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112U - 고정용 후크 - Google Patents

고정용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112U
KR20000019112U KR2019990005405U KR19990005405U KR20000019112U KR 20000019112 U KR20000019112 U KR 20000019112U KR 2019990005405 U KR2019990005405 U KR 2019990005405U KR 19990005405 U KR19990005405 U KR 19990005405U KR 20000019112 U KR20000019112 U KR 200000191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hook
fixing
str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5734Y1 (ko
Inventor
황영선
Original Assignee
노정웅
주식회사 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웅, 주식회사 키프코 filed Critical 노정웅
Priority to KR2019990005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7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F16G11/143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걸림고리(11)가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의 내부 일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가 원형의 연장편(13)과 연결되어 위치되며, 제 1 결합구(12)의 몸체 내측은 스트링(20)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파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몸체에 고정요철(14)이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중앙부의 내부 타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와의 측면결합시 원형을 이룰수 있게 몸체 내부는 트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탄성력을 갖으며 몸체에 고정요철(14)을 구비된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결합구(15)가 구비된 후크본체(10)와, 상기 후크본체(10)의 몸체 중앙부 내측에서 측면 결합된 제 1,2 결합구(12)(15)를 외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으로는 탄성력을 갖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2 결합구(12)(15)의 지지편(30)을 단속하는 걸림홈(41)이 형성된 고정캡(40)으로 구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스트링(20)을 고정용 후크(100)의 저면으로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이 아닌 스트링(20)을 측면에서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용 후크 {Fixing hook}
본 고안은 고정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정용 후크의 하부 몸체가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스트링과의 조립시 측면에서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의 설치 및 가방등의 단속을 위해서는 스트링(String)의 단부에 고정용 후크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용 후크의 형상은 크게 몸체 상부로는 걸림고리가 구비되고, 몸체 하부로 스트링이 끼워져 위치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하부 끼움홈에 설치된 스트링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캡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 후크는 스트링과의 조립에 있어서 조립 편의성 및 고정후의 체결력등이 중요하다.
즉, 고정용 후크와 스트링을 조립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럽거나, 고정후 스트링이 고정용 후크에서 쉽게 이탈되는 체결력의 단점등을 감안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정용 후크는 몸체 하부 끼움홈에 스트링을 삽입한 후 고정캡을 이용하여 조립되므로, 스트링을 고정용 후크의 끼움홈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트링이 원할하게 삽입 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용 후크의 끼우홈으로 스트링의 원할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추후 체결력에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용 후크의 하부 몸체가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형성하여, 스트링과의 조립시 측면에서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스트링과 고정되어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고정용 후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와 같이 스트링을 고정용 후크의 몸체 하부에서 삽입하여 고정시키던 방식대신 스트링을 고정용 후크의 조립시 측면에서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 지므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용 후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저용 후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고정용 후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고정용 후크에 스트링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용 후크의 저면에서 고정캡이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은 본 고안 고정용 후크에 스트링 및 고정캡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조립 진행도.
*도면에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크본체 11 - 걸림고리
12 - 제 1 결합구 13 - 연장편
14 - 고정요철 15 - 제 2 결합구
16 - 걸림돌기 17 - 끼움홈
20 - 스트링 30 - 지지편
40 - 고정캡 100 - 고정용 후크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걸림고리(11)가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의 내부 일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가 원형의 연장편(13)과 연결되어 위치되며, 제 1 결합구(12)의 몸체 내측은 스트링(20)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파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몸체에 고정요철(14)이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중앙부의 내부 타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와의 측면결합시 원형을 이룰수 있게 몸체 내부는 트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탄성력을 갖으며 몸체에 고정요철(14)을 구비된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결합구(15)가 구비된 후크본체(10)와;
상기 후크본체(10)의 몸체 중앙부 내측에서 측면 결합된 제 1,2 결합구(12)(15)를 외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으로는 탄성력을 갖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2 결합구(12)(15)의 지지편(30)을 단속하는 걸림홈(41)이 형성된 고정캡(4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스트링(20)을 고정용 후크(100)의 저면으로 끼워 고정시키는 방법이 아닌 스트링(20)을 측면에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고정용 후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고정용 후크에 스트링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고정용 후크의 저면에서 고정캡이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 고정용 후크에 스트링 및 고정캡이 설치되는 상태를 조립 진행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후크(100)의 후크본체(10) 형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걸림고리(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본체(10)의 몸체 중앙부 내부 일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가 원형의 연장편(13)과 연결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1 결합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편(13)은 제 1 결합구(12)가 가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결합구(12)는 연장편(13)의 중앙부를 피봇점으로 하여 측면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결합구(12)의 몸체 내측부 형상은 스트링(20)을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저면은 트여지게 형성되고 반원형으로 파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구(12)의 외측부에는 내측으로 위치된 스트링(2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편(3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30)은 제 1 결합구(1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스트링(20)과 접촉되어 보다 견고히 스트링(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부에 고정요철(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요철(14)은 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어 제 1 결합구(12)의 내부로 위치된 스트링(20)의 몸체에 박히면서 스트링(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지지편(30)은 제 1 결합구(12)의 몸체 외측부에서 외부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30)은 제 1 결합구(12)의 몸체 외측을 절개시켜 일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적당한 탄성력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 중앙부의 내부 타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와의 측면결합시 원형을 이룰수 있게 몸체 내부는 트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탄성력을 갖으며 몸체에 고정요철(14)이 구비된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 2 결합구(15)가 구비된 후크본체(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구(15)는 제 1 결합구(12)와는 달리 연장편(13)에 의해 몸체가 외측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후크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구(15)의 형상은 제 1 결합구(12)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후크본체(10)의 몸체 중앙에 형성되는 제 1 결합구(12)는 연장편(13)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되게 위치되며, 제 2 결합구(15)는 후크본체(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접하게 형성되므로,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는 결합시 원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크본체(10)의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가 서로 측면결합되면서 스트링(20)을 고정시키는 방식에서, 상기 제 1,2 결합구(12)(15)의 외측으로는 고정캡(4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캡(40)은 제 1,2 결합구(12)(15)의 외측에 설치되면서 제 1,2 결합구(12)(15)의 이탈을 방지하여 스트링(20)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캡(40)의 형상은 몸체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으로는 탄성력을 갖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2 결합구(12)(15)의 지지편(30)을 단속하는 걸림홈(4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4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홈(41)은 제 1,2 결합구(12)(15)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편(30)과 결착되어 결과적으로 스트링(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은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41)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하부에서 시작되어 지지편(30)이 고정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고정캡(40)에 측면결합된 제 1,2 결합구(12)(15)가 끼워질 때, 양측의 지지편(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고정캡(40)에 의해 지지편(30)이 내측으로 이동된 후 고정캡(40)의 걸림홈(41)에 걸려지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지지편(30)은 고정캡(4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고정캡(40)의 내측면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된 후 체결이 완료되면 걸림홈(41)으로 안착되면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 1,2 결합구(12)(15)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의 내측 하부에는 고정캡(40)이 설치되기 전에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구(15)의 내측단부에는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제 1 결합구(12)의 내측하부에도 걸림돌기(16)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끼움홈(17)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캡(40)이 설치되기 전에 측면 결합되는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결합구(15)의 내측 하부에는 반구형상의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제 1 결합구(12)의 내부 하측으로는 끼움홈(17)을 형성하여 제 1,2 결합구(12)(15)의 자체 결합만으로도 걸림돌기(16)가 끼움홈(17)에 걸려져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 1,2 결합구(12)(15)를 측면 결합시킨 후에도 서로 이탈되지 않으므로 고정캡(4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종래와 같이 스트링(20)을 저면에서 끼워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닌 측면에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스트링을 고정시키므로 조립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 1,2 결합구(12)(15)의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편(30)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가 고정캡(40)의 결합시 자체탄성으로 내측으로 이동된 후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고정캡(40)의 걸림홈(41)에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제 1,2 결합구(12)(15) 및 스트링(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선택적으로 제 1,2 결합구(12)(15)의 내측 하부에 고정캡(40)의 설치전에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돌기(16)와 끼움홈(17)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용 후크(100)의 구성으로 종래 보다 조립편의성 및 체결력, 그리고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걸림고리(11)가 구비되고, 몸체 중앙부의 내부 일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가 원형의 연장편(13)과 연결되어 위치되며, 제 1 결합구(12)의 몸체 내측은 스트링(20)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파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몸체에 고정요철(14)이 구비되고 탄성력을 갖는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몸체 중앙부의 내부 타측으로는 제 1 결합구(12)와의 측면결합시 원형을 이룰수 있게 몸체 내부는 트여지게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탄성력을 갖으며 몸체에 고정요철(14)을 구비된 지지편(30)이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결합구(15)가 구비된 후크본체(10)와;
    상기 후크본체(10)의 몸체 중앙부 내측에서 측면 결합된 제 1,2 결합구(12)(15)를 외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으로는 탄성력을 갖고 외측으로 돌출된 제 1,2 결합구(12)(15)의 지지편(30)을 단속하는 걸림홈(41)이 형성된 고정캡(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후크.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의 내측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고정캡(40)이 설치되기 전에 측면 결합된 제 1 결합구(12)와 제 2 결합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구(15)의 내측단부에는 걸림돌기(16)를 형성하고, 제 1 결합구(12)의 내측하부에도 걸림돌기(16)가 끼워져 위치될 수 있는 끼움홈(1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후크.
KR2019990005405U 1999-04-02 1999-04-02 고정용 후크 KR20024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05U KR200245734Y1 (ko) 1999-04-02 1999-04-02 고정용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05U KR200245734Y1 (ko) 1999-04-02 1999-04-02 고정용 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12U true KR20000019112U (ko) 2000-11-06
KR200245734Y1 KR200245734Y1 (ko) 2001-09-13

