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퀵 차지 신호의 발생을 정지시키기 위한 퀵 차지 신호 정지 신호를 상기 디코더 113으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코더 113은 퀵 차지 신호의 발생을 종료시키고 2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으로부터 전달되는 프레임 정보 워드의 수신을 카운팅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2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으로부터 프레임 정보 워드에 연이은 BS2신호가 수신되는지를 반복 검사한다. 검사 결과 BS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 115는 2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디지털 쉐이핑의 레퍼런스 전압을 유지하기 위한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퀵 차지 발생 신호를 상기 디코더 113으로 전달하여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고 2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수신되고 있는 BS2 신호가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BS2 신호가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223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검사 결과 상기 BS2 신호가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 115는 2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15는 상기 디코더 113으로 퀵 차지 신호의 발생을 종료시키기 위한 퀵 차지 정지 신호를 송신하여 퀵 차지 신호의 발생을 종료시키고 리턴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퀵 차지 제어 과정은 비트 동기 신호인 BS1과 BS2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LEX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호출기에 퀵 차지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신되는 메시지의 디지털 쉐이핑을 위한 레퍼런스 전압값을 유지하기 위한 퀵 차지 신호를 비트 동기 신호인 BS1과, BS2의 수신시에만 제공함으로 메시지 수신의 감도를 향상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 차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비에스 원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비에스 원 신호 수신에 따라 퀵 차지 신호 발생을 위한 퀵 자치 신호 발생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 명령 송신 후 상기 비에스 원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비에스 원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퀵 차지 신호 발생의 종료를 위한 퀵 차지 발생 종료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 차지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퀵 차지 발생 종료 명령을 송신한 후 프레임 정보 워드의 수신 시간을 카운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정보 워드의 수신 시간 카운팅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프레임 정보 워드에 연이은 비에스 투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비에스 투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퀵 차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퀵 차지 발생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퀵 차지 발생 명령을 송신한 후 상기 비에스 투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비에스 투 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면 상기 퀵 차지 신호의 발생을 종료하기 위한 퀵 차지 신호 발생 정지 명령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 차지 제어 방법.
KR1019980037811A 1998-09-14 1998-09-14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KR20000019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811A KR20000019620A (ko) 1998-09-14 1998-09-14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811A KR20000019620A (ko) 1998-09-14 1998-09-14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20A true KR20000019620A (ko) 2000-04-15

Family

ID=1955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811A KR20000019620A (ko) 1998-09-14 1998-09-14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6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1527B2 (ja) 移動メッセージ受信機に送られた符号化送信を解析する復号器および復号方法
JPH02501878A (ja) 無線呼出受信機の再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
JPH08172387A (ja) 間欠受信機能を有する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8149542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AU20032406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time of reception during paging
JPH07162948A (ja) 移動無線通信方式および装置
US6216385B1 (en) Radio calling receiver with means to control reception based on service area, time zone, and/or electric field strength
US6070087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priority based network selection
JPS6358417B2 (ko)
US5850186A (en) Method of receiving radio paging signal
KR20000019620A (ko)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퀵차지 제어 방법
JP2861875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における間欠受信回路および間欠受信方法
JP2001102981A (ja) 無線中継方式
JP2759176B2 (ja) 予め定められた信号の一部のための電力節約方法および装置
JPH08340293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950013063A (ko) 수신기용 전원 제어부
KR20000019621A (ko) 플렉스 무선 호출기의 필터링 주파수 선택 방법
KR100256531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JP2680359B2 (ja) 選択無線呼出方式
JP200033325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局
US5768701A (en) Intermittent receiving control apparatus of a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920007376A (ko) 무선 통신 장치
JP2938354B2 (ja) 制御キャリア検索装置
KR100263076B1 (ko) 무선 호출기에서의 중요 메시지 검색시 경보 방법
KR100267382B1 (ko) 무선통신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