Family

ID=5476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405U KR200245734Y1 (ko) 1999-04-02 1999-04-02 고정용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7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734Y1 (ko)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312A (en) Light emitted diode light bulb holder used in LED type Christmas light bulb string
KR100249364B1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KR20020001513A (ko) 지퍼 코드용 부착물
JP3122941B2 (ja) 折畳み式テント
US20040105271A1 (en) Lighting structure
US5064249A (en) Disc wheel cover
JP2003092820A (ja) ケーブル取付構造
KR20000019112U (ko) 고정용 후크
US20070125923A1 (en) Small household fixtures with wall mounting fixture assembly
KR200205476Y1 (ko) 악세서리
JPH10255572A (ja) グロメット
US6425797B1 (en) Wheel assembly
KR200216832Y1 (ko) 칼라 악세사리
CN220212169U (zh) 一种按压式开合卡扣及手镯
KR200143357Y1 (ko) 부채
JPH1078021A (ja) 回動フック
KR200200381Y1 (ko) 천정 매입등
KR200251980Y1 (ko) 연결부재
JP2512359Y2 (ja) 止 具
JP2000186401A (ja) 樋取付け具及び樋取付け構造
KR0119878Y1 (ko) 무선호출기용 체인 결합장치
KR200218185Y1 (ko) 양복커버용 손잡이 고정구
KR100572635B1 (ko) 셀프클립
MXPA01008917A (es) Ensamblaje de arandela y manija.
KR0129098Y1 (ko) 난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